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당대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당대표는 정당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당무위원회의 의장으로서 당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고 대외 활동을 수행하며, 선거에서 후보자를 공천하고 선거 운동을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각 정당마다 당 운영 방식에 따라 명칭과 권한이 다르며, 대한민국에서는 대부분 당원 투표를 통해 대표를 선출한다. 당 대표는 당내 역할과 대외 역할 모두 수행하며, 정당의 얼굴로서 정치적 합의를 이끌어내고 선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료 - 원내대표
    원내대표는 정당에서 의회 내 활동을 지휘하고 이끄는 직책으로,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원내총무로 불리다 권한이 강화되었으며, 당 대표 못지않은 당내 리더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국가에도 비슷한 직책이 존재한다.
  • 당료 - 총비서
    총비서는 노동조합, 공산당, 사회당, 국제 비정부 기구 등 다양한 조직에서 권위를 나타내는 직함으로 사용되며, 공산당에서는 최고 지도자의 직함으로, 국제 기구에서는 사무총장으로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
  • 당조직 - 원내대표
    원내대표는 정당에서 의회 내 활동을 지휘하고 이끄는 직책으로,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원내총무로 불리다 권한이 강화되었으며, 당 대표 못지않은 당내 리더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국가에도 비슷한 직책이 존재한다.
  • 당조직 - 준군사조직
    준군사조직은 정규군과 구별되는 다양한 목적과 법적 지위를 가진 무장 조직으로, 국가의 공식적인 승인 여부와 관계없이 법 집행, 국경 경비, 정치적 목적 수행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 과도한 권력 집중 및 인권 침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 정치에 관한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정치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당대표
당대표
직책
종류정치인
소속정당
역할정당의 최고 지도자
정당의 대변인
주요 활동정당 정책 결정
선거 운동 지휘
당내 조직 관리
대외 관계 담당
임명 방식당내 선거
당 지도부 지명
당원 대회 결정
다른 명칭당수
총재
대표
위원장
의장
세부 역할
정당 내당 정책 결정
당 지도부 구성
당내 의사결정 주도
당 운영 전반 책임
선거 관련선거 전략 수립
선거 운동 지휘
후보자 공천 결정
선거 자금 관리
국회/지방 의회정당 교섭 단체 대표
의회 활동 방향 결정
법안 및 예산 관련 당론 결정
대외 관계언론 대상 정당 입장 발표
시민 단체 및 이익 단체와 협력
외국 정당과의 교류
기타
중요성정당의 정책 방향 및 선거 결과에 큰 영향
책임정당의 성공 및 실패에 대한 책임
사회적 인식정치인 중 대중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직책 중 하나

2. 정당 대표의 역할과 권한

정당 대표는 당을 대표하여 대외 활동을 하고, 다른 정당이나 정부와의 협상을 주도한다. 당의 이념과 정책을 국민에게 알리고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홍보 활동을 펼치며, 국회의원 선거, 대통령 선거 등 각종 선거에서 당의 후보자를 공천하고 선거 운동을 지휘한다.[1] 또한, 당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당무위원회의 의장을 맡아 당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한다.[1]

각 정당은 당 운영 방식이 서로 달라 총재, 대표, 회장, 의장, 위원장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며, 권한 역시 차이가 있다.[3] 독임제가 일반적이지만, 당내 분쟁 등으로 잠정적으로 복수의 당수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3] 현재 일본 각 당의 최고 책임자는 명칭과 관계없이 "'''당수=총재=위원장=대표'''"로 통칭된다.[3]

의회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당수가 총리 후보가 되며,[3] 영국처럼 선거에서 제1당이 된 당의 당수가 총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3] 반면 독일처럼 선거 시 당수와 별도로 총리 후보를 내세우는 경우도 있다.[3]

사회주의 국가의 지배 정당에서는 서기장, 제1서기, 총서기 등의 명칭을 사용한다.[3] 공산당이 국가를 지도하는 경우, 지배 정당의 당수는 명예직 성격이 강한 국가원수(국가주석, 국가평의회의장 등)보다 실질적인 국가 최고 지도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3] (중화인민공화국이나 구소비에트 연방처럼 국가원수를 겸임하는 경우도 있지만, 권력의 원천은 당수로서의 지위에 있다.)[3]

대한민국의 정당 대표는 주로 당원 투표로 선출된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 후보를 당원이 아닌 여론조사로 선출하지만, 국민의힘은 여론조사와 당원 투표 결과를 50:50으로 합산하여 대표를 선출한다.

일본 국정 정당 당수는 당규에 따라 국회의원 자격을 요건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3] 대부분 국회의원 신분이다.[4]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수반 지명 선거)에서는 원칙적으로 각 국회의원이 자신이 속한 정당의 대표(당수)에게 투표한다.[4]

2. 1. 당내 역할

대한민국에서는 대부분 정당의 대표가 당원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6]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021년 5월에 선출된 송영길이며, 국민의힘 대표는 2021년 6월에 선출된 이준석이다.[6]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는 당원이 아닌 여론조사로 선출되지만, 국민의힘은 여론조사와 당원 투표를 50:50으로 합산하여 대표를 선출한다.[6]

일본에서 “당수(党首)”는 과거 총재, 위원장, 대표 등 당마다 다른 최고직 명칭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지도자”, “영수”처럼 공식 명칭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었다.[6]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당수 명칭을 채택하는 정당이 나타났다.[6]

전쟁 이전 보수 정당은 “총재”를 당수 명칭으로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다.[6] “총재”는 메이지 초기 정부 최고직으로 “만기(萬機)를 총괄하고, 일체의 사무를 재결(裁決)한다”는 의미로, 정치 전반을 총괄한 데서 유래한다.[6] 1900년 헌정정우회(立憲政友会)가 처음으로 정당 당수 명칭으로 총재를 채택했다.[6] 반면 혁신정당은 사회주의 조직을 본떠 당수 명칭으로 “위원장”이나 “서기장”을 사용했다.[6]

전후 55년 체제에서 자유민주당은 보수 정당 계보를 이어 “총재”를, 일본사회당민사당은 사회주의 계보를 이어 “위원장”을 채택했다.[6] 1964년 중도정치를 목표로 결성된 공명당도 당시 사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당수 명칭을 “위원장”으로 했다.[6] 1976년 신자유클럽은 주요 정당 중 처음으로 당수 명칭에 “대표”를 사용했는데, 혁신 정당은 아니었지만 자민당처럼 오랜 역사를 지니지 않았다는 의미도 있었다.[6]

1990년대 신당 붐 시기에는 일본신당, 신당사키가케 등 당수 명칭에 “대표”를 사용하는 정당이 증가했다.[6] 신생당은 당수 명칭을 “당수”로 했는데, 이는 신생당 계보를 잇는 신진당, 태양당, 자유당, 보수당과 1996년 사회당에서 개편된 사회민주당 등이 채택했다.[6] 그러나 신진당 침체 이후 민주당, 1998년 재결성된 공명당처럼 당수 명칭에 “대표”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6] 2003년 자유당 해산 이후 “당수” 명칭을 채택한 정당은 오랫동안 사민당뿐이었다 (이후 차세대당(2014-2015),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2019- ) 등이 채택).[6]

2. 2. 대외 역할

당 대표는 다른 정당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협력 또는 경쟁 관계를 유지한다. 정부와 정책 협의를 하고, 국회에서 당의 입장을 대변한다. 언론과의 소통을 통해 당의 정책을 홍보하고, 여론을 수렴한다. 국제 정당과의 교류를 통해 국제 협력을 강화한다.

3. 정당 대표 선출 방식

정당 대표는 각 정당의 당헌·당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선출된다. 일반적으로 당원 투표, 대의원 투표, 여론조사 등을 활용한다.

일본의 경우, 국정 정당의 당수는 대부분 국회의원이며, 당규에 따라 선출된다.[3][4] 수반 지명 선거에서는 원칙적으로 각 국회의원이 자신의 정당 대표에게 투표한다. 연립 정권 구성 시에는 다른 당 대표에게 투표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 일본에서는 총리(내각총리대신)와 총재(자민당 총재)를 분리하는 "총총 분리", 총리와 대표(민주당 대표)를 분리하는 "총대 분리" 구상이 있었으나, 실제로 장기간 유지된 적은 없다.

공직선거법과 정당보조금법, 정당법인격부여법에서는 정당 대표자의 권한과 책임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공직 선거 후보자 추천, 정당 해산 신고, 정당 교부금 관련 회계 보고 등에 대표자의 역할이 명시되어 있다.[5]

과거 일본에서는 "당수"라는 용어가 총재, 위원장, 대표 등 다양한 당 최고직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당수" 명칭을 채택하는 정당들이 나타났다. 신생당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사회민주당 등도 "당수" 명칭을 사용했다.

전쟁 이전 보수 정당은 "총재" 명칭을, 사회주의 정당은 "위원장"이나 "서기장" 명칭을 주로 사용했다. 전후 55년 체제 하에서는 자유민주당이 "총재"를, 일본사회당민사당은 "위원장"을 사용했다. 공명당은 중도정치를 표방했지만, 사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위원장" 명칭을 사용했다. 신자유클럽은 "대표" 명칭을 사용했는데, 이는 혁신 정당은 아니지만 자민당처럼 오랜 역사를 가지지 않았음을 의미했다.

1990년대 신당 붐 시기에는 일본신당, 신당사키가케 등 "대표" 명칭을 사용하는 정당이 증가했다. 민주당, 1998년 재결성된 공명당 등도 "대표" 명칭을 사용했다.

현재 일본의 주요 정당 대표는 다음과 같다.

정당명대표
신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9]오카자키 히로미(岡崎宏美)
오키나와사회대중당 중앙집행위원장타카라 테츠미(高良鉄美)
신당대지 대표스즈키 무네오(鈴木宗男)
녹색당 그린즈재팬 공동대표오가타 케이코, 마쓰모토 나미호, 하시모토 히사오, 나카야마 히토시
오사카 이신노카이 대표요시무라 히로후미(吉村洋文)
도민퍼스트노카이 대표모리무라 타카유키(森村隆行)
감세일본 대표카와무라 타카시(河村たかし)
행복실현당 당수샤쿠 료시(釈量子)
팀 시가 대표카다 유키코(嘉田由紀子)
도쿄·생활자네트워크 대표야마구치 후미에(山口文江)
자유를지키는회 대표우에다 레이코(上田令子)
새로운당 대표타카하시 겐키(高橋元気)
교토당 대표에무라 리사(江村理紗)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주요 정당들은 대부분 당원 투표와 대의원 투표를 혼합한 방식으로 대표를 선출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하며, 국민의힘은 당원 선거인단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하여 대표를 선출한다.[10]

3. 1. 1.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의 당 대표는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통해 선출된다.[10] 당 대표는 당무위원회의 의장으로서 당무 전반을 총괄하며, 당을 대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21년 5월 전당대회에서 송영길 전 대표가 선출되었다.[10]

3. 1. 2. 국민의힘

국민의힘의 당 대표는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50:50 비율로 합산하여 선출한다.[10] 2021년 6월, 이준석은 만 36세의 젊은 정치인으로 당 대표에 선출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이준석 전 대표는 당내 갈등으로 인해 징계를 받고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3. 2. 기타 국가

독일의 기독교민주연합(CDU), 사회민주당(SPD)은 총리 후보를 내세워 선거전을 벌이지만, 당 대표와는 다른 인물을 후보로 내세우는 경우가 있다.[12] 사회민주당 당수는 당이사회 의장이며 2명을 선출하는데, 이 중 1명은 여성이어야 한다.[12] 기독교민주연합의 당 대표는 연방이사회 의장이다.[12]

3. 2. 1.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주요 정당의 지도자를 각 정당의 당 대표 선출대회에서 당 대표 선거를 통해 선출한다. 국회의원이 기존 정당을 탈당하여 신당을 창당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당 대표 선출 과정이 생략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장-프랑수아 포르탱은 2014년 퀘벡 블록을 탈당하여 민주주의의 힘을 창당했고, 막심 베르니에는 2018년 보수당을 탈당하여 캐나다 국민당을 창당했다.[1]

3. 2. 2. 중국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는 중앙위원회 총서기이며, 총서기는 일반적으로 중국국가주석을 겸임한다. 시진핑은 2012년 11월 15일 제18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총서기로 선출되었다.[1]

3. 2. 3. 독일

독일의 주요 정당들은 당 대표와 총리 후보를 분리하여 선출하는 경우가 많다. 독일 정치에서 당 조직과 당 대표가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국가들보다 훨씬 크다.[12] 독일에서 당 대표는 정부 장관이나 국회의원단 대표 등 중요한 공직을 맡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역할은 법적으로 명확히 구분된다. 사민당의 현직 위원장인 자스키아 에스켄과 라스 클링바일처럼 독일 정당 대표가 국회의원이 아닌 경우도 종종 있다.

독일에서는 기독교민주연합(CDU), 사회민주당(SPD) 두 거대 정당이 총리 후보를 내세워 선거전을 벌이지만, 이때 당 대표와는 다른 인물을 후보로 내세우는 경우가 있다.[12] 사회민주당의 당수는 당이사회 의장이며, 2명을 선출하는데 이 중 1명은 여성이어야 한다.[12] 기독교민주연합에서는 연방이사회 의장이 당 대표이다.[12]

3. 2. 4.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당 대표는 네덜란드의 정당 내에서 가장 높은 직위의 정치인이다. 당 대표는 대외적으로 당의 '얼굴'이자 주요 대표 역할을 하며, 당 내부에서는 정치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선거 때에는 당 대표가 항상 명부식 비례대표제에 따른 명부 선두 주자가 된다. 선거 외에는 당 대표가 대부분 하원에서 당의 의원 대표 역할을 하며, 일부 당 대표는 장관으로 내각에 참여하기도 한다.

3. 2. 5. 대만

대만의 주요 정당으로는 민주진보당국민당이 있다.

민주진보당 당헌에는 집권 기간 동안 대통령이 선거 없이 당 의장직을 겸임할 수 있으며, 야당일 때는 당원들이 당 의장을 선출한다고 명시되어 있다.[1] 국민당 당헌에는 당 의장이 당원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고 규정되어 있다.[1]

현재 민주진보당 당 의장은 라이칭더 대통령이며, 국민당 당 의장은 에릭 추 전 부총리이다.[1]

3. 2. 6. 터키

터키에서 당 대표는 사실상 당의 지도자이다. 주요 정당의 지도자는 각 정당의 지도자 선출 대회에서 지도자 선거가 끝난 후 선출된다. 국회의원이 기존 정당을 떠나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는 경우와 같이 이 과정의 예외가 발생하기도 한다. 공동 대표도 가능하다. 당 대표는 그 당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인이며 일반적으로 정부 수반이 될 것으로 여겨지나, 선거에 다른 후보를 내세울 수도 있다. 당 대표(위원장)는 당의 사무총장과 동일인이 될 수 없다.

3. 2. 7. 영국

영국의 주요 정당들은 당원 투표를 통해 대표를 선출하며, 집권당의 대표는 총리가 된다. 당 대표 선출 방식은 당마다 다르지만, 대개 당원 전체 또는 일부가 참여하는 선거를 통해 이루어진다. 일부 당에서는 현직 국회의원단 구성원이나 특정 당직자만 투표할 수 있지만, 영국 노동당과 같은 다른 당에서는 모든 당원이 투표할 자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선거인의 투표 비중이 다른 선거인보다 훨씬 클 수 있다. 후보가 한 명만 나오면 그들은 "만장일치로 선출되었다" 또는 일반 당원에 의해 "추인되었다"고 한다.[12]

키어 스타머 경영국 노동당 대표이자 영국 총리이며, 케미 바데녹은 2024년 11월 영국 보수당 대표로 선출되어 야당 대표가 되었다.[12]

3. 2. 8. 미국

미국 정부의 행정부에는 정당 지도자들이 있다. 대통령은 선출되면 해당 정당의 사실상 지도자가 되며, 부통령은 두 번째로 높은 행정부 직책이자 상원 의장으로서 지도적 역할을 한다. 그러나 주요 정당들은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지배 기구인 전국위원회를 두고 별도의 지도부 역할을 한다.[12]

미국 의회상원하원으로 구성되며, 각각에 정당이 선출한 지도자들이 있다. 각 경우에 가장 많은 의석을 가진 정당(때로는 집권당이라고 함)의 지도자는 다수당 원내대표로, 그리고 가장 많은 의원을 가진 반대당의 지도자는 소수당 원내대표로 알려져 있다.[12]

미국 상원의 정당 지도자들은 1913년부터 각 정당의 당 의원 모임에서 선출되어 왔다. 여기에는 상원 의장 카멀라 해리스, 미국 상원 임시 의장 패티 머레이, 민주당 측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 척 슈머와 상원 다수당 원내총무 딕 더빈, 그리고 공화당 측 상원 소수당 원내대표 미치 매코넬과 상원 소수당 원내총무 존 썬이 포함된다.[12]

하원의 정당 지도자들은 하원 내 각 정당에서 비밀투표로 선출된다. 공화당은 하원 의장 마이크 존슨이, 민주당은 소수당 원내대표 하킴 제프리스가 대표한다. 하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직책은 하원이 선출하는 의장이다.[12]

제이미 해리슨은 민주당 위원장을, 마이클 왓틀리는 공화당 위원장을 역임한다.[12]

4. 한국 정치에서 정당 대표의 변화

한국 정치에서 정당 대표의 역할과 권한은 일본의 정당 대표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한국 정치 환경의 특수성에 따라 변화해왔다. 일본의 경우 정당법, 공직선거법, 정당보조금법 등에 당대표의 권한과 책임이 상세히 규정되어 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정당의 대표자는 다음과 같은 권한과 책임을 갖는다.


  • 공직 선거 후보자 추천 및 공천 관련 서류에 서명
  • 비례대표 후보자 명부 작성 및 제출
  • 선거 공보 및 홍보물에 대표자 성명 기재
  • 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제비뽑기 참석


정당법정치자금법에 따르면, 정당 대표자는 다음과 같은 권한과 책임을 갖는다.

  • 정당 등록 및 변경, 해산 신고
  • 정치자금 모금 및 회계 보고
  • 정당 보조금 신청 및 수령


이러한 법적 권한 외에도, 정당 대표자는 당의 얼굴로서 당의 정책 결정 및 홍보, 당내 갈등 조정 및 통합, 대외 협상 및 연대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당대표에게 과도하게 권한이 집중되어 폐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4. 1. 명칭의 변화

과거에는 정당의 대표자를 "총재", "위원장", "대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렀다.[6] 1900년 헌정정우회(立憲政友会)가 처음으로 "총재"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사회주의 정당은 "위원장"이나 "서기장"을 사용했다.[6]

55년 체제 하에서 자유민주당은 "총재", 일본사회당민사당은 "위원장"을 사용했다.[6] 1964년 창당된 공명당도 "위원장" 명칭을 사용했다.[6] 1976년 신자유클럽이 "대표"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했다.[6]

1990년대 신당 창당 과정에서 일본신당, 신당사키가케 등이 "대표" 명칭을 사용하면서 "대표"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6] 신생당은 "당수"라는 명칭을 사용했다.[6]

1990년대 이후 민주당, 1998년 재결성된 공명당 등 많은 정당이 "대표"를 당수 명칭으로 채택했다.[6]

참조

[1] 서적 The China Renaissance: the rise of Xi Jinping and the 18th Communist party congress (eBook, 2013) https://www.worldcat[...] 2016-03-03
[2] 뉴스 Xi Jinping Is China's 'Core' Leader: Here's What It Means https://www.nytimes.[...] 2016-10-30
[3] 뉴스 吉田党首が続投=非国会議員、辞意を撤回-社民 http://www.jiji.com/[...] 2016-09-01
[4] 웹사이트 # 여러 정보가 섞여있어 분류하기 어려움. 웹사이트로 분류 過去に政党要件を満たしている国政政党の党首に非国会議員が在任していた例
[5] 웹사이트 # 법조항이므로 웹사이트로 분류 公職選挙法第86条
[6] 뉴스 なぜ自民党だけが「総裁」 党首名の謎を追う https://www.nikkei.c[...] 2013-07-17
[7] 웹사이트 # 정당 내부 정보이므로 웹사이트로 분류 代表の玉木雄一郎は役職停止処分期間中。代表代行:古川元久
[8] 웹사이트 # 정당 내부 정보이므로 웹사이트로 분류 日本共産党の党首
[9] 웹사이트 # 역사적 정보이므로 웹사이트로 분류 政党要件を満たす国政政党
[10] 웹사이트 # 정당 내부 정보이므로 웹사이트로 분류 新党大地への移管
[11] 웹사이트 日本とイタリアではなぜ首相が「短命」なのか https://www.nippon.c[...] ニッポンドットコム
[12] PDF https://dl.ndl.go.jp[...]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