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에서 살 권리를 의미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인권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1972년 스톡홀름 선언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나 법적 구속력은 없었으며, 현재 유엔 결의안과 각국 법률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150개 이상의 국가가 법률, 헌법 등을 통해 이 권리를 인정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인권 및 민족 권리 헌장, 아메리카 인권 협약 등에서도 관련 내용을 포함한다. 유엔 인권 이사회와 총회는 이 권리를 인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으며, 유엔 특별 보고관들은 국제법으로의 공식화를 권고했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국가가 환경 오염을 규제하고, 피해를 입은 지역 사회를 보호해야 할 의무를 부과하며, 기후 변화 소송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110개 이상의 국가가 헌법 또는 법률에 이 권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콜롬비아에서는 기후 변화로 인한 어린이의 권리 침해 소송에서 정부의 기후 변화 대책 수립을 명령하는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 대한민국 헌법 제35조는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간접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나, 환경 파괴 논란과 정치적 갈등이 존재한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인간의 건강과 생활 수준 향상,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에 기여하며, 미래 세대의 권리 보장에도 중요하다. 그러나 내용과 범위의 불명확성, 경제 발전과의 갈등, 국제적 보편성의 부족 등의 과제가 남아 있으며, 인권과 기후 변화에 대한 국제적 접근 방식의 핵심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경 정책 - 그린워싱
    그린워싱은 기업이 실제로는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주면서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내세워 소비자를 오도하는 행위로, 유엔은 구체적인 실천 계획 부재, 모호한 주장 등을 그 예로 들며, ESG 경영 확산과 함께 ESG 등급 평가의 신뢰성 문제 또한 새로운 유형으로 부상하고 있다.
  • 환경 정책 - 정치생태학
    정치생태학은 환경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불균등한 영향과 정치·경제·사회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으로, 개발지리학, 문화생태학 등과 접목하여 발전했으며 환경 문제 분석에 정치경제학적 틀을 활용하고 다양한 권력 관점을 통해 환경 문제와 사회 정의를 탐구한다.
  • 인권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인권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
개요
권리 종류인권
내용인간은 건강한 환경에서 살 권리를 가진다는 개념
관련 개념지속 가능한 발전
환경 정의
생태학적 정의
자연권
상세 내용
포함 요소깨끗한 공기
깨끗한 물
안전한 식수
적절한 위생
건강한 생태계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의무 주체국가, 기업, 개인
권리 행사 주체모든 개인 및 공동체
국제적 논의
유엔2021년 유엔 인권 이사회 결의안 채택
2022년 유엔 총회 결의안 채택, 보편적 인권으로 인정
국제 협약다수 국가에서 헌법 또는 법률에 명시
권리 보호 노력
법적 노력환경법 제정
환경 소송
환경 영향 평가
시민 사회 노력환경 운동
환경 단체 활동
토지 옹호자 및 물의 보호자 지원
기타 노력환경 교육 강화
기후 변화 대응 노력
생물 다양성 보존 노력
관련 권리
관련된 다른 인권생명권
건강권
식량권
물과 위생에 대한 권리
정보 접근권
참여권
선주민의 권리
참고
관련 인물데이비드 보이드 (환경권 특별 보고관)
관련 문서환경권 관련 유엔 보고서 및 결의안

2. 국제적인 접근



세계 인권 선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과 같은 주요 유엔 인권 문서는 역사적으로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3] 1972년 스톡홀름 선언은 이 권리를 인정했지만, 법적 구속력이 있는 문서는 아니었다. 1992년 리우 선언은 인권이라는 표현을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이 환경 문제에 관한 정보에 접근하고, 의사 결정에 참여하며, 사법적 구제를 받을 권리가 있음을 명시했다.[13]

현재 제안된 유엔 결의안인 환경을 위한 세계 협약은 채택될 경우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포함하는 최초의 유엔 인권 문서가 될 것이다.[14]

2. 1. 유엔 인권 이사회 결의

2021년 제48차 회기에서 국제 연합 인권 이사회는 "깨끗하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에 대한 인권"을 인정하는 결의안(코스타리카, 모로코, 슬로베니아, 스위스, 몰디브로 구성된 핵심 그룹이 제안했으며, 코스타리카가 주도)을 채택하여, 이 기구가 인권을 선언한 것은 처음이다.[22][23][24] 이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유엔 총회에 이 문제를 고려할 것을 요청"한다.[23]

2. 2. 유엔 총회 결의

2022년 제76차 유엔 총회에서 코스타리카, 모로코, 슬로베니아, 스위스, 몰디브를 포함한 핵심 그룹이 제출한 결의안이 채택되어, 깨끗하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에 대한 인권이 다시 한번 인정되었다.[25] 이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유엔 인권 최고대표 미첼 바첼레트[26], 여러 특별 보고관[5], 그리고 일부 시민 사회 단체 구성원들이 환영했다.[27][28]

2. 3. 기타 국제 동향

아프리카 인권 및 민족 권리 헌장, 아메리카 인권 협약, 에스카주 협정, 아랍 인권 헌장, 아세안 인권 선언은 각각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포함한다.[3][15][16] 아동 권리 협약과 같은 다른 인권 프레임워크는 아동 권리와 관련된 환경 문제를 언급한다.[15]

환경 및 인권에 관한 유엔 특별 보고관 존 녹스(2012–2018)와 데이비드 R. 보이드(2018–)는 이러한 권리를 국제법으로 공식화하는 방법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했다.[3][17] 이는 2020년에 뉴욕시 변호사 협회와 같은 현지 법률 단체뿐만 아니라 유엔 차원의 여러 위원회에서 지지했다.[18]

3. 국가의 역할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국가에게 환경법을 규제하고 시행하며, 오염을 통제하고, 환경 문제로 피해를 입은 지역 사회에 정의와 보호를 제공해야 할 의무를 부과한다.[9] 이는 기후 변화 소송 등 환경 관련 법적 선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11]

3. 1. 헌법 개정 시도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국가에게 두 가지 종류의 의무를 부과한다. 하나는 국가가 스스로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파괴하지 않도록 하는 부담 의무이고, 다른 하나는 국가가 민간 기업이나 개인에 의한 환경 피해를 방지하거나 감시하도록 하는 보호 의무이다.[29] 이러한 의무는 국제적인 기준과 감시에 따라 실행될 필요가 있다.[29]

현재 110개 이상의 국가가 자국의 헌법이나 법률에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44] 이러한 국가에서는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가 사법상의 효력을 가지며, 시민이 정부나 기업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44] 예를 들어, 콜롬비아에서는 25명의 어린이들이 기후 변화로 인해 자신들의 삶과 미래가 위협받고 있다며 정부를 고소했다. 2018년 4월 5일, 콜롬비아 대법원은 어린이들의 소송을 인정하여 정부에 기후 변화 대책 계획을 수립하도록 명령했다.[29] 이 판결은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와 어린이의 권리라는 두 가지 인권을 연결한 획기적인 것이었다.[29]

한편,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도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헌법이나 법률에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45][46] 일본에서는 환경기본법이나 환경 권리 장전 등의 법안이 제출된 적이 있지만, 모두 성립되지 않았다.[45] 일본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등의 공공 사업에 의한 환경 영향에 대해 시민들이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패소하거나 화해하고 있다.[45] 일본에서는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뿐만 아니라 시민과 NGO도 적극적으로 관여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진다.[45]

3. 2. 대한민국의 상황

대한민국 헌법 제35조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 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간접적으로 보장하고 있다.[44] 그러나, 4대강 사업, 새만금 간척 사업 등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 파괴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이 권리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환경권 강화와 환경 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왔으나,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은 경제 성장을 우선시하며 환경 규제 완화를 주장하는 경우가 많아, 이 권리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존재한다.

4. 의의와 과제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인간이 건강하고 존엄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청결하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에 대한 권리이다. 이 권리는 기후 변화, 대기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생물 다양성의 상실 등 환경 문제로 인해 인간의 건강과 생존이 위협받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국제적인 인권 문서나 국가의 헌법에 의해 인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아직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확립하는 것은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 미래 세대에게도 많은 혜택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진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인간의 건강과 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나 파리 협정과 같은 국제적인 노력에도 기여한다. 또한 자연과의 조화롭고 평등한 관계를 구축하고, 미래 세대에게도 건강하고 존엄한 삶을 누릴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세대 간의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Human rights and climate change|인권과 기후 변화영어에 대한 국제적 접근 방식의 핵심이 되고 있다. 기후 변화가 인권에 미치는 영향은 유엔 인권 최고 대표 사무소(OHCHR)에서 관련 팩트 시트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1]

4. 1. 과제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그 내용과 범위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어떻게 실현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경제 발전과 사회 진보와 대립하는 경우가 있어, 그 균형을 잡는 것이 어렵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국제적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아, 그 시행과 감시 또한 불충분하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인간 이외의 존재에게도 권리를 인정함으로써 인간의 우선순위와 책임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5. 영향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국가가 환경법을 규제하고 시행하며, 오염을 통제하고, 환경 문제로 피해를 입은 지역 사회에 정의와 보호를 제공해야 할 의무를 창출한다.[9] 이는 기후 변화 소송 및 기타 환경 문제에 대한 환경 법적 선례를 만드는 데 중요한 권리이다.[10][11]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인간의 건강과 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나 파리 협정과 같은 국제적인 노력에도 기여한다. 또한 자연과 동물에게도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함으로써 인간 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더 조화롭고 평등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더불어 미래 세대에게도 동일하게 건강하고 존엄한 삶을 누릴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 간의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확립하는 데에는 다양한 논의와 과제가 존재한다. 그 내용과 범위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어떻게 실현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또한 경제 발전과 사회 진보와 대립하는 경우가 있어, 그 균형을 잡는 것이 어렵다. 국제적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아, 그 시행과 감시 또한 불충분하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는 Human rights and climate change|인권과 기후 변화영어에 대한 국제적 접근 방식의 핵심이다. 기후 변화가 인권에 미치는 영향은 유엔 인권 최고 대표 사무소(OHCHR)에서 관련 팩트 시트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유엔 특별 보고관 존 녹스는 국가 헌법과 유엔에 의한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의 성문화는 인권이라는 문구를 추가함으로써 국제법의 격차를 메우고 국제적 집행의 기반을 강화하며 국가 차원의 환경 성과를 개선함으로써 환경 보호 노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했다.

5. 1. 사례

262x262픽셀


브라질 히우싱구 강 유역의 화전으로 인한 삼림 파괴는 토지에 대한 원주민 권리와 더 넓은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생태계 파괴)를 모두 위협한다. 아마존 삼림을 삼림 파괴로부터 보호하는 Columbian' Climate case와 같은 판례는 역사적으로 자연권과 아동 권리에 의존해 왔다[51]

예를 들어, 콜롬비아에서는 25명의 어린이들이 기후 변화로 인해 자신들의 삶과 미래가 위협받고 있다며 정부를 고소했다. 2018년 4월 5일, 콜롬비아 대법원은 어린이들의 소송을 인정하여 정부에 기후 변화 대책 계획을 수립하도록 명령했다[29]。 이 판결은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와 어린이의 권리라는 두 가지 인권을 연결한 획기적인 것이었다[29]

참조

[1] 웹사이트 The Case for a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https://www.hrw.org/[...] 2018-03-01
[2] 웹사이트 The Time is Now for the UN to Formally Recognize the Right to a Healthy and Sustainable Environment https://www.ciel.org[...] 2018-10-25
[3] 간행물 Constructing the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https://www.annualre[...] 2020-10-13
[4] 웹사이트 Historic day for human rights and a healthy planet: UN expert https://www.ohchr.or[...] 2022-08-05
[5] 웹사이트 UN General Assembly declares access to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a universal human right https://news.un.org/[...] 2022-07-28
[6] 웹사이트 OHCHR {{!}} Good practices on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https://www.ohchr.or[...] 2021-02-10
[7] 웹사이트 Rights to Nature vs Rights of Nature https://environment.[...] 2021-02-10
[8] 웹사이트 In historic ruling, Colombian Court protects youth suing the national government for failing to curb deforestation https://www.dejustic[...] 2018-04-05
[9] 간행물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Where Next? https://academic.oup[...] 2012-08-01
[10] 서적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Mismatch or Harmon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11] 간행물 The Human Right to a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in Climate Change Litigation https://papers.ssrn.[...] 2019-04-10
[12] 웹사이트 Warming Across Generations https://www.climatec[...] Climate Central 2023-03-22
[13] 웹사이트 UNEP - Principle 10 and the Bali Guideline https://www.unep.org[...] 2018-04-26
[14] 간행물 The Global Pact for the Environment: At the crossroads of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https://onlinelibrar[...] 2019-04
[15] 서적 Human Rights, Health & Environmental Protection: Linkages in Law & Practice World Health Organization
[16] 웹사이트 Regional Agreement on Access to Information, Public Participation and Justice in Environmental Matter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ttps://repositorio.[...] 2018-03-04
[17] 웹사이트 OHCHR {{!}} Right to a healthy and sustainable environment https://www.ohchr.or[...] 2021-02-10
[18] 웹사이트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UN Formal Recognition http://nycbar.org/me[...] 2021-02-10
[19] 웹사이트 How the new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could accelerate New Zealand's action on climate change http://theconversati[...] 2021-10-19
[20] 웹사이트 Why having a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is a human right https://www.weforum.[...] 2021-11-30
[2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Human Rights and Climate Change https://www.ohchr.or[...] 2021-05-07
[22] 웹사이트 OHCHR {{!}} Bachelet hails landmark recognition that having a healthy environment is a human right https://www.ohchr.or[...] 2021-10-09
[23] 웹사이트 Access to a healthy environment, declared a human right by UN rights council https://news.un.org/[...] 2021-10-08
[24] 뉴스 UN declares access to a clean environment a human right https://www.reuters.[...] Reuters 2021-10-08
[25]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2022-08-05
[26] 웹사이트 Bachelet calls for urgent action to realize human right to healthy environment following recognition by UN General Assembly https://www.ohchr.or[...] 2022-08-05
[27] 웹사이트 Franciscans International: News https://franciscansi[...] 2022-07-28
[28] 웹사이트 VICTORY: UNGA Recognizes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For All https://www.ciel.org[...] 2022-08-05
[29] 웹사이트 The Case for a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https://www.hrw.org/[...] 2018-03-01
[30] 웹사이트 The Time is Now for the UN to Formally Recognize the Right to a Healthy and Sustainable Environment https://www.ciel.org[...] 2018-10-25
[31] 간행물 Constructing the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https://www.annualre[...] 2020-10-13
[32] 웹사이트 OHCHR {{!}} Bachelet hails landmark recognition that having a healthy environment is a human right https://www.ohchr.or[...] 2021-10-09
[33] 웹사이트 OHCHR {{!}} Good practices on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https://www.ohchr.or[...] 2021-02-10
[34] 간행물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Where Next? https://academic.oup[...] 2012-08-01
[35] 웹사이트 Rights to Nature vs Rights of Nature https://environment.[...] 2021-02-10
[36] 논문 Constructing the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https://www.annualre[...] 2020-10-13
[37] 웹사이트 UNEP - Principle 10 and the Bali Guideline https://www.unep.org[...] 2022-04-16
[38] 웹사이트 OHCHR {{!}} Bachelet hails landmark recognition that having a healthy environment is a human right https://www.ohchr.or[...] 2021-10-09
[39] 웹사이트 Access to a healthy environment, declared a human right by UN rights council https://news.un.org/[...] 2021-10-09
[40] 뉴스 UN declares access to a clean environment a human right https://www.reuters.[...] 2021-10-09
[41] 논문 The Global Pact for the Environment: At the crossroads of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https://onlinelibrar[...] 2019-04-01
[42] 웹사이트 OHCHR {{!}} Right to a healthy and sustainable environment https://www.ohchr.or[...] 2021-02-10
[43] 웹사이트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UN Formal Recognition http://nycbar.org/me[...] 2021-02-10
[44] 웹사이트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Should Be a Universal Human Right https://www.un.org/e[...] 2021-02-10
[45] 웹사이트 "「エコサイド」 国際法で定められた4つの罪とは" https://eleminist.co[...] 2021-10-29
[46] 웹사이트 A/HRC/48/L.35 - E - A/HRC/48/L.35 -Desktop https://www.ohchr.or[...] [[国連人権高等弁務官事務所]] 2021-10-07
[47] 웹사이트 How the new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could accelerate New Zealand's action on climate change http://theconversati[...] 2021-11-30
[48] 웹사이트 Why having a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is a human right https://www.weforum.[...] 2021-11-30
[4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Human Rights and Climate Change https://www.ohchr.or[...] 2021-05-07
[50] 웹사이트 In historic ruling, Colombian Court protects youth suing the national government for failing to curb deforestation https://www.dejustic[...] 2021-11-30
[51] web 環境破壊が犯罪に。ジェノサイドならぬ「エコサイド」の意味と世界の動きを解説 https://bdl.ideasfor[...] 2021-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