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검산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산항은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에 위치한 항구이다. 600여 년 전 송·원대 선박에서 도자기 등 유물이 발굴된 송·원대 유물 매장 해역이 인접해 있다. 방파제와 물양장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민어, 병어, 농어, 짱뚱어 등 다양한 어종이 어획된다. 어항 구역은 방파제 시점에서 반경 500m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내 수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안군의 어항 - 사리항
    사리항은 흑산도 서해남부에 위치한 항구로,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멸치, 전복, 돔, 우럭 등을 어획하며 낚시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 신안군의 어항 - 우이도항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에 위치한 우이도항은 2002년 어항개발계획이 수립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 중수 기록이 있는 신안 우이도 선창은 전통 포구 시설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어사항
    어사항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어항으로, 수역과 육역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검산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검산항
유형지방어항
주소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방죽리
지정일1973년 12월 19일
시설관리자신안군수

2. 역사

(내용 없음)

2. 1. 송·원대 유물 매장 해역

방축리 도덕도 앞 해역은 송·원대유물매장해역으로,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74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약 600여 년 동안 바닷속에 잠들어 있던 ·대의 도자기를 포함한 유물 23,024점이 발굴되었다.

이 해역은 목포에서 약 43km 떨어져 있으며, 수심은 20m에서 24m 사이이고 조류가 매우 거센 곳이다. 이러한 지리적·해양적 조건 때문에 당시 이곳을 항해하던 중국 선박들이 풍랑을 이기지 못하고 침몰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검산항'이라는 지명은 이 일대의 검푸른 바다 빛깔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진다.

3. 생태 환경

검산항 주변에는 우전해수욕장 북쪽 갯벌에 조성된 갯벌생태탐방로인 짱뚱어다리가 있어 다양한 갯벌 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인근 증도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단일 염전인 태평염전이 자리 잡고 있다.

한편, 목포에서 43km 떨어진 도덕도 앞 해상은 수심이 20m~24m에 달하고 조류가 세찬 곳으로, 과거 중국 선박이 풍랑으로 침몰하기도 했다. 이 검푸른 바다색을 보고 '검산항'이라 이름 붙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3. 1. 짱뚱어다리

우전해수욕장 북쪽 갯벌에는 '짱뚱어다리'라는 이름의 갯벌생태탐방로가 개설되어 있다. 이 다리 위에서는 농게, 칠게, 갯지렁이, 짱뚱어 등 다양한 갯벌 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짱뚱어다리를 건너면 바로 우전해수욕장의 해변으로 이어진다.

3. 2. 태평염전

증도에는 태평염전이 있다.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단일 염전으로, 대한민국 천일염 생산량의 6%에 해당하는 연간 16000ton을 생산한다.

4. 어항 시설

검산항의 주요 어항 시설로는 방파제 200m와 물양장 100m가 있다.

5. 어획 어종

주요 어획 어종은 민어, 병어, 농어, 짱뚱어 등이다.

6. 주변 지역

검산항 인근에는 역사적, 자연적, 산업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장소들이 있다.


  • 방축리 도덕도 앞 송·원대유물매장해역: 국가유산청 지정 사적 제74호로, 600여 년 동안 바닷속에 잠들어 있던 ·도자기 등 유물 23,024점이 발굴된 곳이다. 목포에서 43km 떨어진 이곳은 수심이 20m~24m에 달하고 조류가 강해, 당시 항해하던 중국 선박이 풍랑으로 침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검푸른 바다색 때문에 '검산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우전해수욕장: 해수욕장 북쪽 갯벌에는 '짱뚱어다리'라는 이름의 갯벌 생태 탐방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 위에서는 농게, 칠게, 갯지렁이, 짱뚱어 등 다양한 갯벌 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다리를 건너면 바로 우전해수욕장 해변으로 이어진다.
  • 증도 태평염전: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단일 염전으로, 우리나라 전체 천일염 생산량의 약 6%에 해당하는 연간 1.6만ton을 생산한다.

7. 어항 구역


  • '''수역''': 방파제 시점에서 반경 500m 지점(북위 34도 59분 28초, 동경 127도 06분 29초)을 기준으로 한 원 안의 수역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