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고양이 (단편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은 고양이》는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로, 사형을 앞둔 한 남자의 증언을 통해 전개된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동물을 사랑했지만,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검은 고양이 플루토의 눈을 찌르고,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후 다른 검은 고양이를 들이지만, 점점 더 광기에 휩싸여 아내를 살해하고 시체를 벽에 숨긴다. 결국 경찰 수사 과정에서 고양이와 함께 아내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작품은 알코올 중독, 죄의식, 심리적 불안정, 광기를 주제로 다루며, 검은 고양이의 상징성을 통해 도덕적 붕괴를 보여준다. 이 소설은 다양한 영화, 만화, 연극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3년 단편소설 - 고자질하는 심장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고자질하는 심장》은 '독수리 같은' 눈을 가진 노인을 살해한 익명의 화자가 죄책감으로 자멸하는 과정을 1인칭 시점으로 서술하며, 죄책감, 광기, 인간 심리의 어두운 면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 1843년 단편소설 - 황금충
황금충은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로, 윌리엄 르그랑이 황금 풍뎅이 사건 이후 암호 해독을 통해 키드 선장의 매장금을 찾는 모험을 그린 작품이며, 인종차별적 묘사 비판에도 불구하고 암호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후대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 공포 단편소설 - 원숭이손 (소설)
원숭이 손은 W. W. 제이콥스의 단편 소설로, 세 가지 소원을 들어주는 원숭이 손을 얻은 화이트 부부가 소원 때문에 비극을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공포 단편소설 - 아몬틸라도의 술통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아몬틸라도의 술통"은 복수를 주제로, 몽트레소라는 인물이 자신을 모욕했다고 생각하는 포르투나토를 산 채로 벽 속에 가두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복수의 심리, 인간의 어두운 본성, 갇힘의 공포를 묘사한다. - 고딕 단편소설 - 어셔가의 몰락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 《어셔가의 몰락》은 화자가 친구 로데릭 어셔의 저택을 방문하여 겪는 기괴하고 공포스러운 사건들을 통해 광기, 질병, 파멸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는 고딕 호러 작품으로, 다양한 매체로 재해석되며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고딕 단편소설 - 성급한 매장
《성급한 매장》은 강직증으로 혼수상태에 빠진 화자가 생매장 공포에 시달리는 이야기를 통해 19세기 생매장 공포증과 의학 한계를 반영하고 인간 내면의 공포와 불안을 묘사한 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 소설로,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검은 고양이 (단편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검은 고양이 |
원제 | The Black Cat |
![]() | |
저자 | 에드거 앨런 포 |
언어 | 영어 |
장르 | 단편 소설, 공포 소설, 고딕 문학 |
발표 형태 | 잡지 게재 |
초출 |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새터데이 포스트』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 1843년 8월 19일호 |
삽화가 | 오브리 비어즐리 |
출판 정보 | |
출판사 | United States Saturday Post |
기타 정보 | |
주제 | 인간의 내면에 있는 광기와 악마성 |
번역가 | 아이바 코손, 우치다 로안 |
위키소스 | 검은 고양이 (포) |
2. 줄거리
사형 집행 전날, 이름을 밝히지 않은 화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동물을 매우 좋아하고 유순한 성격을 지녔으며, 결혼한 아내 역시 동물을 아껴 함께 여러 애완동물을 길렀다. 그중에서도 플루토(명계의 신 이름을 딴)라는 이름의 영리한 검은 고양이를 특히 아꼈다.
이 작품은 에드거 앨런 포 특유의 어둡고 심리적인 공포를 잘 보여주는 단편소설로, 다양한 분석의 대상이 되어 왔다. 주요 분석 지점으로는 화자의 정신 상태, 알코올 의존증이 인간성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 검은 고양이의 다층적인 상징성, 그리고 점진적인 도덕적 붕괴와 죄의식의 심화 과정 등이 있다.
그러나 화자는 점차 술에 의존하게 되면서 성격이 난폭하게 변하고, 아내와 동물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기 시작한다. 어느 날 만취 상태에서 자신을 피하는 듯한 플루토를 붙잡아 한쪽 눈을 도려내고, 얼마 후에는 죄책감과 짜증이 뒤섞인 감정 속에서 플루토를 나무에 목매달아 죽인다. 바로 그날 밤, 집에 원인 모를 큰불이 나서 화자는 모든 재산을 잃게 된다. 타다 남은 벽에는 목에 밧줄이 감긴 거대한 고양이의 형상이 새겨져 있었다. 화자는 이를 보고 놀랐지만, 불이 났을 때 누군가 고양이 시체를 창문으로 던져 넣어 생긴 흔적일 것이라고 애써 합리화한다.
죄책감을 느끼던 화자는 술집에서 우연히 플루토와 매우 닮은 또 다른 검은 고양이를 발견한다. 이 고양이 역시 한쪽 눈이 없고 몸집이 비슷했지만, 가슴에 커다란 흰 반점이 있다는 차이가 있었다. 화자는 고양이를 집으로 데려와 키우기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고양이에 대한 애정은 두려움과 혐오로 변해간다. 특히 가슴의 흰 반점이 점점 교수대 모양으로 변해가는 것을 보고 극심한 공포를 느낀다. 고양이는 끈질기게 화자를 따라다니며 그를 괴롭힌다.
생활고와 고양이로 인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던 화자는 어느 날 지하실에서 고양이를 도끼로 죽이려 한다. 이때 아내가 이를 막아서자, 격분한 화자는 도끼로 아내를 살해하고 만다. 그는 아내의 시체를 지하실 벽 속에 넣고 벽돌을 쌓아 은폐한다. 범행 후 고양이는 보이지 않았고, 화자는 잠시 평온을 느낀다.
며칠 후, 경찰이 실종된 아내를 찾기 위해 집을 수색한다. 지하실까지 조사했지만 별다른 증거를 찾지 못하자, 화자는 자신도 모르게 완전 범죄를 과시하려는 심리적 충동으로 아내의 시체가 숨겨진 벽을 두드린다. 바로 그 순간, 벽 안에서 기묘하고 섬뜩한 울음소리가 터져 나온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경찰이 벽을 허물자, 끔찍한 모습의 아내 시체와 함께 그 머리 위에 앉아 있는 두 번째 검은 고양이가 발견된다. 화자는 아내의 시체와 함께 고양이를 산 채로 벽 안에 가두었던 것이다. 결국 범행이 발각된 화자는 체포되어 사형을 기다리는 신세가 된다.
이 이야기는 1인칭 시점으로 서술되며, 화자는 이름 없는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이다.[3]
3. 분석
화자는 이야기 초반부터 자신의 정신 상태가 온전치 않음을 암시하며[29][7], 동물에 대한 과도한 애착은 오히려 인간관계에서의 불안정성과 도착적인 심리를 드러내는 요소로 해석된다.[30][8] 이러한 화자의 심리적 불안정은 알코올 의존증과 결합하여 폭력성과 비이성적인 행동으로 발현되며, 결국 파멸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31][9]
작품의 핵심 소재인 검은 고양이는 단순한 동물을 넘어 미신(마녀, 불운)과 화자의 내면 상태를 반영하는 복합적인 상징물로 기능한다.[32][10] 첫 번째 고양이 '플루토'는 저승의 신 이름을 가졌으며, 화자의 죄책감과 타락을 상징하는 존재로 변모한다.[30][8] 특히 플루토의 눈을 도려내는 행위와 이후 집에 발생한 화재는 화자의 도덕적 시야 상실과 완전한 도덕적 붕괴를 상징하는 것으로 분석된다.[30][8] 두 번째 고양이의 가슴에 나타난 교수대 형상은 화자의 죄의식을 극대화하고 파멸을 예고하는 장치이다.
또한, 포는 이 작품에서 하나의 주어에 여러 동사를 연결하고 대명사를 생략하는 디아제우그마(diazeugma)와 같은 수사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이야기의 긴장감을 높이고 화자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33][11] 《고자질하는 심장》과 마찬가지로, 《검은 고양이》는 죄책감과 광기가 어떻게 인간을 자기 파멸로 이끄는지를 탐구하는 심리 스릴러의 전형을 보여준다.[29][7]
3. 1. 심리적 불안정과 광기
이 작품의 화자는 포의 《고자질하는 심장》에 나오는 화자처럼 제정신인지 의심이 가는 인물이다.[29][7] 이야기 서두에서 화자 스스로 독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믿어주기를 바라는 것은 "미친 짓일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화자가 이미 광기로 인해 비난받았음을 암시한다.[29][7]
화자가 어린 시절부터 동물을 지극히 사랑했다고 주장하는 모습은 오히려 정신적 불안정성을 암시한다.[30][8] 동물에 대한 그의 지나친 편애는 "하찮은 우정이나 미세한 충성심을 수시로 저울질해대는 인간의 사랑"을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30] 화자는 아내와 동물에 대한 사랑을 공유하지만, 인간을 불신하는 그의 태도를 고려할 때 아내마저 자신의 애완동물처럼 여겼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0][8] 이러한 과도한 동물 사랑에 대한 성찰 부족은 그가 이후 저지르는 끔찍한 행동들의 동기를 스스로 설명하지 못할 것임을 예고한다.[30][8]
《검은 고양이》는 포의 가장 어두운 이야기 중 하나로, 술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담고 있다. 화자의 비뚤어진 행동과 인격 파괴는 알코올 중독이라는 '질병'이자 '악마'에서 비롯된 것으로 묘사된다.[31][9] 화자는 술에 취하면서 점차 포악한 성격으로 변해가며, 처음에는 다른 동물들을 학대하다가 결국 가장 아꼈던 검은 고양이 플루토에게 폭력을 행사한다.
검은 고양이는 다양한 미신을 연상시키는 소재로 사용된다. 화자의 아내는 검은 고양이가 모두 마녀가 변신한 것이라는 옛말을 언급하기도 한다.[32][10] 포 자신도 실제로 검은 고양이를 키웠으며, "검은 고양이들은 모두 마녀"라고 언급한 바 있다.[32][10] 첫 번째 고양이의 이름 '플루토'는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로마 신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이야기 초반 플루토는 중립적인 존재였으나, 화자가 알코올 중독에 빠지면서 점차 자신을 적대하는 존재, 즉 적대자로 인식된다.[30][8] 술은 화자를 무절제와 폭력으로 몰아가며, 플루토는 화자를 피하면서도 주변에 나타나 그를 괴롭히는 악의적인 마녀처럼 여겨진다.[30][8] 화자가 만취 상태에서 플루토의 한쪽 눈을 도려내는 잔혹한 행위는, 선과 악을 구분하는 자신의 도덕적 시야를 스스로 멀게 만드는 행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30][8] 이후 화자는 플루토를 나무에 매달아 죽이기까지 한다.
그날 밤 발생한 화재로 집이 소실된 사건은 화자의 "거의 완전한 도덕적 붕괴"를 상징한다.[30][8] 유일하게 남은 벽에 새겨진, 목에 올가미가 걸린 고양이의 형상은 그의 용서받을 수 없고 돌이킬 수 없는 죄를 나타낸다.[30][8]
죄책감에 시달리던 화자는 플루토와 닮은 두 번째 검은 고양이를 발견하고 데려온다. 이 고양이 역시 한쪽 눈이 없고, 가슴에는 플루토에게 없던 흰 반점이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흰 반점은 점점 교수대의 형상을 띠게 되고, 화자는 고양이를 두려워하며 혐오하게 된다. 고양이를 죽이려다 실수로 아내를 도끼로 살해하게 되고, 화자는 아내의 시체를 지하실 벽 속에 숨긴다. 며칠 후 경찰이 집을 수색할 때, 화자는 이상한 심리적 광기에 사로잡혀 아내의 시체가 숨겨진 벽을 두드린다. 벽 안에서는 기괴한 울음소리가 들려오고, 경찰이 벽을 허물자 아내의 시체와 함께 산 채로 갇혀 있던 두 번째 검은 고양이가 발견된다. 이 고양이가 결국 화자의 범행을 드러나게 만든 것이다.
수사학적 관점에서, 포는 하나의 주어에 여러 동사를 사용하고 대명사를 생략하는 디아제우그마(diazeugma) 기법을 사용하여 행동을 강조하고 이야기 전개를 빠르고 간결하게 만든다.[33][11]
3. 2. 검은 고양이의 상징성
이 작품의 화자는 포의 다른 작품 《고자질하는 심장》의 화자처럼 정신 상태가 온전한지 의심스러운 인물로 그려진다.[29][7] 이야기 서두에서 화자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믿어달라고 기대하는 것이 "미친 짓일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그가 이미 광기로 비난받았음을 암시한다.[29][7]
화자가 자신이 동물을 지나치게 사랑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일종의 정신적 불안정을 시사한다. 동물에 대한 그의 편애는 변덕스러운 인간관계에 대한 대안으로 작용한다.[30][8] 그의 아내 역시 동물을 사랑했지만, 인간을 불신하는 화자의 성향을 고려할 때 아내를 자신의 또 다른 애완동물처럼 여겼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화자가 자신의 행동 동기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동물에 대한 과도한 애착의 본질을 스스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30][8]
《검은 고양이》는 에드거 앨런 포의 가장 어두운 이야기 중 하나로, 알코올 중독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담고 있다.[31][9] 화자의 비뚤어진 행동과 인격 파괴는 알코올 중독이라는 질병이자 악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31][9]
검은 고양이는 다양한 미신과 연결되는데, 화자의 아내가 언급한 것처럼 검은 고양이가 변신한 마녀라는 믿음이 대표적이다. 포 자신도 실제로 검은 고양이를 키웠으며, "본능 대 이성 -- 검은 고양이"라는 글에서 "검은 고양이들은 모두 마녀"라고 언급한 바 있다.[32][10]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카트시(Cat-sìth)는 가슴에 흰 반점이 있는 검은 고양이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야기 속 두 번째 고양이의 모습과 일치한다.[32][10] 첫 번째 고양이 '플루토'의 이름은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로마 신의 이름에서 따왔다.[32][10]
플루토는 처음에는 중립적인 존재였으나, 화자가 알코올 중독에 빠지면서 점차 그에게 적대자이자 악의적인 마녀처럼 인식되기 시작한다.[30][8] 술은 화자를 폭력적으로 만들며, 결국 플루토의 눈을 도려내는 잔혹한 행동으로 이어진다. 이 행위는 화자가 스스로 선과 악을 구분하는 도덕적 시야를 상실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30][8]
화자의 집을 태운 화재는 그의 "거의 완전한 도덕적 붕괴"를 상징하고,[30][8] 유일하게 남은 벽에 새겨진 플루토의 형상은 화자가 저지른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드러낸다.[30][8] 두 번째 고양이 가슴의 흰 반점이 점차 교수대 형상으로 변해가는 것은 화자의 죄책감과 공포를 극대화하는 장치이다.
수사학적 관점에서, 포는 하나의 주어에 여러 동사를 연결하고 대명사를 생략하는 디아제우그마(diazeugma, 역액어법) 기법을 사용하여 행동을 강조하고 이야기 전개를 빠르고 간결하게 만드는 효과를 거둔다.[33][11]
3. 3. 도덕적 붕괴와 죄의식
이름 없는 화자는 어린 시절 유순한 성품과 동물 애호가였으나, 알코올 의존증에 빠지면서 점차 포악하게 변해간다.[31] 이러한 변화는 그의 도덕적 붕괴를 예고하며, 이야기는 그의 죄의식이 심화되는 과정을 그린다. 그의 비뚤어진 행동은 알코올 중독이라는 "질병"이자 "악마"에서 비롯된 것으로 묘사된다.[9][31]
화자의 첫 번째 심각한 도덕적 타락은 애지중지하던 검은 고양이 플루토의 눈을 도려내고 결국 나무에 매달아 죽이는 행위에서 나타난다. 이 행위 후 화자는 일시적인 후회와 죄책감을 느끼지만, 이는 곧 심술궂음이라는 비이성적인 충동으로 변질되어 플루토를 교살하기에 이른다. 플루토의 눈을 멀게 한 것은 화자 스스로 선악을 구분하는 도덕적 시야를 잃어버렸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8][30]
플루토를 죽인 날 밤, 화자의 집에 발생한 화재는 그의 "거의 완전한 도덕의 붕괴"를 상징한다.[8][30] 모든 것이 불타버린 폐허 속에서 유일하게 남은 벽에는 목에 올가미가 걸린 거대한 고양이의 형상이 새겨져 있었는데, 이는 그의 용서받을 수 없고 돌이킬 수 없는 죄를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표식이다.[8][30]
이후 화자는 죽은 플루토와 닮은 또 다른 외눈박이 검은 고양이를 발견하고 데려온다. 처음에는 죄책감을 덜고자 하는 마음이었을 수 있으나, 이 고양이의 가슴에 있는 흰 반점이 점차 교수대의 형상으로 변해가는 것을 보며 화자는 극심한 공포와 혐오감을 느낀다. 이 고양이는 끊임없이 화자에게 과거의 죄악을 상기시키며 그의 죄의식을 더욱 깊게 파고든다.
결국 고양이에 대한 증오와 공포가 극에 달한 화자는 고양이를 도끼로 죽이려다 이를 말리는 아내를 충동적으로 살해하고 만다. 이는 그의 도덕성이 완전히 파탄 났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사건이다. 아내의 시체를 지하실 벽 속에 은폐한 후, 화자는 잠시 평온을 찾는 듯했으나,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자 이상 심리가 발동한다. 그는 마치 자신의 결백함과 벽의 견고함을 과시하려는 듯 아내의 시체가 숨겨진 벽을 두드리고, 이때 벽 속에서 울려 퍼진 고양이의 기괴한 울음소리로 인해 범행이 발각된다. 이는 《고자질하는 심장》의 화자처럼, 죄책감에서 비롯된 심리적 압박과 광기가 결국 스스로를 파멸로 이끄는 과정을 보여준다.[29][7]
화자는 이야기 서두에서 자신의 경험을 믿어달라고 호소하는 것 자체가 "미친 짓"일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정신 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으며, 이미 광인으로 낙인찍혔을 가능성을 암시한다.[29][7] 그의 과도한 동물 사랑 역시 인간관계에서의 불신과 불안정함을 반영하며, 심지어 아내마저 애완동물처럼 여겼을 수 있다는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8][30] 이러한 심리적 불안정은 그가 자신의 행동 동기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작용한다.[8][30]
4. 출간사
《검은 고양이》는 1843년 8월 19일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에 처음 실렸다. 당시 이 간행물은 임시 제목인 《유나이티드 스테이트 새터데이 포스트》(United States Saturday Post)를 사용하였다.[26][4] 같은 해 《볼티모어 선》과 《펜서콜라 가제트》(Pensacola Gazette)에 재발행되었다.[27][5] 단편이 독자들에게 즉각적으로 호의적인 반응을 얻으면서, 토머스 던 잉글리시의 《회색 올챙이의 유령》(The Ghost of the Grey Tadpole) 같은 패러디 작품들도 파생되었다.[28][6]
5. 각색
(내용 없음)
5. 1. 영화
- 1932년 독일 공포 영화 ''언하임리케 게쉬히텐''(Unheimliche Geschichtende, 영어권 제목 ''Uncanny Stories'' 또는 ''The Living Dead'')은 포의 세 편의 단편 소설과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자살 클럽''을 결합하여 제작되었다.
- 유니버설 픽처스는 《검은 고양이》라는 제목으로 두 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1934년 작에는 벨라 루고시와 보리스 칼로프가 출연했고, 1941년 작에는 루고시와 바실 라스본이 출연했다. 두 영화 모두 포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검은 고양이가 등장한다는 점 외에는 원작과 거의 유사하지 않다.[6][19]
- 1934년 드웨인 에스퍼 감독의 영화 ''매니악''(Maniac영어)은 《검은 고양이》의 요소들을 사용했으며[12], 원작을 대략적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 로저 코먼 감독의 1962년 앤솔러지 영화 《테러 이야기》(Tales of Terror영어)의 두 번째 에피소드는 《검은 고양이》와 포의 다른 단편 《아몬틸라도의 술통》의 줄거리를 결합하였다.[28][6] 이 에피소드에서는 피터 로리가 주인공 몬트레소르 헤링본(Montresor Herringbone) 역을, 빈센트 프라이스가 포르투나토 루크레시(Fortunato Lucreci) 역을 맡았다. 두 이야기가 합쳐지면서 포르투나토가 몬트레소르의 아내와 불륜을 저지른 것이 살인의 동기가 된다. 이 작품은 원작에 비교적 충실하게 만들어진 각색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9]
- 1966년 해럴드 호프만(Harold Hoffman)이 감독한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영어)는 포의 소설을 느슨하게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 로빈 베이커(Robyn Baker), 새디 프렌치(Sadie French)가 주연을 맡았다.
- 1972년 세르지오 마르티노 감독의 이탈리아 공포-지알로 영화 ''너의 악은 잠긴 방, 그리고 열쇠는 나만이 가지고 있다''(Il tuo vizio è una stanza chiusa e solo io ne ho la chiaveit)는 포의 소설을 각색한 작품이다. 에드비제 페네크, 아니타 스트린드베리, 루이지 피스틸리 등이 출연했다.
- 1981년 작가이자 감독인 루치오 풀치의 영화 《검은 고양이》(Gatto neroit)는 포의 단편을 기반으로 한다.
- 1990년 앤솔러지 영화 《두 개의 사악한 눈》(Two Evil Eyes영어)은 포의 단편 《M. 발데마르 사건의 진상》과 《검은 고양이》를 다룬다. 《검은 고양이》 에피소드는 다리오 아르젠토가 각본 및 연출을 맡았으며, 하비 카이텔이 주연으로 등장하였다.
- 2007년 텔레비전 시리즈 《마스터즈 오브 호러》(Masters of Horror영어)의 두 번째 시즌 열한 번째 에피소드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영어)는 스튜어트 고든이 감독하고 제프리 콤스가 포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포 자신이 동명의 단편 소설에 영감을 준 검은 고양이와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을 겪는다는 반자전적인 방식으로 원작을 재구성한다.
- 2023년 마이크 플래너건 감독의 넷플릭스 미니시리즈 《어셔 가의 몰락》(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영어)의 네 번째 에피소드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영어)는 현대를 배경으로 《검은 고양이》를 재해석한 작품이다.

5. 2. 기타
- 1894-1895년, 오브리 비어즐리가 "검은 고양이" 삽화를 그렸다.
- 1909년경, 바이엄 쇼가 "검은 고양이" 삽화를 그렸다.
- 1910-11년, 미래주의 예술가 지노 세베리니는 포의 단편 소설을 직접 참조하여 "검은 고양이"라는 제목의 그림을 그렸다.
- 1932년 독일 공포 영화 ''언하임리케 게쉬히텐''(Unheimliche Geschichtende, 영어 제목 ''Uncanny Stories'' 또는 ''The Living Dead'')은 포의 세 단편과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자살 클럽'' 이야기를 합쳐 제작되었다.
- 유니버설 픽처스는 ''검은 고양이''라는 제목으로 두 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1934년 작에는 벨라 루고시와 보리스 칼로프가 출연했고, 1941년 작에는 루고시와 바실 라스본이 출연했다. 두 영화 모두 포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검은 고양이가 등장한다는 점 외에는 원작과 거의 관련이 없다.[6][19]
- 1934년 드웨인 에스퍼 감독의 영화 ''매니악''은 "검은 고양이"의 요소들을 차용했다.[12][19]
- "검은 고양이"는 ''옐로우재킷 코믹스'' #1 (1944)에서 7페이지 분량의 만화로 각색되었다.
- 1947년 9월 18일, 라디오 프로그램 ''미스터리 인 디 에어''에서 피터 로리가 "검은 고양이"의 주인공으로 출연했다. 이 각색에서는 고양이의 눈 대신 귀가 훼손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 로저 코먼 감독의 1962년 앤솔러지 영화 《테러 이야기》(Tales of Terror)의 두 번째 에피소드는 《검은 고양이》와 포의 다른 단편 《아몬틸라도의 술통》의 줄거리를 결합하였다.[28][6][19] 피터 로리가 주인공 몬트레소르 헤링본(Montresor Herringbone) 역을, 빈센트 프라이스가 포르투나토 루크레시(Fortunato Lucreci) 역을 맡았다. 이 버전에서는 포르투나토가 몬트레소르의 아내와 불륜을 저지른 것이 살인의 동기가 된다.
- 1966년, 해럴드 호프만(Harold Hoffman) 감독이 포의 소설을 느슨하게 기반으로 한 ''검은 고양이'' 영화를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 로빈 베이커(Robyn Baker), 새디 프렌치(Sadie French) 주연으로 제작했다.
- 1970년, 체코 작가 루드비크 바쿨리크는 그의 소설 ''Morčata'' (영어 제목 ''The Guinea Pigs'')에서 "소용돌이 속으로의 하강"과 "검은 고양이"를 많이 참조했다.
- 1972년, 세르조 마르티노 감독이 포의 소설을 이탈리아 공포-잘로 영화 ''너의 악은 잠긴 방, 그리고 열쇠는 나만이 가지고 있다''로 각색했다. 에드비제 페네크, 아니타 스트린드베리, 루이지 피스틸리 등이 출연했다.
- 1973년, 제임스 스튜어트가 BBC 라디오에서 《검은 고양이》 낭독을 녹음하였다.[34][13]
- 1981년, 작가이자 감독인 루치오 풀치의 영화 《검은 고양이》는 포의 단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19]
- 1990년 영화 《두 개의 사악한 눈》(Two Evil Eyes)은 포의 단편인 《M. 발데마르 사건의 진상》과 《검은 고양이》를 각색한 두 이야기를 선보인다. 후자는 다리오 아르젠토가 각본 및 연출을 맡았으며, 하비 카이텔이 주연으로 등장하였다.[19]
- 일본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흡혈희 미유》 제9화 "당신의 집"은 이 작품에 대한 오마주이다. (TV 애니메이션은 1997-1998년 방영)
- 1997년 발매된 포 작품 낭독 더블 CD ''광견병으로 폐쇄됨''(Closed on Account of Rabies)에는 아방가르드 공연 예술가 디아만다 갈라스가 낭독한 "검은 고양이"가 수록되었다.
- "검은 고양이"는 "아몬틸라도의 술통"과 함께 ''포, 두 번: 미스터리, 살인, 그리고 모르타르의 두 가지 이야기''(Poe, Times Two: Two Tales of Mystery, Murder, and Mortar)라는 제목의 1인극으로 각색되었다. 그렉 올리버 보딘(Greg Oliver Bodine)이 쓰고 공연했으며, 2007년 뉴욕 맨해튼 시어터 소스(Manhattan Theatre Source)에서 처음 제작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공연되었다.
- 《검은 고양이》는 2007년 텔레비전 시리즈 《마스터즈 오브 호러》의 두 번째 시즌 열한 번째 에피소드이다. 스튜어트 고든이 감독하고 제프리 콤스가 포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포 자신이 동명의 단편 소설 집필에 영감을 준 검은 고양이 관련 사건들을 겪는다는 반(半)자전적 방식으로 원작을 재해석한다.[19]
- 2011년, 하이퍼 어웨어(Hyper Aware) 극단은 뉴욕시에서 랜스 테이트(Lance Tait)가 각색한 "검은 고양이"를 포함한 여러 포 작품 각색 공연("Gutterdrunk: The Poe Revisions")을 제작했다.[15] 이 각색에서는 신뢰할 수 없는 화자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뀌었고, 한 사람을 나타내는 두 개의 분리된 캐릭터로 나뉘었다.[16]
- 2012년, 빅 피쉬 게임스는 이 이야기를 느슨하게 기반으로 한 포인트 앤 클릭 미스터리 게임 ''에드거 앨런 포의 검은 고양이: 어두운 이야기''(Edgar Allan Poe's The Black Cat: Dark Tales)를 출시했다.[14]
- 2020년 아호이 코믹스의 만화책 ''에드거 앨런 포의 스니프터 오브 블러드''(Edgar Allan Poe's Snifter of Blood) #1에는 폴 코넬과 러셀 브라운이 쓴 "검은
고양이개"(The BlackCatDog)라는 제목의 패스티시가 실렸다. 제목처럼 고양이가 개로 바뀌었으며, 개가 이야기를 서술한다. 하지만 개는 주인을 나쁘게 보지 않으며 그의 증오나 죄책감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17] - 2023년 마이크 플래너건 감독의 넷플릭스 미니시리즈 《어셔 가의 몰락》의 네 번째 에피소드 "검은 고양이"는 이 이야기를 현대를 배경으로 각색했다.[19]
6. 한국어 번역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는 일본어 번역에 대한 내용이며, 요청된 '한국어 번역' 섹션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American Literature, 8th Edition, Volume B: 1820–1865
Norton
[2]
서적
Edgar Allan Poe: his life and legacy
Charles Scribner's Sons
[3]
간행물
The Black Cat
http://www.oxfordref[...]
Oxford UP
2011-10-22
[4]
서적
Edgar Allan Poe: a critical biograph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Edgar Allan Poe – "The Black Cat"
https://www.eapoe.or[...]
2020-11-23
[6]
서적
Edgar Allan Poe, A to Z: the essential reference to his life and work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7]
서적
Edgar Allan Poe
Chelsea House Publishers
[8]
간행물
"The Black Cat": Perverseness Reconsidered
[9]
저널
Poe's Wine List
http://www.eapoe.org[...]
1972-12
[10]
서적
Edgar Allan Poe Annotated and Illustrated Entire Stories and Poems
Bottletree Books LLC
[11]
서적
Edgar Allan Poe: Rhetoric and Style
McGill-Queen's UP
[12]
웹사이트
Maniac – Cast, Reviews, Summary, and Awards
http://www.allmovie.[...]
Allmovie.com
2014-04-28
[13]
웹사이트
James Stewart Reads Edgar Allan Poe on the BBC
https://www.jimmyste[...]
2015-12-31
[14]
게임
Edgar Allan Poe's The Black Cat: Dark Tales
https://www.bigfishg[...]
Big Fish Games
[15]
웹사이트
Gutterdrunk: The Poe Revisions
https://www.timeout.[...]
2012-03-15
[16]
간행물
The Black Cat and Other Plays: Adapted from Stories by Edgar Allan Poe by Lance Tait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Raising a Glass to Tom Peyer and Edgar Allan Poe's Snifter of Blood #1
https://womenwriteab[...]
Women Writing About Comics
2020-10-05
[18]
서적
Edgar Allan Poe: a critical biograph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
서적
Edgar Allan Poe, A to Z: the essential reference to his life and work
Facts on File
[20]
서적
포집
대공사
[21]
서적
조류호어
{{NDLDC|903510}}
경성사
[22]
서적
포와 일본 그 수용의 역사
채류사
[23]
서적
정본 쇼지 아사미즈 저작집 서지편 제10권
출판 뉴스사
[24]
서적
포와 일본 그 수용의 역사
채류사
[25]
서적
Edgar Allan Poe: his life and legacy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26]
서적
Edgar Allan Poe: a critical biography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Edgar Allan Poe - "The Black Cat"
https://www.eapoe.or[...]
The Edgar Allan Poe Society of Baltimore
2020-11-23
[28]
서적
Edgar Allan Poe, A to Z: the essential reference to his life and work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9]
서적
Edgar Allan Poe
https://archive.org/[...]
Chelsea House Publishers
[30]
간행물
"The Black Cat": Perverseness Reconsidered
[31]
저널
Poe's Wine List
http://www.eapoe.org[...]
1972-12
[32]
서적
Edgar Allan Poe Annotated and Illustrated Entire Stories and Poems
Bottletree Books LLC
[33]
서적
Edgar Allan Poe: Rhetoric and Style
McGill-Queen's UP
[34]
웹사이트
http://www.jimmyst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