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벨 바르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벨 바르칼은 수단에 위치한 고대 유적지로, 이집트 제국 시대부터 쿠시 왕국, 메로에 왕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명의 중심지였다. 기원전 15세기 투트모세 3세에 의해 이집트의 최남단으로 정해졌으며, 이후 나파타를 수도로 하는 쿠시 왕국의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게벨 바르칼에는 아문 신전을 비롯한 여러 사원과 피라미드가 건설되었으며, 쿠시 왕국의 왕실 묘지로도 사용되었다. 2003년에는 주변 유적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현재 게벨 바르칼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세계유산 - 메로에
    메로에는 기원전 800년경부터 서기 350년경까지 존속했던 쿠시 왕국의 남부 수도였으며, 철 생산과 도자기 공예가 발달하고 홍해 무역로에 접근하여 번영했으나, 350년 악숨 왕국에 의해 멸망하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수단의 유적 - 제벨 사하바
    제벨 사하바는 수단 지역에서 발견된 후기 구석기 시대 묘지 유적으로, 1만 년 전 나일 계곡 사회 집단 간 폭력적인 분쟁의 흔적을 보여주는 유골들이 발굴되어 초기 인류의 폭력성과 사회 구조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수단의 유적 - 메로에
    메로에는 기원전 800년경부터 서기 350년경까지 존속했던 쿠시 왕국의 남부 수도였으며, 철 생산과 도자기 공예가 발달하고 홍해 무역로에 접근하여 번영했으나, 350년 악숨 왕국에 의해 멸망하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게벨 바르칼
개요
명칭제벨 바르칼
원어 명칭(아랍어)
다른 이름게벨 바르칼
위치카리마, 북부 주, 수단
지역누비아
유형성역
지리 정보
높이104m (작은 메사)
역사
유적 정보
세계유산 정보
명칭게벨 바르칼과 나파타 지역의 유적군
유형문화유산
지정 기준i, ii, iii, iv, vi
지정 연도2003년 (제27차 세계유산위원회)
등재 번호1073
지역아랍 국가
이미지
제벨 바르칼은 작은 메사 (높이 104m)이다.
제벨 바르칼
참고 자료

2. 역사

기원전 1450년경, 파라오 투트모세 3세가 이집트 영토를 확장하면서 게벨 바르칼을 최남단으로 정했고, 이곳에 나파타를 세웠다. 약 300년 후, 독립 왕국인 쿠시 왕국이 나파타를 수도로 삼았다.[1]

2. 1. 초기 역사

게벨 바르칼의 초기 역사는 케르마 문화(쿠시) 시대의 토기 조각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450년경, 이집트 파라오 투트모세 3세는 게벨 바르칼을 정복하고 이집트 제국의 최남단 경계로 삼았다. 이집트인들은 이곳에 요새화된 정착지를 건설하고 나파타라고 불렀으며, 아문 신앙의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2. 2. 쿠시 왕국과 나파타 시대

기원전 1450년경 투트모세 3세가 이집트 영토를 확장하면서 게벨 바르칼을 최남단으로 정했고, 이곳에 나파타가 세워졌다. 약 300년 후, 독립 왕국인 쿠시 왕국이 나파타를 수도로 삼았다.[1]

120px


게벨 바르칼은 기원전 800년 이후 나파타 왕조로 권력을 되찾은 쿠시 왕국의 수도였다. 카슈타, 피예(피안키), 타하르카 등 이집트를 정복하고 통치한 쿠시 왕들은 이 지역에 기념비적인 건축물을 건설, 개조, 확장했다.[1]

기원전 7세기 중반 이집트에 대한 아시리아의 정복으로 쿠시인들이 쫓겨난 후, 게벨 바르칼과 메로에는 쿠시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심지가 되었다. 게벨 바르칼의 궁전과 신전은 기원전 7세기에서 3세기 초까지 계속 개조되었다. 이 시기 쿠시 왕과 여왕의 왕실 피라미드 무덤 대부분은 게벨 바르칼 북동쪽 9km 떨어진 누리에 건설되었다.[1]

기원전 270년, 쿠시 왕실 무덤이 메로에로 옮겨지면서 쿠시 왕국의 메로에 시대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게벨 바르칼은 메로에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도시였다. 나타카마니 왕은 새로운 궁전을 건설하고, 새로운 신전을 짓고, 오래된 신전을 개조했다. 기원전 1세기에서 서기 1세기 동안,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8개의 왕실 피라미드 무덤이 메로에가 아닌 게벨 바르칼에 건설되었다.[1]

2. 3. 중세 (기독교) 시대

쿠시 왕국이 서기 4세기에 붕괴된 이후에도, 게벨 바르칼은 누비아의 중세(기독교) 시대에도 계속 점령되었으며, 건축 유적, 무덤 및 매장 비문으로 증명된다.[1]

3. 유적

유적 계획


게벨 바르칼 주변의 유적은 오랫동안 잊혀져 지역 주민들이 성지로 여기는 정도로만 유지되었다. 1820년대 유럽 탐험가들이 이곳을 발견했으며, 1862년에는 이집트 장교가 이집트 제 3중간기의 비문 5개를 회수하여 카이로 박물관으로 옮겼다. 1916년이 되어서야 하버드 대학보스턴 미술관의 주도로 조지 라이스너가 이끄는 고고학 발굴이 이루어졌다.[15] 이후 1970년대와 1980년대에도 발굴이 계속되었다.

3. 1. 개요

게벨 바르칼 주변에는 1,500년 이상에 걸쳐 건설, 개조, 확장된 최소 13개의 사원과 3개의 궁전 유적이 있다. 1820년대부터 유럽 탐험가들에 의해 처음으로 묘사되었으며, 1862년에 이집트의 장교가 이집트 제3중간기의 비문 5개를 회수하여 카이로 박물관으로 옮겼다.[2] 1916년부터 조지 라이스너의 지휘 아래 하버드 대학교보스턴 미술관의 공동 탐험대에 의해 본격적인 고고학 발굴이 시작되었다.[2] 1970년대부터는 세르지오 도나도니의 지휘 하에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팀에 의해 탐사가 계속되었고, 1980년대에는 티모시 켄달의 지휘 하에 보스턴 박물관 팀이 합류했다.

3. 2. 주요 유적

게벨 바르칼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유적이 있다.

  • 아문 신전(B500): 오늘날에도 지역 주민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2]
  • 무트 신전: 벽화 보존 상태가 매우 좋다.[2]
  • B700 신전: 아틀라네르사가 건설하고 세카마니스켄이 장식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파괴되었다.[3]
  • 피라미드: 메로에 왕국 시대에 왕실 묘지로 사용되었다.[16] 기원전 3세기부터 왕실 매장이 시작되었다.[7]


Bar.왕/여왕비고
1기원전 1세기 중반
2테리쿠아스 왕기원전 29–25년경
4아마니레나스 여왕기원전 1세기
6나위데마크 여왕[8] 기원전 1세기
7사브라카마니 왕기원전 3세기
9서기 2세기 초
11악티사네스 왕[8] 기원전 3세기
14아리아마니 왕[8] 기원전 3세기
15카슈[...]메르지 이멘 왕[8] 기원전 3세기


3. 2. 1. 아문 신전 (B500)

게벨 바르칼의 아문 신전 유적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처음 건설되었지만 피예에 의해 크게 증축된 게벨 바르칼의 아문 신전.


아문 신전은 오늘날에도 지역 주민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2] 2003년에는 주변의 나파타 지방 유적군과 함께 "'''게벨 바르칼과 나파타 지방의 유적군'''"으로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아문 신전


신전 평면도

3. 2. 2. 무트 신전

무트 신전 벽화는 보존 상태가 매우 좋다.[2]

사자 머리 신 아페데마크와 파라오 타하르카(오른쪽)가 새겨진 게벨 바르칼 무트 신전 벽화.


시스트럼을 흔드는 타하르카와 타카하테나무 여왕이 새겨진 게벨 바르칼 무트 신전 벽화.

3. 2. 3. B700 신전

B700 신전은 아틀라네르사가 건설하고 세카마니스켄이 장식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파괴되었다.[3] 이 신전은 특정 종교 행사 때 인근 B500 신전에서 아문의 신성한 배를 받는 의식에 사용되었고, 기원전 7세기 중반 나파타 시대 초기 왕들의 대관식에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이 신전은 세카마니스켄에 의해 장식되었는데, 그는 신전 벽에 적들을 몽둥이로 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3] 신전의 상형문자는 세카마니스켄을 왕으로 선택하는 데 있어 아문 신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3. 2. 4. 피라미드

게벨 바르칼의 피라미드


게벨 바르칼은 메로에 왕국 시대에 왕실 묘지로 사용되었다.[16] 기원전 3세기부터 왕실 매장이 시작되었다.[7]

Bar.왕/여왕비고
1기원전 1세기 중반
2테리쿠아스 왕기원전 29–25년경
4아마니레나스 여왕기원전 1세기
6나위데마크 여왕[8] 기원전 1세기
7사브라카마니 왕기원전 3세기
9서기 2세기 초
11악티사네스 왕[8] 기원전 3세기
14아리아마니 왕[8] 기원전 3세기
15카슈[...]메르지 이멘 왕[8] 기원전 3세기


4. 세계유산

2003년에 게벨 바르칼은 주변의 나파타 지역 유적군과 함께 '''게벨 바르칼과 나파타 지방의 유적군'''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게벨 바르칼에 있는 아문 신전과 같은 대신전은 현지인들에게 신성시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10]

4. 1. 등재 대상

유적 이름등록 면적완충 지역설명
게벨 바르칼(Gebel Barkal, ID1073-001)121ha40ha
엘 쿠루(El-Kurru, ID1073-002)4.5ha6.5ha쿠시 왕국 나파타 시대의 묘지 유적, 34기의 묘 (왕족 묘 포함), 라이스너 발굴
누리(Nuri, ID1073-003)17ha없음라이스너가 발굴한 나파타 시대의 묘 82기(누비아의 피라미드)
사남(Sanam, ID1073-004)20ha없음메로에 시내에 있는 묘지 유적, "보물"이라고 불리는 건축 의도가 해명되지 않은 거대한 건축물
즈마(Zuma, ID1073-005)20ha없음메로에 문화 말기(4세기) 이후의 묘지 유적 (발굴 불충분)


5. 박물관 소장 유물

참조

[1]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8-01-01
[2] 간행물 "Historical Inscriptions from Gebel Barkal" http://quod.lib.umic[...] Sudan Notes and Records 1921
[3] 서적 Sudan: Ancient Treasures: an Exhibition of Recent Discoveries from the Sudan National Museum https://books.google[...] British Museum Press 2004
[4] 서적 Jebel Barkal Guide https://web.archive.[...] 2020-06-25
[5] 서적 Jebel Barkal Guide https://web.archive.[...] 2020-06-25
[6] 서적 Jebel Barkal Guide https://web.archive.[...] 2020-06-25
[7] 문서 The kingdom of Kush: handbook of the Napatan-Meroitic Civilization
[8] 서적 The Kingdom of Kush: The Napatan and Meroitic Empires Markus Weiner Publishers
[9] 서적 A Visitor's Guide to The Jebel Barkal Temples
[10] 웹사이트 Statue of King Aspelta https://collections.[...]
[11] 학술지 A Visitor's Guide to The Jebel Barkal Temples https://web.archive.[...] Sudan. Nubian Archeological Development Organization (Qatar-Sudan) 2022-07-31
[12] 학술지 アラビア語「発音」教育に寄せて
[13] 웹사이트 ゲベルバルカルとは https://kotobank.jp/[...] 2022-12-22
[14] 문서 The 25th Dynasty Nubian king Piye later greatly enlarged the New Kingdom Temple of Amun in this city and erected his Year 20 Victory stela within it.
[15] 간행물 "Historical Inscriptions from Gebel Barkal" http://quod.lib.umic[...] Sudan Notes and Records 1921
[16] 문서 The kingdom of Kush: handbook of the Napatan-Meroitic Civiliz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