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로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로에는 기원전 800년경부터 서기 350년경까지 존속했던 쿠시 왕국의 남부 수도였다. 메로에는 철광석과 제철을 위한 경재가 풍부하고 홍해로 가는 무역로에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여 번영했으며, 철 생산과 도자기 공예가 발달했다. 기원전 591년경 수도를 메로에로 옮긴 이후 메로에 왕국 시대를 거쳐, 로마와 교류하기도 했으나 350년 악숨 왕국에 의해 멸망했다. 메로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1세기에는 유적 발굴과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세계유산 - 게벨 바르칼
    게벨 바르칼은 수단 북부의 사암 산으로, 고대 도시 나파타와 쿠시 왕국의 종교 중심지로서 신전, 피라미드, 궁전 등의 유적을 포함하며, 200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수단의 유적 - 제벨 사하바
    제벨 사하바는 수단 지역에서 발견된 후기 구석기 시대 묘지 유적으로, 1만 년 전 나일 계곡 사회 집단 간 폭력적인 분쟁의 흔적을 보여주는 유골들이 발굴되어 초기 인류의 폭력성과 사회 구조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수단의 유적 - 게벨 바르칼
    게벨 바르칼은 수단 북부의 사암 산으로, 고대 도시 나파타와 쿠시 왕국의 종교 중심지로서 신전, 피라미드, 궁전 등의 유적을 포함하며, 200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메로에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메로에, 쿠시 통치자들의 피라미드
기원전 300년부터 서기 350년까지 쿠시 통치자들의 피라미드
공식 명칭메로에 섬의 고고 유적군
로마자 표기Meroe
다른 이름Medewi (메데위)
Meruwah (메루와)
Meruwi (메루위)
Μερόη (메로에)
البجراوية (알-부즈라위야)
위치수단 나일 강 (주)
좌표16°56′00″N 33°43′35″E
역사적 정보
지역쿠시 왕국
유형정착지
건설알 수 없음
폐기알 수 없음
시대알 수 없음
문화알 수 없음
점유자알 수 없음
세계 유산 지정 정보
공식 명칭메로에 섬의 고고 유적군
지정 연도2011년 (제35회 세계 유산 위원회)
지정 번호1336
지정 기준ii, iii, vi, v
유형문화
지역아프리카
추가 정보
발굴알 수 없음
고고학자알 수 없음
상태알 수 없음
소유알 수 없음
관리알 수 없음
공개 여부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역사

기원전 200년경 근동, 메로에 왕국과 주변국을 보여준다.


메로에는 쿠시 왕국의 남부 수도였다. 쿠시 왕국은 기원전 800년경 ~ 서기 350년경까지 존속했다. 초기에는 수도가 북쪽의 나파타에 있었다.[7] 아스펠타 왕은 수도를 메로에로 옮겼는데, 이는 나파타보다 훨씬 남쪽으로, 아마도 기원전 591년경으로 추정되며,[8] 이는 이집트 파라오 프삼티크 2세에 의해 나파타가 약탈된 직후였다.

마틴 메레디스는 쿠시 통치자들이 메로에를 제5급류와 제6급류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선택한 이유는 여름 강우 벨트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고, 철광석과 제철을 위한 경재가 풍부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또한 이 지역은 홍해로 가는 무역로에 접근할 수 있었다. 메로에시는 나일강 중부에 위치해 있었는데, 나일강 계곡의 연간 범람과 니제르강과 같은 주요 강 시스템과의 연결이 중요했다. 이는 메로에 왕국의 특징인 도자기와 철의 생산을 지원하여 이 지역 사람들의 권력 상승에 기여했다.[5] 부분적으로 해독된 메로에 문자 텍스트에 따르면, 메로에 문자 "d"는 외국어로 "r"로 표기되었으며,[9] 이 도시의 고유한 이름은 ''메데위''였다.

피라미드 배치


=== 쿠시 왕국 시대 ===

기원전 10세기경부터 현재 수단의 나파타(게벨 바르칼) 주변에서 이집트의 영향을 받은 쿠시 왕국이 번영했다.[10] 나파타와 메로에는 왕들이 통치했다. 정부 소재지와 왕궁은 메로에에 있었고, 아문(Amun)의 주요 신전은 나파타에 있었다.[10] 왕들과 많은 여왕들이 누리에 묻혔으며, 일부 여왕들은 서부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다.[10] 가장 초기의 왕은 아날마예(기원전 542–538년)였으며, 첫 번째 시기의 마지막 왕은 나스타센(기원전 335–315년)이었다.[10]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곳을 "다른 에티오피아인들의 어머니 도시라고 전해지는 거대한 도시"라고 묘사했다.[11][12]

발굴 결과 서부 묘지라고 불리는 정착지 근처에서 나파타 시대(기원전 800년경 – 기원전 280년경)의 중요하고 높은 계급의 쿠시 왕족 무덤의 증거가 발견되었다.[13] 도시의 중요성은 메로에 시대의 시작부터 점차 증가했으며, 특히 왕실 매장지가 나파타(게벨 바르칼)에서 메로에로 옮겨진 아라카마니(기원전 280년경)의 통치 기간부터 두드러졌다.[13] 왕실 매장지는 메로에의 피라미드를 형성했으며, 기원전 300년경부터 서기 350년경까지 메로에의 왕과 여왕의 유해를 포함하고 있다.[13]

=== 메로에 왕국 시대 ===

기원전 591년경[38], 아스펠타 왕은 수도를 메로에로 옮겼다. 쿠시 왕국이 메로에로 천도한 이후를 "메로에 왕국"이라고 부른다. 광물 자원과 농산물이 풍부하고, 아비시니아(에티오피아)에서 인도양으로 통하는 교역로의 요충지로서 번영했다. 아시리아에서 도입한 제철 기술이 고도로 발달하여 아프리카 대륙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나일강과 아트바라강의 합류점에 가까운 메로에는 철광석과 수목이 풍부하여, 쿠시인 스스로도 제철을 하여 아프리카 흑인의 역사상 최초의 철기 제조 중심지가 되었다.

메로에에는 소형 피라미드가 다수 건설되었고, 상형 문자를 기초로 한 것으로 보이는 메로에 문자가 발명되는 등, 쿠시 왕국과 마찬가지로 이집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에르가메네스de(기원전 248~220) 왕 시대부터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정부 소재지와 왕궁은 메로에에 있었다. 왕들과 많은 여왕들이 누리에 묻혔으며, 일부 여왕들은 서부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다.[10] 가장 초기의 왕은 아날마예(기원전 542–538년)였으며, 첫 번째 시기의 마지막 왕은 나스타센(기원전 335–315년)이었다.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곳을 "다른 에티오피아인들의 어머니 도시라고 전해지는 거대한 도시"라고 묘사했다.[11][12]

발굴 결과 서부 묘지라고 불리는 정착지 근처에서 나파타 시대(기원전 800년경 – 기원전 280년경)의 중요하고 높은 계급의 쿠시 왕족 무덤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도시의 중요성은 메로에 시대의 시작부터 점차 증가했으며, 특히 왕실 매장지가 나파타(게벨 바르칼)에서 메로에로 옮겨진 아라카마니(기원전 280년경)의 통치 기간부터 두드러졌다. 왕실 매장지는 메로에의 피라미드를 형성했으며, 기원전 300년경부터 서기 350년경까지 메로에의 왕과 여왕의 유해를 포함하고 있다.[13]

메로에의 알려지지 않은 왕인 "궁수 왕", 기원전 3세기. 수단 국립 박물관


정부 소재지와 왕궁은 메로에에 있다. 왕들과 많은 여왕들이 남부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다. 나파타는 아문 신전에 여전히 중요한 곳이었다.[10] 이 시기의 첫 번째 왕은 악티사네스 (기원전 3세기 초)였고, 이 시기의 마지막 왕은 사브라카마니 (기원전 3세기 전반)였다.

정부 청사와 왕궁은 메로에에 위치해 있었다. 왕들은 북쪽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고, 여왕들은 서쪽 묘지에 묻혔다. 나파타는 아문 신전을 위해 계속 중요한 역할을 했다. 메로에는 번성했고 많은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0] 이 시대의 첫 번째 왕은 아라카마니 (기원전 270–260년)였으며, 마지막 통치자는 아마니토레 여왕 (기원후 1세기 중/후반)이었다.

이 시대 전후의 메로에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말 모양 손잡이가 달린 램프, 메로에의 아마니카타샨 여왕의 피라미드에서 출토 (62-85년경). 보스턴 미술관


메로에에서 출토된 목걸이. 50–320 AD. 보스턴 미술관.


왕들은 북쪽 묘지인 메로에에, 여왕들은 서쪽 묘지에 매장되었다. 서기 350년 메로에는 악숨에 의해 파괴되었다.[10] 네 번째 기간의 첫 번째 왕은 쇼르카로르 (서기 1세기)였고, 마지막 통치자들은 서기 4세기의 예세보케아마니 왕 또는 탈라키다마니 왕이었을 수 있다. 메로에가 알로디아 왕국에 점령되기 전까지 악숨의 영향력은 짧게 유지되었다.

악숨 왕국의 이름 없는 통치자의 게에즈어 비문이 에자나로 추정되는 메로에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그리스어로 된 비문의 설명에 따르면 그는 "악숨과 히미아르의 왕"이었다. 즉, 그는 대략 서기 330년경에 통치했을 가능성이 높다.[17] 그리스어로 된 또 다른 비문은 에자나의 통치 주장을 다음과 같이 보여준다:[18][19][20]

일부 학자들은 이 비문을 악숨인들이 쿠시 왕국을 파괴했다는 증거로 해석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고고학적 증거가 서기 300년경 메로에의 경제적, 정치적 쇠퇴를 가리킨다고 지적한다.[22]

=== 로마와의 관계 ===

로마의 이집트 정복은 메로에의 로마 국경 너머에서의 국경 분쟁과 침략으로 이어졌다. 기원전 23년, 누비아의 남부 이집트 공격에 대응하여 이집트의 로마 총독 푸블리우스 페트로니우스는 메로에의 습격을 끝내기 위해 누비아를 침공했다. 그는 북부 누비아를 약탈하고 나파타를 약탈한 후(기원전 22년) 본국으로 돌아갔다.[14] 보복으로 누비아인들은 이집트 하부 국경을 넘어 아스완의 나일강 첫 번째 급류 부근 이집트 도시에서 많은 조각상을 약탈했다. 로마군은 나중에 조각상 일부를 되찾았고, 아우구스투스와 아마니레나스 치하의 로마와 메로에 간에 기원전 22년에 체결된 평화 조약에 따라 나머지는 반환되었다.[14] 약탈된 머리 하나는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조각상에서 가져온 것으로 메로에의 사원 계단 아래에 묻혔으며, 현재는 대영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4]

칸다케 아마니토레의 부조, 서기 50년경


로마와 메로에 간의 다음 기록된 접촉은 서기 61년 가을이었다. 황제 네로는 호민관과 두 명의 백부장 지휘 아래 친위대 병력을 이 나라로 파견하여 메로에시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호위를 받았다. 그들은 그 후 백나일강을 따라 올라가 수드의 습지를 만났다. 이것은 아프리카에 대한 로마의 침투 한계를 표시했다.[15]

페트로니우스의 징벌 원정 이후 시대는 메로에 유적지에서 풍부한 무역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 멸망 ===

350년경, 아비시니아 고원(에티오피아 고원)에서 흥기한 악숨 왕국의 침공을 받아 멸망했다. 구 수도인 나파타가 멸망한 후 왕의 유일한 거주지가 되었다. 도시의 모습은 지금도 메로에 유적지로 남아 있으며, 제방, 궁전, 아몬 신전 터 등이 보인다. 악숨 왕국의 에자나 왕은 비문을 통해 자신의 업적을 과시하며, 메로에 정복을 주장했다.

2. 1. 쿠시 왕국 시대

기원전 10세기경부터 현재 수단의 나파타(게벨 바르칼) 주변에서 이집트의 영향을 받은 쿠시 왕국이 번영했다.[10] 나파타와 메로에는 왕들이 통치했다. 정부 소재지와 왕궁은 메로에에 있었고, 아문(Amun)의 주요 신전은 나파타에 있었다.[10] 왕들과 많은 여왕들이 누리에 묻혔으며, 일부 여왕들은 서부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다.[10] 가장 초기의 왕은 아날마예(Analmaye, 기원전 542–538년)였으며, 첫 번째 시기의 마지막 왕은 나스타센(Nastasen, 기원전 335–315년)이었다.[10]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곳을 "다른 에티오피아인들의 어머니 도시라고 전해지는 거대한 도시"라고 묘사했다.[11][12]

발굴 결과 서부 묘지라고 불리는 정착지 근처에서 나파타 시대(기원전 800년경 – 기원전 280년경)의 중요하고 높은 계급의 쿠시 왕족 무덤의 증거가 발견되었다.[13] 도시의 중요성은 메로에 시대의 시작부터 점차 증가했으며, 특히 왕실 매장지가 나파타(게벨 바르칼)에서 메로에로 옮겨진 아라카마니(Arakamani, 기원전 280년경)의 통치 기간부터 두드러졌다.[13] 왕실 매장지는 메로에의 피라미드를 형성했으며, 기원전 300년경부터 서기 350년경까지 메로에의 왕과 여왕의 유해를 포함하고 있다.[13]

2. 2. 메로에 왕국 시대

기원전 591년경[38], 아스펠타 왕은 수도를 메로에로 옮겼다. 쿠시 왕국이 메로에로 천도한 이후를 "메로에 왕국"이라고 부른다. 광물 자원과 농산물이 풍부하고, 아비시니아(에티오피아)에서 인도양으로 통하는 교역로의 요충지로서 번영했다. 아시리아에서 도입한 제철 기술이 고도로 발달하여 아프리카 대륙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나일강과 아트바라강의 합류점에 가까운 메로에는 철광석과 수목이 풍부하여, 쿠시인 스스로도 제철을 하여 아프리카 흑인의 역사상 최초의 철기 제조 중심지가 되었다.

메로에에는 소형 피라미드가 다수 건설되었고, 상형 문자를 기초로 한 것으로 보이는 메로에 문자가 발명되는 등, 쿠시 왕국과 마찬가지로 이집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에르가메네스de(기원전 248~220) 왕 시대부터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정부 소재지와 왕궁은 메로에에 있었다. 왕들과 많은 여왕들이 누리에 묻혔으며, 일부 여왕들은 서부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다.[10] 가장 초기의 왕은 아날마예(기원전 542–538년)였으며, 첫 번째 시기의 마지막 왕은 나스타센(기원전 335–315년)이었다.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곳을 "다른 에티오피아인들의 어머니 도시라고 전해지는 거대한 도시"라고 묘사했다.[11][12]

발굴 결과 서부 묘지라고 불리는 정착지 근처에서 나파타 시대(기원전 800년경 – 기원전 280년경)의 중요하고 높은 계급의 쿠시 왕족 무덤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도시의 중요성은 메로에 시대의 시작부터 점차 증가했으며, 특히 왕실 매장지가 나파타(게벨 바르칼)에서 메로에로 옮겨진 아라카마니(기원전 280년경)의 통치 기간부터 두드러졌다. 왕실 매장지는 메로에의 피라미드를 형성했으며, 기원전 300년경부터 서기 350년경까지 메로에의 왕과 여왕의 유해를 포함하고 있다.[13]

정부 소재지와 왕궁은 메로에에 있다. 왕들과 많은 여왕들이 남부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다. 나파타는 아문 신전에 여전히 중요한 곳이었다.[10] 이 시기의 첫 번째 왕은 악티사네스 (기원전 3세기 초)였고, 이 시기의 마지막 왕은 사브라카마니 (기원전 3세기 전반)였다.

정부 청사와 왕궁은 메로에에 위치해 있었다. 왕들은 북쪽 묘지인 메로에에 묻혔고, 여왕들은 서쪽 묘지에 묻혔다. 나파타는 아문 신전을 위해 계속 중요한 역할을 했다. 메로에는 번성했고 많은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0] 이 시대의 첫 번째 왕은 아라카마니 (기원전 270–260년)였으며, 마지막 통치자는 아마니토레 여왕 (기원후 1세기 중/후반)이었다.

이 시대 전후의 메로에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왕들은 북쪽 묘지인 메로에에, 여왕들은 서쪽 묘지에 매장되었다. 서기 350년 메로에는 악숨에 의해 파괴되었다.[10] 네 번째 기간의 첫 번째 왕은 쇼르카로르 (서기 1세기)였고, 마지막 통치자들은 서기 4세기의 예세보케아마니 왕 또는 탈라키다마니 왕이었을 수 있다. 메로에가 알로디아 왕국에 점령되기 전까지 악숨의 영향력은 짧게 유지되었다.

악숨 왕국의 이름 없는 통치자의 게에즈어 비문이 에자나로 추정되는 메로에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그리스어로 된 비문의 설명에 따르면 그는 "악숨과 히미아르의 왕"이었다. 즉, 그는 대략 서기 330년경에 통치했을 가능성이 높다.[17] 그리스어로 된 또 다른 비문은 에자나의 통치 주장을 다음과 같이 보여준다:[18][19][20]

일부 학자들은 이 비문을 악숨인들이 쿠시 왕국을 파괴했다는 증거로 해석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고고학적 증거가 서기 300년경 메로에의 경제적, 정치적 쇠퇴를 가리킨다고 지적한다.[22]

2. 2. 1. 로마와의 관계

로마의 이집트 정복은 메로에의 로마 국경 너머에서의 국경 분쟁과 침략으로 이어졌다. 기원전 23년, 누비아의 남부 이집트 공격에 대응하여 이집트의 로마 총독 푸블리우스 페트로니우스는 메로에의 습격을 끝내기 위해 누비아를 침공했다. 그는 북부 누비아를 약탈하고 나파타를 약탈한 후(기원전 22년) 본국으로 돌아갔다.[14] 보복으로 누비아인들은 이집트 하부 국경을 넘어 아스완의 나일강 첫 번째 급류 부근 이집트 도시에서 많은 조각상을 약탈했다. 로마군은 나중에 조각상 일부를 되찾았고, 아우구스투스와 아마니레나스 치하의 로마와 메로에 간에 기원전 22년에 체결된 평화 조약에 따라 나머지는 반환되었다.[14] 약탈된 머리 하나는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조각상에서 가져온 것으로 메로에의 사원 계단 아래에 묻혔으며, 현재는 대영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4]

로마와 메로에 간의 다음 기록된 접촉은 서기 61년 가을이었다. 황제 네로는 호민관과 두 명의 백부장 지휘 아래 친위대 병력을 이 나라로 파견하여 메로에시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호위를 받았다. 그들은 그 후 백나일강을 따라 올라가 수드의 습지를 만났다. 이것은 아프리카에 대한 로마의 침투 한계를 표시했다.[15]

페트로니우스의 징벌 원정 이후 시대는 메로에 유적지에서 풍부한 무역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2. 3. 멸망

350년경, 아비시니아 고원(에티오피아 고원)에서 흥기한 악숨 왕국의 침공을 받아 멸망했다. 구 수도인 나파타가 멸망한 후 왕의 유일한 거주지가 되었다. 도시의 모습은 지금도 메로에 유적지로 남아 있으며, 제방, 궁전, 아몬 신전 터 등이 보인다. 악숨 왕국의 에자나 왕은 비문을 통해 자신의 업적을 과시하며, 메로에 정복을 주장했다.

3. 문명

메로에는 강력한 산업을 중심으로 부를 축적한 번성한 왕국의 중심지였다. 금속 가공은 메로에에서 블루머리(bloomery, 제련로)와 고로를 통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23] 아치볼드 세이스(Archibald Sayce)는 철의 광대한 생산과 무역 때문에 메로에를 "아프리카의 버밍엄(Birmingham, England)"이라고 불렀다고 한다.(현대 학문에서는 논쟁의 대상이 되는 주장)[24]

메로에 제국 내의 생산에 대한 중앙 집중식 통제와 특정 공예품 및 제조업의 유통은 정치적으로 중요했을 수 있으며, 그들의 철강 산업과 도자기 공예는 가장 큰 주목을 받았다. 메로에 정착지는 사바나 지향으로, 영구적이고 덜 영구적인 농업 정착지의 변화는 강우지 및 사바나 지향의 생계 형태의 이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5]

당시 철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금속 중 하나였으며, 메로에 금속 가공 기술자들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메로에는 상아, 노예, 희귀 가죽, 타조 깃털, 구리, 흑단을 거래했다.[25] 메로에는 또한 직물보석을 수출했다. 그들의 직물은 을 기반으로 했으며, 이 제품에 대한 작업은 기원전 400년경 누비아에서 최고의 경지에 도달했다. 또한, 누비아이 매우 풍부했다. 이집트의 금에 대한 단어인 ''누브''(nub)가 누비아의 이름의 기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아프리카 남부에서 온 "이국적인" 동물들의 무역은 그들의 경제의 또 다른 특징이었다.

철 무역 외에도 도자기는 메로에 왕국에서 널리 퍼지고 중요한 산업이었다. 정교하게 장식된 고급 상품의 생산은 나일강 중류 지역에서 강력한 전통이었다. 이러한 생산은 상당한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장례 의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메로에 제국으로 수입된 상품의 오랜 역사와 그 이후의 유통은 메로에 국가의 사회적, 정치적 작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생산의 주요 결정 요인은 토지와 관련된 정치적 권력보다는 노동력의 가용성에 기인했다. 권력은 영토 통제보다는 사람 통제와 관련이 있었다.[5]

사키아(sakia)는 관개와 함께 작물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물을 이동하는 데 사용되었다.[26]

절정에 달했을 때, 메로에의 통치자들은 남북으로 나일강 계곡을 직선 거리로 1000 km 이상 통제했다.[27]

메로에의 왕은 권위적인 통치자였으며 권한을 여왕 어머니, 즉 칸다케와 공유했다. 그러나 여왕 어머니의 역할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행정부는 재무관, 인장 보유자, 기록 보관소 책임자, 수석 서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메로에 사람들은 세크메트(Sekhmet) (또는 지역에 따라 바스테트(Bast (mythology))의 사자 아들인 아페데마크(Apedemak)와 같은 남부 신들을 섬겼지만, 그들이 가져온 고대 이집트 신들을 계속 숭배했다. 이러한 신들 중에는 아문, 테프누트, 호루스, 이시스, 토트 그리고 사티스(Satet)가 있었지만, 덜 숭배되었다.

다른 나일강 계곡 국가들과의 대외 무역의 붕괴는 서기 3세기와 4세기에 왕권의 쇠퇴와 메로에 국가의 해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질 수 있다.[5]

3. 1. 언어

메로에어는 메로에와 수단에서 메로에 시대(기원전 300년부터 증명됨)에 사용되었으며, 서기 400년경 사멸했다.[28] 이 언어는 메로에 문자로 기록되었는데, 필기구로 쓰여 일반 기록 보존에 사용된 메로에 필기체와, 돌에 새겨지거나 왕실 또는 종교 문서에 사용된 메로에 상형 문자의 두 가지 형태가 있었다. 이중 언어 텍스트가 부족하여 메로에어는 잘 이해되지 않는다. 메로에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비문은 기원전 180년에서 170년 사이에 쓰여졌으며, 샤나크다케테 여왕의 사원에서 발견되었다. 메로에 필기체는 가로로 쓰여졌으며 모든 셈어 표기법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다.[28]

기원전 3세기경, 23개의 문자로 구성된 새로운 토착 알파벳인 메로에 문자가 이집트 문자를 대체했다.[29] 메로에 문자는 원래 쿠시 왕국의 메로에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 문자이다.[29] 이는 나파타 시대(기원전 700년 – 300년경)에 개발되었으며, 기원전 2세기에 처음 등장한다. 한동안, 후계 누비아 왕국의 고대 누비아어를 표기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9]

3개의 카르투슈(점 패턴을 포함) 형태의 스탬프 또는 엄지 반지. 각 카르투슈는 2개의 깃털과 태양 원반으로 장식되어 있다. 파이앙스. 메로에 출토. 메로에 시대. 페트리 이집트 고고학 박물관


메로에어가 어떤 어족에 속하는지는 불분명하다. Kirsty Rowan은 이집트어와 마찬가지로 메로에어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한다고 제안한다. 그녀는 이를 메로에어의 음운 목록과 음운론에 근거하는데, 그녀는 이것이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그것과 유사하고, 나일사하라어족의 그것과는 다르다고 제안한다.[30][31] Claude Rilly는 통사론, 형태론 및 알려진 어휘를 기반으로, 노빈어와 마찬가지로 메로에어가 나일사하라어족의 동수단어파에 속한다고 제안한다.[32][33][34]

4. 고고학

1821년, 프랑스 광물학자 프레데릭 카요가 메로에 유적을 묘사한 삽화집을 출판하면서 유럽에 메로에 유적이 알려지게 되었다.[35] 그의 저서에는 가장 남쪽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진 라틴어 비문이 처음으로 출판되었다.[35] 1834년, 주세페 페를리니는 발굴을 통해 주로 보석 형태의 여러 골동품을 발견(또는 발견했다고 주장)했으며, 현재는 베를린뮌헨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36][1] 1844년, 카를 리하르트 렙시우스는 유적을 조사하여 많은 도면, 스케치, 사본 및 실제 골동품을 베를린으로 가져갔다.[1]

1902년과 1905년에는 E. A. 윌리스 버지가 추가 발굴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그의 저서인 ''이집트 수단: 그 역사와 기념물''에 기록되어 있다.[37] 수단 총독인 레지날드 윙게이트 경이 군대를 제공하여 피라미드 사이와 피라미드까지의 길을 만들고, 샤프트 등을 파냈다.[37] 발굴 결과, 피라미드는 불에 태우거나 미라화하지 않고 매장된 시신이 들어있는 묘실 위에 규칙적으로 건설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37] 발견된 가장 흥미로운 물건은 이미 렙시우스가 묘사한 예배당 벽의 부조, 여왕과 일부 왕의 이름과 묘사, 사자의 서의 일부 장, 메로에어로 된 비문이 새겨진 석비, 금속 및 토기 그릇이었다.[37] 1905년에는 최고의 부조가 돌 하나하나 떼어져서 일부는 대영 박물관에, 일부는 하르툼 박물관에 설치되었다.[37] 1910년, 아치볼드 세이스 교수의 보고에 따라 리버풀 대학교를 대신하여 존 가스탕이 도시의 언덕과 묘지에서 발굴을 시작하여 메로에 왕이 지은 궁전과 여러 사원의 유적이 발견되었다.[1]

5. 세계 유산

메로에 지역의 현대 위성 사진 (2020년 10월)


2011년 6월, 메로에의 고고 유적지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메로에 섬의 고고 유적군은 2011년, 세계 유산 (문화 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메로에의 세계 유산 등록 기준은 다음과 같다.

  • 2: 인류 가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상당한 기간이나 문화적 영역 내에서 일어난 발전의 증거를 보여주는 건축물, 기념비적 조형물, 도시 계획 또는 풍경의 설계
  • 3: 살아있거나 사라진 문명의 독특하거나, 적어도 특별한 증거를 제시한다.
  • 4: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축, 건축 집단, 기술적 집합체 또는 풍경의 뛰어난 사례이다.
  • 5: 특히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경우를 포함하여, 환경의 뛰어난 대표적 사례이며 전통적인 인간 정착지, 토지 이용 또는 바다 이용을 보여준다.

5. 1. 등록 기준

메로에의 세계 유산 등록 기준은 다음과 같다.

  • 2: 인류 가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상당한 기간이나 문화적 영역 내에서 일어난 발전의 증거를 보여주는 건축물, 기념비적 조형물, 도시 계획 또는 풍경의 설계
  • 3: 살아있거나 사라진 문명의 독특하거나, 적어도 특별한 증거를 제시한다.
  • 4: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축, 건축 집단, 기술적 집합체 또는 풍경의 뛰어난 사례이다.
  • 5: 특히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경우를 포함하여, 환경의 뛰어난 대표적 사례이며 전통적인 인간 정착지, 토지 이용 또는 바다 이용을 보여준다.

6. 기타

21세기 수단의 유적 조사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으며, 도굴꾼에 의해 유적이 파괴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39] 2020년에는 메로에 왕국 시대의 고대 유적 자발 마라가가 중장비에 의해 파괴된 사례가 보고되었다.[39]

6. 1. 유적 보존 문제

21세기 수단의 유적 조사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으며, 도굴꾼에 의해 유적이 파괴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39] 2020년에는 메로에 왕국 시대의 고대 유적 자발 마라가(Jabal Maraga)가 중장비에 의해 파괴된 사례가 보고되었다.[39]

참조

[1] 문서 Meroë in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www.ahdictio[...] 2020
[2]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s of the Island of Meroe https://whc.unesco.o[...] UNESCO 2020-03-15
[3] 웹사이트 Ancient Meroe Site: Naqa and Musawwarat es-Sufra http://www.ancientsu[...] Ancientsudan.org 2012-09-06
[4] 간행물 Antiquities of the Jews https://web.archive.[...] 2017-02-19
[5] 논문 Meroe and the Sudanic Kingdoms
[6]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https://archive.org/[...] 1926
[7] 서적 The Kingdom of Kush: Handbook of the Napatan-Meroitic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Brill
[8] 서적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African experience from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1-03-17
[9] 논문 Meroitic https://escholarship[...] 2016-06-26
[10] 문서 Notes on the History of Kush 850 B. C.{{snd}}A. D. 350 1946-07
[11] 서적 Herodotus. Translated by J. Enoch Powell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2] 서적 African Civilizations: Precolonial Cities and States in Tropical Africa: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문서 The Pyramids of Meroë and the Candaces of Ethiopia 1923-04
[14] 웹사이트 Bronze head of Augustus https://web.archive.[...] British Museum 2008-06-14
[15] 논문 Rome beyond The Southern Egyptian Frontier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16] 웹사이트 Nubia http://www.bbc.co.uk[...] BBC 2012-09-06
[17] 서적 Rome, Persia, and Arabia: Shaping the Middle East from Pompey to Muhamma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11-27
[18] 서적 Early Christianity in Contexts: An Exploration across Cultures and Continents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2014-11-18
[19] 논문 Une nouvelle inscription grecque d'Ezana, roi d'Axoum https://www.persee.f[...] 1970
[20] 서적 The Classical Journa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2-28
[21]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All 6 Volumes): From the Height of the Roman Empire, the Age of Trajan and the Antonines - to the Fall of Byzantium; Including a Review of the Crusades, and the State of Rome during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e-artnow 2016-02-14
[22] 서적 Aksum: An African Civilisation of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3] 논문 Iron Smelting in Sudan: Experimental Archaeology at The Royal City of Meroe
[24]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of Africa UNESCO/Heinemann/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서적 Africa in the Iron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26]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Fitzroy Dearborn
[27] 서적 Nubia: Corridor to Afric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서적 History of Writing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9] 웹사이트 "Meroe: Writing", ''Digital Egypt'', University College, London http://www.digitaleg[...] Digitalegypt.ucl.ac.uk 2012-09-06
[30] 논문 Meroitic Consonant and Vowel Patterning http://eprints.soas.[...]
[31] 논문 Meroitic – An Afroasiatic Language? https://web.archive.[...] 2014-12-24
[32] 서적 The Meroitic Language and Writing Syst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The Linguistic Position of Meroitic https://web.archive.[...] 2014-12-24
[34] 백과사전 Meroitic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2016-06
[35] 논문 Rome-Meroe-Berlin. The Southernmost Latin Inscription Rediscovered ('CIL' III 83)
[36] 서적 Meroe
[37] 서적 The Egyptian Sudan, its history and monuments https://archive.org/[...]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38] 문서 遷都した時期については、紀元前670年ごろとする説もある。
[39] 웹사이트 盗掘で消えるスーダンの歴史、金を求め遺跡を破壊 重機の利用も https://www.afpbb.co[...] AFP 2020-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