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력은 개인의 삶, 학습, 직무를 아우르는 과정으로, 직업적 측면을 포함하며, 특정 훈련이나 교육을 거친 직무나 직종을 의미하기도 한다. 어원은 라틴어 'carrus'(전차)에서 유래되었으며, 1803년 "공적인 또는 직업적인 삶의 과정"을 의미하게 되었다. 엔지니어링 기술자의 경우 학력, 자격, 경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등급을 구분하며, 경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학력, 자격뿐만 아니라 고용 관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20세기 후반에는 직업 상담 및 진로 상담이 발전하였고, 경력 관리는 개인의 적극적인 관리를 의미하며, 경력 관리 기술과 직업 선택, 직업 변경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경력 성공은 객관적인 기준과 주관적인 기준을 모두 포함하며, 사회적 자본, 인적 자본 등 다양한 형태의 경력 자본에 영향을 받는다. 경력 지원은 개인의 경력 개발 및 관리를 돕기 위해 다양한 교육, 상담, 인적 자원 관리 개입을 통해 제공되며, 진로 정보 제공, 직업 적성 검사, 직업 상담, 진로 교육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용 - 비정규직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달리 고용 불안정, 차별, 저임금 등의 문제를 겪는 고용 형태를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기간제, 단시간, 파견, 용역, 특수고용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IMF 외환위기 이후 증가했다.
  • 고용 - 채용
    채용은 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전략적 인력 확보 과정으로, 직무중심주의, 기업풍토 적격주의, 잠재능력주의 원칙하에 직무 능력, 조직 적응력,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공정성, 효율성, 윤리적 기준 준수를 통해 균등한 기회 보장과 다양성 확보를 추구한다.
  • 능력 개발 - 명상
    명상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수행되는 심신 수련 방법으로, 정신을 집중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스트레스 감소, 불안 완화, 집중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능력 개발 -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개인이 전 생애에 걸쳐 자아실현과 국가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학교, 가정, 직장,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교육 체계이다.
경력
경력
개요
정의한 개인의 학습, 직업, 기타 삶의 측면을 통한 여정
의미개인의 직업적 역사
기타
관련 정보清朝시대의 관직 경력 (관직)
경력 (관직)

2. 정의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경력"을 어떤 사람의 "삶(또는 삶의 특정 부분)을 통한 과정이나 진행"으로 정의한다. 이 정의는 "경력"을 개인의 삶, 학습 및 직무의 여러 측면과 관련짓는다. "경력"은 "커리어 우먼"에서처럼 개인 삶의 직업적 측면과 관련된 것으로 자주 이해된다.[1] 또한 "경력"은 특정 훈련 및/또는 정규 교육을 포함하는 직무 또는 직종을 설명하기도 하는데,[2] 이는 개인의 평생 직업으로 간주된다. 이 경우 "경력"은 일반적으로 단일 산업 또는 부문 내에서 추구되는 일련의 관련 직무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교육 분야의 경력", "범죄 경력", "건설업 분야의 경력" 등이 있다. 조직 행동 연구자들은 경력을 "개인의 삶의 범위에 걸쳐 독특한 패턴을 형성하는 조직 내부 및 외부의 개인의 직무 관련 및 기타 관련 경험"으로 정의했다.[3]

2. 1. 어원

"경력"이라는 단어는 궁극적으로 전차를 뜻하는 라틴어 ''carrus''에서 유래한다.[4]

온라인 어원 사전에 따르면, "경력"이 "공적인 또는 직업적인 삶의 과정"을 의미하게 된 것은 1803년의 일이다.[5] 1800년에 출판된 여러 책에서 괴테의 "문학 경력"[6], 다른 전기적 인물들의 "사업 경력"과 "직업 경력"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 표현은 1800년경에는 이미 널리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7]

3. 한국의 엔지니어 경력

한국에서는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에 따라 엔지니어링기술자의 등급별 경력을 규정하고 있다. 경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학력이나 자격뿐만 아니라 4대보험에 의한 고용 관계나 고용자의 전문분야 등록 등이 전제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37]

3. 1. 엔지니어링기술자 등급별 경력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에 따른 엔지니어링기술자의 등급별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술
등급
국가기술자격자학력자
중급
기술자
(1) 기사 자격을 가지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4년 이상 수행한 사람
(2) 산업기사 자격을 가지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7년 이상 수행한 사람
(1) 석사 학위를 가지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3년 이상 수행한 사람
(2) 학사 학위를 가지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6년 이상 수행한 사람
(3)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9년 이상 수행한 사람
(4)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12년 이상 수행한 사람
초급
기술자
(1) 기사 자격을 가진 사람
(2) 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사람
(1) 석사 학위를 가진 사람
(2) 학사 학위를 가진 사람
(3) 전문대학을 졸업한 사람 (4)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3년 이상 수행한 사람



한편 해당 분야에서 경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학력이나 자격뿐만 아니라 4대보험에 의한 고용 관계나 고용자의 전문분야 등록 등이 사전에 성립하는 것이 전제될 때 용이하거나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3. 2. 경력 인정 요건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에 따르면 엔지니어링기술자의 등급별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술
등급
국가기술자격자학력자
중급
기술자
(1) 기사 자격을 가지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4년 이상 수행한 사람(1) 석사 학위를 가지고 해당 전문분야의 업무를 3년 이상 수행한 사람
초급
기술자
(1) 기사 자격을 가진 사람(1) 석사 학위를 가진 사람



한편 해당 분야에서 경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학력이나 자격뿐만 아니라 4대보험에 의한 고용 관계나 고용자의 전문분야 등록 등이 사전에 성립하는 것이 전제될 때 용이하거나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4. 역사적 변화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경력"을 어떤 사람의 "삶(또는 삶의 특정 부분)을 통한 과정이나 진행"으로 정의한다. 이 정의는 "경력"을 개인의 삶, 학습 및 직무의 여러 측면과 관련짓는다. "경력"은 "직업 여성"에서처럼 개인 삶의 직업적 측면과 관련된 것으로 자주 이해된다. 또한, 특정 훈련 및/또는 정규 교육을 포함하는 직업을 설명할 때도 "경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 이는 개인의 평생 직업으로 간주된다.[2] 이 경우 "경력"은 일반적으로 단일 산업 또는 부문 내에서 추구되는 일련의 관련 직업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교육 분야의 경력", "범죄 경력", "건설업 분야의 경력" 등으로 사용된다. 조직 행동 연구자들은 경력을 "개인의 삶의 범위에 걸쳐 독특한 패턴을 형성하는 조직 내부 및 외부의 개인의 직무 관련 및 기타 관련 경험"으로 정의했다.[3] 근대 이전의 "직업 경력" 개념은 쿠르수스 호노룸을 참조한다.

4. 1. 직업 상담 및 진로 상담

20세기 후반에는 다양한 직업(잠재적인 직업의 범위)과 더욱 광범위한 교육이 가능해짐에 따라 직업 경력을 계획하거나 설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직업 상담사와 진로 상담사의 직업이 발전했다. 또한 20세기 후반/21세기 초 성인들이 순차적 또는 동시적으로 이중 또는 다중 직업을 갖는 것은 드물지 않다. 따라서 직업 정체성은 이러한 직업 윤리의 변화를 반영하여 하이브리드화되거나 혼합되었다. 경제학자 리처드 플로리다는 이러한 경향을 일반적으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창조 계층"에서 언급한다.[1]

5. 경력 관리

경력 관리 또는 경력 개발은 개인이 자신의 경력을 적극적이고 목적 의식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력 관리 기술"은 블루프린트 모델(미국, 캐나다, 호주, 스코틀랜드, 영국)[8] [9]과 디지털 경력 문해력의 7C(특히 인터넷 기술과 관련)[10]에서 설명하고 있다.

5. 1. 경력 관리 기술

핵심 기술에는 자신의 현재 경력을 되돌아보고, 노동 시장을 조사하고, 교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자리를 찾고, 경력 전환을 하는 능력이 포함된다.

5. 2. 직업 선택

벨링(Behling) 등에 따르면, 개인이 특정 회사에 합류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객관적 요인, 주관적 요인, 중요 접촉이라는 세 가지 요인 중 하나에 달려 있을 수 있다.[11]

  • '''객관적 요인 이론'''은 지원자들이 합리적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선택은 직무의 유형적 이점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후에 이루어진다. 요인에는 급여, 기타 혜택, 위치, 경력 발전 기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주관적 요인 이론'''은 의사 결정이 사회적 및 심리적 요인에 의해 지배된다고 제안한다. 직무의 지위, 조직의 평판 및 기타 유사한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요 접촉 이론'''은 조직과 상호 작용하는 동안 지원자의 관찰이 의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채용 담당자가 지원자와 어떻게 연락을 유지하는지, 응답의 신속성 및 유사한 요인이 중요하다. 이 이론은 경험이 많은 전문가에게 더 유효하다.


이러한 이론은 지원자가 고용주와 직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현실적으로 일자리 부족과 바람직한 일자리에 대한 치열한 경쟁은 의사 결정 과정을 심각하게 왜곡한다. 많은 시장에서 직원들은 단순히 이용 가능한 일자리를 받아들여야 했기 때문에 특정 직업에 종사한다. 또한 Ott-Holland 등은 문화가 문화의 유형에 따라 직업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2]

미국 뉴스에 따르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사항이 있다. 그중 일부에는 타고난 재능, 작업 스타일, 사회적 상호 작용, 워라밸, 환원하고자 하는지 여부, 대중의 시선에 편안한지 여부, 스트레스 대처 여부, 그리고 마지막으로 얼마나 많은 돈을 벌고 싶은지 등이 포함된다. 직업 선택이 너무 큰 압박감으로 느껴진다면, 현재로서는 최선의 결정을 내려서 자신에게 맞는 길을 선택하고, 앞으로 마음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오늘날의 직장에서 직업을 선택한다고 해서 평생 그 일에 종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현명한 결정을 내리고 장기적인 목표에 따라 향후 재평가할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13]

5. 3. 직업 변경

직업 변경은 경력 및 경력 관리의 중요한 측면이다. 개인과 노동 시장은 평생 동안 변화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일생 동안 직업을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1979년 미국 노동 통계국이 국가 종단 연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18세에서 38세 사이의 개인은 10개 이상의 직업을 가질 것이다.[14]

사람들이 경력을 바꾸려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경력 변경은 오랫동안 예상된 해고의 결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예기치 않게 경고 없이 발생할 수도 있다.[15]

라이트 매니지먼트[16]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나타난 경력 변경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순위이유비율 (%)
1조직의 감원 또는 구조조정54
2새로운 도전이나 기회 발생30
3부족하거나 비효율적인 리더십25
4관리자와의 관계 불화22
5일과 삶의 균형 개선21
6기여가 인정받지 못함21
7더 나은 보상 및 복리후생18
8개인적 및 조직적 가치와의 더 나은 일치17
9개인의 강점과 능력이 조직과 잘 맞지 않음16
10조직의 재정적 불안정13
11조직의 이전12



Time.com의 기사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현재 고용된 사람 3명 중 1명은 하루에 약 1시간을 다른 직책을 찾는 데 보낸다.[16]

6. 경력 성공

경력 성공은 경력에 관한 학술 및 대중적인 글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는 개인이 지금까지의 직업 생활에서 성공한 정도와 방식을 나타낸다.[17]

초기 경력 성공은 개인의 자존감이 자신의 경력이나 업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때, 나중에 실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21] 전문적인 성공은 과학 연구와 같은 일부 분야에서는 일찍, 교사(Teacher)와 같은 다른 분야에서는 늦게 오는 경향이 있다.[21]

수입은 절대적(예: 개인이 버는 금액) 또는 상대적(예: 개인이 버는 금액과 시작 급여의 비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입과 직위는 사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단순한 의견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성공의 객관적인 기준의 예이다.

6. 1. 경력 성공의 기준

과거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개인이 평생 한두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성공은 조직에 의해 정의되고 승진, 급여 인상, 직위 등으로 측정되었다.[18] 이러한 경력은 도널드 수퍼(Donald Super)의 경력 단계 모델에서 잘 나타난다.[19] 수퍼의 선형 경력 단계 모델은 경력이 안정적인 조직 구조 내에서 이루어진다고 제시한다. 개인은 더 큰 외적 보상을 추구하며 조직의 계층 구조를 따라 상승했다.[20]

그러나 경제 및 기술 변화의 빠른 속도로 인해 경력이 예전보다 덜 예측 가능해졌다.[22] 평생직장은 과거의 일이 되었기 때문에 경력 관리는 회사의 책임보다 개인의 책임이 더 중요해졌다. 이로 인해 직무 만족도, 경력 만족도, 일과 삶의 균형, 개인적 성취감, 개인의 가치와 일치하는 일의 달성 등 경력 성공의 주관적인 기준이 더욱 강조되었다.[23] 개인이 자신의 경력 성공을 평가하는 데는 가족 구성원, 친구 또는 학교나 대학 동기의 성공 여부와 같은 사회적 비교 이론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24]

6. 2. 경력 자본

개인이 달성하는 경력 성공의 양과 유형은 여러 형태의 경력 자본의 영향을 받는다.[25]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26]

  •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개인이 활용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의 범위와 깊이
  • '''인적 자본(human capital)''': 입증 가능한 능력, 경험 및 자격
  • '''경제적 자본(economic capital)''': 경력 관련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돈 및 기타 물질적 자원
  • '''문화적 자본(cultural capital)''': 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술, 태도 또는 일반적인 노하우

7. 경력 지원

개인은 다양한 교육, 상담, 인적 자원 관리 개입을 통해 경력을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다. 경력 지원은 보통 교육, 노동 시장 이직, 직업 변경, 실업, 퇴직 등의 시기에 제공된다. 진로 전문가, 다른 전문가, 가족, 친구 등이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전문적인 경력 지원은 '진로 지도'라고도 불리는데,[27] 이는 진로 상담사의 활동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7. 1. 경력 지원 유형

경력 지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사람들이 교육을 받는 동안, 노동 시장으로 이직할 때, 직업을 바꿀 때, 실업 기간 중, 그리고 퇴직으로 이전하는 기간 동안 제공된다. 전문적인 경력 지원은 때때로 "진로 지도"라고도 한다.[27]

주요 진로 지원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진로 정보: 진로 및 학습 선택을 지원하는 정보를 설명한다. 진로 정보의 중요한 하위 집합은 다양한 직업의 급여, 고용률, 이용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 및 현재 채용 공고와 같은 노동 시장 정보(LMI)이다.
  • 직업 적성 검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정량적 및 정성적 방법론을 모두 사용하는 검사이다. 직업 적성 검사는 개인이 자신의 관심사, 성격, 가치관 및 기술을 파악하여 특정 직업과 얼마나 잘 맞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직업 적성 검사가 도울 수 있는 기술에는 직무 관련 기술, 이전 가능한 기술 및 자기 관리 기술이 있다.[28]
  • 직업 상담: 사람들의 관심사, 성격, 가치관 및 기술을 평가하고 직업 선택과 대학원 및 전문학교 조사를 돕는다. 직업 상담은 전공/직업 선택, 직장 또는 추가 전문 교육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탐색 및 의사 결정 작업에 대한 일대일 또는 그룹 전문 지원을 제공한다.
  • 진로 교육: 개인이 자신, 자신의 경력 및 직장 세계에 대해 배우는 과정을 설명한다. 학교에는 진로 교육의 오랜 전통이 있다.[30] 진로 교육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는 의사 결정 학습(D), 기회 인식(O), 전환 학습(T) 및 자기 인식(S)을 나타내는 DOTS이다.[31]

7. 2. 경력 지원 제공 방식

경력 지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많은 경우 개인 네트워크나 기존 관계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지원이 이루어지지만, 전문적인 경력 지원은 대부분 공공 부문에서 제공된다.

주요 진로 지원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진로 정보: 진로 및 학습 선택에 도움이 되는 정보이다. 다양한 직업의 급여, 고용률, 교육 프로그램, 채용 공고와 같은 노동 시장 정보(LMI)가 여기에 포함된다.
  • 직업 적성 검사: 개인의 관심사, 성격, 가치관, 기술을 파악하여 직업 적합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직업 상담사, 경영 코치 등이 직업 적성 검사를 실시한다.[28][29]
  • 직업 상담: 개인의 특성을 평가하고 직업 선택, 대학원 및 전문학교 조사 등을 돕는다. 일대일 또는 그룹으로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 진로 교육: 자신, 경력, 직업 세계에 대해 배우는 과정이다. 학교에서 주로 이루어지지만, 추가 교육, 고등 교육, 직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30] DOTS(의사 결정 학습(D), 기회 인식(O), 전환 학습(T), 자기 인식(S)) 프레임워크가 사용되기도 한다.[31]


많은 진로 지원이 대면으로 제공되지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career http://dictionary.re[...] 2019-03-03
[2] 웹사이트 career http://www.thefreedi[...] 2012-02-10
[3] 논문 Advances in Career Theory and Research: A Critical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Exploration 2009-12
[4]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19-03-03
[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19-03-03
[6] 서적 The Reception of Classical German Literature in England, 1760–1860 http://dx.doi.org/10[...] Routledge 2021-09-21
[7] 논문 Role of Petroleum Refining in the Economy of Elk, Forest, Mckean, & Warren Counties http://dx.doi.org/10[...] 2008
[8] 웹사이트 Careers Blueprint http://www.excellenc[...] 2014-01-11
[9] 논문 The 'blueprint' framework for career management skills: a critical exploration https://web.archive.[...] 2018-04-20
[10] 논문 How the internet changed career: fra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online technologies https://web.archive.[...] 2018-06-16
[11] 서적 Careers: An Organisation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Juta and Company
[12] 논문 Culture and Vocational Interests: The Moderating Role of Collectivism and Gender Egalitarianism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10
[13] 뉴스 How to Choose a Career That's Best for You https://money.usnews[...] 2017-09-11
[14] 웹사이트 National Longitudinal Surveys 2012-02-10
[15] 웹사이트 How to Create a Successful Career Change Plan https://web.archive.[...] 2018-06-29
[16] 뉴스 Top reasons why we change jobs https://business.tim[...] 2008-05-28
[17] 논문 Reconceptualising career success
[18] 논문 The changing nature of careers: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1999
[19] 논문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1953
[20] 논문 Tournament Mobility: Career Patterns in a Corporation 1979-06
[21] 뉴스 Your Professional Decline Is Coming (Much) Sooner Than You Think https://www.theatlan[...] 2019-07-05
[22] 서적 Understanding Careers, 2nd edition Sage
[23] 논문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24] 논문 Self and other referent criteria of career success
[25] 서적 Work Psychology, 6th edition Pearson
[26] 논문 Subjective career success: A meta-analytic review
[27] 간행물 Career Guidance: A Handbook for Policy Makers http://www.oecd.org/[...] OECD 2004
[28] 웹사이트 2012-02-10
[29] 웹사이트 Why is a Career Assessment Important? https://www.successf[...] 2012-02-10
[30] 간행물 Careers 2020: Options for Future Careers Work in English Schools http://thepearsonthi[...] Pearson
[31] 서적 Schools, Careers and Community: a Study of Some Approaches to Careers Education in Schools Church Information Office
[32] 논문 Vocationalism in Higher Education: The Triumph of the Education Gospel
[33] 간행물 A Matter of Degrees: The Effect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Regional Economic Prosperity http://www.milkenins[...] Milken Institute
[34] 뉴스 How Colleges Should Prepare Students For The Current Economy – Yahoo Finance https://finance.yaho[...] 2014-01-11
[35] 문서 (건설기술진흥법)시행령 별표1 건설기술인의 범위(제4조관련)-기술인의 등급
[36] 법률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시행령 별표1 엔지니어링기술자(제4조관련)
[37] 웹사이트 응시자격 증명서류 제출 안내 http://webcache.go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