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중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중명은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인물로, 산동 출신의 광산 노동자 출신으로 해적 활동을 하다 모문룡의 부하가 되었다. 공유덕, 상가희와 함께 산동삼광도로 불렸으며, 등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후금에 투항했다. 청나라에서는 회순왕에 봉해지고, 산해관 전투에서 공을 세우는 등 청나라의 강남 정복에 기여했으나, 부하를 숨긴 혐의로 자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커우시 출신 - 보리스 블라허
만주 출생 독일 작곡가 보리스 블라허는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에서 출발해 가변 박자 기법을 활용한 전위음악까지 아우르며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사회·정치적 상황을 반영한 작품을 남겼으며 윤이상 등 제자를 양성하여 20세기 후반 음악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잉커우시 출신 - 천지닝
천지닝은 중국의 환경공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칭화대학교 총장, 생태환경부 장관, 베이징시 시장을 거쳐 현재 상하이시 당위원회 서기 및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을 맡고 있으며 환경 보호 및 도시 행정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 만주 정황기인 - 효성인황후
효성인황후는 강희제의 황후로, 색니의 손녀이며, 강희제와 혼인하여 내명부를 관장하고 두 아들을 낳았으며, 산후병으로 사망 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만주 정황기인 - 효경헌황후
효경헌황후 울라나라씨는 옹정제의 원비이자 황후로, 옹정제의 적복진으로 책봉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요절한 아들 홍휘를 두었고 사망 후 효경헌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서릉 태릉에 안장되었다. - 중국의 자살한 사람 - 공유덕
공유덕은 명나라 말기 모문룡의 부하에서 청나라에 투항하여 공순왕에 봉해졌으며, 오교병변과 등주성 함락을 일으키고 청나라의 정복 전쟁에 참여했으나, 남명군과의 전투 중 자결한 인물이다. - 중국의 자살한 사람 - 주우정
주우정은 후량 태조 주전충의 아들로, 형의 폭정 이후 황제가 되었으나 후당과의 전쟁과 내부 반란으로 자결하며 후량을 멸망시킨 황제이다.
| 경중명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경중명 |
| 원어 이름 | 耿仲明 (겅 중밍) |
| 출생 연도 | 1604년 |
| 사망 연도 | 1649년 |
| 직업 | 군인 |
| 작위 | |
| 시호 | 민장(敏壯) |
| 봉호 | 정남왕(靖南王) |
| 습작 | 갱계무 |
| 경력 | |
| 소속 | 명나라, 후금, 청나라 |
| 주요 활동 | 모문룡 휘하 군관 공유덕, 상가희와 함께 후금에 투항 강남 3성 정벌 참여 정남왕 책봉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경여기 |
| 아들 | 경계무 |
| 기타 | |
| 주요 업적 | 청나라의 강남 3성 점령에 기여 |
2. 명나라에서의 활동
경중명은 산동(山東, 명대 산동은 오늘날 산동성과 요녕성을 포함) 출신으로, 광산 노동자로 일하다 요동(遼東)에서 해적이 되었다. 이후 모문룡(毛文龍)에게 귀순하여 공유덕(孔有德), 상가희(尙可喜)와 함께 '산동삼광도(山東三鑛徒)'로 불렸다. 모문룡이 원숭환(袁崇煥)에게 살해당한 후, 공유덕을 따라 등주(登州)로 이주, 산동 순무 손원화(孫元化) 휘하에서 보병 좌영 참장이 되었다. 후금(後金) 토벌에 종군했지만 봉급에 불만을 품었다.[1]
1632년 공유덕과 내통하여 등주를 함락시키고 반란을 일으켰다. 손원화는 북경으로 도주했지만 사형당했다. 명나라는 4만 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등주, 내주(萊州)를 공격했고, 1633년 경중명은 공유덕과 함께 후금 홍타이지(皇太極)에게 투항했다.[4]
2. 1. 오교의 난
1632년 2월, 공유덕과 함께 오교에서 반란을 일으켜 등주를 점령하고 그곳에 반군 정권을 세웠다.[3]3. 청나라로의 투항
모문룡이 원숭환에게 살해된 후, 경중명은 공유덕과 함께 등주로 이주하여 손원화를 섬기면서 보병 좌영 참장이 되었다. 경중명은 공유덕과 함께 후금 토벌에 종군했지만 봉급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1] 1632년 공유덕이 경중명과 내통하면서 등주를 함락시키고 총병관을 자칭했으며, 손원화는 북경으로 도주했지만 사형당했다.[1]
명나라는 4만 명에 달하는 군대를 파견하여 산동의 요충지를 포위 공격했고 등주, 내주에 육박했다. 1633년 경중명은 공유덕과 함께 후금의 홍타이지에게 투항했다.[4]
3. 1. 청나라에서의 활동
1636년 한군(漢軍) 정황기(正黃旗)에 예속되어 회순왕(懷順王)에 봉해졌다.[5][6] 1644년 도도가 이끌던 청군을 따라 산해관 전투에 참여, 이자성의 난을 진압하고 강남(江南)과 호남(湖南) 일대를 평정했다.[7] 1648년 도르곤과 함께 요동에 입성했다.[6] 1649년 정남왕(靖南王)에 봉해지면서 오삼계, 상가희와 함께 삼번(三藩)으로 불렸다.[6] 또한 제2차 청의 조선 침략에도 참전했다.[5]4. 죽음
죄를 지어 도피 생활을 하던 위국현을 숨긴 사실이 드러났다.[6] 1649년 11월 27일, 광주 원정 도중 장시성 지안에서 법의 심판을 두려워하여 목을 매 자살했다.[6]
5. 가족 관계
- 아들: 경계무(耿繼茂)
- 손자: 경정충(耿精忠)[8]
- 기타 가족관계
- 아바타이 친왕의 손녀와 경소충(耿昭忠)이 결혼하였다.[9]
- 호격 (홍타이지의 아들)의 딸이 경정충과 결혼하였다.[9]
- 악락 (안왕)의 딸인 화석유가공주는 경계무의 또 다른 아들인 경거충과 결혼했다.[10]
6. 평가
경중명은 용감하고 지략이 풍부한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모문룡의 부하로 시작하여 공유덕, 상가희와 함께 '산동삼광도(山東三鑛徒)'로 불렸다.[5] 1633년 공유덕과 함께 후금의 홍타이지에게 투항하여 청나라의 초기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5] 1636년에는 회순왕(懷順王)에 봉해졌고, 제2차 청의 조선 침략에도 참전했다.[5]
1644년 이자성의 난을 진압하고 청나라의 강남 정복에 참여하는 등 청나라의 중국 통일에 기여했다.[7] 1648년 "남방을 평정하는 왕"(靖南王)으로 칭호가 변경되었다.[6]
1649년 광주 원정 도중 부하를 은닉했다는 혐의를 받자 장시성 지안에서 자살했다.[6]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문서
磯部淳史「清朝皇帝と三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