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브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브누는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대장장이 신으로, '대장장이'를 의미하는 원시 켈트어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투아하 데 다난의 무기를 제작하는 장인 중 한 명으로, 누아다에게 은으로 된 팔을 만들어 주기도 했다. 고브누는 또한 신들에게 잔치를 제공하는 환대자 역할을 하며, 불로불사의 술과 마법의 암소 글라스 가이브넨을 소유하고 있다. 아일랜드 민속에서는 가비다, 가비건, 가이블렌 등의 이름으로 나타나며, 루의 탄생과 관련된 이야기에도 등장한다. 고브누는 켈트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쳤으며, 웨일스의 고바논, 갈리아의 불카누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장장이 남신 -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과 대장장이, 장인의 신으로, 뛰어난 손재주로 신들의 무기와 도구를 만들며 절름발이 또는 불구로 묘사되는 특징을 지닌다. - 대장장이 남신 - 세케르
세케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프타, 오시리스와 연관된 신으로, 미라화된 매의 모습으로 멤피스에서 숭배되었으며 농업과 죽은 자의 심판 역할을 했다. - 투어허 데 다넌 - 이스시
아오스 시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초자연적 존재로, 요정 언덕과 같은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인간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투어허 데 다넌 - 다그다 모르
다그다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투아하 데 다난의 왕이자 '좋은 신' 또는 '위대한 신'을 의미하며 풍요, 재생, 지혜, 마법을 관장하는 신으로 곤봉, 솥, 하프 등의 강력한 소유물을 지니고 모리안의 남편이자 여러 신들의 아버지이다.
고브누 | |
---|---|
개요 | |
유형 | 신 |
문화 | 켈트 신화 |
신화 | 아일랜드 신화 |
성별 | 남성 |
배우자 | 브리깃 |
상징 | 대장간, 망치 |
역할 | |
주요 역할 | 대장장이 기술 치유 맥주 제조 |
이름 및 어원 | |
현대 아일랜드어 | Gaibhne [ˈɡovʲnʲu] |
게일어 | Gobha |
어원 | "대장장이"를 의미하는 원시 아일랜드어 *gʷowiyo-에서 파생됨 |
신화 속 역할 | |
투어허 데 다넌의 일원 | 투어허 데 다넌의 대장장이 |
기술과 치유 능력 | 뛰어난 기술과 치유 능력 소유 |
불멸의 맥주 제조 | 포모리와의 전투에서 투어허 데 다넌을 돕기 위해 불멸의 맥주를 제조 |
트리뷰와의 관계 | 트리뷰와 함께 무기를 제작 |
다른 문화와의 연관성 | |
웨일스 신화 | 고반논과 연관 |
브르타뉴 신화 | 고반과 연관 |
참고 항목 | |
관련 인물 | 고반 사오르 |
2. 어원
''고브누''라는 이름은 원시 켈트어 형태인 *''고베니우'' 또는 *''고반니오''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대장장이'를 의미하는 *''고벤''-에서 파생되었다. (예: 고대 아일랜드어 ''고바이'', 중세 웨일스어 ''고프,'' 중세 브르타뉴어 ''고프(프)'', 고대 콘월어 ''고프'' '대장장이'; 또한 골어 ''고베드비'' '대장장이와 함께' < *''고벤-비'' 또는 *''고브-엣''-''비-'') 같은 어근은 골족의 신 ''데오 코반노''(< *''고반노스'')와 웨일스 신화에서 여신 돈의 아들인 ''고바논''(< *''고반노노스'')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원시 켈트 전설에서 이름이 공통적으로 유래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골족의 ''고반니티오'', ''고반니크누스'', 또는 ''고바노'', 고대 아일랜드의 ''고바인'' (라틴어: ''고바누스''), 고대 브르타뉴어 ''란 고프''와 같은 다양한 인명과 고바니움 (현재 아버게니) 및 ''산크투스 고바누스'' (생고뱅)와 같은 지명에서도 확인된다.[1]
고브누의 아버지 이름은 '도끼를 던지는 자'인 에사르그 또는 투르베 트라그마르이다.[1] 고브누는 크레드네(은세공인), 루흐타(목수)와 함께 투아하 데 다난이 포모리안과의 전투에서 사용한 무기를 제작한 ''Trí Dée Dána''(세 명의 예술의 신)으로 묶이거나, 크레드네, 디안 케흐트(의사)와 함께 묶이기도 한다.[2] 제2차 모이투라 전투(마그 투이레드)에서 디안 케흐트와 누아다의 형제로 명시되어 있다.[3] 고브누의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아내는 드로헤다의 동굴에 묻혔다고 한다.[4]
아일랜드 민속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가비다(Gavida)와 가비건(Gavigan)은 루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대장장이로 묘사되며, 글라스 가이븐넨이라는 놀라운 암소를 소유하고 있다. 가비건이 등장하는 이야기에서, 글라스 가이건이라고 불리는 이 암소는 발로르에게 빼앗기지만, 가비건이 토리 아일랜드(Tory Island)에 나무를 자라게 한 후에야 돌려받는다. 이 이야기에서 가비건은 발로르의 딸에게 소개되어 루의 아버지가 된다.[4] 다른 버전의 이야기에서 가비다는 대장장이이며 마크 키닐리(Mac Kineely)와 마크 삼타인(Mac Samthainn)의 형제로 묘사된다. 이 버전에서는 마크 키닐리가 유명한 암소를 소유하고 있는데, 발로르가 이를 훔쳐가고, 나중에 루의 아버지가 된다.[4]
고브누는 범켈트적인 숭배를 받았던 신으로 보인다. 웨일스의 킬후와 올웬에 등장하는 고바논이나 로마식 해석에서 불카누스라고 불렸던 갈리아의 신이 이에 해당한다. 그는 의술의 신으로서의 성질도 가지고 있었다. 아일랜드에서는 몸에서 가시를 뽑을 때 그의 이름을 외는 옛 주문이 행해졌다.[11]
[1]
서적
Gods and Fighting Men
http://www.sacred-te[...]
1904
어근 *''고벤''-의 원시 인도유럽어 (PIE) 기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켈트어에만 국한된다고 제안했다. 라틴어 ''파베르''('장인')와 PIE *''g(w)hobh''-를 통해 연결될 수 있지만, 전자는 일반적으로 *''dhHbh-ro-''에서 파생된다(예: 아르메니아어 ''다르빈''). 파트리치아 데 베르나르도 스템펠은 또한 청동이 녹는 철과는 반대로 두드리고 구부러졌기 때문에 PIE *''g(h)eubh''-('굽다, 구부리다')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했으며, 바츨라프 블라제크는 리투아니아어의 불의 여신 ''가비야''와의 관련성을 제시했다.[1]
3. 가족 관계 및 신화 속 역할
누아다가 전투에서 팔을 잃자 고브누는 그에게 은으로 된 새 팔을 만들어 주었고, 이 때문에 "은팔의 누아다"(Nuada Airgetlám)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신들을 위한 무기를 만들었다. 《에린 침략의 서》(Lebor Gabála Érenn)에서는 "제련에 있어서 무능하지 않다"고 묘사되었으며,[5] 디안 케흐트와 함께 "고통스러운 역병"으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5] 제2차 모이투라 전투에서 고브누는 브리(Brígh)의 아들 루아단(Ruadán)에게 창에 찔렸지만, 창을 뽑아 루아단을 죽였다.[6]
고브누는 신들에게 잔치를 제공하는 환대자 역할을 한다. 《노인과의 대화》(Acallam na Senórach)와 《다 메다르의 집을 돌보는 자》에 따르면, 고브누의 잔치는 마난난(Manannán)에 의해 투아하 데 다난(Tuatha Dé)의 전사들에게 질병과 부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주어졌다.[7] 그는 풍요의 마법의 암소인 글라스 가이브넨(Glas Gaibhnenn)의 소유자이며, 생존한 민간 전승에서는 이 암소를 위한 마법의 고삐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생 갈(St Gall) 주문[8]에서 고브누는 가시(실제적이거나 은유적인)에 대항하기 위해 소환된다.
마법의 망치질 세 번으로 완벽한 무기를 제조할 수 있었고, 장인의 세 신 중 가장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가 만든 무기는 반드시 명중하며 일격에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고 칭송받는다. 디안 케흐트와 협력하여 누아다의 은팔을 만들었다.
신들의 대장장이인 고브누는 전장에서 부서진 무구를 기적적인 속도로 고쳐 승리에 기여했다.
브루젠이라는 이계의 숙소에서 열리는 "고브뉴의 축연(Fledh Ghoibhnenn)"에서는, 다함이 없는 음식이 솟아나는 큰 솥이나, 요리를 위해 잡아도 다음 날에는 되살아나는 돼지 등이 따라다니며, 그가 대접하는 술(에일)에는 불로불사의 비술이 걸려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4. 민간 전승
가이블렌(Gaibhlen)은 투어허 데 다넌(Tuatha Dé Danann)의 대장장이로, 거대한 암소를 소유한 인물이다. 그의 풀무는 도이레 나 투안(''Doire-na-tuan'')에 위치해 있었으며, 그곳에서 그는 철 산(iron mountain)인 슬리아브 언 이아린(''Sliabh an Iarainn'')의 광석을 녹였다.[4] 그 이후로 그 지역에는 항상 대장간이 존재해왔다.
그는 의신으로서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몸에서 가시를 뽑을 때 그의 이름을 외는 옛 주문이 아일랜드에서 행해졌다.[11]
브루젠이라는 이계의 숙소에서 열리는 "고브뉴의 축연(Fledh Ghoibhnenn)"에서는, 다함이 없는 음식이 솟아나는 큰 솥이나, 요리를 위해 잡아도 다음 날에는 되살아나는 돼지 등이 따라다니며, 그가 대접하는 술(에일)에는 불로불사의 비술이 걸려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T. F. O'Rahilly는 뇌신의 신으로서 고브뉴는 발로르와 동일시될지도 모른다고 논했다.[11]
5. 켈트 문화 전반의 영향
T. F. O'Rahilly는 뇌신의 신으로서 고브뉴는 발로르와 동일시될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11]
참조
[2]
간행물
Lebor Gabála Érenn Section 62
http://www.maryjones[...]
[3]
웹사이트
The Second Battle of Moytura Section 74, 75
https://celt.ucc.ie/[...]
[4]
서적
The Dolmens of Ireland
https://books.google[...]
Chapman and Hall
2019-08-06
[5]
간행물
Lebor Gabála Érenn Section 64
http://www.maryjones[...]
[6]
웹사이트
The Second Battle of Moytura Section 125
https://celt.ucc.ie/[...]
[7]
웹사이트
The Book of Fermoy "The Fosterage off the House of the Two Pails"
http://www.ancientte[...]
[8]
서적
The St. Gall Incantations
University Press
1903
[9]
웹사이트
The St. Gall Incantations
https://www.maryjone[...]
[10]
간행물
Gobbán Saor
2004
[11]
간행물
Goibniu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