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투아니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로, 문법과 음운에서 고대 언어의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인도유럽조어 재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투아니아는 발트해 동쪽에 위치하며, 리투아니아어는 리투아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이다. 리투아니아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32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리투아니아어는 아우크슈타이티아 방언과 자모기티아 방언의 두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뉘며, 표준 리투아니아어는 서부 아우크슈타이티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리투아니아의 언어 - 카라임어
    카라임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군에 속하며 크림반도 등지에 거주하는 카라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여러 가설이 있는 기원과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고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동발트어군 - 셀로니아어
    셀로니아어는 셀로니아인이 사용했던 사멸된 언어로, 라트비아어의 셀로니아 방언과 리투아니아어의 아우크슈타이티안 방언에서 흔적이 발견되며, 13~15세기 리투아니아인에게 흡수되면서 소멸되었다.
  • 동발트어군 - 세미갈리아어
    세미갈리아어는 16세기까지 라트비아인에게 동화되어 소멸된 언어이며, 쿠로니아어와 유사하고 라트비아어와도 유사성을 보이며, 공통 발트어의 자음 변화와 모음 축약의 특징을 갖는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리투아니아어
지도 정보
리투아니아어 사용 지역 지도
리투아니아어가 다수어로 쓰이는 곳(짙은 파란색)과 소수어로 쓰이는 곳(옅은 파란색)을 나타낸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리투아니아어
로마자 표기lietuvių kalba
발음lʲiəˈtʊvʲuː kɐɫˈbɐ
사용 국가리투아니아
폴란드
벨라루스
라트비아
러시아
에스토니아
사용 지역발트 지역
사용자 수300만 명 (2012년)
사용자 수280만 명 (2021년)
언어 순위100위 이하
언어 계통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어파
어군동발트어군
조어원시 인도유럽어
조어2원시 발트슬라브어
조어3원시 발트어
문자
문자 체계라틴 문자 (리투아니아어 알파벳)
점자리투아니아어 점자
국가 및 기관
공용어 국가
언어 관리 기관리투아니아어 위원회
언어 코드
ISO 639-1lt
ISO 639-2lit
ISO 639-3lit
리투아니아어 종류현대 리투아니아어
리투아니아어 종류2고대 리투아니아어
링구아 코드54-AAA-a
글롯로그 코드lith1251
글롯로그 참조 이름리투아니아어
방언
방언1사모기티아 방언
방언2옥슈타이티야 방언
기타 정보
특징일반적으로 리투아니아어는 현존하는 인도유럽어족 중 가장 고대적인 언어로 받아들여진다.
설명리투아니아어는 리투아니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2. 역사

16세기 리투아니아어의 분포


리투아니아어의 역사는 기원과 초기 발전, 중세와 근세, 러시아 제국과 리투아니아어 탄압, 독립 리투아니아와 소련 점령기, 독립 회복 이후로 나눌 수 있다.

하위 섹션 '기원과 초기 발전'에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리투아니아어의 언어학적 특징과 기원, 초기 발전 과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1547년 1월 8일, 최초의 리투아니아어 저서인 마르티나스 마주비다스의 ''교리 문답''이 출판되었다.[154]

요나스 야블론스키스는 리투아니아어 표준을 정립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159] 19세기 동안 리투아니아어 표기법은 점진적으로 발전했지만, 현대 리투아니아어 표준의 핵심 표기 원칙을 정립하고 상세히 설명한 것은 야블론스키스의 저서 ''Lietuviškos kalbos gramatika''가 처음이었다.[159][160]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과 함께 리투아니아어는 공용어 지위를 얻고 법적으로 사용이 강제되었다.[161]

1940년 소련의 리투아니아 점령, 1941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점령, 1944년 소련의 재점령을 거치면서 리투아니아는 독립 국가 지위를 상실하고 소련의 일부인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160] 소련 당국은 리투아니아어와 러시아어 이중 언어 체계를 도입했다.[160] 소련의 공식 언어인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어보다 우위에 있었고, 리투아니아어는 지속적으로 사용이 위축되면서 리투아니아인과 리투아니아어 모두 강력한 러시아화 압박을 받았다.[162][160] 소련의 산업화로 많은 러시아어 화자들이 노동자, 전문가, 교수로 리투아니아 SSR에 이주하면서,[163]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를 비롯한 국가 기관, 라디오 및 TV 방송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1948년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공산당원 22,000명 중 80%가 러시아인이었고, 1970년 리투아니아 라디오 및 TV 방송의 61~74%가 러시아어로 송출되었다.[163] 리투아니아인들은 러시아어를 사용하지 않는 소극적인 저항을 이어나갔다.[164]

1988년 11월 18일,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는 사유디스와 리투아니아 사회의 압력으로 리투아니아어를 공식 언어로 재지정했다.[161]

1990년 3월 11일, 리투아니아 공화국 최고 위원회는 리투아니아 국가재건법을 선포하고 임시 기본법에서 리투아니아어를 리투아니아의 유일한 공용어로 명시했다. 이후 1992년 10월 25일 리투아니아 헌법 국민투표에서 해당 법률을 바탕으로 한 헌법이 통과되면서 리투아니아어의 법적 지위는 공고해졌다.[161][165]

2. 1. 기원과 초기 발전

인도유럽어족의 언어 중 리투아니아어는 문법과 음운에 있어 언어학적으로 보수적인 면모를 지니며, 산스크리트어(특히 베다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그리스어 따위의 옛 언어에서만 나타나는 특징들을 보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리투아니아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가 1500년대 경에 그침에도 인도유럽조어의 재구에 있어 중요한 언어로 여겨지고 있다.[147]

리투아니아어는 프란츠 보프,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달베르트 베첸베르거(Adalbert Bezzenberger), 루이스 옐름슬레우(Louis Hjelmslev),[148] 페르디낭 드소쉬르,[149] 윈프리드 리먼(Winfred P. Lehmann) 그리고 블라디미르 토포로프[150]를 비롯한 언어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원시 발트슬라브어는 인도유럽조어로부터 떨어져 나왔으며, 이후 원시 발트어원시 슬라브어로 갈라졌다. 그 후 원시 발트어는 원시 서부 발트어(Proto-West Baltic)와 리투아니아어의 조상인 원시 동부 발트어(Proto-East Baltic)로 분화하였다.[151] 이때 원시 발트어는 원시 슬라브어와 수많은 어휘, 형태론, 음운론 및 악센트 등어선(isogloss)을 공유한 채로 갈라져 나왔으며, 리투아니아어의 음운 체계는 이를 잘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음운 규칙을 통해 슬라브어 단어를 추론할 수 있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늑대를 뜻하는 리투아니아어 ''vilkas''와 폴란드어 wilk는 원시 발트슬라브어 *wilkás로부터 유래하였으며, 이는 다시 인도유럽조어 *wĺ̥kʷos에서 유래하였다.

몇몇 언어연대학적 추측에 따르면,[152][153] 동부 발트어군과 서부 발트어군은 기원후 400년에서 600년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고대 그리스의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2세기 경 두 발트 부족 갈린다이와 수디노이(Γαλίνδαι, Σουδινοί)의 존재를 기록하였다. 라트비아어와는 그보다 뒤에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나 그 변천은 불명확하다.

처음에 리투아니아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프로이센 공국에서 입말로 쓰였으며, 이후 문어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3세기 리투아니아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시작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154] 1250년 경 리투아니아의 대공 민다우가스세례를 받고 리투아니아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이 기도문을 리투아니아어로 번역하여 문서로 남겼을 것으로 추측되나, 이 중 현존하는 문서는 없다.[154] 비록 15세기 이전에 작성된 리투아니아어 문서가 실전되었으나, 리투아니아어의 존재는 1414~1418년에 있었던 콘스탄츠 공의회의 참여자들이 사용한 언어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155][156][154]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리투아니아어 문헌 자료 (1503년 경). 15세기 원문의 필사본.


현존하는 리투아니아어 문서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503년에서 1525년 사이에 남부 아욱슈타이티야 방언으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기도문, 성모송, 그리고 니케아 신경이다.[154]

2. 2. 중세와 근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 중 리투아니아어는 문법과 음운에 있어 언어학적으로 보수적인 면모를 지니며, 산스크리트어(특히 베다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그리스어 따위의 옛 언어에서만 나타나는 특징들을 보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리투아니아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가 1500년대 경에 그침에도 인도유럽조어의 재구에 있어 중요한 언어로 여겨지고 있다.[147]

리투아니아어는 프란츠 보프,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달베르트 베첸베르거, 루이스 옐름슬레우,[148] 페르디낭 드 소쉬르,[149] 윈프리드 리먼 그리고 블라디미르 토포로프[150]를 비롯한 언어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원시 발트슬라브어는 인도유럽조어로부터 떨어져 나왔으며, 이후 원시 발트어원시 슬라브어로 갈라졌다. 그 후 원시 발트어는 원시 서부 발트어와 리투아니아어의 조상인 원시 동부 발트어로 분화하였다.[151] 이때 원시 발트어는 원시 슬라브어와 수많은 어휘, 형태론, 음운론 및 악센트 등어선을 공유한 채로 갈라져 나왔으며, 리투아니아어의 음운 체계는 이를 잘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음운 규칙을 통해 슬라브어 단어를 추론할 수 있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늑대를 뜻하는 리투아니아어 ''vilkas''와 폴란드어 wilk는 원시 발트슬라브어 *wilkás로부터 유래하였으며, 이는 다시 인도유럽조어 *wĺ̥kʷos에서 유래하였다.

몇몇 언어연대학적 추측에 따르면,[152][153] 동부 발트어군과 서부 발트어군은 기원후 400년에서 600년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고대 그리스의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2세기 경 두 발트 부족 갈린다이와 수디노이(Γαλίνδαι, Σουδινοί)의 존재를 기록하였다. 라트비아어와는 그보다 뒤에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나 그 변천은 불명확하다.

처음에 리투아니아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프로이센 공국에서 입말로 쓰였으며, 이후 문어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3세기 리투아니아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시작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154] 1250년 경 리투아니아의 대공 민다우가스세례를 받고 리투아니아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이 기도문을 리투아니아어로 번역하여 문서로 남겼을 것으로 추측되나, 이 중 현존하는 문서는 없다.[154]

비록 15세기 이전에 작성된 리투아니아어 문서가 실전되었으나, 리투아니아어의 존재는 1414~1418년에 있었던 콘스탄츠 공의회의 참여자들이 사용한 언어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155][156][154]

현존하는 리투아니아어 문서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503년에서 1525년 사이에 남부 아욱슈타이티야 방언으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기도문, 성모송, 그리고 니케아 신경이다.[154] 1547년 1월 8일에는 최초의 리투아니아어 저서인 마르티나스 마주비다스의 ''교리 문답''이 출판되었다.[154]

1864년 1월 봉기 이후 러시아령 리투아니아의 총독 미하일 무라비요프는 리투아니아어로 교육 및 출판하는 것을 금지하였으며 이와 함께 라틴 문자의 사용 또한 금지하였다. 그러나 동프로이센미국에서는 이와 상관없이 리투아니아어 저서가 계속 출판되었으며,[157] 혹독한 형량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크니그네셰이(knygnešiai)로 불린 리투아니아어 저서 밀수꾼들의 활동은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의 재부흥을 일으켰고 끝내 1904년 해당 금지령의 해제를 이끌어내었다.[158]

요나스 야블론스키스(1860~1930)는 리투아니아어의 표준을 마련하는데 있어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159] 19세기 내내 리투아니아어의 표기법은 서서히 진화하고 있었으나, 현대 리투아니아어의 표준이 되는 핵심적인 표기 원칙을 정립하고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것은 야블론스키스의 저서 ''Lietuviškos kalbos gramatika''가 처음이었다.[159][160] 야블론스키스가 제시한 리투아니아어 정서법은 그의 모어인 서부 아욱슈타이티야 방언을 기초로 하여 소리투아니아의 동부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어의 특징을 일부 가미한 것이었다.[159][160] 이 방언들은 제각기 다른 음운 변동을 겪은 타 방언들과 달리 이웃한 고대 프로이센어의 영향을 받아 옛 음운 체계를 대부분 보존한 상태였다.

1862년부터 1944년까지 소리투아니아에서는 리투아니아어 교육이 완전히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리투아니아어는 소리투아니아에서 소멸하였다.[160]

2. 3. 러시아 제국과 리투아니아어 탄압

1월 봉기 이후 러시아령 리투아니아의 총독 미하일 무라비요프는 리투아니아어로 교육 및 출판하는 것을 금지하였으며, 이와 함께 라틴 문자 사용 또한 금지하였다.[157] 그러나 동프로이센미국에서는 리투아니아어 저서가 계속 출판되었으며,[157] 혹독한 형량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크니그네셰이(knygnešiai)로 불린 리투아니아어 저서 밀수꾼들의 활동은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의 재부흥을 일으켰고, 끝내 1904년 해당 금지령이 해제되었다.[158]

1862년부터 1944년까지 소리투아니아에서는 리투아니아어 교육이 완전히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리투아니아어는 소리투아니아에서 소멸하였다.[160]

2. 4. 독립 리투아니아와 소련 점령기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리투아니아어는 문법과 음운 면에서 언어학적으로 보수적인 특징을 지니며, 산스크리트어(특히 베다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그리스어와 같은 옛 언어에서만 나타나는 특징들을 보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투아니아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가 1500년대에 불과함에도 인도유럽조어 재구에 있어 중요한 언어로 간주된다.[147]

리투아니아어는 프란츠 보프,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달베르트 베첸베르거, 루이스 옐름슬레우,[148] 페르디낭 드 소쉬르,[149] 윈프리드 리먼, 블라디미르 토포로프[150] 등 여러 언어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원시 발트슬라브어는 인도유럽조어에서 분리된 후 원시 발트어원시 슬라브어로 나뉘었다. 이후 원시 발트어는 원시 서부 발트어와 리투아니아어의 조상인 원시 동부 발트어로 분화하였다.[151] 원시 발트어는 원시 슬라브어와 어휘, 형태론, 음운론, 악센트 등 많은 특징을 공유하며 분리되었고, 리투아니아어는 이러한 음운 체계를 잘 보존하여 음운 규칙을 통해 슬라브어 단어를 추론할 수 있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늑대를 뜻하는 리투아니아어 ''vilkas''와 폴란드어 wilk는 원시 발트슬라브어 *wilká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인도유럽조어 *wĺ̥kʷos에서 기원한다.

몇몇 언어연대학적 추정에 따르면,[152][153] 동부 발트어군과 서부 발트어군은 기원후 400년에서 600년 사이에 분화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2세기에 이미 갈린다이와 수디노이라는 두 발트 부족의 존재를 기록했다. 라트비아어와는 그보다 늦게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변천 과정은 명확하지 않다.

리투아니아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프로이센 공국에서 입말로 사용되다가, 13세기 리투아니아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문어로 쓰이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54] 1250년경 리투아니아 대공 민다우가스세례를 받고 리투아니아 왕으로 즉위하면서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이 기도문을 리투아니아어로 번역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존하는 문서는 없다.[154] 15세기 이전 리투아니아어 문서는 소실되었으나, 1414~1418년 콘스탄츠 공의회 참여자들이 사용한 언어 중 하나로 리투아니아어가 언급된다.[155][156][154]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리투아니아어 문서는 1503년에서 1525년 사이에 남부 아욱슈타이티야 방언으로 작성된 주기도문, 성모송, 니케아 신경이다.[154] 1547년 1월 8일에는 최초의 리투아니아어 저서인 마르티나스 마주비다스의 ''교리 문답''(''Catechism'' of Martynas Mažvydas)이 출판되었다.[154]

1864년 1월 봉기 이후, 러시아령 리투아니아 총독 미하일 무라비요프는 리투아니아어 교육 및 출판을 금지하고 라틴 문자 사용도 금지했다. 그러나 동프로이센미국에서는 리투아니아어 저서가 계속 출판되었으며,[157] 크니그네셰이(knygnešiai)로 불린 리투아니아어 저서 밀수꾼들의 활동은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재부흥을 일으켜 1904년 금지령 해제를 이끌어냈다.[158]

요나스 야블론스키스는 리투아니아어 표준을 정립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159] 19세기 동안 리투아니아어 표기법은 점진적으로 발전했지만, 현대 리투아니아어 표준의 핵심 표기 원칙을 정립하고 상세히 설명한 것은 야블론스키스의 저서 ''Lietuviškos kalbos gramatika''가 처음이었다.[159][160] 야블론스키스가 제시한 리투아니아어 정서법은 그의 모어인 서부 아욱슈타이티야 방언을 기초로 소리투아니아의 동부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어 특징을 일부 가미한 것이었다.[159][160]

1862년부터 1944년까지 소리투아니아에서는 리투아니아어 교육이 완전히 금지되어 리투아니아어가 소멸하였다.[160]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과 함께 리투아니아어는 공용어 지위를 얻고 법적으로 사용이 강제되었다.[161]

1940년 소련의 리투아니아 점령, 1941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점령, 1944년 소련의 재점령으로 리투아니아는 독립 국가 지위를 잃고 소련의 일부인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160] 소련 당국은 리투아니아어·러시아어 이중언어 체계를 도입했다.[160] 러시아어는 소련 공식 언어로 리투아니아어보다 우월한 지위를 가졌고, 리투아니아어는 지속적으로 사용이 위축되며 리투아니아인과 리투아니아어 모두 강력한 러시아화 압박을 받았다.[162][160] 소련 산업화로 많은 러시아어 화자들이 노동자, 전문가, 교수로 리투아니아 SSR에 이주했다.[163]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 공산당 중앙 위원회, 국가 기관, 라디오 및 TV 방송에서 우위를 점했다. 1948년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공산당원 22,000명 중 80%가 러시아인이었고, 1970년 리투아니아 라디오 및 TV 방송의 61~74%가 러시아어로 송출되었다.[163] 리투아니아인들은 러시아어를 사용하지 않는 소극적 저항을 이어갔다.[164]

1988년 11월 18일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는 사유디스와 리투아니아 사회의 압력으로 리투아니아어를 공식 언어로 재지정하였다.[161]

1990년 3월 11일 리투아니아 공화국 최고 위원회는 리투아니아 국가재건법을 반포하고 임시 기본법에 리투아니아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명시했으며, 1992년 10월 25일 리투아니아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으로 확정하며 법적 지위를 공고히 하였다.[161][165]

2. 5. 독립 회복 이후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리투아니아어는 문법과 음운 면에서 언어학적으로 보수적인 특징을 지니며, 산스크리트어(특히 베다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그리스어와 같은 고대 언어에서만 나타나는 특징들을 보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투아니아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가 1500년대 경에 불과함에도 인도유럽조어 재구에 있어 중요한 언어로 간주된다.[147]

리투아니아어는 프란츠 보프,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달베르트 베첸베르거(Adalbert Bezzenberger), 루이스 옐름슬레우(Louis Hjelmslev),[148] 페르디낭 드소쉬르,[149] 윈프리드 리먼(Winfred P. Lehmann), 블라디미르 토포로프[150] 등 여러 언어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원시 발트슬라브어는 인도유럽조어에서 분리된 후 원시 발트어원시 슬라브어로 나뉘었다. 이후 원시 발트어는 원시 서부 발트어(Proto-West Baltic)와 리투아니아어의 조상인 원시 동부 발트어(Proto-East Baltic)로 분화하였다.[151] 원시 발트어는 원시 슬라브어와 어휘, 형태론, 음운론, 악센트 등 많은 언어적 특징(isogloss)을 공유했으며, 리투아니아어는 이러한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어 음운 규칙을 통해 슬라브어 단어를 유추할 수 있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늑대를 뜻하는 리투아니아어 ''vilkas''와 폴란드어 wilk는 원시 발트슬라브어 *wilká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인도유럽조어 *wĺ̥kʷos에서 기원한다.

몇몇 언어연대학적 추정에 따르면,[152][153] 동부 발트어군과 서부 발트어군은 기원후 400년에서 600년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 프톨레마이오스는 2세기에 이미 두 발트 부족인 갈린다이와 수디노이(Γαλίνδαι, Σουδινοί)의 존재를 기록한 바 있다. 라트비아어와는 그보다 늦게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변천 과정은 명확하지 않다.

리투아니아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프로이센 공국에서 입말로 사용되다가, 13세기 리투아니아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문어로 쓰이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54] 1250년경 리투아니아 대공 민다우가스세례를 받고 리투아니아 왕으로 즉위하면서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이 기도문을 리투아니아어로 번역하여 문서로 남겼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남아있는 문서는 없다.[154]

15세기 이전에 작성된 리투아니아어 문서는 전해지지 않지만, 1414~1418년 콘스탄츠 공의회 참여자들이 사용한 언어 중 하나로 리투아니아어가 언급된다.[155][156][154]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리투아니아어 문서는 1503년에서 1525년 사이에 남부 아욱슈타이티야 방언으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기도문, 성모송, 니케아 신경이다.[154] 1547년 1월 8일에는 최초의 리투아니아어 저서인 마르티나스 마주비다스의 ''교리 문답''(''Catechism'' of Martynas Mažvydas)이 출판되었다.[154]

1864년 1월 봉기 이후, 러시아령 리투아니아 총독 미하일 무라비요프(Михаи́л Муравьёв, 1796~1866)는 리투아니아어 교육 및 출판을 금지하고 라틴 문자 사용도 금지했다. 그러나 동프로이센미국에서는 리투아니아어 서적이 계속 출판되었으며,[157] 혹독한 형벌에도 불구하고 크니그네셰이(knygnešiai)라 불린 리투아니아어 서적 밀수꾼들의 활동은 리투아니아 민족주의를 재부흥시켰고, 결국 1904년 금지령이 해제되기에 이르렀다.[158]

요나스 야블론스키스(Jonas Jablonskis, 1860~1930)는 리투아니아어 표준을 정립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159] 19세기 동안 리투아니아어 표기법은 점진적으로 발전했지만, 현대 리투아니아어 표준의 핵심적인 표기 원칙을 정립하고 상세히 설명한 것은 야블론스키스의 저서 ''Lietuviškos kalbos gramatika''가 처음이었다.[159][160] 야블론스키스가 제시한 리투아니아어 정서법은 그의 모어인 서부 아욱슈타이티야 방언을 바탕으로 소리투아니아(Lithuania Minor)의 동부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어(eastern Prussian Lithuanian)의 특징을 일부 반영한 것이었다.[159][160] 이 방언들은 다른 방언들과 달리 이웃한 고대 프로이센어의 영향을 받아 옛 음운 체계를 대부분 보존하고 있었다.

1862년부터 1944년까지 소리투아니아(Lithuania Minor)에서는 리투아니아어 교육이 전면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리투아니아어는 소리투아니아에서 소멸하였다.[160]

1918년 리투아니아가 독립하면서 리투아니아어는 공용어 지위를 얻었고, 법적으로 사용이 강제되었다.[161]

1940년 소련의 리투아니아 점령, 1941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점령, 1944년 소련의 재점령을 거치면서 리투아니아는 독립 국가 지위를 상실하고 소련의 일부인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160] 소련 당국은 리투아니아어와 러시아어 이중 언어 체계를 도입했다.[160] 소련의 공식 언어인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어보다 우위에 있었고, 리투아니아어는 지속적으로 사용이 위축되면서 리투아니아인과 리투아니아어 모두 강력한 러시아화 압박을 받았다.[162][160] 더욱이 소련의 산업화로 인해 많은 러시아어 화자들이 노동자, 전문가, 교수로 리투아니아 SSR에 이주하였다.[163] 그 결과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를 비롯한 국가 기관, 라디오 및 TV 방송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1948년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공산당원 22,000명 중 80%가 러시아인이었고, 1970년 리투아니아 라디오 및 TV 방송의 61~74%가 러시아어로 송출되었다.[163] 리투아니아인들은 러시아어를 사용하지 않는 소극적인 저항을 이어나갔다.[164]

1988년 11월 18일,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는 사유디스(Sąjūdis)와 리투아니아 사회의 압력으로 리투아니아어를 공식 언어로 재지정했다.[161]

1990년 3월 11일, 리투아니아 공화국 최고 위원회(Supreme Council of the Republic of Lithuania)는 리투아니아 국가재건법을 선포하고 임시 기본법(''Laikinasis Pagrindinis Įstatymas'')에서 리투아니아어를 리투아니아의 유일한 공용어로 명시했다. 이후 1992년 10월 25일 리투아니아 헌법 국민투표에서 해당 법률을 바탕으로 한 헌법이 통과되면서 리투아니아어의 법적 지위는 공고해졌다.[161][165]

3. 문자

리투아니아어는 32개의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ą, č, ę, ė, į, š, ų, ū, ž 등 9개의 구분 부호가 붙은 문자를 포함하며, q, w, x는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외국어 표기에는 q, w, x가 사용되기도 한다.

대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소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영어와 다르게 Į 다음에 Y가 오며, Q, W, X는 쓰이지 않는다.

이 밖에도 3개의 이중음자를 사용하나 각각 하나의 문자가 아닌 두 문자의 연속으로 취급된다. 이중음자 ''ch''는 연구개 마찰음을 나타내는 반면, ''dz''와 ''dž''는 두 자음을 합친 파찰음을 나타낸다.

: Dz dz (dzė), Dž dž (džė), Ch ch (cha).

리투아니아어 표기에서 특징적으로 쓰이는 철자 ''Ė''는 다니엘 클라인이 그의 저서 ''Grammatica Litvanica''에서 처음 제안하였고 이후 문자 체계 안에 자리를 잡았다.[166][167][168]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는 ''Ė'' 대신 위에 두 점이 달린 ''Ë''를 쓸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169] 다니엘 클라인은 ''V''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W''를 쓰는 방식을 제시하였으나, 이는 나중에 ''Varpas'' 신문의 저자들을 비롯한 사람들에 의해 ''V''로 대체되었다.[166][169]

리투아니아어의 표기 체계는 대체로 1자 1음소의 규칙을 따르나, 몇 가지 예외가 있다. 철자 ''i''는 영어의 ''sit''과 같은 모음을 나타내거나, 묵음이고 앞의 자음이 구개음화됨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리투아니아어 알파벳은 이중음자 ''sz'', ''cz''와 ''Ł''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후 19세기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재부흥기(Lithuanian National Revival)에 들어서면서 ''Ł''은 퇴출되었으나 ''sz'', ''cz'' 이중음자는 체코어 알파벳에서 가져온 ''š'', ''č''가 더 짧다는 이유로 대체되었다.[169] 리투아니아어는 체코어 알파벳에서 ''ž'' 또한 도입하였다.

비음화 된 모음을 나타내는 철자 ''ą''와 ''ę''는 폴란드어 알파벳에서 도입되었으며 르네상스 리투아니아 문학에서 처음 쓰였고, 나중에 이와 비슷한 원리로 i와 u에 대응하는 비음을 나타내기 위해 ''į''와 ''ų'' 또한 쓰게 되었다.[169] 철자 ''ū''는 언어학자 요나스 야블론스키스가 정서법을 정리하며 추가한 철자이다.[169]

''Ū''·''ū'' 위에 붙은 "¯"(매크론), ''Ą''·''ą''·''Ę''·''ę''·''Į''·''į''·''Ų''·''ų'' 밑에 붙은 "˛"(오고넥), 그리고 ''i'' 대신 쓰는 ''y''는 문법 및 어원을 따지기 위해 쓰이며 현대 표준 리투아니아어에서는 항상 모음의 길이를 구분하는데 쓰인다.

리투아니아어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c와 d 사이에 č, s와 t 사이에 š, z 다음에 ž가 오도록 배열되며, a와 ą, e와 ę와 ė, i와 į와 y, u와 ų와 ū는 구분하지 않는다. y가 x와 z 사이가 아닌 i와 į와 구분 없이 배열되는 점에서 다른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와 순서가 다르다.

기본적으로 1글자 1음소이지만, dz, dž, ch는 각각 2글자로 1음소를 나타낸다.

또한, 모음 문자는 원래 있던 비음(ą, ę, į, ų)이 장모음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현대에는 a와 e가 악센트의 관계로 장모음화되었을 때 각각 ą와 ę와 같은 발음이 되고, y는 į와, ū는 ų와 각각 같은 발음이 된다.

3. 1. 문자 체계

리투아니아어는 32개의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A, Ą, B, C, Č, D, E, Ę, Ė, F, G, H, I, Į, Y, J, K, L, M, N, O, P, R, S, Š, T, U, Ų, Ū, V, Z, Ž가 있으며, Q, W, X는 포함되지 않지만 외국어 표기에는 사용되기도 한다.

리투아니아어 알파벳은 영어와 다르게 Į 다음에 Y가 오며, 리투아니아어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CD 사이에 Č, ST 사이에 Š, Z 다음에 Ž가 오도록 배열된다. AĄ, EĘĖ, IĮY, UŲŪ는 구분하지 않는다.

대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소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리투아니아어는 이중음자 ''dz'', ''dž'', ''ch''를 사용하나 각각 하나의 문자가 아닌 두 문자의 연속으로 취급된다. ''ch''는 연구개 마찰음을 나타내는 반면, ''dz''와 ''dž''는 두 자음을 합친 파찰음을 나타낸다.

리투아니아어 표기에서 특징적으로 쓰이는 철자 ''Ė''는 다니엘 클라인이 그의 저서 ''Grammatica Litvanica''에서 처음 제안하였고 이후 문자 체계 안에 자리를 잡았다.[166][167][168]

리투아니아어의 표기 체계는 대체로 1자 1음소의 규칙을 따르나, 몇 가지 예외가 있다. 철자 ''i''는 영어의 ''sit''과 같은 모음을 나타내거나, 그 자신은 묵음이고 앞의 자음이 구개음화됨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리투아니아어 알파벳은 한때 이중음자 ''sz'', ''cz''와 ''Ł''를 포함하고 있었다. 19세기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재부흥기(Lithuanian National Revival)에 들어서면서 ''Ł''은 퇴출되었고, ''sz'', ''cz'' 이중음자는 체코어 알파벳에서 가져온 ''š'', ''č''로 대체되었다.[169] 리투아니아어는 체코어 알파벳에서 ''ž'' 또한 도입하였다.

비음화 된 모음을 나타내는 철자 ''ą''와 ''ę''는 폴란드어 알파벳에서 도입되었으며, 르네상스 리투아니아 문학에서 처음 쓰였다. 나중에 이와 비슷한 원리로 IU에 대응하는 비음을 나타내기 위해 ''į''와 ''ų'' 또한 쓰게 되었다.[169] 철자 ''ū''는 언어학자 요나스 야블론스키스가 정서법을 정리하며 추가한 철자이다.[169]

''Ū''·''ū'' 위에 붙은 "¯"(매크론), ''Ą''·''ą''·''Ę''·''ę''·''Į''·''į''·''Ų''·''ų'' 밑에 붙은 "˛"(오고넥), 그리고 ''i'' 대신 쓰는 ''y''는 문법 및 어원을 따지기 위해 쓰이며 현대 표준 리투아니아어에서는 항상 모음의 길이를 구분하는데 쓰인다.

3. 2. 문자 목록

리투아니아어는 32개의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ą, č, ę, ė, į, š, ų, ū, ž 등 9개의 구분 부호가 붙은 문자를 포함하며, q, w, x는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외국어 표기에는 q, w, x가 사용되기도 한다.

대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소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영어와 다르게 Į 다음에 Y가 오며, 리투아니아어 알파벳에는 Q, W, X가 없다.

이 밖에도 3개의 이중음자를 사용하나 각각 하나의 문자가 아닌 두 문자의 연속으로 취급된다. 이중음자 ''ch''는 연구개 마찰음을 나타내는 반면, ''dz''와 ''dž''는 두 자음을 합친 파찰음을 나타낸다.

: Dz dz (dzė), Dž dž (džė), Ch ch (cha).

리투아니아어 표기에서 특징적으로 쓰이는 철자 ''Ė''는 다니엘 클라인(Daniel Klein)이 그의 저서 ''Grammatica Litvanica''에서 처음 제안하였고 이후 문자 체계 안에 자리를 잡았다.[166][167][168] 단,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는 ''Ė'' 대신 위에 두 점이 달린 ''Ë''를 쓸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169] 또한 다니엘 클라인의 저서 ''Grammatica Litvanica''에는 ''V''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W''를 쓰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 방식은 나중에 ''Varpas'' 신문의 저자들을 비롯한 사람들에 의해 ''V''로 대체되었다.[166][169] 특히 ''W''를 ''V''로 바꿔 쓰는 것은 20세기 초반부터 크게 늘어났으며, 이는 리투아니아어 출판 매체와 교육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리투아니아어의 표기 체계는 대체로 1자 1음소의 규칙을 따른다. 이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철자 ''i''의 경우 영어의 ''sit''과 같은 모음을 나타내거나 그 자신은 묵음이고 앞의 자음이 구개음화됨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리투아니아어 알파벳은 이중음자 ''sz'', ''cz''와 ''Ł''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후 19세기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재부흥기(Lithuanian National Revival)에 들어서면서 ''Ł''은 퇴출되었으나 ''sz'', ''cz'' 이중음자는 체코어 알파벳에서 가져온 ''š'', ''č''가 더 짧다는 이유로 대체되었다.[169] 이는 공식적으로 두 이중음자를 바꾼 이유였으나 다른 이유로는 폴란드어와 리투아니아어를 구분하려는 심리 또한 존재하였다.[169]

비음화 된 모음을 나타내는 철자 ''ą''와 ''ę''는 폴란드어 알파벳에서 도입되었으며 르네상스 리투아니아 문학에서 처음 쓰였고, 나중에 이와 비슷한 원리로 i와 u에 대응하는 비음을 나타내기 위해 ''į''와 ''ų'' 또한 쓰게 되었다.[169] 철자 ''ū''는 언어학자 요나스 야블론스키스가 정서법을 정리하며 추가한 철자이다.[169]

''Ū''·''ū'' 위에 붙은 "¯"(매크론, macron), ''Ą''·''ą''·''Ę·ę·Į·į·Ų·ų'' 밑에 붙은 "˛"(오고넥, ogonek), 그리고 ''i'' 대신 쓰는 ''y''는 문법 및 어원을 따지기 위해 쓰이며 현대 표준 리투아니아어에서는 항상 모음의 길이를 구분하는데 쓰인다.

리투아니아어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c와 d 사이에 č, s와 t 사이에 š, z 다음에 ž가 오도록 배열되며, a와 ą, e와 ę와 ė, i와 į와 y, u와 ų와 ū는 구분하지 않는다. y가 x와 z 사이가 아닌 i와 į와 구분 없이 배열되는 점에서 다른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와 순서가 다르다.

기본적으로 1글자 1음소이지만, dz, dž, ch는 각각 2글자로 1음소를 나타낸다.

또한, 모음 문자는 원래 있던 비음(ą, ę, į, ų)이 장모음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현대에는 a와 e가 악센트의 관계로 장모음화되었을 때 각각 ą와 ę와 같은 발음이 되고, y는 į와, ū는 ų와 각각 같은 발음이 된다.

4. 음운

리투아니아어는 32개의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ą, č, ę, ė, į, š, ų, ū, ž 등 9개의 구분 부호가 붙은 문자를 포함하며, q, w, x는 포함하지 않지만 외국어 표기에는 사용되기도 한다.[171]

리투아니아어 사전에서는 c와 d 사이에 č, s와 t 사이에 š, z 다음에 ž가 오도록 배열되며, a와 ą, e와 ę와 ė, i와 į와 y, u와 ų와 ū는 구분하지 않는다. y는 i와 į와 함께 배열되어 다른 라틴 문자 사용 언어와 순서가 다르다.

기본적으로 1글자 1음소이지만, dz, dž, ch는 각각 2글자로 1음소를 나타낸다. 모음 문자는 원래 비음(ą, ę, į, ų)이 장모음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현대에는 a와 e가 악센트의 관계로 장모음화되었을 때 각각 ą와 ę와 같은 발음이 되고, y는 į와, ū는 ų와 각각 같은 발음이 된다.

이중 모음은 ai, au, ei, ie, ui, uo의 여섯 종류가 있다. 혼합 이중 모음으로는 an, am, ar, al, en, em, er, el, in, im, ir, il, un, um, ur, ul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하나의 음소로 취급된다. 예를 들어, tiltas|틸타스lt 〈다리〉나 žvirblis|주비를리스lt 〈참새〉처럼 뒤에 자음이 이어지는 "il", "ir"은 혼합 이중 모음이지만, žilas|질라스lt 〈백발의〉나 kibiras|키비라스lt 〈양동이〉처럼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는 혼합 이중 모음에 해당하지 않는다.

억양은 단순한 강세(스트레스) 억양이 아니라, 음절 내 음의 높낮이(성조)에 음의 강약·장단, 모음의 질이 복잡하게 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투아니아어가 순수한 성조를 가진 언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리투아니아어 전통 사전에서는 그라베, 아큐트, 틸데 세 종류의 억양 기호를 사용한다. 이 기호들은 일반적인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표기는 같지만 억양이 다른 단어를 구분할 때 사용될 수 있다.[173]

4. 1. 자음

/j/lt를 제외한 모든 리투아니아어 자음은 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hard consonant)과 구개음화된 자음(soft consonant)으로 쌍을 이룬다. /f/lt, /x/lt, /ɣ/lt 및 이에 대응하는 구개음화 음운은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171]

/t͡ɕ, d͡ʑ, ɕ, ʑ/lt는 전통적으로 /t͡ʃʲ, d͡ʒʲ, ʃʲ, ʒʲ/lt로도 표기되었으나, 앞의 표기가 더 적기 편리하다는 점을 빼면 동일한 소리를 가리키는 표기이다.[171]

리투아니아어 표기에는 32개의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소문자aąbcčdeęėfghiįyjklmnoprsštuųūvzž



ą, č, ę, ė, į, š, ų, ū, ž 등 9개의 구분 부호가 붙은 문자를 포함하며, q, w, x는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외국어 표기에는 이 문자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리투아니아어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c와 d 사이에 č, s와 t 사이에 š, z 다음에 ž가 오도록 배열되며, a와 ą, e와 ę와 ė, i와 į와 y, u와 ų와 ū는 구분하지 않는다. y가 x와 z 사이가 아닌 i와 į와 구분 없이 배열되는 점에서 다른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와 순서가 다르다.

기본적으로 1글자 1음소이지만, dz, dž, ch는 각각 2글자로 1음소를 나타낸다.

모음 문자는 원래 있던 비음(ą, ę, į, ų)이 장모음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현대에는 a와 e가 악센트의 관계로 장모음화되었을 때 각각 ą와 ę와 같은 발음이 되고, y는 į와, ū는 ų와 각각 같은 발음이 된다.

4. 2. 모음

리투아니아어는 전통적으로 6개의 긴 모음과 4개의 짧은 모음을 가지며, 외래어에서 유입된 /e, ɔ/|e, ɔlt를 포함한다. 전통적으로는 모음의 길이가 변별적 특징이었지만, 짧은 모음은 좀 더 중앙 모음이고 긴 모음은 좀 더 주변 모음이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ː|iːltɪ|ɪltcolspan="2"|ʊ|ʊltuː|uːlt
중모음eː|eːltɛ|ɛlt, (e|elt)colspan="2"|(ɔ|ɔlt)oː|oːlt
저모음æː|æːltɐ|ɐltä|aː|ältcolspan="2"|



/e, ɔ/|e, ɔlt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며, 많은 리투아니아어 화자들은 /e/|elt를 /ɛ/|ɛlt와 점차 구분하고 있지 않다.[1]

모음 문자는 원래 있던 비음(ą, ę, į, ų)이 장모음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현대에는 a와 e가 악센트의 관계로 장모음화되었을 때 각각 ą와 ę와 같은 발음이 되고, y는 į와, ū는 ų와 각각 같은 발음이 된다.

이중 모음은 기본적으로 ai, au, ei, ie, ui, uo의 여섯 종류가 있다. 또한, 혼합 이중 모음으로 an, am, ar, al, en, em, er, el, in, im, ir, il, un, um, ur, ul이 있다. 이들은 모두 하나의 음소로 취급된다. 예를 들어, tiltas|틸타스lt 〈다리〉나 žvirblis|주비를리스lt 〈참새〉의 "il", "ir"처럼 뒤에 다른 자음이 이어지는 것은 혼합 이중 모음이지만, žilas|질라스lt 〈백발의〉나 kibiras|키비라스lt 〈양동이〉의 "il", "ir"처럼 뒤가 모음인 것은 혼합 이중 모음에 해당하지 않는다.

4. 3. 이중모음

or tildeacute stressaieiaueuiau[172]oi—ou—uiuo[172]



이중 모음은 기본적으로 ai, au, ei, ie, ui, uo의 여섯 종류가 있다. 또한, 혼합 이중 모음으로 an, am, ar, al, en, em, er, el, in, im, ir, il, un, um, ur, ul이 있다. 이들은 모두 하나의 음소로 취급된다. 예를 들어, tiltas|틸타스lt 〈다리〉나 žvirblis|주비르블리스lt 〈참새〉의 "il", "ir"처럼 뒤에 다른 자음이 이어지는 것은 혼합 이중 모음이지만, žilas|질라스lt 〈백발의〉나 kibiras|키비라스lt 〈양동이〉의 "il", "ir"처럼 뒤가 모음인 것은 혼합 이중 모음에 해당하지 않는다.

4. 4. 고저 악센트

리투아니아어의 운율 체계는 자유 강세와 변별적 음량을 특징으로 한다. 그 억양은 때때로 단순 성조 체계로 기술되며, 흔히 고저 악센트라고 불린다.[173] 어휘 단어에서는 한 음절이 성조상 두드러진다. 긴 모음, 이중모음 또는 공명음 말음을 포함하는 중음절은 두 가지 성조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하강 성조(또는 급격 성조)와 상승 성조(또는 완만 성조)이다. 단모음과 선택적으로 장애음 말음을 가진 경음절은 중음절이 갖는 이원적 대비를 가지지 않는다.

억양은 단순한 강세(스트레스) 억양이 아니라, 음절 내 음의 높낮이인 성조(톤)에 음의 강약·장단, 그리고 모음의 질이 복잡하게 관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리투아니아어가 순수한 성조를 가진 언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리투아니아어 전통 사전에서는 억양을 나타내는 기호로 그라베, 아큐트, 틸데 세 종류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호는 일반적인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표기는 같지만 억양이 다른 단어를 구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라베, 아큐트, 틸데는 기본적으로 각각 단모음 억양, 하강 억양, 상승 억양의 세 가지 억양에 대응한다.

# '''단모음 억양''': 단모음에 붙는다. 다른 두 종류의 억양과의 통일성으로부터 "trumpinė priegaidė|단음조lt"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억양은 너무 짧아서 듣기 어렵지만 하강 억양이나 상승 억양이 실제이며, 단음조라고 부르는 것은 편의적인 측면이 강하다.

# '''하강 억양'''(tvirtapradė priegaidė|단단한 시작의 음조lt):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에 붙는다. 하지만 혼합 이중모음 in, im, ir, il, un, um, ur, ul의 하강 억양을 나타낼 때는 예외적으로 첫 번째 모음을 각각 ì, ù로 나타낸다.

# '''상승 억양'''(tvirtagalė priegaidė|단단한 끝의 음조lt): 하강 억양과 마찬가지로 장모음 및 이중모음에 붙는다.

5. 문법

리투아니아어는 문법적 성(性) 구분이 있고 7개의 격(格)을 가지는 등, 현대어임에도 인도유럽조어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억양은 단순한 강세(스트레스) 억양이 아니라, 음절 내 음의 높낮이인 성조(톤)에 음의 강약·장단, 그리고 모음의 질이 복잡하게 관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리투아니아어가 순수한 성조를 가진 언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리투아니아어 전통 사전에서는 억양을 나타내는 기호로 그라베, 아큐트, 틸데 세 종류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호는 일반적인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표기는 같지만 억양이 다른 단어를 구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 áukštaslt 〈높은〉, aũkštaslt 〈층〉; mìntilt〈밟다〉, miñtilt〈기억하다〉).

그라베, 아큐트, 틸데는 기본적으로 각각 단모음 억양, 하강 억양, 상승 억양의 세 가지 억양에 대응한다.

# '''단모음 억양'''( trumpinė priegaidėlt ): 단모음에 붙는다 (예: p'''ì'''ktaslt〈화난〉; d'''ù'''ryslt〈문〉). 너무 짧아서 듣기 어렵지만, 편의상 단음조라고 부른다.[82]

# '''하강 억양'''(tvirtapradė priegaidėlt):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áu). 혼합 이중모음 in, im, ir, il, un, um, ur, ul의 하강 억양을 나타낼 때는 예외적으로 첫 번째 모음을 각각 ì, ù로 나타낸다 (예: '''ìl'''gaslt).

# '''상승 억양'''(tvirtagalė priegaidėlt): 장모음 및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aũ).

5. 1. 명사

리투아니아어의 명사형용사에는 (giminė) 구별이 있다. 명사에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가 있으며, 중성 명사는 없다. 형용사의 경우,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는 그 성이 수식하는 명사의 성에 일치하고, 명사를 수식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성이 된다.

리투아니아어의 (linksnis)에는 다음 7가지가 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도 오래된 특징을 지닌다.[138]

위의 일본어 번역은 참고용이며, 실제로는 단어나 문맥에 따라 다른 일본어로 번역된다.

옛 리투아니아어에는 입격(iliatyvas), 접속격(adesyvas), 향격(aliatyvas)도 존재했다. 현대에도 방언 등에서 볼 수 있다.

전간기 리투아니아에서 발행되었던 2리타스 주화. "DU LITU"라고 복수형으로 표기되어 있다(현재 표준어에서는 복수형으로 "du litai").


에 관해서는, 현재 표준어에서는 하나의 것을 나타낼 때 단수형(vienaskaita)이, 둘 이상의 것을 나타낼 때 복수형(daugiskaita)이 사용된다. 단, 불가산명사의 경우 단수형 또는 복수형만 존재한다. 가산명사라도 단수형이 존재하지 않는 명사도 있다(예: metai(년), durys(문), džinsai(청바지) 등).

과거 리투아니아어에는 단수형이나 복수형 외에 두 개의 것을 나타내는 이중수(dviskaita)도 존재했다. 현재 방언 등에서는 이중수가 남아 있는 지역도 있지만, (대명사 이외에서는)[139] 표준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리투아니아어의 명사(daiktavardis)는 다음과 같이 격변화하며, 규칙성에 따라 제1변화부터 제5변화까지 5가지로 분류된다.

제1 변화에 분류되는 명사는 남성 명사이다. 단수 주격이 -is로 끝나는 점에서는 제3 변화 명사와 같지만, 격 변화가 다르다. petys("어깨")는 단수 속격이 예외적으로 peties가 된다(드물게 단수 주격이 petis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명사(제1 변화)의 격 변화'''
단수
style="text-align:right; width:3em; background-color:#ccf" |-as
vyras
「남자/남편」
-ias
kelias
「길」
-is
brolis
「형제/남매」
-ys
arklys
「말」
주격-as
vyras
-ias
kelias
-is
brolis
-ys
arklys
속격-o
vyro
-io
kelio
-io
brolio
-io
arklio
여격-ui
vyrui
-iui
keliui
-iui
broliui
-iui
arkliui
대격
vyrą
-ią
kelią

brolį

arklį
소유격-u
vyru
-iu
keliu
-iu
broliu
-iu
arkliu
처격-e
vyre
-yje
kelyje
-yje
brolyje
-yje
arklyje
호격-e
vyre
-y
kely
-i
broli
-y
arkly
복수
주격-ai
vyrai
-iai
keliai
-iai
broliai
-iai
arkliai
속격
vyrų
-ių
kelių
-ių
brolių
-ių
arklių
여격-ams
vyrams
-iams
keliams
-iams
broliams
-iams
arkliams
대격-us
vyrus
-ius
kelius
-ius
brolius
-ius
arklius
소유격-ais
vyrais
-iais
keliais
-iais
broliais
-iais
arkliais
처격-uose
vyruose
-iuose
keliuose
-iuose
broliuose
-iuose
arkliuose
호격-ai
vyrai
-iai
keliai
-iai
broliai
-iai
arkliai



단수 주격이 -as로 끝나는 명사는 위 표와 같이 기본적으로 호격 어미는 -e가 되지만, 일부 예외도 있다.



고유명사 Tokijas("도쿄")는 처격이 예외적으로 Tokije가 아니라 Tokijuje가 된다.

5. 2. 형용사

geras
"좋은"
여성
gera
"좋은"
남성
gražus
"아름다운"
여성
graži
"아름다운"
남성
naminis
"가정의"
여성
naminė
"가정의"
단수주격-as
geras-a
gera-us
gražus-i
graži-is
naminis
naminė소유격-o
gero-os
geros-aus
gražaus-ios
gražios-io
naminio-ės
naminės여격-am
geram-ai
gerai-iam
gražiam-iai
gražiai-iam
naminiam-ei
naminei목적격
gerą
gerą
gražų-ią
gražią
naminį
naminę탈격-u
geru-a
gera-iu
gražiu-ia
gražia-iu
naminiu-e
namine처격-ame
gerame-oje
geroje-iame
gražiame-ioje
gražioje-iame
naminiame-ėje
naminėje호격-as
geras-a
gera-us
gražus-i
graži-i
namini-e
namine복수주격-i
geri-os
geros-ūs
gražūs-ios
gražios-iai
naminiai-ės
naminės소유격
gerų
gerų-ių
gražių-ių
gražių-ių
naminių-ių
naminių여격-iems
geriems-oms
geroms-iems
gražiems-ioms
gražioms-iams
naminiams-ėms
naminėms목적격-us
gerus-as
geras-ius
gražius-ias
gražias-ius
naminius-es
namines탈격-ais
gerais-omis
geromis-iais
gražiais-iomis
gražiomis-iais
naminiais-ėmis
naminėmis처격-uose
geruose-ose
gerose-iuose
gražiuose-iose
gražiose-iuose
naminiuose-ėse
naminėse호격-i
geri-os
geros-ūs
gražūs-ios
gražios-iai
naminiai-ės
naminės중성style="background-color:#ccc" |-a
gera-u
gražu(없음)부사style="background-color:#ccc" |-ai
gerai-iai
gražiai(없음)



"보다 ~하다"를 나타내는 비교급과 "가장 ~하다"를 나타내는 최상급은 각각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단, 위에서 언급한 대로 제3변화로 분류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재질이나 성질에 관한 형용사이기 때문에 비교급이나 최상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didelis* ("크다")는 비교급과 최상급을 가지며, 각각 *didesnis*, *didžiausias*가 된다. 그 변화도 예외적이다(아래 표 참조).

또한, "나이가 들었다" 및 "오래되었다"를 의미하는 형용사 *senas*는 "나이가 들었다"라는 의미에서는 비교급이나 최상급을 가지지 않고, 비교급 *senesnis*와 최상급 *seniausias*는 각각 "보다 오래된", "가장 오래된"이라는 의미가 된다. "나이가 많은"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vyresnis*, "가장 나이가 많은"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vyriausias*가 사용된다.

참고로, 비교급과 최상급은 각각의 주격 어미에 맞춰 일반적인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격변화한다(예를 들어, *geras*의 비교급 *geresnis*는 어미가 '-is'이기 때문에 제3변화 형용사와 같은 변화를 하고, 최상급 *geriausias*는 어미가 '-as'이기 때문에 제1변화 형용사와 같은 변화를 한다).

'''형용사·부사의 비교급·최상급'''
style="background-color:#aaa" |제1변화제2변화didelis
style="width:3.5em; background-color:#ccc; text-align:right" |남성
geras
"좋은"
여성
gera
"좋은"
남성
gražus
"아름다운"
여성
graži
"아름다운"
남성
didelis
"큰"
여성
didelė
"큰"
단수
원급-as
geras
-a
gera
-us
gražus
-i
graži
didelisdidelė
비교급-esnis
geresnis
-esnė
geresnė
-esnis
gražesnis
-esnė
gražesnė
didesnisdidesnė
최상급-iausias
geriausias
-iausia
geriausia
-iausias
gražiausias
-iausia
gražiausia
didžiausiasdidžiausia
복수
원급-i
geri
-os
geros
-ūs
gražūs
-ios
gražios
didelididelės
비교급-esni
geresni
-esnės
geresnės
-esni
gražesni
-esnės
gražesnės
didesnididesnės
최상급-iausi
geriausi
-iausios
geriausios
-iausi
gražiausi
-iausios
gražiausios
didžiausididžiausios
중성
원급-a
gera
-u
gražu
didu
비교급-iau
geriau
-iau
gražiau
didžiau
최상급-iausia
geriausia
-iausia
gražiausia
didžiausia
부사
원급-ai
gerai
-iai
gražiai
didžiai
비교급-iau
geriau
-iau
gražiau
didžiau
최상급-iausiai
geriausiai
-iausiai
gražiausiai
didžiausiai



한정형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를 한정하거나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정형 형용사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대명사(tas 등)나 수사, 또는 분사에도 한정형을 취하는 것이 있다.[142]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형용사(한정형)의 격 변화'''

! style="background-color:#aaa"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aaa" | 제1변화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aaa" | 제2변화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aaa" | 제3변화

|-

| style="width:3.5em; background-color:#ccc; text-align:right" |

| style="width:6em; background-color:#ccf" | '''남성'''
geras
"좋은"


| style="width:6em; background-color:#fcc" | '''여성'''
gera
"좋은"


| style="width:6em; background-color:#ccf" | '''남성'''
gražus
"아름다운"


| style="width:6em; background-color:#fcc" | '''여성'''
graži
"아름다운"


| style="width:6em; background-color:#ccf" | '''남성'''
vidutinis
"보통의"


| style="width:6em; background-color:#fcc" | '''여성'''
vidutinė
"보통의"


|-

! colspan=7 style="background-color:#aaa" | 단수

|-

! style="background-color:#ccc" | 주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asis'''
gerasis

| style="background-color:#fee" | '''-oji'''
geroji

| style="background-color:#eef" | '''-usis'''
gražusis

| style="background-color:#fee" | '''-ioji'''
gražioji

| style="background-color:#eef" | '''-ysis'''
vidutinysis

| style="background-color:#fee" | '''-ioji'''
vidutinioji

|-

! style="background-color:#ccc" | 소유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ojo'''
gerojo

| style="background-color:#fee" | '''-osios'''
gerosios

| style="background-color:#eef" | '''-iojo'''
gražiojo

| style="background-color:#fee" | '''-iosios'''
gražiosios

| style="background-color:#eef" | '''-iojo'''
vidutiniojo

| style="background-color:#fee" | '''-iosios'''
vidutiniosios

|-

! style="background-color:#ccc" | 여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ajam'''
gerajam

| style="background-color:#fee" | '''-ajai'''
gerajai

| style="background-color:#eef" | '''-iajam'''
gražiajam

| style="background-color:#fee" | '''-iajai'''
gražiajai

| style="background-color:#eef" | '''-iajam'''
vidutiniajam

| style="background-color:#fee" | '''-iajai'''
vidutiniajai

|-

! style="background-color:#ccc" | 대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ąjį'''
gerąjį

| style="background-color:#fee" | '''-ąją'''
gerąją

| style="background-color:#eef" | '''-ųjį'''
gražųjį

| style="background-color:#fee" | '''-iąją'''
gražiąją

| style="background-color:#eef" | '''-įjį'''
vidutinįjį

| style="background-color:#fee" | '''-iąją'''
vidutiniąją

|-

! style="background-color:#ccc" | 도구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uoju'''
geruoju

| style="background-color:#fee" | '''-ąja'''
gerąja

| style="background-color:#eef" | '''-iuoju'''
gražiuoju

| style="background-color:#fee" | '''-iąja'''
gražiąja

| style="background-color:#eef" | '''-iuoju'''
vidutiniuoju

| style="background-color:#fee" | '''-ąja'''
vidutiniąja

|-

! style="background-color:#ccc" | 위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ajame'''
gerajame

| style="background-color:#fee" | '''-ojoje'''
gerojoje

| style="background-color:#eef" | '''-iajame'''
gražiajame

| style="background-color:#fee" | '''-iojoje'''
gražiojoje

| style="background-color:#eef" | '''-iajame'''
vidutiniajame

| style="background-color:#fee" | '''-iojoje'''
vidutiniojoje

|-

! colspan=7 style="background-color:#aaa" | 복수

|-

! style="background-color:#ccc" | 주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ieji'''
gerieji

| style="background-color:#fee" | '''-osios'''
gerosios

| style="background-color:#eef" | '''-ieji'''
gražieji

| style="background-color:#fee" | '''-iosios'''
gražiosios

| style="background-color:#eef" | '''-ieji'''
vidutinieji

| style="background-color:#fee" | '''-iosios'''
vidutiniosios

|-

! style="background-color:#ccc" | 소유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ųjų'''
gerųjų

| style="background-color:#fee" | '''-ųjų'''
gerųjų

| style="background-color:#eef" | '''-iųjų'''
gražiųjų

| style="background-color:#fee" | '''-iųjų'''
gražiųjų

| style="background-color:#eef" | '''-iųjų'''
vidutiniųjų

| style="background-color:#fee" | '''-iųjų'''
vidutiniųjų

|-

! style="background-color:#ccc" | 여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iesiems'''
geriesiems

| style="background-color:#fee" | '''-osioms'''
gerosioms

| style="background-color:#eef" | '''-iesiems'''
gražiesiems

| style="background-color:#fee" | '''-iosioms'''
gražiosioms

| style="background-color:#eef" | '''-iesiems'''
vidutiniesiems

| style="background-color:#fee" | '''-iosioms'''
vidutiniosioms

|-

! style="background-color:#ccc" | 대격

| style="background-color:#eef" | '''-uosius'''
geruosius

| style="background-color:#fee" | '''-ąsias'''
gerąsias

| style="background-color:#eef" | '''-iuosius'''
gražiuosius

| style="background-color:#fee" | '''-iąsias'''
gražiąsias

| style="background-color:#eef" | '''-iuosius'''
vidutiniuosius

| style="background-color:#fee" | '''-iąsias'''
vidutiniąsias

5. 3. 동사

būti|부티lt
「있다/존재하다」일반 동사
eiti|에이티lt
「가다」재귀 동사
mokytis|모키티스lt
「공부하다」단수1인칭-davau
būdavau|부다바우lt-davau
eidavau|에이다바우lt-davausi
mokydavausi|모키다바우시lt2인칭-davai
būdavai|부다바이lt-davai
eidavai|에이다바이lt-davaisi
mokydavaisi|모키다바이시lt3인칭-davo
būdavo|부다보lt-davo
eidavo|에이다보lt-davosi
mokydavosi|모키다보시lt복수1인칭-davome
būdavome|부다보메lt-davome
eidavome|에이다보메lt-davomės
mokydavomės|모키다보메스lt2인칭-davote
būdavote|부다보테lt-davote
eidavote|에이다보테lt-davotės
mokydavotės|모키다보테스lt3인칭-davo
būdavo|부다보lt-davo
eidavo|에이다보lt-davosi
mokydavosi|모키다보시lt



습관 과거 시제의 부정은 현재 시제나 과거 시제와 마찬가지로 단어 앞에 ne-를 붙여 표현한다.

리투아니아어 동사의 미래 시제는 부정사 어미 -ti(s)를 변화시켜 표현된다. 원칙적으로 1인칭 단수 어미는 -siu, 2인칭 단수 어미는 -si, 3인칭 어미는 -s, 1인칭 복수 어미는 -sime, 2인칭 복수 어미는 -site가 된다. 미래 시제의 부정은 현재 시제나 과거 시제와 마찬가지로 단어 앞에 ne-를 붙여 표현된다.

'''동사의 미래 시제'''
colspan=2 |미래 시제
|있다/존재 동사
būti|부티lt
「있다/존재하다」
일반 동사
eiti|에이티lt
「가다」
재귀 동사
mokytis|모키티스lt
「공부하다」
단수1인칭-siu
būsiu|부슈lt
-siu
eisiu|에이슈lt
-siuosi
mokysiuosi|모키슈오시lt
2인칭-si
būsi|부시lt
-si
eisi|에이시lt
-siesi
mokysiesi|모키시에시lt
3인칭-s
bus|부스lt
-s
eis|에이스lt
-sis
mokysis|모키시스lt
복수1인칭-sime
būsime|부시메lt
-sime
eisime|에이시메lt
-simės
mokysimės|모키시메스lt
2인칭-site
būsite|부시테lt
-site
eisite|에이시테lt
-sitės
mokysitės|모키시테스lt
3인칭-s
bus|부스lt
-s
eis|에이스lt
-sis
mokysis|모키시스lt



단, 부정사 어미가 -'''s'''ti(s) 또는 -'''z'''ti(s)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예: vesti → vesiu|베슈lt / vesi|베시lt / ves|베스lt / vesime|베시메lt / vesite|베시테lt / ves|베스lt

:    ※ s를 두 번 중복하여 표기하지 않는다.

:   megzti|메그즈티lt → megsiu|메그슈lt / megsi|메그시lt / megs|메그스lt / megsime|메그시메lt / megsite|메그시테lt / megs|메그스lt

:    ※ z는 뒤에 이어지는 s와 동화된다.

또한, 부정사 어미가 -šti(s) 또는 -žti(s)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예: nešti|네슈티lt → nešiu|네슈lt / neši|네시lt / neš|네슈lt / nešime|네시메lt / nešite|네시테lt / neš|네슈lt

:    ※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s는 š와 동화된다.

:   vežti|베슈티lt → vešiu|베슈lt / veši|베시lt / veš|베슈lt / vešime|베시메lt / vešite|베시테lt / veš|베슈lt

:    ※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s는 ž과 동화되어 š가 된다.

어간(접두사와 부정사 어미 -ti(s)를 제외한 부분)이 한 음절로만 구성되고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3인칭 미래 시제는 장모음 y와 (i)ū는 각각 단모음 '''i'''와 '''(i)u'''로 변화한다. 1인칭과 2인칭은 장모음이 유지된다. 단, 예외적으로 vyti|비티lt와 siūti|슈티lt의 3인칭 미래 시제는 vis|비스lt나 sius|슈스lt가 되는 것이 아니라 vys|비스lt와 siūs|슈스lt가 된다. 후자는 siusti|슈스티lt의 3인칭 미래 시제 sius|슈스lt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장모음이 유지된다.

: 예: būti|부티lt → bus|부스lt

:   lyti|리티lt → lis|리스lt

:   gyti|기티lt → gis|기스lt

:   džiūti|쥬티lt → džius|쥬스lt

어간이 한 음절이어도 그 뒤에 자음이 더 이어지는 경우에는 장모음이 단모음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 예: plyšti|플리슈티lt → plyš|플리슈lt

:   dygti|디그티lt → dygs|디그스lt

:   dūkti|둑티lt → dūks|둑스lt

:   rūgti|룩티lt → rūgs|룩스lt

어간이 두 음절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모음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는다.

리투아니아어 동사의 명령법은 부정형 어미 -ti(s)를 변화시켜 표현된다. 명령은 일반적으로 2인칭 단수로 표현되지만, 2인칭 복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정중한 요청으로 표현된다("~해 주세요"). 또한, 명령법이 1인칭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권유를 나타낸다("~하자").

'''동사의 명령법'''
colspan=2 |명령법
|있다/없다 동사
būti|부티lt
「있다/이다」
일반 동사
eiti|에이티lt
「가다」
재귀 동사
mokytis|모키티스lt
「공부하다」
단수2인칭-k(i)
būk(i)|북(키)lt
-k(i)
eik(i)|에잌(키)lt
-kis
mokykis|모키키스lt
복수1인칭-kime
būkime|부키메lt
-kime
eikime|에이키메lt
-kimės
mokykimės|모키키메스lt
2인칭-kite
būkite|부키테lt
-kite
eikite|에이키테lt
-kitės
mokykitės|모키키테스lt



명령법의 부정은 단어 앞에 ne-를 붙여 표현된다.

: 예: būk|북lt → nebūk|네북lt (있지 마라, ~이 되지 마라)

:   eikime|에이키메lt → neikime|네이키메lt (가지 말자)

:   mokykitės|모키키테스lt → nesimokykite|네시모키키테lt (공부하지 마세요)

참고로, 부정형 어미가 -'''k'''ti(s) 또는 -'''g'''ti(s)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예: laukti|라우크티lt(기다리다) → lauk|라우크lt / laukime|라우키메lt / laukite|라우키테lt

:    ※ k를 두 번 겹쳐 쓰지 않는다.

:   bėgti|베그티lt(달리다) → bėk|베크lt / bėkime|베키메lt / bėkite|베키테lt

:    ※ g는 뒤에 이어지는 k에 동화된다.

리투아니아어의 접속법 현재형은 현재 사실이나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또한, 주어에 해당하는 사람의 의지, 희망 등을 표현할 때에도 사용된다. 부정형 어미 -ti(s)를 변화시켜 표현된다.

'''동사의 접속법'''
colspan=2 |접속법
|존재동사
būti|부티lt
「있다/존재하다」
일반동사
eiti|에이티lt
「가다」
재귀동사
mokytis|모키티스lt
「공부하다」
단수1인칭-čiau
būčiau|부차우lt
-čiau
eičiau|에이차우lt
-čiausi
mokyčiausi|모키차우시lt
2인칭-tum(ei)
būtum(ei)|부툼(에이)lt
-tum(ei)
eitum(ei)|에이툼(에이)lt
-tum(ei)si
mokytum(ei)si|모키툼(에이)시lt
3인칭-tų
būtų|부투lt
-tų
eitų|에이투lt
-tųsi
mokytųsi|모키투시lt
복수1인칭-tu(mė)me
būtu(mė)me|부투(메)메lt
-tu(mė)me
eitu(mė)me|에이투(메)메lt
-tu(mė)mės
mokytu(mė)mės|모키투(메)메스lt
2인칭-tumėte
būtumėte|부투메테lt
-tumėte
eitumėte|에이투메테lt
-tumėtės
mokytumėtės|모키투메테스lt
3인칭-tų
būtų|부투lt
-tų
eitų|에이투lt
-tųsi
mokytųsi|모키투시lt



참고로, 2인칭 복수에는 위의 -tumėte 외에 -tute 등의 형태를 취하는 것도 있지만, 구어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137]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등을 표현할 때는 접속법 과거형이 사용된다. 이것은 접속법 현재형 뒤에 과거 수동 분사의 주격을 이어서 표현한다.

: 예: "Jeigu nebūčiau įstojusi į Vilniaus universitetą, būčiau išvykusi iš Lietuvos." (만약 빌뉴스 대학교에 입학하지 않았더라면, 나는 리투아니아를 떠났을 것이다.)

:    ※여기서는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이 표현되어 있다. 즉, 현실에서는 빌뉴스 대학교에 입학하여 리투아니아에 계속 살고 있었다.

5. 4. 분사

리투아니아어에는 다양한 종류의 분사가 존재하며, 문어뿐 아니라 구어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리투아니아어의 분사는 성, 수, 격에 따라 변하는 형용사적 분사와 변하지 않는 부사적 분사로 나뉜다.[130] 형용사적 분사에는 현재능동분사, 과거능동분사, 습관과거능동분사, 미래능동분사, 현재수동분사, 과거수동분사, 미래수동분사, 필요분사가 있으며, 부사적 분사에는 현재부분사, 과거부분사, 습관과거부분사, 미래부분사가 있다. 반분사(半分詞)는 성과 수에 따라 변하지만, 격 변화는 없으므로 형용사적 분사에도 부사적 분사에도 속하지 않는다.

5. 5. 어순

리투아니아어의 (linksnis)에는 다음 7가지가 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도 오래된 특징을 지닌다.

위의 일본어 번역은 참고이며, 실제로는 단어나 문맥에 따라 다른 일본어로 번역된다.

옛 리투아니아어에는 입격(iliatyvas), 접속격(adesyvas), 향격(aliatyvas)도 존재했다. 현대에도 방언 등에서 볼 수 있다. 제4 변화에 속하는 명사는 남성 명사이다. 이 중에서 단수 주격이 -ius 또는 -jus로 끝나는 명사는 복수형이 제1 변화와 같은 격 변화를 한다.

'''명사 (제4 변화)의 격 변화'''
단수
| style="width:6.5em; background-color:#ccf" | -us
sūnus
「아들」
| style="width:6.5em; background-color:#ccf" | -ius
vaisius
「과일」
| style="width:6.5em; background-color:#ccf" | -jus
muziejus
「박물관」
주격 | -us
sūnus | -ius
vaisius | -jus
muziejus
소유격 | -aus
sūnaus | -iaus
vaisiaus | -jaus
muziejaus
여격 | -ui
sūnui | -iui
vaisiui | -jui
muziejui
목적격 |
sūnų | -ių
vaisių | -jų
muziejų
도구격 | -umi
sūnumi | -iumi
vaisiumi | -jumi
muziejumi
위격 | -uje
sūnuje | -iuje
vaisiuje | -juje
muziejuje
호격 | -au
sūnau | -iau
vaisiau | -jau
muziejau
복수
주격 | -ūs
sūnūs | -iai
vaisiai | -jai
muziejai
소유격 |
sūnų | -ių
vaisių | -jų
muziejų
여격 | -ums
sūnums | -iams
vaisiams | -jams
muziejams
목적격 | -us
sūnus | -ius
vaisius | -jus
muziejus
도구격 | -umis
sūnumis | -iais
vaisiais | -jais
muziejais
위격 | -uose
sūnuose | -iuose
vaisiuose | -juose
muziejuose
호격 | -ūs
sūnūs | -iai
vaisiai | -jai
muziejai


5. 6. 파생어

mokymas
「가르치는 것」
-masis
mokymasis
「학습」
주격-mas
mokymas-masis
mokymasis소유격-mo
mokymo-mosi
mokymosi여격-mui
mokymui-muisi
mokymuisi목적격-mą
mokymą-mąsi
mokymąsi도구격-mu
mokymu-musi
mokymusi위격-me
mokyme-mesi
mokymesi



그 외에도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중에는 규칙성이 보이는 것이 있다.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의 규칙성'''
명사
어미
규칙성예시
-mas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mas는 "~하는 것"을 나타낸다.
어간이 -yti로 끝나는 동사는 -yti를 -mas로 바꾼다. 그 외의 동사는 3인칭 과거형의 마지막 모음을 -imas로 바꾼다.
-ykla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ykla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나타낸다.
동사의 3인칭 과거형의 마지막 모음을 -ykla로 바꾼다.
-sena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sena는 행위의 방법을 나타낸다. 동사의 어간의 마지막 -ti를 -sena로 바꾼다.


6. 어휘

리투아니아어의 억양은 단순한 강세(스트레스) 억양이 아니라, 음절 내 음의 높낮이인 성조(톤)에 음의 강약·장단, 그리고 모음의 질이 복잡하게 관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리투아니아어가 순수한 성조를 가진 언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리투아니아어 전통 사전에서는 억양을 나타내는 기호로 그라베, 아큐트, 틸데 세 종류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호는 일반적인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표기는 같지만 억양이 다른 단어를 구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 áukštas|아우크슈타스lt 〈높은〉, aũkštas|아우크슈타스lt 〈층〉; mìnti|민티lt〈밟다〉, miñti|민티lt〈기억하다〉).

그라베, 아큐트, 틸데는 기본적으로 각각 단모음 억양, 하강 억양, 상승 억양의 세 가지 억양에 대응한다.

# '''단모음 억양''': 단모음에 붙는다 (예: pìktas|픽타스lt〈화난〉; dùrys|두리스lt〈문〉).

# '''하강 억양'''(tvirtapradė priegaidė|트비르타프라데 프리에가이데lt):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áu).

# '''상승 억양'''(tvirtagalė priegaidė|트비르타갈레 프리에가이데lt): 하강 억양과 마찬가지로 장모음 및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aũ).

리투아니아어의 (linksnis)에는 다음 7가지가 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도 오래된 특징을 지닌다.



옛 리투아니아어에는 입격(iliatyvas), 접속격(adesyvas), 향격(aliatyvas)도 존재했으며, 현대에도 방언 등에서 볼 수 있다.

6. 1. 인도유럽어족 어휘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리투아니아어는 문법과 음운 면에서 언어학적으로 보수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어, 산스크리트어(특히 베다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그리스어와 같은 오래된 언어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들을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투아니아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가 1500년대에 불과함에도 인도유럽조어 재구에 중요한 언어로 간주된다.[147]

리투아니아어는 프란츠 보프,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달베르트 베첸베르거, 루이스 옐름슬레우,[148] 페르디낭 드 소쉬르,[149] 윈프리드 리먼, 블라디미르 토포로프[150] 등 여러 언어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원시 발트슬라브어는 인도유럽조어에서 분리되었고, 이후 원시 발트어원시 슬라브어로 나뉘었다. 원시 발트어는 다시 원시 서부 발트어와 리투아니아어의 조상인 원시 동부 발트어로 분화되었다.[151] 원시 발트어는 원시 슬라브어와 어휘, 형태론, 음운론, 악센트 등 많은 언어적 특징을 공유했으며, 리투아니아어는 이러한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음운 규칙을 통해 슬라브어 단어를 유추할 수 있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늑대를 뜻하는 리투아니아어 ''vilkas''와 폴란드어 ''wilk''는 원시 발트슬라브어 ''*wilká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인도유럽조어 ''*wĺ̥kʷos''에서 기원했다.

리투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특징을 가진 언어 중 하나로 여겨지며, 산스크리트어나 고대 페르시아어 등과의 유사성도 지적된다.

예를 들어, "신은 이빨을 주시고, 신은 또 빵도 주실 것이다"라는 리투아니아어 속담은 ''Dievas davė dantis, dievas duos ir duonos''로 표현된다. 이와 비슷한 표현이 산스크리트어로는 ''Devas adat dantis, devas dasyati dhanas''로 나타나는데, 두 표현 사이에는 많은 공통점이 발견된다.

현대 리투아니아어에는 차용어도 많이 존재한다. 2770개의 차용어 대부분은 폴란드어, 벨라루스어, 독일어에서 유래했다.[145] 최근에는 영어에서 온 차용어도 증가하고 있는데, "컴퓨터"를 뜻하는 'kompiuteris'는 영어의 "computer"에서, "록아웃"을 의미하는 'Lokautas'는 영어의 "lock out"에서 유래했다.

6. 2. 차용어

차용어(pasiskolintas daiktavardislt)는 대부분 어미 변화 등 리투아니아어화에 의해 5가지 중 하나로 격변화한다(예를 들어 영어 computer(컴퓨터)에서 유래한 kompiuteris는 어미가 -is가 되어 제1변화에 분류된다).[4] 하지만 외국어의 철자나 발음 그대로 변화하지 않는 명사(nelinksniuojamas daiktavardislt)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4] 변화하지 않는 명사의 성은 어미가 -i, -o, -u인 경우 남성 명사로, -a, -ė인 경우 제2변화 명사와 같은 어미를 가지므로 여성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 하지만 후자 중에는 성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명사도 있다.[4]

특히 aveniu("애비뉴", 영어 avenue에서 유래), kakadu("앵무새", 독일어 Kakadu에서 유래), žiuri("배심원단", 프랑스어 jury에서 유래), turnė("투어", 프랑스어 tournée에서 유래), karatė("가라테", 일본어에서 유래), kupė("칸막이 객실", 프랑스어 coupé에서 유래), koljė("목걸이", 프랑스어 collier에서 유래), amplua("역할", 프랑스어 emploi에서 유래)의 7개 단어는 성이 정해지지 않은 명사로 언급된다(예를 들어 karatė의 경우 58.06%의 사람들이 여성 명사로 사용하는 반면, 남성 명사로 사용하는 사람도 41.94% 있다).[4]

변화하지 않는 명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4]

7. 방언

리투아니아어의 억양은 단순한 강세(스트레스) 억양이 아니라, 음절 내 음의 높낮이인 성조(톤)에 음의 강약·장단, 그리고 모음의 질이 복잡하게 관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리투아니아어가 순수한 성조를 가진 언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1] 리투아니아어 전통 사전에서는 억양을 나타내는 기호로 그라베, 아큐트, 틸데 세 종류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호는 일반적인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표기는 같지만 억양이 다른 단어를 구분할 때 사용될 수 있다(예: áukštas|아우크슈타스lt 〈높은〉, aũkštas|아우크슈타스lt 〈층〉; mìnti|민티lt〈밟다〉, miñti|민티lt〈기억하다〉).

그라베, 아큐트, 틸데는 기본적으로 각각 단모음 억양, 하강 억양, 상승 억양의 세 가지 억양에 대응한다.

# '''단모음 억양''': 단모음에 붙는다 (예: pìktas|픽타스lt〈화난〉; dùrys|두리스lt〈문〉). 다른 두 종류의 억양과의 통일성 때문에 "trumpinė priegaidė|트룸피네 프리에가이데lt"〈단음조〉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억양은 너무 짧아서 듣기 어렵지만 후술하는 하강 억양이나 상승 억양이 실제이며, 단음조라고 부르는 것은 편의적인 측면이 강하다.[2]

# '''하강 억양'''(tvirtapradė priegaidė|트비르타프라데 프리에가이데lt 직역: "단단한 시작의 음조"):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áu). 하지만 혼합 이중모음 in, im, ir, il, un, um, ur, ul의 하강 억양을 나타낼 때는 예외적으로 첫 번째 모음을 각각 ì, ù로 나타낸다 (예: ìlgas|일가스lt).

# '''상승 억양'''(tvirtagalė priegaidė|트비르타갈레 프리에가이데lt 직역: "단단한 끝의 음조"): 하강 억양과 마찬가지로 장모음 및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aũ).

7. 1. 주요 방언

리투아니아어에는 주로 내륙 쪽의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고지 리투아니아어)과 해안 쪽의 제마이티야 방언(저지 리투아니아어) 두 가지 주요 방언(tarmės)이 있다. 표준어와 제마이티야 방언의 차이는 현저하다. 현재의 제마이티야 방언은 13세기부터 16세기에 크로니아어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리투아니아어 방언들은 리투아니아의 민족지학적 지역과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1]

두 방언은 각각 세 개의 하위 방언(patarmės)으로 더 나뉜다. 제마이티야 방언에는 서부, 북부, 남부 하위 방언이 있으며,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에는 서부, 동부, 남부 하위 방언이 있다(동부와 남부 하위 방언은 주키야 방언이라고도 불린다). 하위 방언은 더 세분화된 방언(šnektos)으로 나뉜다.[1]

리투아니아어 표준어는 서부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어휘 등은 다른 방언의 영향도 현저하다.[1]

7. 2. 하위 방언



리투아니아어에는 크게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고지 리투아니아어)과 제마이티야 방언(저지 리투아니아어) 두 가지 방언이 있다. 표준어와 제마이티야 방언은 차이가 크다. 제마이티야 방언은 13~16세기에 크로니아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리투아니아의 민족지학적 지역과 관련이 깊다.

각 방언은 세 개의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하위 방언은 더 세분화된 방언으로 나뉜다. 리투아니아어 표준어는 서부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을 기반으로 하지만, 다른 방언의 영향도 받아 어휘 등이 다양하다.

7. 3. 표준어와의 관계

리투아니아어에는 크게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고지 리투아니아어)과 제마이티야 방언(저지 리투아니아어)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표준어와 제마이티야 방언의 차이는 크다. 현대 제마이티야 방언은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크로니아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리투아니아어 방언은 리투아니아의 민족지학적 지역과 관련이 깊다.

두 방언은 각각 세 개의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제마이티야 방언에는 서부, 북부, 남부 하위 방언이 있고,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에는 서부, 동부, 남부 하위 방언이 있다(동부와 남부 하위 방언은 주키야 방언이라고도 한다). 하위 방언은 더 세분화된 방언으로 나뉜다.

리투아니아어 표준어는 서부 아우크슈타이티야 방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어휘 등은 다른 방언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억양은 단순한 강세(스트레스) 억양이 아니라, 음절 내 음의 높낮이인 성조(톤)에 음의 강약·장단, 그리고 모음의 질이 복잡하게 작용한다. 그래서 리투아니아어가 순수한 성조를 가진 언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1] 리투아니아어 전통 사전에서는 억양을 나타내는 기호로 그라베, 아큐트, 틸데 세 종류가 사용된다. 이 기호는 일반적인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표기는 같지만 억양이 다른 단어를 구분할 때 사용될 수 있다(예: áukštas|아우크슈타스lt 〈높은〉, aũkštas|아우크슈타스lt 〈층〉; mìnti|민티lt〈밟다〉, miñti|민티lt〈기억하다〉).

그라베, 아큐트, 틸데는 기본적으로 각각 단모음 억양, 하강 억양, 상승 억양의 세 가지 억양에 대응한다.

# '''단모음 억양''': 단모음에 붙는다 (예: pìktas|픽타스lt〈화난〉; dùrys|두리스lt〈문〉). 다른 두 종류의 억양과의 통일성 때문에 "trumpinė priegaidė|트룸피네 프리에가이데lt"〈단음조〉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억양은 너무 짧아서 듣기 어렵지만 후술하는 하강 억양이나 상승 억양이 실제이며, 단음조라고 부르는 것은 편의적인 측면이 강하다.[2]

# '''하강 억양'''(tvirtapradė priegaidė|트비르타프라데 프리에가이데lt 직역: "단단한 시작의 음조"):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áu). 하지만 혼합 이중모음 in, im, ir, il, un, um, ur, ul의 하강 억양을 나타낼 때는 예외적으로 첫 번째 모음을 각각 ì, ù로 나타낸다 (예: ìlgas|일가스lt).

# '''상승 억양'''(tvirtagalė priegaidė|트비르타갈레 프리에가이데lt 직역: "단단한 끝의 음조"): 하강 억양과 마찬가지로 장모음 및 이중모음에 붙는다 (예: aũ).

참조

[1] 기타
[2] 웹사이트 Oficialiosios statistikos portalas https://osp.stat.gov[...]
[3] 서적 Rytų Lietuva praeityje ir dabar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kla
[4] 웹사이트 Lithua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How did Vytautas the Great speak and would we manage to have a conversation with VI century Lithuanians? https://www.15min.lt[...] 2021-11-20
[6] 웹사이트 Ever wanted to travel back in time? Talk to a Lithuanian! https://termcoord.eu[...] 2014-08-19
[7] 학술지 The Origin of the Lithuanian Language http://www.lituanus.[...] 1982
[8] 웹사이트 Lithua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9] 웹사이트 Lietuvių kalbos kilmė https://www.vle.lt/s[...] 2023-01-21
[10] 웹사이트 Apie galindus, baltų gentį, ir jų kelionę į vakarus, pasaulio pakraštį (nuotraukos) https://www.lrytas.l[...] 2023-01-22
[11] 웹사이트 Baltų kalbos ir tautos https://www.aidai.eu[...] 2023-01-22
[12] 학술지 Baltų kalbų divergencinė chronologija 1994
[13] 학술지 Glottochronology and Its Application on the Balto-Slavic Languages 2007
[14] 웹사이트 History https://balticlangua[...] 2023-01-22
[15]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16] 웹사이트 Latvia https://www.britanni[...] 2023-01-22
[17] 서적 The Origin of the Aryans: An Account of the Prehistoric Ethnology and Civilisation of Europe https://archive.org/[...] 24 Warwick Lane, Paternoster Row
[18] 서적 Key Thinkers in Linguis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9] 학술지 Why Lithuanian Accentuation Mattered to Saussure http://www.lel.ed.ac[...] 2009
[20] 학술지 Remembering Vladimir Toporov https://web.archive.[...] 2007
[21] 웹사이트 Jan Safarewicz https://www.vle.lt/s[...] 2023-01-21
[22] 학술지 The Origin of the Lithuanian Language https://web.archive.[...] 1982
[23] 웹사이트 Lietuvių rašomoji kalba https://www.vle.lt/s[...] 2023-01-15
[24] 서적 Mindaugo knyga. Istorijos šaltiniai apie Lietuvos karalių Lietuvos istorijos instituto leidykla 2005
[25] 학술지 Tarp Europos kalbų U. Richentalis paminėjo ir Lingwa Lietowia – lietuvių kalbą https://www.lbks.lt/[...] 2015
[26] 서적 Concilium zu Constencz (Chronik des Konstanzer Konzils) https://digi.ub.uni-[...]
[27] 학술지 Istorinės Lietuvos valdovų vėliavos ir LDK delegacijos herbai Konstanco metraštininkų kronikose https://www.voruta.l[...] 2016
[28] 서적 The history of Lithuania before 1795 Lithuanian Institute of History
[29] 웹사이트 Slavų kanceliarinė kalba https://www.vle.lt/s[...]
[30] 웹사이트 Kurie Lietuvos valdovai mokėjo protėvių kalbą, kurie – ne? / Laida "Lietuva – mūsų lūpose" https://www.youtube.[...] Palace of the Grand Dukes of Lithuania
[31] 웹사이트 Ar perrašinėjamos istorijos pasakų įkvėpta Baltarusija gali kėsintis į Rytų Lietuvą? https://www.15min.lt[...]
[32] 웹사이트 Jogailaičiai. Kodėl ne Gediminaičiai? https://www.15min.lt[...]
[33] 웹사이트 Kodėl Jogaila buvo geras, o Vytautas Didysis – genialus https://www.delfi.lt[...]
[34] 서적 Žemaičių krikštas: tyrimai ir refleksija https://www.lkma.lt/[...] Lithuanian Catholic Academy of Science 2013
[35] 서적 Vytauto laiškai [ Letters of Vytautas the Great ] http://www.šaltiniai[...] Vilnius University, Institute of Lithuanian Literature and Folklore
[36] 논문 Kodeks dyplomatyczny katedry i diecezji Wilenskiej. Tomu 1. Zeszyt 3 (1501–1507, uzupełn. 1394–1500) (W Krakowie 1948) https://www.academia[...] 2024-09-08
[37] 논문 Lietuvos Didžioji Kunigaikštystė ir lietuvių tauta https://www.academia[...] 2024-09-08
[38] 웹사이트 Lietuvos kalba ir literatūros istorija http://ualgiman.dtil[...]
[39] 서적 Lietuvos literatūros istorija: XIII-XVIII amžius Lietuvos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2003
[40] 서적 Kronika Polska, Litewska, Zmódzka i wszystkiéj Rusi. https://archive.org/[...] Warszawa Nak. G.L. Glüsksverga 2023-02-16
[41] 논문 The Prestige and decline of the official (state) language in the Grand Duchy of Lithuania (fifteenth-sixteenth century): problems in Belarusian historiography https://etalpykla.li[...] 2023-11-03
[42] 서적 Akta unji Polski z Litwą, 1385-1791 https://pbc.biaman.p[...]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2023-11-04
[43] 웹사이트 Šventojo Kazimiero gyvenimo istorija https://www.katedra.[...] 2023-03-03
[44] 서적 Dwór litewski wielkiego księcia Aleksandra Jagiellończyka (1492–1506) 1997
[45] 서적 Lietuvos valstybė: XII-XVIII a. Lietuvos istorijos institutas, Lietuvos mokslų akademija 1997
[46] 논문 Lietuvių kalba: poreikis ir vartojimo mastai : XV a. antra pusė - XVI a. pirma pusė https://etalpykla.li[...] 2002
[47] 서적 The Polish-Lithuanian State, 1386–179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02-12
[48] 웹사이트 Vilniaus miesto istorijos chronologija http://www.vilnijosv[...] 2023-02-12
[49] 웹사이트 Kauno rotušė http://www.autc.lt/l[...] 2023-02-12
[50] 서적 Lietuvos Didžiosios Kunigaikštystės valstybinių ir visuomeninių institucijų istorijos bruožai XIII–XVIII a. Lietuvos istorijos instituto leidykla 1997
[51] 웹사이트 Lietuvių kalbos elementorius "Mokslas skaitymo rašto lenkiško" http://old.ldm.lt/kl[...] 2023-02-12
[52] 웹사이트 Ar Seimo nariams reikia išmanyti istoriją? https://www.delfi.lt[...] 2023-02-12
[53] 서적 Moksłas skaytima raszta lietuwiszka dieł mażu wayku https://kolekcijos.b[...] Drukarnioy Kunigu Misionoriu 2023-02-12
[54] 웹사이트 Lietuvos spaudos draudimas https://www.vle.lt/s[...] 2023-01-15
[55] 논문 Lithuania 1863–1893: tsarist Russification and the beginnings of the modern Lithuanian National Movement https://www.lituanus[...] 2023-02-09
[56] 웹사이트 Education - Revolutionary, Patterns, Education https://www.britanni[...] 2023-10-01
[57] 웹사이트 Raštingumas https://www.vle.lt/s[...] 2023-10-01
[58] 논문 Tautos tradicijos daraktorių veikloje, formuojant vertybių sistemą https://www.ceeol.co[...] 2023-10-01
[59] 웹사이트 Daraktorius https://www.vle.lt/s[...] 2023-10-01
[60] 웹사이트 Vilniaus gubernija https://www.vle.lt/s[...] 2023-10-01
[61] 웹사이트 Kauno gubernija https://www.vle.lt/s[...] 2023-10-01
[62] 웹사이트 Suvalkų gubernija https://www.vle.lt/s[...] 2023-10-01
[63] 웹사이트 Lietuvos gyventojai Rusijos imperijos valdymo metais (1795–1914) https://www.vle.lt/s[...] 2023-10-01
[64] 웹사이트 Jonas Jablonskis https://www.vle.lt/s[...] 2023-01-15
[65] 웹사이트 Lietuvos valstybinė kalba https://www.vle.lt/s[...] 2023-01-15
[66] 웹사이트 1922 Lietuvos Valstybės Konstitucija https://www.vle.lt/s[...] 2023-02-09
[67] 논문 Lenkijos valdžios politika lietuvių tautinės mažumos atžvilgiu (1935–1939 m.) https://www.lituanis[...] 2015
[68] 웹사이트 Suvalkų sutartis ir jos išniekinimas https://alkas.lt/201[...] 2011-10-06
[69] 웹사이트 Ściśle tajny memorjał Wojewody Wileńskiego Bociańskiego z dnia 11 lutego 1936 r. O posunięciach władz administracji ogólnej w stosunku do mniejszości litewskiej w Polsce oraz o zamierzeniach w tym wględzie na przyszłość : dwa załączniki z d. 11 i 21 marca 1938 r.) http://pbc.biaman.pl[...]
[70] 서적 Administracja państwowa wobec szkolnictwa mniejszości narodowych na terenach województw północno-wschodnich II Rzeczypospolitej w latach 1935–1939 https://www.snpl.lt/[...] Politechnika Białostocka
[71] 웹사이트 Kaimynas Vakaruose – iš Rytų. Prūsijos nebeliko https://www.lrt.lt/n[...] 2023-02-09
[72] harvnb
[73] 웹사이트 Lietuvos sovietinimas, rusinimas ir kolonizavimas https://www.vle.lt/s[...] 2023-01-15
[74] 웹사이트 Rusinimas https://www.vle.lt/s[...] 2023-01-15
[75] 웹사이트 LR Konstitucija – 14 straipsnis https://www.lrk.lt/l[...] 2023-01-15
[76] 서적 Circum-Baltic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1
[77] 서적 Foundations of Baltic languages http://www.esparama.[...] Eugrimas 2021-08-30
[78] 기타
[79] citation Baltica & Balto-Slavica
[80] citatio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Slavic Inherited Lexicon
[81]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archive.org/[...]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997
[82]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04
[83] 서적 Języki indoeuropejskie. Języki bałtyckie PWN 1986
[84] 학술지 O dvukh osnovnykh napravleniyakh v yazykovom razvitii https://vja.ruslang.[...] 1985
[85] 웹사이트 Судьбы балто-славянских гипотез и сегодняшняя контактная лингвистика http://www.philology[...] 2023-02-02
[86] 웹사이트 Pasaulio lietuvių bendruomenės https://pasaulioliet[...] 2023-06-25
[87] 웹사이트 Languages https://european-uni[...] 2023-01-16
[88] 학술지 Dėl lietuvių kalbos tarmių klasifikacijos 1966
[89] 학술지 Senųjų lietuvių kalbos gramatikų duomenys ir ano meto tarmės http://etalpykla.lit[...] Publishing House of the Lithuanian Academy of Sciences 2023-01-15
[90] 웹사이트 Lietuvių bendrinė kalba https://www.vle.lt/s[...] 2023-01-15
[91] 웹사이트 Martynas Mažvydas https://www.vle.lt/s[...] 2024-06-23
[92] 웹사이트 Abraomas Kulvietis https://www.vle.lt/s[...] 2024-06-23
[93] 웹사이트 Maras Lietuvoje https://www.vle.lt/s[...] 2023-01-15
[94] 웹사이트 Kolonizacija https://www.vle.lt/s[...] 2023-04-08
[95] 서적 Język Polski. 1931, nr 3 (maj/czerwiec) http://mbc.malopolsk[...]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Komisja Języka Polskiego 2023-11-03
[96] 웹사이트 Vilniaus ir jo apylinkių čiabuviai https://alkas.lt/201[...] 2023-11-03
[97] 웹사이트 "Mowa prosta" jest dla mnie synonimem gwary białoruskiej http://zw.lt/opinie/[...] 2023-11-03
[98] 웹사이트 Lietuvių kalbos tarmės https://www.vle.lt/s[...] 2023-01-15
[99] 학술지 Standard Lithuanian and its dialects https://www.lituanus[...] 2023-01-15
[100] 웹사이트 Žemaičių kalba šiandien ir jos išlikimo perspektyvos https://zemaitiuzeme[...] 2023-01-15
[101] 웹사이트 Lietuvių kalbos tarmių klasifikacija http://www.šaltiniai[...] 2023-01-15
[102] 웹사이트 Lietuvių kalbos tarmės https://geografija6-[...] 2023-01-15
[103] 웹사이트 Lietuvių kalbos abėcėlė http://xn--lietuvyb-[...] 2023-01-15
[104] 웹사이트 Kas išrado raidę Ė? https://ve.lt/naujie[...] 2023-01-16
[105] 웹사이트 Danieliaus Kleino knyga https://maironiomuzi[...] 2023-01-16
[106] 웹사이트 Seniausia unikali lietuvių kalbos raidė https://rekordai.lt/[...] 2023-01-16
[107] 웹사이트 Pokalbis su filologu G.Subačiumi: kaip atsirado bendrinė lietuvių kalba ir kodėl turime Ė, bet praradome W? https://www.15min.lt[...] 2023-01-16
[108] 논문 Dvejopa XIX a. pabaigos lietuviškų laikraščių rašyba Lithuanian Institute of History Press 2004
[109] 논문 1680 m. lietuviška priesaika dėl Svobiškio dvaro žemių https://etalpykla.li[...] 2023-11-28
[110] 참고문헌 1996
[111] 논문 Vadinamųjų sutaptinių dvibalsių [ie uo] garsinė ir fonologinė sudėtis 2009
[112] 학회발표 Phonetic Invariance and Phonological Stability: Lithuanian Pitch Accents https://www.isca-spe[...] 2021-05-27
[113] 웹사이트 Danielius Kleinas https://www.mle.lt/s[...] 2023-01-15
[114] 논문 The printer and the scholar: the making of Daniel Klein's Grammatica Litvanica http://www.elibrary.[...]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2023-01-15
[115] 웹사이트 Karaliaučius, Tvangystė https://vkpk.lt/u-ze[...] 2023-01-15
[116] 웹사이트 Kalbotyros pradmenų konspektas https://mokslai.liet[...] 2023-01-15
[117] 웹사이트 Kristupas Sapūnas https://www.mle.lt/s[...] 2023-01-15
[118] 웹사이트 Teofilis Gotlibas Šulcas https://www.mle.lt/s[...] 2023-01-15
[119] 논문 The Endings of Proper Names in Simonas Daukantas' and Simonas Stanevičius' Translations of Epitome Historiae Sacrae https://www.ateitis.[...] 2023-01-16
[120] 웹사이트 Universitas lingvarum Litvaniae https://www.vle.lt/s[...] 2021-08-16
[121] 서적 UNIVERSITAS Lingvarum Litvaniæ https://kolekcijos.b[...] Typis Collegii Academici Soc: JESU 2023-02-16
[122] 웹사이트 August Schleicher https://www.vle.lt/s[...] 2023-01-15
[123] 서적 Handbuch der litauischen Sprache von August Schleicher: Litauisches Lesebuch und Glossar https://books.google[...] J. G. Calve 2023-01-15
[124] 웹사이트 Lietuva mūsų lūpose. Kodėl mokslininkas Schleicheris teigė, kad lietuvių kalba gali lenktyniauti su graikų ir romėnų kalbomis? https://www.lrt.lt/m[...] 2021-03-28
[125] 서적 Dabartinės lietuvių kalbos gramatika 1997
[126] Abstract Ways of Germanisms into Lithuanian http://cejsh.icm.edu[...] 2006
[127] 웹사이트 Martynas Mažvydas' Language http://pirmojiknyga.[...] 2007-10-26
[128] 웹사이트 Skoliniai http://www.patariu.l[...] 2012-11-21
[129] Abstract Slavic loanwords in the northern sub-dialect of the southern part of west high Lithuanian http://cejsh.icm.edu[...] 2007-10-26
[130] 웹사이트 State Language Policy Guidelines 2003–2008 http://www.vlkk.lt/f[...] 2007-10-26
[131] 웹사이트 English to Lithuanian to English Dictionary http://www.dicts.inf[...]
[132] 웹사이트 Lingvozone English to Lithuanian Online Dictionary http://www.lingvozon[...]
[133] 보고서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 Special Eurobarometer http://ec.europa.eu/[...] 2021-12
[134] 웹사이트 Ethnologue.com https://www.ethnolog[...] 2018-05-07
[135] 웹사이트 Ethnologue.com https://www.ethnolog[...] 2018-05-07
[136] 웹사이트 Panemunė: The scenic road that saved Europe's banned language https://www.bbc.com/[...] BBC 2024-09-22
[137] 웹사이트 Lietuvos valstybinė kalba https://www.vle.lt/s[...] 2024-09-22
[138] 웹사이트 11月20日(金) http://www.geocities[...] 2009-11-20
[139] 웹사이트 https://lrc.la.utexa[...]
[140] 웹사이트 https://lrc.la.utexa[...]
[141] 웹사이트 Kuri įvardžio „pats“ kilmininko forma taisyklinga: „paties“ ar „pačio“? http://vlkk.lt/lit/7[...]
[142] 웹사이트 https://lrc.la.utexa[...]
[143] 서적 Metai
[144] 웹사이트 6月19日(金) http://www.geocities[...] 2016-10-09
[145]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cejsh.icm.edu[...] 2016-02-06
[146] 웹인용 Ever wanted to travel back in time? Talk to a Lithuanian! - https://termcoord.eu[...] 2014-08-19
[147] 웹인용 Lithua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148] 서적 Key Thinkers in Linguis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49] 저널 Why Lithuanian Accentuation Mattered to Saussure http://www.lel.ed.ac[...] 2018-04-01
[150] 저널 Remembering Vladimir Toporov http://www.lituanus.[...] 2018-04-04
[151] 저널 The Origin of the Lithuanian Language http://www.lituanus.[...] 2016-08-07
[152] 저널 Baltų kalbų divergencinė chronologija 1994
[153] 저널 Glottochronology and Its Application on the Balto-Slavic Languages 2007
[154] 웹인용 Lietuvių rašomoji kalba https://www.vle.lt/s[...] 2023-01-15
[155] 저널 Tarp Europos kalbų U. Richentalis paminėjo ir Lingwa Lietowia – lietuvių kalbą https://www.lbks.lt/[...] 2023-01-17
[156] 서적 Concilium zu Constencz (Chronik des Konstanzer Konzils) https://digi.ub.uni-[...] 2023-01-17
[157] 웹인용 Lietuvių spaudos draudimas https://www.vle.lt/s[...] 2023-01-15
[158] 웹인용 Lietuvių spaudos draudimas https://www.vle.lt/s[...] 2023-01-15
[159] 웹인용 Jonas Jablonskis https://www.vle.lt/s[...] 2023-01-15
[160] 웹인용 Lietuvių bendrinė kalba https://www.vle.lt/s[...] 2023-01-15
[161] 웹인용 Lietuvos valstybinė kalba https://www.vle.lt/s[...] 2023-01-15
[162] 서적 "Priešingai nei skelbė leninietiškos deklaracijos apie tautas ("Jokių privilegijų jokiai tautai ir jokiai kalbai"), reali TSRS politika – kartu ir kalbų politika – buvo ne kas kita kaip rusinimas77. Ir 1940–1941 metais, iš karto po priverstinio Pabaltijo valstybių įjungimo į TSRS, ir vėliau vyraujanti kalbos politikos linija Lietuvos TSRS ir Latvijos TSRS buvo tautinių kalbų raidos derinimas su socialistinių nacijų raida78. Tokia padėtis tęsėsi penkiasdešimt metų79." 2000
[163] 웹인용 Lietuvos sovietinimas, rusinimas ir kolonizavimas https://www.vle.lt/s[...] 2023-01-15
[164] 웹인용 Rusinimas https://www.vle.lt/s[...] 2023-01-15
[165] 웹인용 LR Konstitucija - 14 straipsnis https://www.lrk.lt/l[...] 2023-01-15
[166] 웹인용 Kas išrado raidę Ė? https://ve.lt/naujie[...] 2023-01-16
[167] 웹인용 Danieliaus Kleino knyga https://maironiomuzi[...] 2023-01-16
[168] 웹인용 Seniausia unikali lietuvių kalbos raidė https://rekordai.lt/[...] 2023-01-16
[169] 웹인용 Pokalbis su filologu G.Subačiumi: kaip atsirado bendrinė lietuvių kalba ir kodėl turime Ė, bet praradome W? https://www.15min.lt[...] 2023-01-16
[170] 저널 Dvejopa XIX a. pabaigos lietuviškų laikraščių rašyba Lithuanian Institute of History Press 2004
[171] 서적 1996
[172] 저널 Vadinamųjų sutaptinių dvibalsių [ie uo] garsinė ir fonologinė sudėtis 2009
[173] 콘퍼런스 Phonetic Invariance and Phonological Stability: Lithuanian Pitch Accents https://www.isca-spe[...] 2023-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