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케르는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이름의 의미는 불확실하나 저승, 창조신 프타, 죽음의 신 오시리스와 강력하게 연결되어 삼위일체 신 프타-세케르-오시리스로 숭배되었다. 일반적으로 미라화된 매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멤피스를 중심으로 숭배되었다. 장인과 연관되어 은 그릇을 만드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밤의 다섯 번째 왕국을 다스리며 악한 자들을 처벌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는 영화, 드라마, 게임 등에서 등장하며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인의 남신 - 비슈바카르마
    비슈바카르마는 힌두교에서 우주의 건축가이자 신성한 제작자로 묘사되는 신으로, 원래 최고신에 대한 별칭이었으며 창조 도구를 든 모습으로 표현되고, 그의 탄생을 기념하는 비슈바카르마 푸자는 매년 9월에 기념된다.
  • 장인의 남신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대장장이 남신 -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과 대장장이, 장인의 신으로, 뛰어난 손재주로 신들의 무기와 도구를 만들며 절름발이 또는 불구로 묘사되는 특징을 지닌다.
  • 대장장이 남신 - 일마리넨
    일마리넨은 핀란드 신화에 등장하는 위대한 대장장이 영웅으로, 마법의 맷돌 삼포를 만든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칼레발라의 주요 인물이자 루오히와의 거래, 금으로 신부 만들기 시도 등 다양한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다.
  • 예술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예술의 남신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세케르
기본 정보
세케르
세케르는 아테프 왕관을 쓴 매 머리를 가진 남자로 묘사됨
숭배 중심지멤피스
신화적 역할
신의 종류하야부사의 신, 명계의 신, 예술의 신
상징
상징하야부사

2. 이름

세케르의 이름의 의미는 불확실하지만, 피라미드 텍스트에 나오는 이집트인들은 그의 이름을 오시리스이시스에게 절규하는 'Sy-k-ri'('나에게 빨리 와')[1] 또는 "입을 깨끗하게 하다"를 의미하는 ''skr''과 연결시켰다.[2] 저승에서 세케르는 창조신이자 멤피스의 주신인 프타죽음의 신인 오시리스와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기에는 이러한 연결이 삼위일체 신 '''프타-세케르-오시리스'''로 표현되었다.

파이윰 콥트어 형태인 ⲥⲓⲭⲟⲗ은 "소카의 딸"이라는 개인 이름 ⲥⲉⲛⲥⲓⲭⲟⲗ에 보존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3]

3. 모습

세티 1세 (KV17)의 무덤에서 발견된 세케르 그림


세케르는 일반적으로 미라화된 매의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때로는 매의 머리가 나타나는 둔덕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그는 여기서 '그의 모래 위에 있는 자'라고 불린다. 때때로 그는 모래가 많은 묘지에서 이동하기 위한 정교한 썰매인 그의 ''hennu'' 바크에 탑승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의 칭호 중 하나는 'Restau의 자'였는데, 이는 '개방' 또는 무덤 입구의 장소를 의미한다. 다른 많은 신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종종 ''와스'' 지팡이를 가지고 묘사되었다.

이집트 신왕국의 지하 세계 책인 ''아무아트''에서 그는 두 개의 펼쳐진 날개 사이의 뱀 등에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자유의 표현으로 부활과 관련이 있거나 지하 세계의 만족스러운 통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1] 세케르와 관련된 지하 세계의 지역은 '채워진'을 의미하는 '''임헤트''' ('''암헤트''', '''암마헤트''', 또는 '''암메헤트'''라고도 함)라고 불리는 어렵고 모래가 많은 지형으로 여겨졌다.[4][5]

4. 역할 및 숭배

세케르는 아마도 프타와 연관되어 장인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자의 서』에는 그가 그릇을 만든다고 하며[1], 이집트 타니스에서는 세케르의 도상으로 장식된 세쇼크 2세의 은 이 발견되었다.[6]

세케르의 숭배 중심지는 멤피스였으며, 아케트(봄) 계절의 네 번째 달 26일에 그의 영예를 기리는 축제가 열렸다. 이 축제 기간 동안 신봉자들은 땅을 갈고 소를 몰았는데, 이는 세케르가 농업과 관련된 측면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2]

세케르는 가 지하 세계를 여행하는 밤에 일어나는 일을 설명하는 신화인 『라의 여정』에 언급되어 있다. 그 신화에 따르면, 세케르는 "숨겨진"[7]이라고 불리는 밤의 다섯 번째 왕국을 다스리며[7], 악한 자들의 영혼을 끓는 호수에 던져 처벌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8]

아케트 축제의 일환으로 그의 추종자들은 목에 양파 끈을 걸었는데, 이는 그의 지하 세계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양파는 사람들을 방부 처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때로는 껍질만, 때로는 양파 전체가 사용되었다. 껍질만 사용했을 때는 냄새를 가리기 위해 눈과 귀 안에 넣었다.[9]

또한 이 신은 도랑과 운하를 파는 것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신왕국 시대부터는 테베에서 위대한 오페트 축제와 경쟁하는 유사한 축제가 열렸다.[2][6]

축제 기간 동안의 다른 행사로는 헤누 바크(오릭스 모양의 높은 뱃머리를 가진 배) 위에 신의 조각상을 띄우는 것이 있었다.[10]

5. 프타-세케르-오시리스

저승에서 세케르는 창조신이자 멤피스의 주신인 프타죽음의 신오시리스와 강력하게 연결되었다. 후기에는 이러한 연결이 삼위일체 신 '''프타-세케르-오시리스'''로 표현되었다.

세케르는 프타와 연관되어 장인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자의 서』에는 그가 그릇을 만든다고 하며[1], 이집트 타니스에서는 세케르의 도상으로 장식된 세소크 2세의 은 이 발견되었다.[6]

6. 대중문화 속 세케르

영화 ''십계''(1956)에서 파라오 람세스 2세는 죽은 장남을 되살리기 위해 어두운 파란색 옷을 입고 은색 활을 착용하며 세케르 신을 부른다.[1]

드라마 ''스타게이트 SG-1''에서, 고아울드 악당 소카는 세케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소카는 다른 종족들과 달리 악마의 역할을 선택한 강력하고 가학적인 고아울드로 등장한다.[1] 그는 자신이 지옥으로 사용하는 달이 폭파되어 궤도에 있던 소카의 배와 소카 자신이 파괴되면서 죽는다.[1]

미국의 테크니컬 데스 메탈 밴드 나일은 앨범 "Annihilation of the Wicked"의 타이틀곡을 세케르의 영역, 직업 및 모습에 관해 작곡했다.[1] 흥미롭게도 가사는 세케르-오시리스의 형태로 세케르를 묘사하는 것으로 보이며 프타의 측면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1] 가사는 그를 "고대하고 죽은" 존재라고 부르는데, 이는 오시리스가 가진 특징이지만, 또한 그를 "라에 의해 꺼려지는" 존재로 묘사하여 그들이 묘사하는 세케르를 멤피스보다는 헬리오폴리스의 맥락에 위치시킨다.[1]

판타지 롤플레잉 게임 "어드밴스드 던전스 앤 드래곤스"는 1판 "신과 반신" 및 "전설과 지식" 규칙서에 세케르를 포함한다.[1] 이 설정에서 세케르는 빛의 이집트 하급 신으로 묘사되며, 그의 손에서 빛을 뿜어 모든 언데드를 파괴한다.[1] 그의 정렬은 중립 선으로 주어지며, 죽음 이후 같은 정렬의 이집트 영혼을 보호하는 것으로 언급된다.[1] 나중의 삼중 인격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지만, 그의 상징은 생명 부호를 든 매머리 머리 미라로 주어져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관성을 시사한다.[1]

7. 갤러리

8. 참고 문헌


  • 카트린 그랭도르즈, 《테베의 소카르 신, 신왕국 시대》 (오토 하라소비츠 출판사, 1994)
  • 루이스 B. 미하일, "소카르 축제: 오시리스의 호이아크 축제의 한 에피소드", 《괴팅거 미셀렌》 '''82''' (1984)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2] 웹사이트 Sokar http://www.ancienteg[...] 2016-10-24
[3] 서적 Die Personennamen der Kopten
[4] 서적 The Egyptian Amduat
[5]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vol. I London
[6]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7]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Legends: XI: The Regions of Night and Thick Darkness https://www.sacred-t[...] 2023-05-25
[8]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Legends: XI: The Regions of Night and Thick Darkness https://www.sacred-t[...] 2023-05-25
[9] 서적 Gods & Myths of Ancient Egypt Southwater
[10] 웹사이트 sokar http://www.ancienteg[...] 2016-10-24
[11] 서적 Legends and Lore TSR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