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에너지 천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에너지 천문학은 자외선, X선, 감마선 등 고에너지 파장의 전자기파를 관측하여 우주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지상 및 우주 기반 관측 시설을 활용하며, 블랙홀, 감마선 폭발, 암흑 물질 등 고에너지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한국은 국제 협력 연구를 통해 고에너지 천문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차세대 관측 시설 개발 및 국제 협력을 통해 연구가 더욱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에너지 천문학 | |
---|---|
개요 | |
분야 | 천문학 |
연구 대상 | 고에너지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천체 |
세부 분야 | |
종류 |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극자외선 천문학 |
역사 | |
초기 연구 | 1960년대 우주 탐사 시대에 시작됨. |
주요 발전 | 인공위성 및 우주 망원경 기술 발전과 함께 발전. |
연구 방법 | |
관측 도구 | X선 망원경 감마선 망원경 우주 망원경 |
분석 방법 | 고에너지 물리학 및 천체물리학 이론 활용 |
주요 연구 대상 | |
종류 | 활동 은하핵 (AGN) 초신성 잔해 블랙홀 중성자별 감마선 폭발 (GRB) |
중요성 | |
의의 | 우주의 가장 격렬하고 극단적인 현상 이해에 기여 |
응용 분야 | 우주론, 입자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
기타 | |
관련 용어 | 천체물리학, 고에너지 물리학, 우주선 |
2. 관측 파장에 따른 분류
고에너지 천문학은 관측하는 에너지 파장에 따라 자외선 천문학,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등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중성미자 천문학과 중력파 천문학도 이 분야에 포함된다.
지상에서는 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고지대나 우주에서 관측이 이루어진다. 고에너지 입자와 대기의 상호작용을 간접적으로 관측하는 방법도 활용된다. 유카와 히데키가 예측한 파이 중간자는 대기와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체렌코프 복사 관측을 통해 그 존재가 입증되었다.[5]
2. 1. 자외선 천문학
자외선 천문학은 자외선 영역의 천체를 관측하여 별의 진화, 성간 물질, 은하의 구조 등을 연구한다. 지상에서는 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고지대나 우주에서의 관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1]2. 2. X선 천문학
X선 영역의 천체를 관측하여 블랙홀, 중성자별, 초신성 잔해 등 고에너지 천체를 연구한다.[5]고에너지 천문학을 연구하는 망원경 중 X선 관측을 수행하는 우주 기반 망원경은 다음과 같다.
망원경 이름 |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NuSTAR |
XMM-Newton |
2. 3. 감마선 천문학
감마선 영역의 천체를 관측하여 감마선 폭발, 활동성 은하핵 등 극한 환경의 천체를 연구한다.[5] 지상에서는 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고지대나 우주에서의 관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혹은, 고에너지 입자와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간접적으로 관측하는 방법도 있다. 유카와 히데키 박사가 예측한 파이 중간자에 관해서도 대기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기는 체렌코프 복사를 관측함으로써, 그 예측의 정당성이 밝혀졌다.감마선 천문학 연구에 사용되는 우주 또는 지상 기반 망원경은 다음과 같다.
고에너지 천문학은 지상 및 우주 기반 관측 시설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다.[5]
3. 관측 방법
1912년 헤스는 우주선을 관측하였는데, 이는 대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체렌코프 복사를 관측하는 방법이었다. 초기의 가속기(현재도 PET용 시료 생성에 사용되는 사이클로트론)에서 사용된 "안개 상자"가 이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 안개 상자는 전자기장을 건 액체 헬륨이나 액체 질소의 기체 속을 α선(헬륨 원자핵)이나 β선(전자)이 통과할 때 그 구성 물질이 전하를 띠어 궤적이 자기력에 의해 굽어지는 현상을 관찰하는 장치이다. X선이나 감마선은 사진 건판이나 사진 필름을 노출시켜 관찰할 수 있었다. 가속기 건설과 의학 분야의 핵 검사 기술 진전에 따라, X선 및 감마선은 납 유리와 광전자 증배관을 사용한 관측 장치로 관찰이 가능하게 되었다.[3]
최근에는 초전도 기술로 개발된 칼로리미터라는 CCD와 유사한 소자를 통해 고에너지선을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3]
관측 파장에 따라 자외선 천문학(자외선 관측), X선 천문학(X선 관측), 감마선 천문학(감마선 관측)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중성미자 천문학, 중력파 천문학 분야도 포함된다.
3. 1. 지상 기반 관측
1912년 헤스에 의해 우주선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대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체렌코프 복사를 관측하는 방법이었다.[5] 이러한 이유로, 지상에서는 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고지대나 우주에서의 관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혹은, 고에너지 입자와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간접적으로 관측하는 방법도 있다.[5]
우주선 관측은 매우 맑고 깨끗한 대기와 극도로 어두운 환경에서만 가능하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관측 장치는 주로 고지대나 사막 등 대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에 설치된다.
다음은 지상 기반 고에너지 천문 관측 시설의 예시이다.
관측소 이름 | 설명 |
---|---|
피에르 오제 관측소 | 남반구 아르헨티나의 팜파 지역에 설치되어 광전 증배관을 이용해 고속으로 지구 대기와 충돌하는 체렌코프 복사를 포착한다. |
MAGIC | |
VERITAS | |
H.E.S.S. | |
HAWC | |
Telescope Array Project(TA) | 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와 도쿄 공업 대학·오사카 시립 대학·유타 대학교·럿거스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한·미·일 120명의 연구팀이 미국 유타 사막에 설치. 형광 망원경 어레이와 지표 관측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 LAN 등을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
AGASA | 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의 아케노 관측소에 설치되었던 관측 장치로, 넓은 범위에 설치된 광전자 증배관을 통해 우주선 샤워를 포착했다. |
CANGAROO | 미쓰비시 전기와의 공동 개발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막에 설치된 망원경으로, 우주선이 대기와의 충돌에 의해 생기는 체렌코프 복사를 포착한다. |
이러한 관측 시설들을 통해, 블랙홀이나 감마선 폭발과 같은 극한의 천체 현상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우주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 2. 우주 기반 관측
대기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인공위성에 탑재된 망원경을 이용하여 자외선, X선, 감마선 등을 관측한다.고에너지 천문학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우주 기반 망원경은 다음과 같다:[5]
망원경 이름 | 설명 |
---|---|
AGILE | 감마선 관측 |
AMS-02 | 우주선 및 반물질 탐색 |
찬드라 | X선 관측 |
페르미 | 감마선 관측 |
INTEGRAL | 감마선 관측 |
NuSTAR | 고에너지 X선 관측 |
스위프트 | 감마선 폭발 관측 |
XMM-뉴턴 | X선 관측 |
4. 한국의 고에너지 천문학 연구
대한민국은 국제 협력에 참여하여 고에너지 천문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한국의 고에너지 천문학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4. 1. 국제 협력 연구
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와 도쿄 공업 대학, 오사카 시립 대학, 유타 대학교, 럿거스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한·미·일 120명의 연구팀은, 미국 유타 사막에 AGASA의 10배 규모(700km2)의 관측 장치 운용을 시작했다(TA 계획·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1] 이 시설은 형광 망원경 어레이와 지표 관측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 LAN 등을 활용하여 건설되었다.[1] 이를 통해, 극히 많은 에너지를 가진 고에너지 우주선의 발생 방향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1]유럽 우주국(ESA) 산하 유럽, 미국, 일본(이화학연구소)의 공동팀은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지상 대기를 내려다보는 거대한 망원경으로 최고 에너지 우주선이 일으키는 공기 샤워의 비행 궤적을 관측하는 EUSO 계획을 검토하고 있었다.[3] 현재는 일본·미국 주체의 JEM-EUSO 계획으로 일본 JEM 모듈에 장착할 우주선 망원경을 2010년에 발사할 예정이다.[3]
그 외에도 감마선의 검출이나 X선의 검출 등에서도 국제 협력 하에 연구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4]
5. 암흑 물질 검출 프로젝트
프린스턴 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미국 항공 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가 개발한 WMAP의 관측으로 우주에는 암흑 물질 및 암흑 에너지가 가득 차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론 천문학 영역에서는 이전부터 예측되었으며, 그 물질의 성인 등에 대해서는 현재도 불명확하다. 또한 그 존재 비율은 우주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96%에 달한다. 그 물질의 성인과 그 검출을 목적으로 암흑 물질 검출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6. 역사
1912년 빅토르 헤스가 우주선을 관측하면서 고에너지 천문학이 시작되었다. 헤스는 대기와 우주선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체렌코프 복사를 관측했는데, 이는 초기 가속기(PET용 시료 생성에 사용되는 사이클로트론)에서 사용된 "안개 상자"와 같은 원리였다. 안개 상자는 액체 헬륨이나 액체 질소 기체 속에서 α선(헬륨 원자핵)이나 β선(전자)이 전하를 띠고 자기력에 의해 궤적이 휘는 현상을 관찰하는 장치이다. X선과 감마선은 사진 건판이나 사진 필름을 노출시켜 관측했고, 이후 가속기 건설과 의학 분야 핵 검사 기술 발전에 따라 납 유리와 광전자 증배관을 사용한 관측 장치로도 관측이 가능해졌다.[3]
"X선 관측 위성"에 탑재된 "발 커튼 콜리메이터"는 전하를 띤 얇은 금속 박막에 고에너지선이 충돌하여 튀어나오는 전자를 검출하고 가속하여 X선이나 감마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초전도 기술로 개발된 칼로리미터(CCD와 유사)로도 고에너지선 관측이 가능하다.[3]
이러한 기기를 우주 관측에 활용한 것이 고에너지 관측 장치이다. 로렌츠의 사이클로트론 발명 이전, 가속기 건설 전까지는 우주선 관측이 주류였다.
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 아케노 관측소의 AGASA는 2006년 기준 최대 규모의 관측 장치로, 넓은 범위에 설치된 광전자 증배관으로 우주선 샤워를 포착한다.
미쓰비시 전기와 공동 개발한 CANGAROO 망원경은 오스트레일리아 사막에 설치되어 운영 중이며, 우주선과 대기 충돌로 생기는 체렌코프 복사를 포착한다.
우주선 관측은 맑고 깨끗한 대기와 어두운 환경에서만 가능하여 국내 관측점 설치는 줄어드는 추세이다.
7. 미래 전망
제임스 크로닌 교수가 이끄는 미국 국립 과학 재단 및 프린스턴 대학교 팀은 남반구 아르헨티나의 팜파 지역에 오제 계획을 통해 AGASA의 30배 규모의 관측 장치를 건설하여 운용을 시작했다.[1] 이 계획은 광전 증배관을 팜파 지역 각지에 설치하고 광섬유로 연결하여, 고속으로 지구 대기와 충돌하는 체렌코프 복사를 포착한다.
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와 여러 대학들을 중심으로 한 한·미·일 120명의 연구팀은, 북반구 미국 유타 사막에 TA 계획(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을 통해 AGASA의 10배 규모(비와호의 호수 표면보다 넓은, 700km2)의 관측 장치 운용을 시작했다.[1] 이 시설은 형광 망원경 어레이와 지표 관측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 LAN 등을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이를 통해, 극히 많은 에너지를 가진 고에너지 우주선의 발생 방향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시설에서는 회전하는 거대한 블랙홀이나 우주 최대의 거대 현상인 감마선 폭발에서 생겨났을 가능성이 있는 우주선의 관측 및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1]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북반구 및 남반구에서 고에너지 우주선 관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더욱 높은 에너지 레벨의 우주선에 대해서는 우주로부터의 관측에 맡겨져 있다.[1] 특히, 우주선에 의해 대기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체렌코프 복사를 관측하는 시도에서는 차세대 최고 에너지 우주선 검출기가 계획되어 건설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유럽 우주국(ESA) 산하 유럽, 미국, 일본(이화학연구소)의 공동팀은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지상 대기를 내려다보는 거대한 망원경으로 최고 에너지 우주선이 일으키는 공기 샤워의 비행 궤적을 관측하는 EUSO 계획을 검토하고 있었다.[1] 현재는 일본·미국 주체의 JEM-EUSO 계획으로 일본 JEM 모듈에 장착할 우주선 망원경을 2010년에 발사할 예정이었다.[1]
그 외에도 감마선 및 X선 검출 등에서도 국제 협력 하에 연구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1]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최초기의 우주의 모습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teve's Gamma Ray Burst Astronomy Site
https://web.archive.[...]
2018-01-22
[2]
웹사이트
HEASARC: Observatories
https://heasarc.gsfc[...]
2018-01-22
[3]
문서
[4]
웹인용
Steve's Gamma Ray Burst Astronomy Site
https://web.archive.[...]
2018-01-22
[5]
웹인용
HEASARC: Observatories
http://heasarc.gsfc.[...]
2018-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