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데 공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이데 공식은 전자, 뮤온, 타우 입자의 질량과 이들의 제곱근 합의 제곱 간의 비율로 정의되는 수식으로, 약 2/3에 근사하는 값을 갖는다. 이 공식은 세 입자의 질량 합과 제곱근 합의 제곱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순열 대칭성과 척도 불변성을 가진다. 고이데 공식은 쿼크의 질량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쿼크의 질량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식의 이론적 기원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많은 물리학자들은 이 관계를 수비학의 일종으로 간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험적 법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 경험적 법칙 - 중력
중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지구에서는 물체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힘으로 작용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되며, 현대 물리학에서는 양자 중력 이론과 중력파 관측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 렙톤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렙톤 - 양전자
양전자는 전자와 질량은 동일하지만 양전하를 띠는 반입자로, 디랙의 방정식으로 예측된 후 앤더슨에 의해 우주선 실험에서 관측되었으며, 베타 플러스 붕괴나 쌍생성을 통해 생성되고 전자와 쌍소멸하여 감마선을 방출하며, PET나 암흑물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 암흑 에너지
암흑 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미지의 에너지 형태로, 우주 에너지의 약 68%를 차지하며 우주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 중입자 비대칭
중입자 비대칭은 우주에서 물질이 반물질보다 훨씬 많은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사하로프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바리온 수 위반, C 및 CP 대칭성 위반, 비평형 상호작용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으며, CP 대칭성 위반은 물질과 반물질 생성 비율의 차이를 유발하여 표준 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 이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고이데 공식 | |
---|---|
개요 | |
이름 | 고이데 공식 |
원어명 | Koide formula (영어) |
일본어 | 小出の質量公式 (고이데노 시쓰료코시키) |
분야 | 입자물리학 |
주제 | 경험식 |
설명 | 전하를 띤 렙톤의 질량 관계를 나타내는 경험식 |
공식 | |
공식 | Q = (mₑ + mµ + mτ) / (√mₑ + √mµ + √mτ)² ≈ 2/3 |
변수 설명 | mₑ: 전자의 질량 mµ: 뮤온의 질량 mτ: 타우 입자의 질량 |
Q 값 | 2/3에 가까움 |
역사 | |
제안자 | 고이데 요시오 |
발표 시기 | 1981년 |
중요성 및 논란 | |
중요성 | 렙톤 질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간단한 공식 |
논란 | 이론적 배경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음 |
2. 공식
Koide formula|고이데 공식영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고이데 공식은 다음과 같다.[29]
:
여기서 전자, 뮤온, 타우의 질량은 각각 ''m''e, ''m''μ, ''m''τ이다. 괄호 안의 숫자는 불확실성을 나타낸다.[26] 이 실험값들을 대입하면 ''Q'' 값을 얻는다.[27]
이 분수는 를 만족하는데, 여기서 상한값은 제곱근이 양수임을 가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으로부터, 이 공식은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코사인의 제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벡터
:
와
:
가 이루는 각의 코사인의 제곱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고이데 공식의 수수께끼는 그 물리적인 값에 있다. ''Q''는 두 개의 극한값, 즉 세 개의 렙톤이 축퇴되는 극한에서의 값 1/3과 하나의 렙톤 질량이 무거운 극한에서의 값 1의 정확히 중간값을 준다는 점이 특이하다.
3. 공식의 특징
:
여기서 전자, 뮤 입자, 타우 입자의 질량은 각각 , , 이며, 괄호 속의 숫자는 측정 불확실성을 나타낸다.[2] 이 값을 대입하면 = 이 된다.[30]
어떤 질량을 대입하더라도 ≤ < 1 이라는 범위가 나오는데, 최댓값은 분모가 제곱근 형태이기 때문에 수학적으로 성립하며, 최솟값은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따른다. 실험적으로 측정한 값인 은 이 범위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로버트 풋은 고이데 공식을 의 값이 벡터와 벡터 사이의 코사인 제곱 사이의 각도(스칼라곱)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는데,[3] 이 경우 각도는 정확히 45도가 된다().[3]
만약 공식에서 의 값이 정확히 라고 한다면, 전자와 뮤 입자의 질량에서 타우 입자의 질량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타우 입자의 질량 = 이 된다.[32]
고이데 공식은 앞선입자 모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나, 이를 유도하는 방법 또한 발견되었다. 하지만, 고이데 공식의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쿼크의 질량에서도 비슷한 관계가 발견되었으며,[33][34][35] 이를 적용하면 꼭대기 쿼크의 질량을 173.263947(6) GeV로 유도할 수 있다.[36] 특히 쿼크의 질량은 에너지 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석이 더욱 어렵다.[38]
양자장론에 따르면, 결합 상수나 질량은 에너지 규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42] 각 변수의 값은 재규격화에 따라 관측한 에너지 규모에 따라 변화한다.[43] 에너지가 높아 대칭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에 각 값 사이의 관계는 간단하지만, 에너지가 낮아질수록 재규격화가 복잡해져 관계 또한 복잡해진다. 고이데 공식은 에너지가 낮은 경우인 극 질량에서 정확히 성립하기 때문에, 과학자 다수는 이 관계를 수비학의 일종으로 본다.[44]
일본의 물리학자 스미노 유키나리는 유효 이론을 통해, 새로 발생한 게이지 대칭이 고이데 공식을 정확히 충족하게 된다는 새 기작을 주장했다.[45]
3. 1. 순열 대칭성
고이데 공식은 세 개의 전하를 띤 렙톤 질량 , , 사이에서 순열 대칭성을 나타낸다.[9] 이는 의 값이 이러한 질량의 어떤 교환 하에서도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계가 질량의 합과 그 제곱근의 합에 의존하므로, , , 의 어떤 순열도 를 불변으로 유지한다.
:
여기서 는 의 임의의 순열이다.
3. 2. 척도 불변성
양자장론에 따르면, 결합 상수나 질량은 에너지 규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42] 각 변수의 값은 재규격화에 따라 관측한 에너지 규모에 따라 변화한다.[43] 에너지가 높아 대칭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에 각 값 사이의 관계는 간단하지만, 에너지가 낮아질수록 재규격화가 복잡해져 관계 또한 복잡해진다. 고이데 공식은 에너지가 낮은 경우인 극 질량에서 정확히 성립하기 때문에, 과학자 다수는 이 관계를 수비학의 일종으로 본다.[44]
고이데 관계는 척도 불변성을 갖는다. 즉, 각 질량에 공통 상수 를 곱해도 의 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기서 )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는 질량을 공통 인수로 스케일링해도 변경되지 않는다.
4. 공식의 해석 및 의의
고이데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전자, 뮤 입자, 타우 입자의 질량은 각각 , , 이며, 괄호 속의 숫자는 측정 불확실성이다.[29] 이 값을 대입하면 = 이 된다.[30]
어떤 질량을 대입하더라도 ≤ < 1 이 되는데, 상한값은 분모가 제곱근 형태이기 때문에 수학적으로 성립하며, 하한값은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따른다. 실험적으로 측정한 값인 은 범위 정중앙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기되는 의문은 값 자체에 있는데,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세 숫자를 합치면 간단한 분수가 나오고, 거기에 전자, 뮤 입자, 타우 입자를 사용하면 의 값이 양 극단 (세 질량이 같을 경우 , 하나의 질량이 매우 클 경우 1) 사이에 정확히 위치한다는 것이다.
로버트 풋은 고이데 공식을 의 값이 벡터와 벡터 사이의 코사인 제곱 사이의 각도(스칼라곱)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는데,[31] 이 경우 각도는 정확히 45도가 된다().[31]
만약 공식에서 의 값이 정확히 라고 한다면, 전자와 뮤 입자의 질량에서 타우 입자의 질량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타우 입자의 질량 = 이 된다.[32]
고이데 공식은 앞선입자 모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나, 이를 유도하는 방법 또한 발견되었다. 하지만, 고이데 공식의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쿼크의 질량에서도 비슷한 관계가 발견되었으며,[33][34][35] 이를 적용하면 꼭대기 쿼크의 질량을 173.263947(6) GeV로 유도할 수 있다.[36] 고이데 공식과 유사한 형태로 쿼크의 질량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공식이 있는데, 특히 쿼크의 질량은 에너지 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석이 더욱 어렵다.[38]
양자장론에 따르면, 결합 상수나 질량은 에너지 규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42] 각 변수의 값은 재규격화에 따라 관측한 에너지 규모에 따라 변화한다.[43] 에너지가 높아 대칭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에 각 값 사이의 관계는 간단하지만, 에너지가 낮아질수록 재규격화가 복잡해져 관계 또한 복잡해진다. 고이데 공식은 에너지가 낮은 경우인 극 질량에서 정확히 성립하기 때문에, 과학자 다수는 이 관계를 수비학의 일종으로 본다.[44]
일본의 물리학자 스미노 유키나리는 유효 이론을 통해, 새로 발생한 게이지 대칭이 고이데 공식을 정확히 충족하게 된다는 새 기작을 주장했다.[45]
5. 쿼크 질량과의 관계
쿼크 질량은 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 척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분석이 복잡하다.[13] 고이데 공식과 유사하게 쿼크 질량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공식들이 존재한다.
:
위 식은 Rivero의 분석의 일부로 출판되었으며,[16] 그는 맵시 쿼크 질량 값을 증가시키면 'heavy'와 'middle'의 두 방정식이 정확해진다고 언급했다.
5. 1. 무거운 쿼크
쿼크의 질량은 측정에 사용되는 에너지 척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쿼크 질량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공식은 분석이 더 어렵다.[38]가장 무거운 세 쿼크인 맵시(1.275 ± 0.03 GeV), 바닥(4.180 ± 0.04 GeV), 꼭대기(173.0 ± 0.40 GeV)의 질량으로, 측정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고 다음 식을 세울 수 있다.[40]
:
2011년에 발표된 논문의 초고에서 이 관계가 언급되었지만,[39] 출판 과정에서 삭제되었고,[33] 2012년에 최초로 출판되었다.[40]
5. 2. 가벼운 쿼크
쿼크의 질량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공식은 고이데 공식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하지만 쿼크의 질량은 에너지 크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분석이 더 어렵다.[38]가벼운 쿼크인 위(up quark영어) (), 아래(down quark영어) (), 기묘(strange quark영어) ()의 질량 관계식은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40]
:
1978년 H. 하라리 등의 연구에서는 위, 아래, 기묘 쿼크의 질량을 계산하면서 위 쿼크의 질량을 0으로 가정했는데, 이는 우연히 고이데 공식과 유사한 형태를 띠었다.[41] 현대에 사용하는 형식으로 변환한 값은 다음과 같다.
:
6. 추측적 확장
칼 브란넨은 경입자의 질량이 다음 관계에 따라 순환 행렬의 고윳값의 제곱으로 주어진다고 주장하였다.[32][4]
: (단 n = 0, 1, 2, ...)
여기에 η2 = 0.500003(23), 위상값 δ = 0.2222220(19)(2/9와 유사)를 대입하면 실험 결과와 일치하나, η2 = 1/2과 δ = 2/9라는 값 자체가 실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32][4]
쿼크에서도 비슷한 관계가 제안되었는데, 여기서 위상값은 2/27 = 2/9 × 1/3과 4/27 = 2/9 × 2/3으로, 입자 간 전하량의 차이를 내포하고 있다(쿼크에서 1/3과 2/3, 경입자에서 3/3 = 1).[37][10]
7. 이론적 기원
양자장론에 따르면, 결합 상수나 질량은 에너지 규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42] 각 변수의 값은 재규격화에 따라 관측한 에너지 규모에 따라 변화한다.[43] 에너지가 높아 대칭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에 각 값 사이의 관계는 간단하지만, 에너지가 낮아질수록 재규격화가 복잡해져 관계 또한 복잡해진다. 고이데 공식은 에너지가 낮은 경우인 극 질량에서 정확히 성립하기 때문에, 과학자 다수는 이 관계를 수비학의 일종으로 본다.[44]
일본의 물리학자 스미노 유키나리는 유효 이론을 통해, 새로 발생한 게이지 대칭이 고이데 공식을 정확히 충족하게 된다는 새 기작을 주장했다.[45]
로버트 풋은 고이데 공식을 기하학적 관계로 해석했는데, 여기서 값 는 벡터 와 벡터 사이 각도의 제곱 코사인이다(''내적'' 참조).[3] 그 각도는 거의 정확히 45도이다: [3]
공식이 정확하게 성립한다고 가정할 때, (더 정확하게 알려진) 전자와 뮤온의 질량으로부터 타우 질량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예측값은 이다.[4]
원래 공식은 프리온 모델의 맥락에서 나왔지만, 다른 방법으로 이를 유도하는 방법이 발견되었다(스미노와 고이데에 의해). 그러나 전체적으로 이해는 불완전하다. 유사한 일치가 실행 질량에 따라 쿼크의 삼중항에 대해 발견되었다.[5][6][7] 교대 쿼크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삼중항에 대한 고이데 방정식을 연결하면 톱 쿼크의 질량에 대해 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8]
고이데 공식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11]
:을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조건을 부여한다.
:
:
이로부터 공식이 도출된다. 게다가, 중성미자와 아래 쿼크의 질량은 에 비례한다고 가정되었고, 위 쿼크의 질량은 에 비례한다고 가정되었다.
출판된 모델[12]은 첫 번째 조건을 대칭 붕괴 계획의 일부로, 두 번째 조건을 이 대칭 붕괴를 일으키는 상호 작용에서 프리온에 대한 "맛 전하"로 정당화한다.
행렬 형식으로 and 로 나타낼 때, 방정식은 단순히 and 이다.
8. 비판적 시각
양자장론에 따르면, 결합 상수나 질량은 에너지 규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각 변수의 값은 재규격화에 따라 관측한 에너지 규모에 따라 변화한다.[42][43] 에너지가 높아 대칭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에 각 값 사이의 관계는 간단하지만, 에너지가 낮아질수록 재규격화가 복잡해져 관계 또한 복잡해진다. 고이데 공식은 에너지가 낮은 경우인 극 질량에서 정확히 성립하기 때문에, 과학자 다수는 이 관계를 "수비학"의 일종으로 본다.[44]
하지만 일본의 물리학자 스미노 유키나리는 대전된 렙톤 스펙트럼의 기원과 고이데 공식을 설명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예를 들어 극 질량이 관계식을 정확히 만족하도록 하는 새로운 게이지 대칭을 가진 유효장 이론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설명했다.[21]
참조
[1]
서적
Elementary Particles And Emergent Phase Spac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4
[2]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https://cds.cern.ch/[...]
2008
[3]
arXiv
A note on Koide's lepton mass relation
1994-02-07
[4]
웹사이트
The lepton masses
http://brannenworks.[...]
2006-05-02
[5]
논문
Extension of an empirical charged lepton mass relation to the neutrino sector
2011
[6]
논문
Heuristic development of a Dirac-Goldhaber model for lepton and quark structure
https://www.research[...]
2007
[7]
arXiv
A remark on the Koide relation for quarks
2011
[8]
arXiv
A new Koide tuple: Strange-charm-bottom
2011
[9]
간행물
A bottom-up approach to fermion masses
http://inspirehep.ne[...]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2008
[10]
논문
Remark on Koide's Z3-symmetric parametrization of quark masses
2012-12-26
[11]
간행물
Quark and lepton masses speculated from a subquark model
1981
[12]
논문
A fermion-boson composite model of quarks and leptons
1983
[13]
서적
Top Quark Physics at Hadron Collid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
[14]
arXiv
Extension of an empirical charged lepton mass relation to the neutrino sector
2011
[15]
논문
Neutrino masses from lepton and quark mass relations and neutrino oscillations
2012
[16]
논문
An interpretation of scalars in SO(32)
2024
[17]
논문
Quark masses and Cabibbo angles]
https://cds.cern.ch/[...]
[18]
서적
An Invitation to Quantum Field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19]
서적
Cosmology with MATLAB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6
[20]
blog
Could the Koide formula be real?
http://motls.blogspo[...]
2023-12-21
[21]
논문
Family gauge symmetry as an origin of Koide's mass formula and charged lepton spectrum
2009
[22]
arXiv
Sumino model and my personal view
2017
[23]
arXiv
What physics does the charged lepton mass relation tell us?
2018
[24]
간행물
A bottom-up approach to fermion masses
http://inspirehep.ne[...]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2008
[25]
논문
Charged lepton mass sum rule from U(3) family Higgs potential model
https://inspirehep.n[...]
1990
[26]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27]
문서
[28]
서적
Elementary Particles And Emergent Phase Spac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4
[29]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https://cds.cern.ch/[...]
2008
[30]
문서
[31]
arXiv
A note on Koide's lepton mass relation
1994-02-07
[32]
웹인용
The lepton masses
http://brannenworks.[...]
2006-05-02
[33]
논문
Extension of an empirical charged lepton mass relation to the neutrino sector
2011
[34]
논문
Heuristic development of a Dirac-Goldhaber model for lepton and quark structure
https://www.research[...]
2007
[35]
arXiv
A remark on the Koide relation for quarks
2011
[36]
ArXiv
A new Koide tuple: Strange-charm-bottom
[37]
저널
Remark on Koide's Z3-symmetric parametrization of quark masses
http://arxiv.org/abs[...]
2012-12-26
[38]
서적
Top Quark Physics at Hadron Collid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
[39]
ArXiv
Extension of an empirical charged lepton mass relation to the neutrino sector
[40]
저널
Neutrino masses from lepton and quark mass relations and neutrino oscillations
[41]
저널
Quark masses and cabibbo angles
http://cds.cern.ch/r[...]
[42]
서적
An Invitation to Quantum Field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43]
서적
Cosmology with MATLAB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6
[44]
웹인용
Could the Koide formula be real?
http://motls.blogspo[...]
2012-01-16
[45]
저널
Family Gauge Symmetry as an Origin of Koide's Mass Formula and Charged Lepton Spectr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