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은 30년 전쟁 시기에 활약한 군인이다. 그는 바이에른 출신으로, 튀빙겐에서 교육을 받고 여러 언어를 익혔으며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했다. 폴란드 부대 지휘관으로 백산 전투에 참전했고, 중장기병 연대 사령관, 이탈리아 전쟁 참전 등 다양한 군사적 활동을 펼쳤다. 1628년 제국의 백작이 되었으며, 뤼첸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체코 지명, 검의 종류, 헬멧의 종류, 속담 등에 사용되며, 유럽 전역의 학생 단체에서는 그를 기리는 음주가를 부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30년 전쟁 관련자 -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은 30년 전쟁 당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위해 활약한 보헤미아 출신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막대한 부와 권력을 축적했으나 독자적인 행보로 인해 암살당했다.
  • 독일의 30년 전쟁 관련자 - 마티아스 갈라스
    마티아스 갈라스는 30년 전쟁 당시 합스부르크 제국군에서 활약하며 공을 세웠으나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발렌슈타인 축출에 가담하는 등 부침을 겪은 신성 로마 제국의 군인이다.
  • 독일의 군인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은 독일의 장군이자 항공기 제조자로, 특히 체펠린 비행선 개발로 명성을 얻었으며, 루프트쉬프바우 체펠린을 설립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비행선을 공급하는 등 항공기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독일의 군인 - 요하네스 뵐터
    요하네스 뵐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육군 제502중전차대대에서 복무하며 139대 이상의 적 전차를 격파, 독일군 내 세 번째로 높은 전과를 올려 나뭇잎 장식이 붙은 기사 철십자장을 수여받은 전차 에이스이자, 미하엘 비트만, 오토 카리우스와 함께 독일 최고 전차병 중 한 명으로 꼽힌다.
  • 1594년 출생 - 이로하히메
    이로하히메는 다테 마사무네와 아이히메 사이에서 태어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계략으로 마쓰다이라 다다테루와 결혼했으나 이혼 후 센다이에서 여생을 보낸 인물로, 미모와 총명함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독교 신앙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1594년 출생 - 인열왕후
    인열왕후는 조선 16대 왕 인조의 정비로, 청주 한씨 한준겸의 딸이며 인조와의 사이에서 4남 1녀를 두었고, 인조반정 후 왕비가 되어 내명부를 다스리며 인조에게 정치적 조언을 아끼지 않았으나 산후병으로 승하하여 파주 장릉에 묻혔다.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폰 파펜하임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그라프 추 파펜하임
출생일1594년 5월 29일
출생지바이에른 파펜하임
사망일1632년 11월 17일 (향년 38세)
사망지작센 라이프치히
별칭파펜하임 백작
군사 복무
복무 기간1618년–1632년
참전 전투30년 전쟁
백산 전투 (1620)
마그데부르크 약탈 (1631)
마스트리흐트 점령 (1632)
뤼첸 전투 (1632)
기타 정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직위신성 로마 제국 원수 (1594–1632)

2. 생애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은 바이에른의 파펜하임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문은 제국의 통치권으로부터 자유로운 고대 가문이었다.[1] 그는 튀빙겐에서 교육받고 남부 및 중부 유럽을 여행하며 여러 언어를 익혔다.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 신앙을 받아들이고(1614년) 헌신했다.[1]

30년 전쟁이 발발하자 파펜하임은 폴란드에서 군 복무를 시작했고, 가톨릭 동맹 측에서 싸웠다. 백산 전투(1620년)에서 용기를 보여주었고, 흉갑 기병 연대 대령(1622년)이 되었다.[1] 농민 반란을 진압(1626년)하고,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에 맞서 볼펜뷔텔을 점령했다.[1] 1628년 제국 백작이 되었고, 마그데부르크 약탈에 가담했다.[2]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라인 강 하류와 베저 강에서 구스타프 아돌프 군대에 맞서 싸웠다.[2] 뤼첸 전투에서 구스타프 아돌프가 사망할 무렵, 파펜하임 역시 치명상을 입고 라이프치히로 가던 도중 사망했다.[2]

2. 1. 초기 생애 및 배경

바이에른 지방 알트뮐(Altmühl)에 있는 파펜하임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제국의 통치권으로부터 자유로운 고대 가문이었다. 그는 튀빙겐의 아돌프에서 교육을 받고, 이후 기사도적인 모험을 추구하며 남부와 중부 유럽을 여행하는 도중 여러 언어를 익혔다. 여러 나라에 머물면서 그는 결국 그가 자신의 전 생애를 바쳐 헌신하게 될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믿음을 받아들였다(1614년). 대전쟁이 발발하자 파펜하임은 그가 이제까지 얻은 그의 정규적이고 외교적인 모든 직위를 버리고 로마 가톨릭교회의 영향을 받은 폴란드의 직위를 얻기 위해 성심성의껏 노력했다.

2. 2. 30년 전쟁 참전

1614년 로마 가톨릭 교회 신앙을 받아들인 파펜하임은 30년 전쟁이 발발하자 법률 및 외교 경력을 포기하고 폴란드에서 군 복무를 시작했다. 폴란드 군에서 기병 전투 경험을 쌓은 그는 가톨릭 동맹 측에서 활약했다.

그는 곧 중령이 되었고, 1620년 11월 8일 프라하 근처 백산 전투에서 큰 용기를 보여주었다.[1] 이듬해 서부 독일에서 에른스트 폰 만스펠트 백작과 싸웠고, 1622년 흉갑 기병 연대 대령이 되었다.[1] 1623년 자신의 군주와 신앙의 동맹인 스페인을 위해 이탈리아 전쟁에 참전, 롬바르디와 그라우뷘덴에서 스페인군과 함께 복무했다.[1] 1626년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1세는 상 오스트리아에서 발발한 농민 반란 진압 임무를 맡겼고, 파펜하임은 몇 주 만에 무자비하게 반란을 진압했다.[1]

이후 요한 체르클라에스 폰 틸리 백작과 함께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에 맞서 싸웠으며, 볼펜뷔텔을 포위, 점령했다.[2] 1628년 제국 백작이 되었다.[2] 마그데부르크 약탈에서 잔혹 행위로 비난받았다.[2]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패배했으나, 황제군 후퇴를 엄호했고, 이후 구스타브 아돌프 군 후방의 라인 강 하류와 베저 강에서 활약했다.[2]

그의 작전은 슈타데에서 카셀, 힐데스하임에서 마스트리흐트 점령까지 광범위했다.[2] 황실군 야전 사령관이 된 그는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과 합류, 스웨덴에 맞서 작센에서 사령관을 도왔다.[2] 그러나 다시 쾰른과 라인 강 하류로 파견되었다.[2] 뤼첸 전투 (1632년 11월 16일, 스웨덴식 1632년 11월 6일)에 기병대와 함께 나타나 맹렬히 공격, 잠시 성공을 거두었다.[2] 국왕 사망 직후 전장의 다른 곳에서 치명상을 입었다.[2] 그는 같은 날 늦게 또는 다음 날 아침 라이프치히로 가는 길에 사망했으며, 시신은 플라이센부르크 요새에서 방부 처리되었다.[2]

3. 유산

그의 이름은 체코 중심부를 지칭한다. 플랑드르, 스칸디나비아, 독일 속담에 "우리는 우리의 파펜하임의 무리들을 안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체코에서 누군가가 완벽하게 예상된 행동을 할 때를 암시하는 말로 쓰인다.

파펜하이머라는 레이피어는 왈룬 소드라고도 불리는데, 웹스터 영어 백과사전에 따르면 파펜하임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1]


  • 폴란드 군사 용어에서 "파펜하이머"는 30년 전쟁 당시 중기병이 착용했던 헬멧의 한 유형을 지칭한다.[2]
  • 독일어에서 "나는 내 파펜하이머를 안다"(Ich kenne meine Pappenheimer)라는 구절은 부정적인 의미로, 예상대로 행동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쉴러의 발렌슈타인 연극에서 유래되었지만, 원래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었다.[3] 네덜란드어에서 이 표현은 긍정적인 의미를 유지하지만, 반어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4]
  • "파펜하이머 장군"을 기리는 음주가가 유럽 전역의 학생 단체에서 불려진다.[5]

참조

[1] 서적 Webster's Encyclopedic Unabridged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Deluxe Edition
[2] 서적 Bron w dawnej Polsce Warszawa 1975
[3] 웹사이트 Word of the Week: Pappenheimer – GermanyinUSA https://germanyinusa[...] 2011-07-22
[4] 웹사이트 je pappenheimers kennen (herkomst en betekenis) https://onzetaal.nl/[...]
[5] 웹사이트 Immaterieel erfgoed: cantussen https://immateriee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