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동사회와 이익사회"는 페르디난트 퇴니스가 제시한 사회 관계의 두 가지 유형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게마인샤프트(공동체)는 혈연, 지연, 친분 등 자연적이고 정서적인 유대에 기반하며, 개인은 공동체의 일부로 존재한다. 게젤샤프트(이익 사회)는 계약, 법률, 이해관계 등 인위적이고 합리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개인은 독립적인 존재로 사회에 참여한다. 퇴니스는 이 두 개념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분류했으며,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켐 등 다른 사회학자들도 이 개념에 영향을 받아 논의를 발전시켰다. 이 개념은 제1차 세계 대전 선전, 세계화와 정체성 정치 등 다양한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퍼러티즘 - 계급협조론
    계급 협조론은 사회 안정, 경제 효율성, 국가 발전을 목표로 사회 계층 간 협력을 강조하는 이론이지만, 노동자 권익 침해 및 불평등 심화 가능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적 대화를 통해 노사정 합의점을 찾는 균형 잡힌 접근이 모색되고 있다.
  • 코퍼러티즘 - 연대주의
  • 커뮤니티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커뮤니티 - 향토사
    향토사는 특정 지역의 역사, 지리, 문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며, 한국에서는 지역 공동체의 변화와 발전을 연구하는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았고, 연구 결과의 신뢰성 문제 등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 철학 용어 - 원질
    원질은 물질의 기본 요소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자연과학, 입자물리학, 철학에서 사용되며, 윌리엄 프라우트가 처음 제안했고 현대 입자물리학에서는 쿼크와 렙톤, 철학에서는 아르케, 프라크리티, 법, 오행, 이기, 도 등과 관련된다.
  • 철학 용어 - 종말론
    종말론은 죽음, 심판, 인류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다루는 신학 및 철학 분야로,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독특한 종말관을 제시하며, 종교적 경전 해석, 과학기술 발전, 역사의 법칙성 논의 등과 연관되어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기본 정보
페르디난트 퇴니에스의 사진
페르디난트 퇴니에스
저자페르디난트 퇴니에스
원제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독일어 발음게마인샤프트 [ɡəˈmaɪnʃaft]
게젤샤프트 [ɡəˈzɛlʃaft]
출판일1887년
주제
사회학공동사회와 이익사회 모델
배경
영향 받은 학자카를 마르크스
헨리 메인 경
프랑스 혁명
개념
게마인샤프트 (Gemeinschaft)공동사회
게젤샤프트 (Gesellschaft)이익사회
공동사회 (Gemeinschaft)
정의감정적 유대, 사회적 응집력, 끈끈한 관계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
특징가족
우정
이웃
강한 사회적 연대
상호 의존
공유된 가치와 신념
이익사회 (Gesellschaft)
정의합리적 자기 이익, 개인주의, 공식적인 관계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
특징기업
국가
공식적인 조직
약한 사회적 연대
경쟁
계약 관계
개인의 자유 중시
관련 개념
사회적 자본사회적 자본
사회적 유대사회적 유대
사회적 네트워크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응집력사회적 응집력
같이 보기
관련 항목에밀 뒤르켐
막스 베버
사회학
공동체
사회

2.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의 개념

사회적 관계는 개인적 사회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역할, 가치 및 신념을 의미하는 Gemeinschaft|게마인샤프트de(일반적으로 "공동체"로 번역됨)와 간접적 상호작용, 비인격적 역할, 형식적 가치 및 그러한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신념을 의미하는 Gesellschaft|게젤샤프트de(일반적으로 사회로 번역되며, 협회, 법인, 회사, 현대 국가 및 학계를 포함)로 분류될 수 있다.[1]

퇴니스는 이러한 구분을 통해 역사적 사회 변화의 핵심 요소를 강조하고자 했다. 이 개념은 막스 베버를 포함한 여러 사회 이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9] 퇴니스는 토마스 홉스의 "일치"와 "결합" 개념에서 두 범주를 도출했다고 주장되기도 한다.[4]

막스 베버는 게마인샤프트는 "정서적이거나 전통적"일 수 있는 "주관적 감정"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게젤샤프트 기반 관계는 "상호 동의에 의한 합리적 합의"에 기반하며, 그 예시로 상업 계약을 들었다.[11]

퇴니스는 에밀 뒤르켐과의 논쟁을 통해 자신의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 뒤르켐은 게마인샤프트를 기계적 연대를 갖는 것으로 해석했지만, 퇴니스는 뒤르켐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았다.[13]

2. 1. 게마인샤프트 (공동체)

Gemeinschaft|게마인샤프트de는 일반적으로 "공동체"로 번역되며, 개인적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반한 역할, 가치, 신념을 의미한다.[1] 이는 혈연, 지연, 친분 등과 같이 자연 발생적이고 정서적인 유대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적 관계를 의미하며, 개인의 역할, 가치, 신념은 공동체의 전통과 규범에 의해 결정되며, 개인은 공동체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막스 베버는 게마인샤프트가 "정서적이거나 전통적"일 수 있는 "주관적 감정"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11]

퇴니스는 ''Gemeinschaft''–''Gesellschaft''(게마인샤프트-게젤샤프트) 이분법의 개념을 제시한 후, 에밀 뒤르켐과의 날카로운 논쟁에 휘말렸다. 1889년 퇴니스의 저서에 대한 서평에서 뒤르켐은 ''Gemeinschaft''를 기계적 연대를 갖는 것으로 해석했다.[13]

제1차 세계 대전 선전에서 자기 희생적인 (덕이 있는) 여성은 전쟁에 헌신하는 남편과 아들을 파병하고, 그들이 부재한 동안 가정을 유지함으로써 전쟁 노력을 지원하는 의무적인 전쟁 가정부의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Gemeinschaft''의 핵심으로 묘사되었다.[14]

2. 2. 게젤샤프트 (이익 사회)

게젤샤프트(Gesellschaft)는 일반적으로 사회로 번역되며, 협회, 법인, 회사, 현대 국가 등을 포함한다.[1] 이는 간접적 상호작용, 비인격적 역할, 형식적 가치 및 신념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이다.[1]

막스 베버에 따르면 게젤샤프트 기반 관계는 "상호 동의에 의한 합리적 합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 가장 좋은 예는 상업 계약이다.[11]

3.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의 Dichotomy

퇴니스는 사회적 관계가 개인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게마인샤프트(공동체)와 간접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게젤샤프트(사회)로 분류될 수 있다고 보았다.[1] 막스 베버와 같은 사회학자들은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의 이분법을 역사적 사회 변화를 설명하는 도구로 사용했다.[1]

퇴니스는 토마스 홉스의 "일치"와 "결합" 개념에서 두 범주를 도출했다고 주장된다.[4]

4. 막스 베버의 해석

막스 베버는 1921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경제와 사회》에서 게마인샤프트(Gemeinschaft)와 게젤샤프트(Gesellschaft) 개념을 사용했다.[9] 베버는 게마인샤프트가 "정서적이거나 전통적"일 수 있는 "주관적 감정"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11] 반면 게젤샤프트 기반 관계는 "상호 동의에 의한 합리적 합의"에 기반을 두며, 그 예시로 상업 계약을 들었다.[11]

베버는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간의 관계가 유동적이고 비정형적임을 강조하기 위해 'Vergemeinschaftung'(페어게마인샤프퉁)과 'Vergesellschaftung'(페어게젤샤프퉁)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1] 이는 관계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베버의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구분은 그의 3요소 계층 이론의 기초가 되는 "계급, 신분, 정당" 에세이에서 강조된다.[12]

5. 에밀 뒤르켐과의 논쟁

퇴니스는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개념을 제시한 후 에밀 뒤르켐과 논쟁을 벌였다.[13] 뒤르켐은 1889년 퇴니스의 저서에 대한 서평에서 게마인샤프트를 기계적 연대를 갖는 것으로, 게젤샤프트를 유기적 연대를 갖는 것으로 해석하고, 퇴니스가 사회 조직 유형의 전환에 대한 설명을 확장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뒤르켐은 퇴니스의 게젤샤프트 접근 방식이 "완전히 이데올로기적"이지만 "이 책에서 진정으로 강력한 사고와 비범한 조직력을 인식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13]

퇴니스는 뒤르켐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았고, 뒤르켐의 사회 분업론(1896)을 비판하며, 뒤르켐이 분업을 충분히 비판적으로 다루지 않았고 그의 사회학은 허버트 스펜서(그는 "전투적인 사회"와 "산업 사회"라는 구분이 있었다)의 수정판이라고 주장했다.[13]

6. 제1차 세계 대전 선전에서의 활용

제1차 세계 대전 선전에서 여성은 자기희생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게마인샤프트(''Gemeinschaft'')의 핵심으로 여겨졌다. 이들은 전쟁에 헌신하는 남편과 아들을 지원하고, 그들이 없는 동안 가정을 유지함으로써 전쟁을 돕는 의무적인 전쟁 가정부의 모델로 제시되었다.[14] 이러한 "덕이 있는 여성"은 전시 선전에서 부도덕하거나 비윤리적인 여성과 대조되는 이상적인 모습이었다.[14]

7. 세계화와 정체성 정치

에릭 홉스봄세계화가 지구 전체를 점점 더 멀어지는 종류의 '이익사회'(Gesellschaft)로 변화시키면서, 집단적 정체성 정치 또한 인위적으로 집단적 유대와 정체성을 재구축함으로써 '공동사회'(Gemeinschaft)의 특성을 허구적으로 재구성하려 한다고 주장했다.[15]

프레드릭 제임슨은 '이익사회'(Gesellschaft)에 의해 구성된 사람들이, 비록 그들의 존재를 불가피하게 훼손하더라도, 여전히 남아있는 '공동사회'(Gemeinschaft)의 앙클레이브에 대해 느끼는 양가적인 질투심을 강조한다.[16]

8. 한국 사회와 게마인샤프트/게젤샤프트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혈연, 지연, 학연 등 게마인샤프트(공동사회)적 유대가 강한 사회였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게젤샤프트(이익사회)적 관계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적인 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 사이의 갈등, 세대 간의 갈등, 지역 간의 불균형 등 다양한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

9. 최신 판본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1880–1935|게마인샤프트 운트 게젤샤프트. 1880–1935de, 베티나 클라우젠, 디터 하젤바흐 편집, De Gruyter, 베를린/보스턴 2019 (페르디난트 퇴니스 전집 2권).

참조

[1] 서적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Fues's Verlag 1887
[2] 서적 The Elements of Law Natural and Politic Simpkin, Marshall & Co. 1889
[3] 웹사이트 Behemoth or the Long Parliament https://archive.org/[...] Simpkin, Marshall & Co. 1889
[4] 서적 Politics in Commercial Society: Jean-Jacques Rousseau and Adam Smith Harvard UP 2015
[5] 문서 Basic Terms of Pure Sociology
[6] 문서 Abhandlung des Communismus und des Socialismus als empirischer Culturformen
[7] 문서 The 1935 edition was reprinted in 2005 by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Darmstadt.
[8] 서적 Promise of development: theories of change in Latin America Westview Press 1986
[9]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0] 문서 Weber 1968, p. 4, and 40-43.
[11] 문서 For more discussion see Waters and Waters 2015:3-6, in Weber's Rationalism and Modern Society. New York: Palsgrave MacMillan
[12] 문서 Weber 2015:37-58 in Weber's Rationalism and Modern Society, Tony Waters and Dagmar Waters eds. New York: Palsgrave MacMillan
[13] 간행물 An Exchange Between Durkheim and Tönnies on the Nature of Social Relations, with an Introduction by Joan Aldous 1972-05
[14] 서적 For Home and Country: World War I Propaganda on the Home Fron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0
[15] 서적 Globalisation, Democracy and Terrorism 2007
[16] 서적 The Jameson Reader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