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기술, 자본의 이동을 통해 전 세계 국가 간의 경제적 상호 의존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1930년대부터 사용된 용어는 1980년대 테오도르 레빗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정의와 해석을 낳았다. 세계화는 경제, 사회, 문화, 정치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나타나며,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무역 증진, 기술 발전, 투자 기회 확대를 가져왔지만, 불평등 심화, 일자리 감소, 문화 동질화 등의 문제도 야기했다. 문화적 측면에서는 대중문화 확산, 종교의 전파, 스포츠의 세계화 등이 나타났으며, 정치적으로는 초국가적 기구의 등장, 다중 국적 현상, 비정부 기구의 영향력 확대 등이 특징이다. 세계화에 대한 여론은 국가별, 계층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반세계화 운동과 대안 세계화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호문화주의 - 세계시민주의
    세계시민주의는 '세계의 시민'을 뜻하는 코스모폴리테스에서 비롯되어 정치적 세계화, 문화적 다원주의와 관련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모든 인류의 정치적 참여를 강조하는 세계 정치 사상이자, 키니코스 학파와 스토아 학파 철학자들을 통해 발전되었고 칸트가 코스모폴리탄법을 제시하며 중요성을 강조했으나 민족주의자들에게 비판받는 정치적 이념이다.
  • 상호문화주의 - 문화적응
    문화적응은 개인이 자신이 속한 문화의 규범과 가치를 배우는 과정으로, 몰입 학습, 암묵지, 사회화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사회학 및 인류학에서 연구된다.
  • 문화지리학 - 조국
    조국은 개인의 혈통, 역사, 국적, 성장 배경, 조상의 삶과 관련된 국가를 의미하며, 가족적 유대감과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민족주의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 문화지리학 - 정착민 식민주의
    정착민 식민주의는 이주민들이 영구 정착하여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며 원주민 사회를 대체하거나 지배하는 식민주의 형태로, 토지와 자원 점유, 원주민 문화 억압, 그리고 자신들의 시스템 구축을 통해 원주민 사회의 해체와 재구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식민주의와 차별화됩니다.
  • 경제지리학 - 콤비나트
    콤비나트 모델은 중국에서 특정 산업 집중화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개발 모델로,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부작용도 검토해야 한다.
  • 경제지리학 - 정보 격차
    정보 격차는 사회경제적, 지리적, 신체적 요인으로 정보 접근 및 활용 능력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사회 참여 제한, 경제적 불평등 심화, 교육 격차 유발 등 사회 문제로 이어져 국제적으로 해소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화
세계화
세계화의 역사 일부로서 지구를 가로지르는 인간의 초기 이동 패턴을 보여줌.
세계화의 역사 일부로서 지구를 가로지르는 인간의 초기 이동 패턴을 보여줌.
일본과 무역을 하기 위해 유럽인들을 태운 난반 선.
일본과 무역을 하기 위해 유럽인들을 태운 난반 선.
뉴욕시 맨해튼 미드타운 내 국제 영토에 있는 국제연합 본부
뉴욕시 맨해튼 미드타운 내 국제 영토에 있는 국제연합 본부
캐나다 온타리오주 리치먼드힐에 있는 미국 슈퍼스토어 월마트 지점
캐나다 온타리오주 리치먼드힐에 있는 미국 슈퍼스토어 월마트 지점
아프리카 대륙 주변과 유럽, 아시아, 대서양을 잇는 해저 케이블 연결 지도
아프리카 대륙 주변과 유럽, 아시아, 대서양을 잇는 해저 케이블 연결 지도
정의세계관, 제품, 아이디어, 자본 및 노동의 확산
주요 주제
사회사회
세계화세계화
인간 행동인간 행동
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
정체성 (사회 과학)정체성 (사회 과학)
산업 혁명3차
4차
5차
인기인기
사회 복잡성사회 복잡성
사회 환경사회 환경
사회 평등사회 평등
사회적 형평성사회적 형평성
사회 권력사회 권력
사회 계층화사회 계층화
사회 구조사회 구조
사회 순환 이론사회 순환 이론
관점
갈등 이론갈등 이론
비판 이론비판 이론
구조 기능주의구조 기능주의
실증주의실증주의
사회 구성주의사회 구성주의
사회 다윈주의사회 다윈주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상징적 상호작용주의
분과
노년학노년학
건축 사회학건축 사회학
예술 사회학예술 사회학
우주 사회학우주 사회학
신체 사회학신체 사회학
범죄학범죄학
인간 의식 사회학인간 의식 사회학
문화 사회학문화 사회학
죽음 사회학죽음 사회학
인구 통계학인구 통계학
일탈 (사회학)일탈 (사회학)
재해 사회학재해 사회학
경제 사회학경제 사회학
교육 사회학교육 사회학
감정 사회학감정 사회학 (질투)
환경 사회학환경 사회학
가족 사회학가족 사회학
페미니스트 사회학페미니스트 사회학
재정 사회학재정 사회학
음식 사회학음식 사회학
성 사회학성 사회학
세대 이론세대 이론
건강과 질병 사회학건강과 질병 사회학
역사 사회학역사 사회학
이민 사회학이민 사회학
산업 사회학산업 사회학
인터넷 사회학인터넷 사회학
유대인 사회학유대인 사회학
지식 사회학지식 사회학
언어 사회학언어 사회학
법 사회학법 사회학
여가 사회학여가 사회학
문학 사회학문학 사회학
마르크스 사회학마르크스 사회학
수학 사회학수학 사회학
의료 사회학의료 사회학
군사 사회학군사 사회학
사회 음악학사회 음악학
평화, 전쟁 및 사회 갈등 사회학평화, 전쟁 및 사회 갈등 사회학
철학 사회학철학 사회학
정치 사회학정치 사회학
공공 사회학공공 사회학
처벌 사회학처벌 사회학
인종 및 민족 관계 사회학인종 및 민족 관계 사회학
종교 사회학종교 사회학
농촌 사회학농촌 사회학
과학적 지식 사회학과학적 지식 사회학 (과학사)
사회 운동 이론사회 운동 이론
사회 심리학 (사회학)사회 심리학 (사회학)
사회 사이버네틱스사회 사이버네틱스
사회학 사회학사회학 사회학
공간 사회학공간 사회학
스포츠 사회학스포츠 사회학
기술의 사회적 구성기술의 사회적 구성
테러 사회학테러 사회학
도시 사회학도시 사회학
현실 유토피아 사회학현실 유토피아 사회학
피해자학피해자학
시각 사회학시각 사회학
방법
양적 연구양적 연구
질적 연구질적 연구
비교 역사 연구비교 역사 연구
계산 사회학계산 사회학
민족지학민족지학
대화 분석대화 분석
역사적 방법역사적 방법
인터뷰 (연구)인터뷰 (연구)
수학 사회학수학 사회학
사회 네트워크 분석사회 네트워크 분석
사회 실험사회 실험
설문 조사 (인간 연구)설문 조사 (인간 연구)
주요 이론가
1700년대콩트
시에예스
1800년대마티노
토크빌
마르크스
스펜서
르 봉
워드
파레토
퇴니스
베블런
지멜
뒤르켐
애덤스
미드
베버
듀보이스
만하임
엘리아스
1900년대프롬
아도르노
겔렌
아롱
머튼
니즈벳
밀스

쉐크
고프먼
바우만
푸코
루만
하버마스
보드리야르
부르디외
기든스
목록
참고 문헌사회학 참고 문헌
용어사회학 용어
저널사회학 저널 목록
조직사회학 협회 목록
사람사회학자 목록
연표사회학 연표
국가별국가별 사회학

2. 어원 및 정의

세계화라는 용어는 국제 경제 시스템의 출현을 가리키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296] 1980년대 세오도어 레비트가 이 용어를 대중화하여 주류 비즈니스 업계에 소개했다.[297]

세계화의 개념은 처음 등장한 이후 상반되는 정의와 해석을 낳았다. 그 기원은 15세기 이후 아시아와 인도양에서 이루어진 무역과 제국의 이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98]

마틴 알브로와 엘리자베스 킹은 세계화를 "세계 사람들이 하나의 세계 사회로 통합되는 모든 과정"이라고 정의한다.[298] 앤서니 기든스는 "세계화는 멀리 떨어진 지역을 연결하는 세계적인 사회 관계의 강화로, 지역적 사건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의해 형성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라고 설명한다.[299] 1992년 애버딘 대학교의 사회학 교수 롤랜드 로버트슨은 세계화를 "세계의 압축과 세계 전체에 대한 의식의 강화"라고 표현했다.[299]

데이비드 헬드와 그의 동료들은 세계화를 "세계적 상호 연결의 확대, 심화 및 가속화"라고 정의하면서도, "이러한 정의는 더 자세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고 덧붙였다.[300] 이들은 세계화가 지역, 국가, 지역과 연속선상에 있으며, 한쪽 끝에는 지역 및 국가 기반의 사회, 경제적 관계와 네트워크가, 다른 쪽 끝에는 지역적 및 국제적 상호 작용의 더 넓은 규모로 결정되는 사회, 경제적 관계와 네트워크가 있다고 설명한다.[290]

스웨덴 언론인 토마스 라르손은 그의 저서에서 세계화를 "세계의 축소, 거리가 짧아지고, 사물이 가까워지는 과정"으로 정의하며, "세계 한쪽에 있는 누군가가 상호 이익을 위해 세계 반대편에 있는 누군가와 상호 작용하는 것이 점점 더 쉬워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25] 폴 제임스는 세계화를 "세계 공간에 걸쳐 사회 관계를 확장하는 것"으로 정의한다.[301]

2. 1. 한국어 번역

"세계화"라는 용어는 1930년 "새로운 교육 방향"이라는 간행물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교육에서 인간 경험의 전체적인 관점을 나타냈다.[296] 이 용어는 1980년대 세오도어 레비트에 의해 대중화되기 전까지 경제적인 면에서, 그리고 다른 의미에서 1944년 초부터 사용되었다.[297]

프랑수아 페루는 1960년대 초 에세이에서 "''mondialisation''"(프랑스어로 문자 그대로 세계화)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세계화로도 번역되었다.[2] 프랑스어에서 세계화(mondialisation)는 세계 경제 교류 네트워크 내에서 국가 정체성의 해체와 국경 철폐를 의미하는 단계로 여겨진다.[17]

국립국어원은 외래어 순화 방안에서 "'세계화'를 '지구 전체의 규모로 확대되는 것을 의미하는 '지구규모화'로 바꾸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지구 전체가 하나가 되는 데 초점을 맞춰 '지구일체화'로 바꿀 수도 있다. 중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全球化(취안치우화)’도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경우가 있다.”라고 밝히고 있다.[238]

글로벌”과 “인터내셔널”,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인터내셔널라이제이션(국제화)”이라는 단어는 의미하는 범위가 다르다. “인터내셔널라이제이션”은 국가 간에 발생하는 현상인 반면, “글로벌라이제이션”은 지구 규모에서 발생하는 것이며, 국경의 유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3. 역사

세계화의 역사는 19세기 산업 혁명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했다. 산업 혁명은 규모의 경제를 통해 상품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인구 증가와 함께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했다.[303] 19세기에는 증기선철도의 발달로 국제 및 내륙 운송 비용이 크게 절감되면서 교통 혁명이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는 더 많은 국가들이 국제 무역에 참여하도록 이끌었다.[36]

1815년 나폴레옹 전쟁 종식 이후 유럽은 상대적으로 평화로운 시기를 맞이했고, 이는 무역 비용을 더욱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새로운 산업 군사 기술은 유럽 국가들과 미국의 힘을 강화시켜 이들이 전 세계 시장을 개방하고 제국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302] 이 시기 세계화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지에서 벌어진 19세기 제국주의에 의해 결정적으로 형성되었다.[74][50] 1956년 선적 컨테이너의 발명은 상업의 세계화를 더욱 가속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브레튼 우즈 회의가 개최되었고, 주요 정부들은 국제 통화 정책, 상업 및 금융의 틀을 정하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또한, 무역 장벽을 낮추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국제기구가 설립되었다.[303] 초기에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을 통해 무역 제한을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GATT의 후신인 세계무역기구(WTO)는 무역 협정과 분쟁 해결 절차를 협상하고 공식화하는 틀을 제공했다.[303] 1970년 세계 총생산의 8.5%였던 수출은 2001년 16.2%로 거의 두 배가 되었다.[303] 그러나 도하개발어젠다 무역 협상의 실패로 인해 국제 협정을 통한 무역 증진 접근법은 좌절되었고, 많은 국가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2011년)과 같은 양자간 또는 소규모 다자간 협정으로 전환했다.[303]

1970년대부터 항공 운송은 선진국의 중산층에게 점점 더 저렴해졌으며,[304] 오픈 스카이 정책과 저가 항공사들은 시장 경쟁을 촉진했다. 1990년대에는 저비용 통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국가 간 통신 비용이 절감되었고,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작업(회계, 소프트웨어 개발, 엔지니어링 설계 등)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게 되었다.[30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학생 교환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으면서 참가자들의 언어 능력 향상, 사회적 지평 확대,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용 증진에 기여했다. 1963년에서 2006년 사이에 외국에서 공부하는 학생 수는 9배 증가했다.[305]

1980년대 이후 현대 세계화는 자본주의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확산을 통해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신자유주의 정책은 공공 산업 민영화, 시장 규제 완화, 정부 사회 서비스 축소 등을 가능하게 했다.[304] 이러한 정책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조 조정 프로그램(SAP)을 통해 많은 개발도상국에 도입되었으며, 이들 국가는 자본주의 시장 개방, 공공 산업 민영화, 자유 무역 허용, 사회 서비스 축소, 다국적 기업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해야 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세계은행과 IMF가 신자유주의와 다국적 기업의 자유 시장 창설을 세계적인 규모로 촉진하는 글로벌 금융 시장 규제 기관이 되도록 했다.[304]

3. 1. 고대 세계화

고대 세계화는 일반적으로 최초의 문명부터 17세기까지의 세계화 사건과 발전을 포함하는 세계화 역사의 한 단계를 가리킨다. 이 용어는 지역 및 국가 수준에서 사상과 사회 규범의 지리적 확산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와 국가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7]

세계화가 발생하기 위한 세 가지 주요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방 기원(Eastern Origins)이라는 개념으로, 서구 국가들이 동방으로부터 배운 원리를 어떻게 적용하고 구현했는지를 보여준다. 국가 간의 상호 작용은 세계적인 규모가 아니었고 대부분 아시아, 북아프리카, 중동, 유럽의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다. 초기 세계화에서는 국가가 가까운 곳에 있지 않은 다른 국가와 상호 작용하기 어려웠다. 결국 기술 발전을 통해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세계화의 또 다른 단계가 발생할 수 있었다. 셋째, 상호 의존성, 안정성, 규칙성과 관련이 있다.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두 국가 모두 서로에게 상호 영향을 미칠 방법이 없다. 이는 세계적인 연결과 무역의 원동력 중 하나이다. 세계적인 연결과 무역이 없었다면 세계화는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며, 국가들은 여전히 자체 생산과 자원에 의존하여 운영되었을 것이다. 고대 세계화는 오늘날과 같이 국가들이 서로에게 의존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대 세계화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다.[37]

고대 세계화는 비유럽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포함하는 "다극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19세기의 대분기(Great Divergence) 이전, 즉 서유럽이 산업 생산과 경제적 산출량 측면에서 세계의 다른 지역보다 앞서 나가기 전이었기 때문에 고대 세계화는 유럽뿐만 아니라 구자라트, 벵골, 중국 해안 지역, 일본과 같은 다른 경제적으로 발전된 구세계 중심지에 의해서도 주도되었다.[38]

17세기 일본 남반 무역(Nanban trade) 미술에서 묘사된 나가사키의 포르투갈 카라크선(carrack)


독일의 경제사학자이자 사회학자인 안드레 군더 프랑크(Andre Gunder Frank)는 기원전 3천년기에 수메르와 인더스 문명 사이의 무역 연결이 확대됨에 따라 세계화의 한 형태가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고대 세계화는 인도에서 스페인에 이르는 그리스 문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업화된 도시 중심지가 형성되었던 헬레니즘 시대에 존재했으며, 알렉산드리아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다른 도시들을 포함했다. 초기 그리스의 지리적 위치와 밀 수입의 필요성은 그리스인들이 해상 무역에 참여하도록 만들었다. 고대 그리스의 무역은 대체로 규제되지 않았으며, 국가는 곡물 공급만 통제했다.[39]

1세기의 실크로드


전 세계적으로 교환된 신세계 원산 작물(시계 방향): 옥수수, 토마토, 감자, 바닐라, 고무, 카카오, 담배


실크로드 무역은 중국, 인도 아대륙, 페르시아, 유럽, 아라비아의 문명 발전에 중요한 요소였으며, 이들 사이의 장거리 정치 및 경제적 상호 작용을 열었다.[40] 비단이 중국의 주요 무역 품목이었지만, 소금과 설탕과 같은 일반 상품도 거래되었으며, 종교, 융합적인 철학, 다양한 기술뿐만 아니라 질병도 실크로드를 따라 이동했다. 실크로드는 경제적 무역 외에도 문명 간의 문화 교류 수단으로 기능했다.[41] 난민, 예술가, 장인, 선교사, 강도, 사절과 같은 사람들의 이동은 종교, 예술, 언어, 새로운 기술의 교류로 이어졌다.[42] 기원전 3000년경부터 기원후 1000년경까지 아프로-유라시아 내의 연결성은 인도-지중해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크로드는 13세기 몽골 제국의 아시아 통합과 함께 중요성이 높아졌다.[43][44]

경제사학자 케빈 오루크(Kevin H. O'Rourke), 레안드로 프라도스 데 라 에스코수라(Leandro Prados de la Escosura), 기욤 도댕(Guillaume Daudin)에 따르면, 1815년부터 1870년까지의 세계화를 촉진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49]

  • 나폴레옹 전쟁의 종식으로 유럽에 상대적 평화의 시대가 도래했다.
  • 교통 기술의 혁신으로 무역 비용이 크게 감소했다.
  • 새로운 산업 군사 기술이 유럽 국가들과 미국의 힘을 증대시켰고, 이들 강대국이 전 세계 시장을 강제로 개방하고 제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했다.
  • 유럽 국가들의 점진적인 자유화 추세가 나타났다.


19세기 세계화는 산업혁명의 직접적인 결과로 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산업화규모의 경제를 이용하여 가정 용품의 표준화된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급속한 인구 증가는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했다. 19세기에 증기선은 국제 운송 비용을 크게 줄였고, 철도는 내륙 운송 비용을 저렴하게 만들었다. 교통 혁명은 1820년에서 1850년 사이에 일어났다.[36] 더 많은 국가들이 국제 무역을 받아들였다.[36] 이 시기의 세계화는 19세기 제국주의, 예를 들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결정적으로 형성되었다.[74][50]

3. 2. 근대 세계화

경제사학자들에 따르면, 1815년부터 1870년까지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면서 유럽은 상대적으로 평화로운 시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 운송 기술의 혁신은 무역 비용을 크게 낮추었다. 새로운 산업 군사 기술은 유럽 국가들과 미국의 힘을 키웠고, 이들 강대국은 전 세계에 시장을 강제 개방하고 제국을 확장할 수 있었다.[302]

19세기 동안, 산업 혁명의 직접적인 결과로 세계화가 현재의 형태에 가까워졌다.[303] 산업화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가구 품목의 표준화된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급속한 인구 성장은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만들어냈다. 19세기에 증기선은 국제 운송 비용을 크게 줄였고, 철도는 내륙 운송을 더 저렴하게 만들었다. 교통 혁명은 1820년에서 1850년 사이에 일어났다. 더 많은 국가들이 국제 무역을 받아들였다. 이 시대의 세계화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지에서 벌어진 19세기 제국주의에 의해 결정적으로 형성되었다. 1956년 선적 컨테이너의 발명은 상업의 세계화를 가속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주요 정부들은 브레튼 우즈 회의에서 국제 통화 정책, 상업, 금융의 틀을 정하는 합의를 이끌어냈고, 무역 장벽을 낮춰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국제 기구를 설립했다.[303] 처음에,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은 무역 제한을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합의로 이어졌다.[303] GATT의 후임은 세계무역기구(WTO)로, 무역 협정과 분쟁 해결 절차를 협상하고 공식화하기 위한 틀을 마련했다.[303] 수출은 1970년 세계 총생산의 8.5%에서 2001년 16.2%로 거의 두 배가 되었다.[303] 무역을 진전시키기 위해 국제 협정을 이용하는 접근법은 도하개발어젠다 무역 협상의 실패로 인해 실패했다.[303] 그 후 많은 국가들은 2011년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같은 양자간 또는 소규모 다자간 협정으로 전환했다.[303]

1970년대부터 항공은 선진국의 중산층에게 점점 더 저렴해졌다.[304] 오픈 스카이 정책과 저가 항공사들은 시장에 경쟁을 가져오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90년대에, 저비용 통신 네트워크의 성장은 서로 다른 국가들 간의 통신 비용을 줄였다. 위치와 관계없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는 회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설계가 포함되었다.[304]

학생 교환 프로그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기를 끌게 되었고, 참가자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평을 넓히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1963년에서 2006년 사이에 외국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수는 9배 증가했다.[305]

1980년대 이후, 현대 세계화는 자본주의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확대를 통해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신자유주의 정책의 시행은 공공 산업의 민영화, 시장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법률이나 정책의 규제 완화, 정부 사회 서비스에 대한 후퇴를 가능하게 했다.[304]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정책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시행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SAP)의 형태로 많은 개발도상국에 도입되었다.[304] 이러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통화 지원을 받는 국가가 자본주의 시장을 개방하고, 공공 산업을 민영화하며, 자유 무역을 허용하고, 의료 및 교육과 같은 사회 서비스를 축소하며, 거대 다국적 기업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요구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이 신자유주의와 다국적 기업의 자유 시장 창설을 세계적인 규모로 촉진하는 글로벌 금융시장 규제 기관이 되도록 했다.[304]

3. 3. 현대 세계화

경제사학자인 Kevin H. O'Rourke, Leandro Prados de la Escosura, Guillaume Daudin에 따르면, 1815-1870년 나폴레옹 전쟁의 결말은 유럽의 상대적 평화 시대를 가져왔다. 운송 기술의 혁신은 무역 비용을 상당히 줄였다. 새로운 산업 군사 기술은 유럽 국가들과 미국의 힘을 증가시켰고, 이들 강대국들이 전 세계에 시장을 강제 개방하고 그들의 제국을 확장하도록 허용했다.[302]

19세기 동안, 세계화는 산업 혁명의 직접적인 결과로 그 형태에 접근했다.[303] 산업화규모의 경제를 이용하여 가구 품목의 표준화된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고, 급속한 인구 성장은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했다. 19세기에, 기선은 국제 운송 비용을 크게 줄였고 철도는 내륙 운송을 더 저렴하게 만들었다. 교통 혁명은 1820년에서 1850년 사이에 일어났다. 더 많은 국가들이 국제 무역을 받아들였다. 이 시대의 세계화는 아프리카아시아와 같은 19세기 제국주의에 의해 결정적으로 형성되었다. 1956년 선적 컨테이너의 발명은 상업의 세계화를 앞당겼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브레튼우즈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주요 정부들은 국제 통화 정책, 상업 및 금융의 틀을 마련하고 무역 장벽을 낮추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국제기구를 설립했다.[303] 초기에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을 통해 무역 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일련의 협정이 체결되었다. GATT의 후신인 세계무역기구(WTO)는 무역 협정을 협상하고 공식화하는 틀과 분쟁 해결 절차를 제공했다. 1970년 세계 총생산의 8.5%였던 수출은 2001년 16.2%로 거의 두 배가 되었다.[303] 글로벌 협정을 통해 무역을 증진하려는 접근 방식은 도하 개발 라운드 무역 협상의 실패로 좌절되었다. 많은 국가들은 그 후 미국-한국 자유무역협정(2011년)과 같은 양자 또는 소규모 다자 협정으로 전환했다.[303]

1970년대부터 항공선진국중산층에게 점점 더 저렴해졌다.[304] 개방 하늘 정책과 저가 항공사는 경쟁시장에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 1990년대에, 저비용 통신 네트워크의 성장은 서로 다른 국가들 간의 통신 비용을 줄였다. 위치와 관계없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는 회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설계가 포함되었다.[304]

학생 교환 프로그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기를 얻게 되었고, 참가자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평을 넓히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1963년에서 2006년 사이에 외국에서 공부하는 학생 수는 9배 증가했다.[305]

세계 최초의 상업용 제트 여객기인 D.H. 코멧은 1949년에 운항을 시작했다.


1980년대 이후 현대 세계화는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확대를 통해 급속하게 확산되었다.[304] 신자유주의 정책의 시행은 공공 산업의 민영화, 시장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법률이나 정책의 규제 완화, 정부 사회 서비스에 대한 후퇴를 가능하게 했다.[304]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정책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시행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SAP)의 형태로 많은 개발도상국에 도입되었다.[304] 이러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통화 지원을 받는 국가가 자본주의 시장을 개방하고, 공공 산업을 민영화하며, 자유 무역을 허용하고, 의료 및 교육과 같은 사회 서비스를 축소하고, 거대 다국적 기업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요구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신자유주의와 다국적 기업의 자유시장 창설을 세계적인 규모로 촉진하는 글로벌 금융시장 규제기관이 되도록 했다.[304]

14억 명의 인구를 가진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대국이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세계 경제와 문화의 연결성은 매우 빠르게 성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으로 인해 1910년대부터 둔화되었지만,[56]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다시 가속화되었다.[57] 1989년 혁명과 그 이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이루어진 자유화는 세계적 상호 연결성의 상당한 확장으로 이어졌다. 사람들의 이동 또한 세계화 과정의 중요한 특징이다. 1965년부터 1990년까지 이주 노동자의 비율은 약 두 배 증가했다. 대부분의 이주는 개발도상국과 최빈개발도상국(LDCs) 사이에서 발생했다.[58] 경제 통합이 심화됨에 따라 노동자들은 임금이 높은 지역으로 이동했고, 개발도상국의 대부분은 국제 시장 경제를 지향했다. 소련의 붕괴는 냉전으로 인한 세계의 분열을 종식시켰을 뿐만 아니라 미국을 유일한 경찰이자 자유 시장의 옹호자로 만들었다. 또한 질병의 이동, 대중 문화와 소비자 가치의 확산, UN과 같은 국제 기구의 중요성 증가, 환경과 인권과 같은 문제에 대한 국제적 공동 대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으로 이어졌다.[59] 인터넷이 전 세계 사람들을 연결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과 같은 극적인 발전도 있었다. 2012년 기준으로 24억 명이 넘는 사람들, 즉 세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했다.[60][61] 세계화의 성장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2000년대 후반 금융 위기였는데, 이는 국제전화스카이프 사용과 같은 분야의 성장 둔화 또는 무역과 같은 분야의 일시적인 마이너스 성장과 관련이 있었다.[62][63]

2018년에 시작된 미중 무역 전쟁은 두 나라 최대 경제 대국 간의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범유행의 경제적 영향에는 많은 국가가 국경을 일시적으로 폐쇄하면서 관광과 국제 비즈니스 여행이 대폭 감소한 것이 포함된다. 2021-2022년 글로벌 공급망 위기는 제조 및 운송 시설의 일시적 폐쇄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했다. 공급 문제는 일부 국내 생산 전환을 유도했다.[6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경제적 영향에는 우크라이나 항구의 봉쇄와 러시아에 대한 국제 제재가 포함되어 러시아 경제와 특히 유럽 연합 및 기타 서방 국가와의 세계 무역이 분리되었다.

최근 15년 동안의 일반적인 의견은 세계화가 정점에 달했고 쇠퇴하고 있다는 것이다.[65] 이에 대한 일반적인 주장은 무역이 2008년 정점에 도달한 이후 감소했고, 세계 금융 위기 이후 회복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부 경제학자들의 새로운 반대 의견은 이러한 추세가 가격 하락의 결과이며 실제로는 특히 농산물, 천연 자원 및 정제 석유를 중심으로 무역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66][67] 21세기 북극의 융해는 더 짧은 무역로를 개척함으로써 세계 무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68]

3. 4. 20세기 이후 세계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주요 정부들이 국제 통화 정책, 상업, 금융의 틀을 정하는 브레튼 우즈 회의의 합의를 이끌어냈고, 무역 장벽을 낮추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몇몇 국제 기구를 설립했다.[303] 처음에,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은 무역 제한을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합의로 이어졌다.[303] GATT의 후임자는 세계무역기구(WTO)로 무역협정과 분쟁해결 절차를 협상하고 공식화하기 위한 틀을 마련했다.[303] 수출은 1970년 세계 총생산의 8.5%에서 2001년 16.2%로 거의 두 배가 되었다.[303] 무역을 진전시키기 위해 국제 협정을 이용하는 접근법은 도하개발어젠다 무역협상의 실패로 인해 실패했다.[303] 그 후 많은 국가들은 2011년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같은 양자간 또는 소규모 다자간 협정으로 전환했다.[303]

1970년대부터 항공은 선진국의 중산층에 점점 더 감당할 수 있게 되었다.[304] 오픈 스카이 정책과 저가 항공사들은 시장에 경쟁을 가져오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90년대에, 저비용 통신 네트워크의 성장은 서로 다른 국가들 간의 통신 비용을 줄였다. 위치와 관계없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는 회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설계가 포함되었다.[304]

학생 교환 프로그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기를 끌게 되었고, 참가자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평을 넓히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1963년에서 2006년 사이에 외국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수는 9배 증가했다.[305]

1980년대 이후, 현대 세계화는 자본주의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의 확대를 통해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신자유주의 정책의 시행은 공공 산업의 민영화, 시장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법률이나 정책의 규제 완화, 정부 사회 서비스에 대한 후퇴를 가능하게 했다.[304]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정책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시행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SAP)의 형태로 많은 개발도상국에 도입되었다.[304] 이러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통화 지원을 받는 국가가 자본주의 시장을 개방하고, 공공 산업을 민영화하며, 자유 무역을 허용하고, 의료 및 교육과 같은 사회 서비스를 축소하고, 거대 다국적 기업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요구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이 신자유주의와 다국적 기업의 자유시장 창설을 세계적인 규모로 촉진하는 글로벌 금융시장 규제기관이 되도록 했다.[304]

세계화의 본질적인 측면은 사람들의 이동이고, 그 운동에 대한 국가적인 한계도 역사를 통해 변화해 왔다.[322] 지난 세기에 걸쳐 관광객과 사업가의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운송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18세기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여행 시간과 비용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예를 들어, 대서양을 횡단하는 여행은 18세기에 5주까지 걸렸지만, 20세기 무렵에는 8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오늘날, 현대 항공은 장거리 교통을 빠르고 저렴하게 만들어 왔다.[323]

관광은 즐거움을 위한 여행이다. 점보 제트기, 저가 항공사, 그리고 더 접근하기 쉬운 공항과 같은 기술과 교통 인프라의 발전은 많은 종류의 관광 산업을 더 저렴하게 만들었다.[324] 2012년 세계 관광객이 처음으로 10억 명을 돌파했다. 비자는 한 국가가 외국인에게 부여한 조건부 허가로서, 입국 및 임시 체류 또는 출국할 수 있다. 스켄겐 지역과 같은 일부 국가는 다른 국가들과 협정을 맺고 있어, 서로의 시민들이 비자 없이 그들 사이를 여행할 수 있게 한다. 세계관광기구에 따르면 여행 전에 비자를 필요로 하는 관광객은 2015년 사상 최저 수준이었다.[325][326]

이민은 특히 영주권자나 귀화한 시민으로서 정착하거나 거주하기 위해, 또는 이주노동자로 고용되거나 일시적으로 외국인 노동자로 고용되기 위해 그들이 토착인이 아니거나 시민권을 소유하지 않는 목적지로의 사람들의 국제적인 이동이다.[327][328][329] 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세계에는 약 2억 3천 2백만 명의 국제 이주민(원산국 외 거주자로 12개월 이상 정의됨)이 존재했으며, 이들 중 약 절반은 경제 활동(즉, 고용 또는 구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330] 국제 노동운동은 경제발전에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유럽 연합의 노동자들을 위한 운동의 자유는 사람들이 다른 나라에서 살고, 일하고, 공부하고, 은퇴하기 위해 회원국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331]

세계화는 국제 교육의 급격한 증가와 관련이 있다. 점점 더 많은 학생들이 외국에서 고등 교육을 받고 있고 많은 국제 학생들은 현재 해외 유학을 한 나라 내에서 영주권을 위한 디딤돌로 생각하고 있다.[332] 외국인 학생이 국가 경제를 주최하는 데 기여한 문화 및 재정적으로 주요 참가자들에게는 이민 및 비자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실질적인 개정을 포함하여 해외 학생의 도착과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추가 시책을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332] 초국가적인 결혼은 다른 나라에서 온 두 사람 사이의 결혼이다. 시민권 및 문화와 관련된 사람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 간의 결혼에서 다양한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며, 이것은 이러한 종류의 관계에 복잡성과 도전을 더한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현재 지리적 위치가 아닌 전 세계 사람과 장소의 네트워크와 연계되어 있는 세계화 시대에, 사람들은 점점 더 국경을 넘어 결혼하고 있다. 초국가적인 결혼은 사람들의 이동과 이주의 부산물이다.[332]

3. 5. 최근 동향

19세기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세계화가 현재의 형태에 가까워졌다.[303] 산업화는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가구 품목을 표준화하여 생산할 수 있게 하였고, 인구 급증은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했다. 19세기에는 기선이 국제 운송 비용을 크게 낮추었고, 철도는 내륙 운송을 더욱 저렴하게 만들었다. 1820년에서 1850년 사이에 교통 혁명이 일어났으며, 더 많은 국가들이 국제 무역을 수용하게 되었다. 이 시기의 세계화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 19세기 제국주의에 의해 결정적으로 형성되었다.[302] 1956년 선적 컨테이너의 발명은 상업의 세계화를 가속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브레튼 우즈 회의에서 주요 정부들이 국제 통화 정책, 상업, 금융의 틀을 정하는 합의가 이루어졌고, 무역 장벽을 낮추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국제 기구가 설립되었다.[303] 처음에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합의(GATT)가 무역 제한을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합의로 이어졌다.[303] GATT의 후임은 세계무역기구(WTO)로, 무역 협정과 분쟁 해결 절차를 협상하고 공식화하기 위한 틀을 제공했다.[303] 수출은 1970년 세계 총생산의 8.5%에서 2001년 16.2%로 거의 두 배가 되었다.[303] 무역을 진전시키기 위해 국제 협정을 이용하는 접근법은 도하개발어젠다 무역 협상의 실패로 인해 좌절되었다.[303] 그 후 많은 국가들은 2011년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같은 양자간 또는 소규모 다자간 협정으로 전환했다.[303]

1970년대부터 항공은 선진국의 중산층에게 점점 더 저렴해졌다.[304] 오픈 스카이 정책과 저가 항공사들은 시장에 경쟁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1990년대에는 저비용 통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국가 간 통신 비용이 감소했다. 위치와 관계없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회계, 소프트웨어 개발, 엔지니어링 설계 등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304]

학생 교환 프로그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기를 얻었으며, 참가자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평을 넓힐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1963년에서 2006년 사이에 외국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수는 9배 증가했다.[305]

1980년대 이후, 현대 세계화는 자본주의신자유주의 이념의 확산을 통해 급속히 확산되었다. 신자유주의 정책의 시행은 공공 산업의 민영화, 시장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법률이나 정책의 규제 완화, 정부 사회 서비스에 대한 후퇴를 가능하게 했다.[304]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정책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시행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SAP)의 형태로 많은 개발도상국에 도입되었다.[304] 이러한 구조 조정 프로그램은 통화 지원을 받는 국가가 자본주의 시장을 개방하고, 공공 산업을 민영화하며, 자유 무역을 허용하고, 의료 및 교육과 같은 사회 서비스를 축소하며, 거대 다국적 기업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요구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이 신자유주의와 다국적 기업의 자유 시장 창설을 세계적인 규모로 촉진하는 글로벌 금융 시장 규제 기관이 되도록 했다.[304]

4. 경제 세계화

경제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기술, 자본의 국경 간 이동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 국가 경제의 경제적 상호 의존성이 증가하는 현상이다.[70] 기업 세계화가 국제 무역 규제, 관세, 세금 및 기타 세계 무역을 억제하는 장벽 감소에 중점을 두는 반면, 경제 세계화는 국가 간 경제 통합을 증진시키는 과정으로, 세계 시장 또는 단일 세계 시장의 출현으로 이어진다.[71] 경제 세계화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현재의 세계화 추세는 주로 선진국이 외국인 직접 투자, 무역 장벽 감소 및 기타 경제 개혁, 그리고 많은 경우 이민을 통해 저개발 국가와 통합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73]

국제 표준은 상품 및 서비스의 무역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었다. 인터모달 컨테이너는 운송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전후 국제 무역 호황을 지원했으며 세계화의 주요 요소였다.[74]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다양한 국가 표준 기구의 대표자들로 구성하여 국제 표준을 설정한다.

다국적 기업은 자국 이외의 하나 이상의 국가에서 상품이나 서비스 생산을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조직이다.[76] 자유 무역 지역은 무역 블록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회원국들이 자유 무역 협정(FTA)에 서명했다. 이러한 협정에는 무역 장벽, 수입 할당량 및 관세를 줄이고 서로 간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소 두 개국 간의 협력이 포함된다.[7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브레튼우즈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주요 정부들은 국제 통화 정책, 상업 및 금융의 틀을 마련하고 무역 장벽을 낮추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국제기구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을 통해 무역 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일련의 협정이 체결되었다. GATT의 후신인 세계무역기구(WTO)는 무역 협정을 협상하고 공식화하는 틀과 분쟁 해결 절차를 제공했다. 1970년 세계 총생산의 8.5%였던 수출은 2001년 16.2%로 거의 두 배가 되었다.[51]

1956년 컨테이너의 발명은 상업의 세계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74][50] 1970년대 이후 항공선진국중산층에게 점점 더 저렴해졌다. 개방 하늘 정책과 저가 항공사는 경쟁시장에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 1990년대에는 저렴한 통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국가 간 통신 비용이 절감되었다. 위치에 관계없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더 많은 작업(회계, 소프트웨어 개발, 엔지니어링 설계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세계 경제와 문화의 연결성은 매우 빠르게 성장했다.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으로 인해 1910년대부터 둔화되었지만,[56]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다시 가속화되었다.[57]

4. 1. 특징

경제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기술, 자본의 이동이 빨라짐에 따라 전 세계 국가 경제가 서로 의존하는 정도가 커지는 것을 말한다.[306] 기업의 세계화가 국제 무역 규제 완화와 관세, 세금 등 세계 무역을 방해하는 요소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경제 세계화는 국가 간 경제 통합을 촉진하여 세계 시장 또는 단일 세계 시장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경제 세계화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볼 수 있으며, 생산의 세계화와 시장의 세계화를 포함한다.[306] 생산의 세계화는 비용과 품질의 차이를 활용하기 위해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장의 세계화는 서로 다른 시장들을 통합하여 거대한 세계 시장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경제 세계화는 경쟁, 기술, 기업 및 산업도 포함한다.[306]

현재의 세계화 추세는 주로 선진국들이 외국인 직접 투자, 무역 장벽 감소, 경제 개혁, 그리고 이민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들과 통합되면서 나타나고 있다. 세계화 이전에는 미국이 세계 수출에서 중요한 경제력을 가진 국가였지만, 세계화 이후 독일, 일본, 한국, 중국 등이 미국의 지위에 도전하는 주요 경쟁국이 되었다.[307]

국제 표준은 상품과 서비스의 무역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었다. 예를 들어 인터모달 컨테이너는 운송 비용을 크게 줄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무역의 호황을 이끌었고, 세계화의 주요 요소가 되었다.[74] 국제 표준화 기구는 다양한 국가 표준 기구들의 대표자들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을 제정한다.

다국적 기업은 자국 이외의 국가에서 제품이나 서비스 생산을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조직이다.[76] 자유 무역 지역은 회원국들이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한 지역으로, 무역 장벽을 낮추고 서로 간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협력을 포함한다.[308] 사람들이 자유 무역 협정 외에도 국가 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면, 이는 개방된 국경으로 간주될 수 있다. 유럽 연합(EU)은 27개 회원국의 정치-경제 연합으로, 표준화된 법 체계를 통해 유럽 단일 시장을 발전시켰다. EU 정책은 내부 시장 내에서 사람, 상품, 서비스 및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09]

무역 원활화는 국경을 넘어 물품의 이동을 관리하는 절차와 통제를 개선하여 비용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규제 목표를 보호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서비스의 세계 무역 또한 중요한데,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이 국가 발전의 주요 동력으로 설명되며, GDP 성장, 고용 증가, 빈곤 감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310]

윌리엄 아이 로빈슨은 1980년대에 시작된 새롭고 독특한 형태의 세계화를 통해 경제 활동이 국경을 넘어 확장될 뿐만 아니라 초국가적으로 분열되고 있다고 주장한다.[310] 이는 상품 생산이 점점 더 세계화되어, 한 제품의 생산에 여러 국가가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4. 2. 긍정적 측면

경제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기술, 자본의 국경 간 이동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전 세계 국가 경제가 상호 의존하는 현상이다.[306] 이는 생산과 시장의 세계화를 포함한다. 생산의 세계화는 비용과 품질의 차이를 활용하기 위해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조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시장의 세계화는 서로 다른 시장들이 통합되어 거대한 세계 시장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306]

세계화는 경쟁, 기술, 기업 및 산업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306] 현재의 세계화 추세는 주로 선진국들이 외국인 직접 투자, 무역 장벽 감소, 그리고 이민 등을 통해 저개발 국가들과 통합되면서 나타나고 있다. 세계화 이전에는 미국이 세계 경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이후 독일, 일본, 한국, 중국 등이 주요 경쟁국으로 부상했다.[307]

국제 표준은 상품과 서비스의 무역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인터모달 컨테이너의 사용은 운송 비용을 크게 줄여 국제 무역의 성장을 촉진했으며, 이는 세계화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74]

자유 무역 지역은 회원국 간의 무역 장벽을 낮추고 상품과 서비스 교역을 증진시키는 협정이다.[308] 유럽 연합(EU)은 회원국 간 사람, 상품, 서비스,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자유 무역 지역이다.[309]

세계화에 대한 이론 중 하나는 윌리엄 아이 로빈슨의 접근 방식인데, 그는 1980년대부터 시작된 새로운 형태의 세계 자본이 경제 활동의 국경 간 확산뿐만 아니라 초국가적인 분열을 초래했다고 주장한다.[310]

브레튼우즈협정 이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과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국제기구들이 설립되어 무역 장벽을 낮추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51] 1956년 컨테이너의 발명과 1970년대 이후 항공 운송의 발전, 1990년대 통신 기술의 발전은 세계화를 더욱 가속화했다.[74][50]

학생 교환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의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용을 높이고,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며, 사회적 지평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132]

세계화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긍정적 견해는 다음과 같다.

  •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세계화가 경제 개방을 통해 더 큰 성장을 가져왔다고 주장한다.[266]
  • 경영학자이자 경제학자인 고암은 세계화가 빈곤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견해가 있다고 언급한다.[267]
  • 경제학자 조지프 E. 스티글리츠는 세계화 자체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268]
  • 제프리 색스는 세계화가 빈곤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었다고 지적하며, 인도의 극빈 인구를 2억 명, 중국에서는 3억 명 감소시켰다고 주장한다.[277]
  • 언론인 토머스 프리드먼은 저서 『세계는 평평하다』에서 세계화가 분산된 사람들이 공동 작업을 시작하고 각 지역이 세계를 상대로 경쟁력을 얻거나 기여하며, 분쟁 회피에도 연결된다고 언급한다.[277]


세계화의 긍정적 측면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국제적 분업을 통해 생산 활동이 최적화되어 효율성과 저비용 생산이 가능해지고, 물가가 하락하여 사회가 풍요로워진다.
  • 브릭스(BRICS) 국가들처럼 저개발 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 투자 활동에서 더 나은 선택지가 많아져 효율적이고 수익성 높은 투자가 가능해진다.
  • 전 세계의 다양한 물자, 인재, 지식, 기술이 교환 및 유통되어 과학, 기술, 문화 발전 가능성이 높아진다.
  • 개인이 더 폭넓은 자유(거주지, 직업, 오락 활동 등)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
  • 각국이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전쟁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다.
  • 환경 문제, 불황, 빈곤, 금융 위기, 인권 문제 등 국제적 문제 해결에 대한 관심과 협력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

4. 3. 부정적 측면

경제적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기술, 자본의 국가 간 이동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전 세계 국민경제가 경제적으로 상호 의존하는 것을 의미한다.[246] 경제적 세계화는 세계 무역을 저해하는 관세, 세금, 무역 규제 등의 장벽을 감소시키는 한편, 국가 간 경제 통합을 증가시켜 글로벌 시장 또는 단일 세계 시장을 출현하게 한다.[247]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세계화 자체는 좋은 것이며, 경제가 개방되어 더 큰 성장을 가져왔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266] 조지프 E. 스티글리츠 또한 세계화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그 과정은 올바른 정책 조합과 순서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268]

논자에 시각에 따라 경제 세계화는 부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 저렴한 수입품의 증가와 다국적 기업의 진출 등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면, 경쟁에서 패배한 국내 산업은 쇠퇴하고, 노동자의 임금 하락과 실업이 초래된다.
  • 투기 자본의 단기간 유입·유출에 의해 환율 시장과 주식 시장이 혼란에 빠지고,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282] 이러한 위기는 1990년대 이후 여러 번 발생했으며, 특히 1997년에 발생한 아시아 외환 위기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283]
  • 다른 국가·지역의 기업 진출이나 투자자의 투자에 의해 국내·지역 내에서 얻은 이익이 다른 지역·국외로 유출된다.
  • 이전에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던 테러리즘이나 무력 분쟁이 활발해지고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각 지역의 안전이 위협받는다.[284]
  • 다국적기업의 진출과 활발한 인적 교류에 따라 생활과 문화가 세계적으로 동질화되고, 지역 고유의 산업과 문화가 소멸한다.[285]
  • 지역 간 경쟁이 활발해짐에 따라 투자와 경제 활동이 거대 도시(세계 도시)나 일부 국가에 집중되고, 국가 간·지역 간 부의 불균형이 발생한다.[278]
  • 다국적 기업의 영향력 증대에 따라 각국의 국가 주권과 지방 자치가 파괴된다.[286]
  •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업을 유치하거나 국내 산업을 육성하려고 하다 보니, 노동 환경이 악화되고, 환경 기준이 완화되며, 사회 복지가 삭감될 위험이 있다(바닥으로의 경쟁).[287]
  • 부유층에 더 많은 부가 집중되는 반면 중산층과 빈곤층의 몰락이 일어나 각국에서 소득 불평등이 심화된다.[288]


2000년대 후반 금융 위기는 국제전화스카이프 사용과 같은 분야의 성장 둔화 또는 무역과 같은 분야의 일시적인 마이너스 성장을 가져왔다.[62][63]

2018년에 시작된 미중 무역 전쟁은 두 나라 최대 경제 대국 간의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COVID-19 팬데믹의 경제적 영향에는 많은 국가가 국경을 일시적으로 폐쇄하면서 관광과 국제 비즈니스 여행이 대폭 감소한 것이 포함된다. 2021-2022년 글로벌 공급망 위기는 제조 및 운송 시설의 일시적 폐쇄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경제적 영향에는 우크라이나 항구의 봉쇄와 러시아에 대한 국제 제재가 포함되어 러시아 경제와 특히 유럽 연합 및 기타 서방 국가와의 세계 무역이 분리되었다.

최근 15년 동안의 일반적인 의견은 세계화가 정점에 달했고 쇠퇴하고 있다는 것이다.[65]

5. 문화 세계화

문화 세계화는 전 세계적으로 사상, 의미, 가치가 확산되어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고 강화하는 현상이다. 이는 인터넷, 대중문화 매체, 국제 여행 등을 통해 촉진되며, 상품 교환과 식민지화라는 역사적 과정과도 연관된다.

사회·경제적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 간의 교류도 증가했다. 각국에서는 다른 나라 문화의 유입으로 다양성이 증대되고, 기존 문화와 외래 문화가 융합하여 새로운 문화가 탄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유입되는 외래 문화는 주로 강력한 문화, 특히 미국 중심의 문화이며, 문화 표준화로 인해 문화 간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식문화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기후와 풍토, 현지 문화에 맞춰 독자적인 문화가 발전해 왔지만, 1990년대 이후 유통 및 정보 기술의 발달로 식품 기업의 세계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급속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252]

맥도날드는 종종 세계화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콜롬비아의 다국어 가수 겸 작곡가인 샤키라가 자국 밖에서 공연하는 모습




지역별 인터넷 사용자[133]
지역2005년2010년2017년2023년
아프리카2%10%21.8%37%
아메리카36%49%65.9%87%
아랍 국가8%26%43.7%69%
아시아 및 태평양9%23%43.9%66%
독립 국가 연합10%34%67.7%89%
유럽46%67%79.6%91%



디지털 격차: 2006년 기준 100명당 컴퓨터 수

5. 1. 특징

문화적 세계화는 사회 관계를 확장하고 강화하는 방식으로 아이디어, 의미, 가치의 전 세계적인 전달을 의미한다.[311] 이 과정은 인터넷, 대중문화 매체, 국제 여행에 의해 확산된 문화의 일반적인 소비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상품 교환과 식민지화라는, 전 세계에 문화적 의미를 전달하는 더 긴 역사의 과정에 더해졌다. 문화의 순환은 개인들이 국경을 넘어 확장된 사회적 관계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311] 그러한 사회적 관계의 생성과 확장은 물질적인 차원에서만 관찰되는 것이 아니다. 문화적 세계화는 사람들이 개인 및 집단적 문화 정체성과 연관시키는 공통의 규범과 지식의 형성을 포함하며, 다른 인구와 문화 간의 상호연관성을 증가시킨다.[311]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 비슷하고 다른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이 문화를 가로질러 의사소통을 하려고 노력하는지 살펴보는 학문 분야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은 이와 관련된 학문 분야다.[312]

문화 확산은 아이디어, 스타일, 종교, 기술, 언어 등과 같은 문화적 요소의 확산을 의미한다. 문화적 세계화는 이종문화 간 접촉을 증가시켰지만, 한때 고립되었던 공동체의 고유성이 감소하는 것을 동반할 수도 있다.[313] 예를 들어 스시는 일본뿐만 아니라 독일에서도 이용 가능하지만, 유로 디즈니는 파리를 앞질렀으며 잠재적으로 "진정한" 프랑스 페스트리에 대한 수요를 줄인다. 장 폴 사르트르알베르 카뮈 같은 실존주의자들이 주장하는 현대성 자체의 영향에 비하면, 세계화가 전통으로부터 소외되는 것에 대한 기여는 미미할 수 있다. 세계화는 특히 인터넷과 위성 TV를 통해 대중문화를 확산시킴으로써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확대해 왔다.[313]

종교는 강제, 이주, 복음주의, 제국주의, 무역자들에 의해 전파된, 세계화의 가장 초기 문화적 요소 중 하나이다.[314]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예수 그리스도 교회와 같은 최근의 종파들은 그들의 기원과는 거리가 먼 곳에서 토착 문화를 뿌리내리고 영향을 준 종교들이다.[314]

세계화는 스포츠에 큰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어, 현대 올림픽 경기에는 2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온 선수들이 다양한 경기에 참가한다. FIFA 월드컵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시청되고, 가장 많이 관찰되며, 올림픽 경기마저도 뛰어넘는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이다. 전 세계 인구의 9분의 1이 2006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시청했다.[311]

세계화라는 용어는 변화를 의미한다. 전통 음악을 포함한 문화적 관습은 유실되거나 전통의 융합으로 바뀔 수 있다.[311] 세계화는 음악 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비상사태를 촉발할 수 있다. 고고학자들은 멜로디가 동화되거나 수정되기 전에 레퍼토리를 수집, 녹음 또는 필사하려고 시도할 수 있는 반면, 지역 음악가들은 진품성을 위해 애쓰고 지역 음악적 전통을 보존하려고 애쓸 수 있다. 세계화는 공연자들이 전통 악기를 버리도록 이끌 수 있다.[311] 퓨전 장르는 흥미로운 분석 분야가 될 수 있다.[311]

음악은 세계화 시대에 경제와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즈레게 같은 음악 장르들은 국내에서 시작되었고 후에 국제적인 현상이 되었다.[311] 세계화는 개발도상국의 음악이 더 많은 관객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월드 뮤직 현상을 지원했다. '월드 뮤직'이라는 용어는 원래 민족 고유의 음악을 위한 것이었지만, 세계화는 이제 그 범위가 확대되어 "세계 퓨전", "글로벌 퓨전", "민족 퓨전", 월드비트와 같은 혼합된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311]

보르디외는 소비에 대한 인식을 자기 확인 및 정체성 형성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음악적으로 이것은 각 개인이 좋아하는 것과 취향에 따라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좋아하는 것과 취향은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는 사람의 욕구와 행동의 가장 기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이다. 세계화로 인해 자신만의 문화 개념이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다. 또한 세계화는 정치적, 개인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의 상호 의존성을 증가시켰다.[101]

2005년 유네스코 보고서[102]는 동아시아에서 문화 교류가 더 빈번해지고 있지만 서구 국가가 여전히 문화 상품의 주요 수출국임을 보여주었다. 2002년 중국영국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문화 상품 수출국이었다. 1994년부터 2002년 사이에 북미와 유럽 연합의 문화 수출 비중은 감소한 반면, 아시아의 문화 수출은 북미를 능가할 정도로 성장했다. 관련 요인으로는 아시아의 인구와 면적이 북미의 여러 배라는 사실이 있다. 미국화는 미국이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미국의 상점, 시장, 물건이 다른 국가로 유입되는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던 시기와 관련이 있다.

세계화를 비판하는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문화의 다양성을 해친다고 주장한다. 세계화를 통해 우세한 국가의 문화가 수용 국가에 도입됨에 따라 지역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일부 사람들은 세계화가 궁극적으로 경제적, 정치적으로 강력한 서구 국가의 우세한 문화적 개념이 확산되어 지역 문화에 해를 끼치는 서구화 또는 미국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103]

세계화는 다자간 정치 세계와 국가 간 문화적 대상 및 시장의 증가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이다. 특히 인도의 경험은 문화 세계화 영향의 다원성을 보여준다.[104]

초국가 문화주의는 "타자 속에서 자기를 보는 것"으로 정의된다.[105] 초국가 문화는 "모든 인류 문화에 걸쳐 확장되는"[106] 또는 "하나 이상의 문화 요소를 포함하거나 결합하는"[107] 것으로 설명된다. 초국가 문화적 배경에서 자란 어린이는 때때로 제3문화권 어린이라고 불린다.

지역별 인터넷 사용자[133]
지역2005년2010년2017년2023년
아프리카2%10%21.8%37%
아메리카36%49%65.9%87%
아랍 국가8%26%43.7%69%
아시아 및 태평양9%23%43.9%66%
독립 국가 연합10%34%67.7%89%
유럽46%67%79.6%91%



전자 통신 이전에는 장거리 통신이 우편에 의존했다. 19세기 중반까지는 특히 말과 배의 속도에 따라 전 세계 통신 속도가 제한되었다. 전신은 최초의 즉각적인 장거리 통신 수단이었다. 예를 들어, 최초의 대서양 횡단 케이블 이전에는 유럽과 아메리카 간 통신에 몇 주가 걸렸는데, 배가 우편물을 대서양 너머로 운반해야 했기 때문이다. 최초의 대서양 횡단 전신 케이블은 통신 시간을 상당히 단축하여 하루 안에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게 했다. 지속적인 대서양 횡단 전신 연결은 1865년에서 1866년 사이에 달성되었다. 최초의 무선 전신 송신기는 1895년에 개발되었다.

인터넷은 지리적 경계를 넘어 사람들을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Facebook)은 2016년 3월 31일 기준으로 16억 5천만 명이 넘는 월간 활동 사용자를 보유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이다.[134]

세계화는 전 세계적인 저널리즘에 의해 확산될 수 있는데, 이는 방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을 통해 상호 작용하며,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사람들과 그들의 행동, 관행, 문제, 생활 조건 등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일상적인 일과로 만든다. 기후변화와 같은 세계적인 위협이 세계 저널리즘의 추가적인 확립을 촉진한다고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135]

현대 세계화 시대에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 상호 의존적이다. 효율적이고 저렴한 교통수단 덕분에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 거의 없어졌고, 세계 무역 증가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동물 질병과 접촉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종 간 장벽을 넘어섰습니다(인수공통감염병 참조).[13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2019년 11월 우한 (중국)에서 처음 발생했습니다. 그 이후 180개국 이상에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137]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확진 활성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138] COVID-19 팬데믹 발생 이후 3개월 동안 최악의 피해를 입은 국가 출신 340만 명 이상이 미국에 입국했습니다.[139] 이는 특히 무한 책임/자영업을 가진 중소기업과 초소형 기업에 심각한 경제적 영향을 미쳐 재정적 어려움에 처하게 하고, 과점 시장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진입 장벽을 높였습니다.

세계화의 한 지표는 세 가지 중요한 세계화 차원(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을 측정하는 KOF 세계화 지수이다.[140] 다른 지표로는 A.T. 커니(A.T. Kearney) / 포린 폴리시(Foreign Policy Magazine) 세계화 지수가 있다.[141]

{|

|-

| style="width:50%;"|



|

| style="width:50%;"|

2006년 A.T. 커니(A.T. Kearney) / 포린 폴리시(Foreign Policy Magazine) 세계화 지수
순위국가
1싱가포르
2스위스
3미국
4아일랜드
5덴마크
6캐나다
7네덜란드
8오스트레일리아
9오스트리아
10스웨덴



|}

경제적 세계화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무역, 외국인직접투자(FDI), 국내총생산(GDP), 포트폴리오 투자, 소득과 같은 변수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최근의 지수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심지어 환경적 측면을 포함하여 세계화를 더 일반적인 용어로 측정하려고 시도한다.[142][143]

DHL 세계 연결성 지수는 무역(상품 및 서비스 모두), 정보, 사람(관광객, 학생 및 이민자 포함), 자본 등 네 가지 주요 유형의 국경 간 흐름을 연구한다. 이 지수는 2008년 이후 세계 통합의 깊이가 약 10% 감소했지만 2013년에는 금융 위기 이전 최고치를 훨씬 웃돌았음을 보여준다.[24][62] 이 보고서는 또한 경제 활동이 신흥 경제로 이동하고 있음을 발견했다.[24]

사회·경제적 교류 증가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 간의 문화 교류도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다른 나라 문화의 유입이 일어나 다양성이 증대되고, 기존 문화와 외래 문화의 융합으로 새로운 문화가 탄생하는 한편, 유입되는 외래 문화는 대개 강력한 문화,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문화이며, 미국화를 비롯한 문화의 표준화로 인한 문화 차이의 감소도 두드러지고 있다. 식문화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기후와 풍토, 현지 문화에 맞춘 독자성이 높은 문화가 세계 각지에서 발전해 왔지만, 1990년대 이후 유통 및 정보 기술의 발달로 식품 기업의 세계 진출이 일어나면서 급속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차이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252]

5. 2. 긍정적 측면

문화 세계화는 전 세계적으로 사상, 의미, 가치가 퍼져나가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고 강화하는 현상이다.[83] 이 과정은 인터넷, 대중문화 미디어, 국제 여행을 통해 확산되는 공통의 문화 소비를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품 교환과 식민지화라는, 문화적 의미를 전 세계에 전달하는 더 긴 역사적 과정에 더해진 것이다. 문화의 순환은 개인들이 국가와 지역 경계를 넘어 확장된 사회적 관계에 참여하게 한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의 형성과 확장은 단순히 물질적인 차원에서만 관찰되는 것이 아니다. 문화 세계화는 사람들이 자신의 개인적, 집단적 문화 정체성과 연결 짓는 공유된 규범과 지식의 형성을 포함한다. 이는 서로 다른 인구와 문화 간의 상호 연결성을 증가시킨다.[84]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비슷하면서도 다르게 소통하는지, 그리고 문화 간 소통을 위해 어떻게 노력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은 관련된 연구 분야이다.

문화 확산은 사상, 스타일, 종교, 기술, 언어 등과 같은 문화적 요소가 퍼져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 세계화는 문화 간 접촉을 증가시켰지만, 한때 고립되었던 공동체의 독창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시는 일본뿐만 아니라 독일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유로 디즈니는 파리보다 더 많은 인기를 얻어 "진정한" 프랑스식 과자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85][86][87] 세계화가 개인을 전통으로부터 소외시키는 정도는 실존주의자인 장 폴 사르트르알베르 카뮈가 주장한 현대성 자체의 영향에 비하면 미미할 수 있다. 세계화는 특히 인터넷과 위성 TV를 통해 대중문화를 확산시킴으로써 여가 활동의 기회를 확장했다. 문화 확산은 시장, 문화, 정치의 연결성과 제국주의 국가의 영향력을 통한 현대화에 대한 열망을 통해 세계화가 동질화의 힘과 동의어로 여겨지는 동질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88]

종교는 강제, 이주, 전도자, 제국주의자, 상인에 의해 확산되어 세계화된 최초의 문화 요소 중 하나였다.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그리고 최근에는 몰몬교와 같은 종파는 그 기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토착 문화에 뿌리를 내리고 영향을 미친 종교들이다.[89]

세계화는 스포츠에 큰 영향을 미쳤다.[90] 예를 들어, 현대 올림픽 경기에는 2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온 선수들이 다양한 경기에 참가한다.[91] FIFA 월드컵은 올림픽 경기보다 더 많은 시청자를 보유한, 세계에서 가장 널리 시청되고 주목받는 스포츠 행사이며, 전 세계 인구의 9분의 1이 2006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시청했다.[92][93][94]

세계화라는 용어는 변화를 의미한다. 전통 음악을 포함한 문화적 관습은 사라지거나 전통의 융합으로 바뀔 수 있다. 세계화는 음악 유산 보존에 비상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기록 보관 담당자들은 멜로디가 동화되거나 수정되기 전에 레퍼토리를 수집, 기록 또는 필사하려고 시도할 수 있으며, 지역 음악가들은 진정성을 유지하고 지역 음악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세계화는 연주자들이 전통 악기를 버리도록 이끌 수 있다. 융합 장르는 흥미로운 분석 분야가 될 수 있다.[95]

음악은 세계화 시대에 경제 및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즈레게와 같은 음악 장르는 지역적으로 시작되었지만 나중에 국제적인 현상이 되었다. 세계화는 개발도상국의 음악이 더 넓은 청중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월드 뮤직 현상을 지원했다.[96] "월드 뮤직"이라는 용어는 원래 민족 고유의 음악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세계화는 이제 그 범위를 확장하여 "월드 퓨전", "글로벌 퓨전", "에스닉 퓨전"[97] 및 월드비트와 같은 혼합된 하위 장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98][99]

보르디외는 소비에 대한 인식을 자기 확인 및 정체성 형성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음악적으로 이것은 각 개인이 좋아하는 것과 취향에 따라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좋아하는 것과 취향은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는 사람의 욕구와 행동의 가장 기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이다. 세계화로 인해 자신만의 문화 개념이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다. 또한 세계화는 정치적, 개인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의 상호 의존성을 증가시켰다.[101]

2005년 유네스코 보고서[102]는 동아시아에서 문화 교류가 더 빈번해지고 있지만 서구 국가가 여전히 문화 상품의 주요 수출국임을 보여주었다. 2002년 중국은 영국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문화 상품 수출국이었다. 1994년부터 2002년 사이에 북미와 유럽 연합의 문화 수출 비중은 감소한 반면 아시아의 문화 수출은 북미를 능가할 정도로 성장했다. 관련된 요인으로는 아시아의 인구와 면적이 북미의 여러 배라는 사실이 있다. 미국화는 미국이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미국의 상점, 시장 및 물건이 다른 국가로 유입되는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던 시기와 관련이 있다.

세계화를 비판하는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문화의 다양성을 해친다고 주장한다. 세계화를 통해 우세한 국가의 문화가 수용 국가에 도입됨에 따라 지역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일부 사람들은 세계화가 궁극적으로 경제적, 정치적으로 강력한 서구 국가의 우세한 문화적 개념이 확산되어 지역 문화에 해를 끼치는 서구화 또는 미국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103]

세계화는 다자간 정치 세계와 국가 간 문화적 대상 및 시장의 증가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이다. 특히 인도의 경험은 문화 세계화의 영향의 다원성을 보여준다.[104]

초국가 문화주의는 "타자 속에서 자기를 보는 것"으로 정의된다.[105] 초국가 문화는[106] 차례로 "모든 인류 문화에 걸쳐 확장되는"[106] 또는 "하나 이상의 문화의 요소를 포함하거나 결합하는"[107] 것으로 설명된다. 초국가 문화적 배경에서 자란 어린이는 때때로 제3문화권 어린이라고 불린다.

지역별 인터넷 사용자[133]
지역2005년2010년2017년2023년
아프리카2%10%21.8%37%
아메리카36%49%65.9%87%
아랍 국가8%26%43.7%69%
아시아 및 태평양9%23%43.9%66%
독립 국가 연합10%34%67.7%89%
유럽46%67%79.6%91%



전자 통신 이전에는 장거리 통신이 우편에 의존했다. 19세기 중반까지는 특히 말과 배의 속도에 따라 전 세계 통신 속도가 제한되었다. 전신은 최초의 즉각적인 장거리 통신 수단이었다. 예를 들어, 최초의 대서양 횡단 케이블 이전에는 유럽과 아메리카 간 통신에 몇 주가 걸렸는데, 배가 우편물을 대서양 너머로 운반해야 했기 때문이다. 최초의 대서양 횡단 케이블은 통신 시간을 상당히 단축하여 하루 안에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게 했다. 지속적인 대서양 횡단 전신 연결은 1865년에서 1866년 사이에 달성되었다. 최초의 무선 전신 송신기는 1895년에 개발되었다.

인터넷은 지리적 경계를 넘어 사람들을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Facebook)은 2016년 3월 31일 기준으로 16억 5천만 명이 넘는 월간 활동 사용자를 보유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이다.[134]

세계화는 전 세계적인 저널리즘에 의해 확산될 수 있는데, 이는 방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을 통해 상호 작용하며,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사람들과 그들의 행동, 관행, 문제, 생활 조건 등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일상적인 일과로 만든다. 기후변화와 같은 세계적인 위협이 세계 저널리즘의 추가적인 확립을 촉진한다고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135]

5. 3. 부정적 측면

문화 세계화는 이종 문화 간 접촉을 증가시키지만, 한때 고립되었던 공동체의 고유성은 감소할 수 있다.[313] 예를 들어 스시는 일본뿐만 아니라 독일에서도 먹을 수 있지만, 유로 디즈니는 파리보다 인기가 많아져 "진정한" 프랑스식 페이스트리에 대한 수요를 줄일 수 있다.[313]

세계화라는 용어는 변화를 의미하며, 전통 음악을 포함한 문화적 관행은 유실되거나 전통의 융합으로 바뀔 수 있다.[311]

복잡하고 다면적인 현상인 세계화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지역 및 국가 경제를 세계적이고 규제되지 않은 시장 경제에 통합하는 자본주의적 확장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153] 세계화를 비판하는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문화의 다양성을 해친다고 주장한다. 세계화를 통해 우세한 국가의 문화가 수용 국가에 도입됨에 따라 지역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는 세계화가 궁극적으로 경제적, 정치적으로 강력한 서구 국가의 우세한 문화적 개념이 확산되어 지역 문화에 해를 끼치는 서구화 또는 미국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103]

세계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환경 문제와 민족주의를 결합한다. 이들은 정부를 다국적 기업에 종속된 신식민주의의 대리인으로 간주한다.[161]

6. 정치 세계화

정치 세계화는 기존 국제 정치의 주역이었던 국가 외에 다양한 조직이 부상한 것으로 설명된다.[253] WTO, WIPO, IMF 등의 국제기구국가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NGO, 그리고 다국적 기업 등이 국제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1992년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유엔 사무총장은 냉전 종식 후 증가하던 지역 분쟁 예방을 위해 예방 외교 개념을 제창, 국제 사회가 지역 분쟁에 개입하게 되었다. 유엔 평화유지 활동이 강화되었으나, 소말리아 내전(UNOSOM II),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UNPROFOR)), 르완다 대학살(UNAMIR) 등에서 실패하기도 했다.[254]

환경 문제민주화 등 중대한 정책 과제에 대해 전 세계적인 공통 인식에 따른 협력 체제가 이루어지고, 세계 거버넌스가 요구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냉전 종식으로 세계적으로 민주화 요구가 강해졌고, 선진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정부 개발 원조는 민주화를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255] 아프리카에서는 선진국들이 독재 국가에 대한 원조를 감축하거나 중단하여 민주화를 촉진했다.[256]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는 워싱턴 컨센서스와 결부, 세계은행과 IMF는 구조 조정 정책을 조건으로 경제 지원을 제공했다. 그러나 공공 부문 축소로 실업 증가, 교육의료 질 저하 등 부정적 영향이 컸으며, 특히 아프리카에서 경제 침체가 악화되었다.[257] 선진국도 구조 조정 정책을 융자 조건으로 요구하면서,[258] 세계은행과 IMF의 의향이 개발도상국 경제를 좌우, 내정 불간섭 원칙 위반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59]

6. 1. 특징

세계화는 국가의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유럽연합, WTO, G8, 국제형사재판소와 같은 초국가적 기관들은 국제 협력을 위해 국가 기능을 대체하거나 확대한다. 이는 유럽연합 모델을 기반으로 한 국제연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315]

정부간 독립주의는 정치학 용어로, 주와 국가 정부를 통합의 주요 요소로 다룬다.[315] 다단계 지배는 신흥 세계 정치 경제에서 상호 작용하는 권력 구조가 존재한다는 개념으로, 국내와 국제적 수준의 권한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316]

어떤 사람들은 여러 국가의 시민권을 가지는 다중국적 상태에 있다. 다중국적은 한 개인이 둘 이상의 국가 시민으로 동시에 간주되는 것을 의미한다.[317]

NGO들은 인도적 원조와 개발 노력을 포함하여 국경을 초월한 공공 정책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318]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같은 자선단체들은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하여 인도적 활동을 펼치고 있다.[318] 허드슨 연구소는 2010년에 개발도상국으로의 총 민간 자선활동 흐름을 590억달러로 추산했다.[318]

세계화에 대한 대응으로 일부 국가들은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하기도 한다. 북한은 외국인의 입국과 활동을 엄격하게 통제하며, 시민들의 자유로운 출국을 제한한다.[319]

세계화는 거대 다국적 기업들이 저임금, 저숙련 경제에 일자리를 아웃소싱하는 과정을 촉진했다. 방글라데시의 기성 의류 산업과 멕시코 시우다드후아레스마킬라도라 산업은 여성 노동력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320][321] 그러나 여성 노동자들은 장시간 노동, 열악한 작업 환경, 낮은 임금, 고용 불안정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320][321]

학자들은 환경 글로벌화나 군사 글로벌화와 같이 덜 일반적인 세계화의 다른 차원에 대해서도 논의하지만,[117][118] 주로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세계화의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분한다.[11]

2004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후진타오 중국 주석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자유 무역은 사회 전체에 크고 명백한 순이익을 가져온다는 것이 경제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이다.[163][164]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미국 경제학자들은 미국이 관세 및 기타 무역 장벽을 제거해야 하며, 해외 아웃소싱을 제한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응답했다.[165] N.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개방적인 세계 무역이 경제 성장을 증진시키고 생활 수준을 높인다는 주장은 전문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거의 이견이 없다"고 언급했다.[166]

제프리 삭스는 정부 부패, 사회적 불평등, 에이즈 및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 인프라 부족, 불안정한 정치 환경, 보호무역주의, 지리적 장벽 등이 국가의 세계 시장 진출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168] 자그디시 바그와티는 세계화가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긍정적인 힘이라고 주장한다.[169] 그러나 경제 성장이 반드시 빈곤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GDP와 GNI와 같은 지표는 증가하는 부의 불평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170] 옥스팜은 빈곤층이 생산적 자산 부족, 취약한 인프라, 열악한 교육 및 건강 등으로 인해 세계화의 기회에서 배제된다고 주장한다.[171]

선진국으로의 이민자 유입은 세계 임금 수렴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기술 이전은 개발도상국에 이익이 될 수 있다.[10] 지식의 보급은 세계화의 필수적인 측면이며, 휴대전화 채택과 같은 기술 혁신은 개발도상국과 최빈개발도상국에 이익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는 사유 재산권, 자유 기업, 경쟁을 장려하는 시장 지향적 경제 정책을 채택한 후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의 1인당 GDP는 1975년부터 2001년까지 연평균 5.9% 증가했다.[173]



경제 자유화와 국제 통합 이후 개발도상국의 기대 수명 증가, 영아 사망률 감소, 성인 문해율 증가, 출산율 감소 등은 복지 증진과 불평등 감소로 이어졌다.[175]

1980년 이후 세계화된 국가들의 1인당 GDP 성장률은 가속화되었으며, 이는 부유 국가들의 성장률 감소와 대비된다. 세계화되지 않은 개발도상국은 세계화된 국가보다 더 나쁜 성적을 거두었다.[176]

2018년 세계 지역별 총 (조 달러)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의 세계화는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가 평화를 증진시킨다는 생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177] 이 생각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세계화 기간 동안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의 중심 교리였다.[178]

세계화에 반대하는 일부 사람들은 이 현상을 기업 이익 증진으로 보며, 기업체의 자율성과 힘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의 정치적 정책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179][180][181] 공정무역 이론가들은 제한 없는 자유 무역이 빈곤층을 희생시키면서 부유층에게 이익이 된다고 주장한다.[183]

세계화를 통해 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일자리를 고비용 지역에서 아웃소싱할 수 있게 되었다.[80] 세계화 비판자들은 이것이 빈곤국에 불리하다고 주장하며, 자유 무역이 세계화를 촉진하지만 일부 국가는 국내 공급업체를 보호하기 위해 농업 보조금 등을 지급한다.[184]

민주적 세계화는 세계 시민들에게 정치 조직에 대한 발언권을 부여하는 세계적 민주주의 제도 시스템을 향한 운동이다. 데이비드 헬드와 같은 민주적 세계화 옹호자들은 경제 확장과 개발이 민주적 세계화의 첫 단계가 되어야 하며, 그 뒤에 세계 정치 기구 건설 단계가 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란체스코 스티포는 국가들을 세계 정부 아래 통합할 것을 주장하며, 더글러스 로슈는 직접 선거로 선출된 유엔 의회와 같은 기구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185][186]

현대의 "세계화"는 다음 세 가지 흐름을 가진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구 규모로 확대된 현상

# 대공황1930년대 전반에 사라졌지만 현재 부활한 현상

# 미소 냉전 종식 후 1990년대에 지구 규모로 확대된 현상

이러한 현상에는 인적, 물적, 금전적 자원과 정보의 국제적 유동화가 포함되며, 과학기술, 조직, 법 체계, 인프라의 발전이 이를 촉진했다. 한편, 다양한 사회 문제는 국가의 틀을 넘어서 단일 국가에서는 해결할 수 없게 되었다.

정치적 세계화는 국가 외에도 WTO, WIPO, IMF 등의 국제기구, NGO, 다국적 기업 등의 역할 증대로 설명된다.[253] 1992년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유엔 사무총장은 예방 외교 개념을 제창하여 지역 분쟁 예방을 위한 국제 사회의 개입이 이루어졌다. 유엔 평화유지 활동이 강화되었지만, 소말리아 내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 르완다 대학살 등에서 실패 사례도 있었다.[254]

환경 문제민주화 등 중대한 정책 과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공통 인식에 따라 협력 체제가 이루어지고, 세계 거버넌스가 요구되었다. 특히 민주화는 1990년대 이후 냉전 종식과 함께 세계적으로 요구가 강해졌고, 선진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정부 개발 원조는 민주화를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255]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선진국들은 독재 국가에 대한 원조를 감축하거나 중단하여 민주화를 촉진했다.[256]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는 워싱턴 컨센서스와 결부되어 세계은행과 IMF는 구조 조정 정책 실시를 조건으로 경제 지원을 제공했다. 그러나 공공 부문 축소로 실업 증가, 교육의료 질 저하 등 부정적 영향이 컸으며,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경제 침체가 악화되었다.[257] 선진국도 구조 조정 정책 실시를 융자 조건으로 요구하면서,[258] 세계은행과 IMF의 의향이 개발도상국 경제를 좌우할 수 있게 되어 내정 불간섭 원칙 위반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59]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각지에서 지역 통합이 진행되었다.

6. 2. 긍정적 측면

세계화는 여러 초국가적 기관들의 등장을 통해 국가의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유럽연합(EU), 세계무역기구(WTO), G8, 국제형사재판소와 같은 기관들은 국제 협약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기능을 대체하거나 확대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유럽연합 모델에 기초한 국제연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315]

정부간 독립주의는 정치학 용어로, 스탠리 호프만이 제안한 지역 통합 이론을 의미하기도 하고, 국가 정부를 통합의 주요 요소로 다루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315] 다단계 지배는 유럽 통합 연구에서 비롯된 이론으로, 세계 정치 경제에서 상호 작용하는 여러 권력 구조가 존재한다는 개념이다. 이는 국내 및 국제적 수준의 권한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316]

어떤 사람들은 여러 국가의 시민권을 동시에 가지는 다중국적, 즉 이중국적 또는 복수국적을 보유하기도 한다.[317]

비정부기구(NGO)들은 인도적 원조와 개발 노력을 포함하여 국경을 초월한 공공 정책에 점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318] 빌과 멜린다 게이츠 재단, 어시온 인터내셔널, 아큐먼 펀드(현 애큐먼), 에코 그린과 같은 자선단체들은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조직을 탄생시켰다.[318] 이들은 세계적으로 빈곤하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의 예방접종을 지원하는 등 인도주의적 노력에 앞장서고 있다. 허드슨 연구소는 2010년에 개발도상국으로의 총 민간 자선활동 흐름을 590억달러로 추산했다.[318]

세계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일부 국가들은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하기도 한다. 북한은 외국인의 입국을 엄격히 제한하고, 입국 후에도 활동을 감시하며, 자유로운 출국을 허용하지 않는다.[319]

세계화는 방글라데시의 기성 의류 산업과 같이 저임금, 저숙련 경제에 일자리를 아웃소싱하는 데 기여했다.[320] 여성 노동자들은 오랜 시간과 열악한 작업 환경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의류 산업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가족과의 협상, 결혼 선택 등 사생활에서 자율성을 보였음에도, 직장에서 더 나은 조건을 위한 단체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320] 멕시코 시우다드후아레스마킬라도라 산업에서도 여성 노동자들은 높은 이직률을 보이며, 훈련받을 기회를 얻지 못하고 저임금 일자리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321]

민주적 세계화는 세계 시민들에게 정치 단체에 대한 발언권을 부여하는 세계 민주주의 제도 시스템을 향한 움직임이다. 이는 민족 국가, 기업 과점, 이념적인 비정부기구, 정치 숭배와 마피아를 우회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데이비드 헬드와 같은 정치 사상가들이 이를 지지한다.[348] 민주적 세계화 옹호자들은 경제 확대와 개발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후 세계 정치 기구 구축 단계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란체스코 스티포는 세계 정부가 국가 정부의 권한을 보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한다.[348] 더글러스 로슈는 세계화를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유엔 의회와 같이 직접 선출된 기구를 통해 국제 기구를 감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49]

세계 시민 의식은 상호 의존과 상호 작용의 시대에 세계 시민들 간의 사회적 계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지구상의 인간으로서 서로에게 특정한 권리와 책임이 있다는 개념이다.[350] 소크라테스는 자신을 "세계 시민"이라고 칭하며 이러한 정서를 초기 형태로 보여주었다.[351][352]

바하이교에서 영감을 받은 작가 메이제스는 단일 세계 공동체와 새로운 세계 의식을 지지하면서도, 세계화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영국 중심주의로 경계하며, "보편화" 과정을 대안으로 제시한다.[353]

세계주의는 모든 인류가 공통의 도덕성에 기반한 하나의 공동체에 속한다는 제안이다. 크웨메 앤서니 아피아는 서로 다른 믿음을 가진 다양한 지역의 개인들이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세계주의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355]

마셜 맥루한은 1962년부터 ''지구촌''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했다. 그는 세계화가 모든 국가의 사람들이 더 통합되고 공통의 이해와 인간애를 더 잘 인식하는 세계로 이어질 것이라고 보았다.[356][357]

학자들은 때때로 환경 글로벌화(국제적으로 조정된 관행과 규정, 종종 환경 보호에 관한 국제 조약의 형태)[117] 또는 군사 글로벌화(안보 관계의 글로벌 범위와 규모의 성장)[118] 와 같이 덜 일반적인 세계화의 다른 차원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원들은 경제적 세계화, 문화적 세계화, 정치적 세계화의 세 가지 주요 영역에 비해 훨씬 적은 관심을 받는다.[11]

자유 무역은 사회 전체에 크고 명백한 순이익을 가져온다는 것이 경제학자들의 광범위한 합의이다.[163][164] 미국 경제학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대다수가 관세 및 무역 장벽 제거에 동의하고, 해외 아웃소싱 제한에 반대했다.[165] N. 그레고리 맨큐는 개방적인 세계 무역이 경제 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한다는 주장에 대해 경제학자들 사이에 폭넓은 합의가 있다고 언급했다.[166] 자유 무역이 생산성 효율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선택지를 제공하며, 장기적으로 이러한 이익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보다 크다는 데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동의한다.[167]

제프리 색스는 정부 부패, 법적 및 사회적 불평등, 질병, 인프라 부족, 불안정한 정치적 환경, 보호무역주의, 지리적 장벽 등 여러 요인이 국가의 세계 시장 진출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168] 자그디시 바그와티는 세계화가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긍정적인 힘이라고 주장한다.[169] 그러나 경제 성장이 반드시 빈곤 감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GDP와 국민총소득(GNI)과 같은 지표는 증가하는 부의 불평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170] 옥스팜 인터내셔널은 빈곤층이 생산적 자산 부족, 취약한 인프라, 열악한 교육 및 건강 등으로 인해 세계화의 기회에서 배제되어 빈곤의 덫에 빠진다고 주장한다.[171] 폴 크루그먼은 세계화 비판자들이 비교우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172]

선진국으로의 이민자 유입은 세계 임금 수렴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개발도상국으로의 기술 이전 가능성을 높인다.[10] 지식의 보급은 세계화의 필수적인 측면이며, 기술 혁신은 개발도상국과 최빈개발도상국(LDC)에 이익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는 사유 재산권, 자유 기업 및 경쟁을 장려하는 시장 지향적 경제 정책을 채택한 후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는 1975년부터 2001년까지 1인당 GDP가 연평균 5.9% 증가했다.[173] 마틴 울프는 빈곤 개발도상국의 소득이 부유 국가보다 빠르게 성장하여 국제적 불평등과 빈곤 발생률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경제 자유화와 국제 통합 이후 개발도상국의 기대 수명 증가, 영아 사망률 감소, 성인 문해율 증가, 출산율 감소 등은 생활 수준과 복지 향상을 나타낸다.[175]

1980년 이후 세계화된 국가들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가속화된 반면, 부유 국가들은 성장률이 감소했다. 세계화되지 않은 개발도상국은 세계화된 국가보다 더 나쁜 성적을 거두었다.[176]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의 세계화는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가 평화를 증진시킨다는 생각을 다시 제기하게 했다.[177] 이 생각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세계화 기간 동안 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같은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의 중심 교리였다.[178]

6. 3. 부정적 측면

일반적으로, 세계화는 궁극적으로 국가의 중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럽연합(EU), 세계무역기구(WTO), G8, 국제형사재판소와 같은 초국가적 기관들은 국제협약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기능을 대체하거나 확대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유럽연합 모델에 기초한 국제연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315]

정부간 독립주의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진 정치학 용어다. 첫 번째는 스탠리 호프만에 의해 원래 제안되었던 지역 통합 이론을 언급한다. 두 번째 것은 주와 국가 정부를 통합의 주요 요소로 다룬다.[315] 다단계 지배는 유럽통합에 관한 연구로부터 비롯된 정치학과 공공행정 이론의 접근방식이다. 다단계적인 통치는 신흥 세계 정치 경제에서 활동하는 많은 상호 작용하는 권력 구조가 있다는 생각을 표현한다. 그것은 국내와 국제적 수준의 권한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316]

어떤 사람들은 여러 민족 국가의 시민이다. 이중국적 또는 복수국적이라고도 하는 다중국적은 한 개인의 시민권 지위를 말하며, 그 국가의 법에 따라 한 개인을 둘 이상의 국가의 시민으로 동시에 간주한다.[317]

비정부기구(NGO)들이 인도적 원조와 개발 노력을 포함하여 국경을 초월한 공공 정책에 점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다.[318] 글로벌 미션이 있는 자선단체들도 인도적 노력의 선봉에 서고 있다. 빌과 멜린다 게이츠 재단, 어시온 인터내셔널, 아큐먼 펀드(현 애큐먼), 에코 그린과 같은 자선단체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해 글로벌 같은 비즈니스 조직을 탄생시켰다.[318] 빌 게이츠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프로젝트에는 현재 세계적으로 빈곤하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몇몇 국가의 예방접종을 지원하기 위한 수십억 달러의 약속이 포함되어 있다.[318] 허드슨 연구소는 2010년에 개발도상국으로의 총 민간 자선활동의 흐름을 5900억달러로 추산했다.[318]

세계화에 대한 대응으로 일부 국가들은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했다. 예를 들어, 북한 정부는 외국인들이 자국에 입국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그들이 입국할 때 그들의 활동을 엄격하게 감시한다. 구호 요원들은 상당한 정밀 조사를 받아야 하고 정부가 그들이 들어가지 않기를 바라는 장소와 지역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시민들은 자유롭게 나라를 떠날 수 없다.[319]

세계화는 거대 다국적 기업들이 가난한 여성들이 노동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방글라데시의 기성 의류 산업과 같이 저임금, 저숙련, 할당량 자유 경제에 일자리를 아웃소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형적인 과정이었다.[320] 의류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의 상당 부분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은 여전히 남성들에 비해 상당히 고용이 부족하다. 의류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대부분의 여성들은 방글라데시의 시골 출신으로 의류 사업을 찾아 여성의 이주를 촉발한다.[320]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여성들을 위한 유료 업무에 접근할 수 있었는지 여부는 여전히 불분명하며, 고용주와 근로자 중 누구의 관점인지, 그리고 그들의 선택에 따라 달랐다.[320] 여성 근로자들은 오랜 시간과 열악한 작업 환경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의류 산업을 경제적으로 지속할 수 없다고 보았다. 여성 근로자들이 가족과 협상할 수 있는 능력, 결혼 선택권, 가족 내 임금 수입자 등 사생활에 대한 상당한 자율성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더 나은 거래를 협상하기 위해 집합적으로 조직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았다.[320]

제조업에서 아웃소싱하는 또 다른 예는 가난한 여성들이 노동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멕시코 시우다드 후아레즈의 마킬라도라 산업이다.[321] 마킬라도라 업계의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충분히 훈련 받을 수 있을 만큼 오래 머무르지 않는 높은 수준의 이직률을 보인다. 마킬라도라 산업 내에서 훈련과 근로자 충성에 초점을 맞춘 두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여성은 훈련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숙련되지 않은 저임금 일자리에 배치되며, 남성은 더 적은 이직률로 교육을 받고, 더 높은 수준의 기술을 갖춘 기술직에 종사한다.[321] 훈련은 높은 이직률을 보이는 여성을 비정규직으로 유지하는 산업에 도움이 된다고 비난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되었다.[321]

자유 무역의 경제학을 분석하는 문헌은 매우 방대하며, 이론적 및 경험적 영향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자유무역은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내지만, 경제학자들은 자유무역이 사회에 크고 명백한 순이익을 가져온다는 데 광범위하게 합의한다.[163][164] 2006년 83명의 미국 경제학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7.5%가 미국이 남아있는 관세와 기타 무역 장벽을 제거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고", "90.1%가 미국이 고용주가 해외로 일을 아웃소싱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에 반대했다."[165]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인 N. 그레고리 맨큐는 "전문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개방적인 세계 무역이 경제 성장을 증진시키고 생활 수준을 높인다는 것만큼 많은 합의를 얻는 주장은 거의 없다"고 말한다.[166] 주요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자유 무역은 생산성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선택지를 제공하며, 장기적으로 이러한 이익은 고용에 미치는 영향보다 훨씬 크다"는 견해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었다.[167]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규모에 대한 수확 체감이 특정 산업이 비교우위에서 파생된 강력한 경제적 이유 없이 특정 지역에 정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것은 자유 무역에 반대할 이유가 되지 않는다는 데 동의한다. 왜냐하면 "승자"와 "패자" 모두가 누리는 절대적인 생산량 수준이 증가하고, "승자"가 "패자"보다 더 많이 얻지만, 둘 다 이전보다 절대적인 수준에서 더 많은 것을 얻기 때문이다.

제프리 색스는 그의 저서 『빈곤의 종말』에서 정부 부패, 성별, 민족 또는 카스트에 기반한 법적 및 사회적 불평등, 에이즈말라리아와 같은 질병, 교통, 통신, 보건 및 무역을 포함한 인프라 부족, 불안정한 정치적 환경, 보호무역주의, 그리고 지리적 장벽을 포함한 많은 요인이 국가의 세계 시장 진출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논의한다.[168] 국제연합(UN)의 세계화 자문관이었던 자그디시 바그와티는 과도하게 빠른 발전에는 분명한 문제점이 있지만, 세계화는 더 빠른 경제 성장과 관련된 선순환 경제 사이클을 일으킴으로써 국가를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매우 긍정적인 힘이라고 주장한다.[169] 그러나 경제 성장이 반드시 빈곤 감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실 두 가지가 공존할 수 있다. 경제 성장은 일반적으로 국내총생산(GDP)와 국민총소득(GNI)과 같은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되는데, 이 지표는 증가하는 부의 불평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170] 또한, 옥스팜 인터내셔널은 빈곤층이 종종 "생산적 자산 부족, 취약한 인프라, 열악한 교육 및 건강 불량"으로 인해 세계화로 인한 기회에서 배제된다고 주장한다.[171] 이로 인해 이러한 소외된 집단은 빈곤의 덫에 빠지게 된다.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은 세계화와 자유 무역을 강력히 지지하는 또 다른 인물로, 세계화 비판자들과 많은 의견 차이를 보여왔다. 그는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비교우위와 그것의 중요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다고 주장한다.[172]

선진국으로의 이민자 유입은 세계 임금 수렴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장되어 왔다. 국제 통화 기금(IMF) 연구는 이러한 국가들의 임금이 상승함에 따라 개발도상국으로 기술이 이전될 가능성을 지적했다.[10] 마지막으로, 지식의 보급은 세계화의 필수적인 측면이었다. 기술 혁신(또는 기술 이전)은 예를 들어 휴대전화 채택과 같이 대부분의 개발도상국과 최빈개발도상국(LDC)에 이익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는 사유 재산권, 자유 기업 및 경쟁을 장려하는 시장 지향적 경제 정책을 채택한 후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 특히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는 1975년부터 2001년까지 1인당 국내총생산(GDP)가 연평균 5.9% 증가했다(UNDP의 2003년 인간개발보고서[173]에 따름). 이처럼 영국의 경제 저널리스트 마틴 울프는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빈곤 개발도상국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성장이 안정적인 세계 부유국들보다 상당히 빠르게 성장하여 국제적 불평등과 빈곤 발생률이 감소했다고 말한다.

적극적인 경제 자유화와 국제 통합 이후 개발도상국의 특정 인구 통계 변화는 일반적인 복지 증진과 따라서 불평등 감소로 이어졌다. 울프에 따르면, 개발도상국 전체적으로 1970년 이후 매년 기대 수명이 4개월씩 증가했고, 영아 사망률은 1970년 1,000명당 107명에서 2000년 58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생활 수준과 건강 상태가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개발도상국의 성인 문해율은 1970년 53%에서 1998년 74%로 증가했고, 젊은이들 사이의 훨씬 낮은 문맹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맹률이 계속 감소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개발도상국 전체의 출산율이 1980년 여성 1인당 4.1명에서 2000년 2.8명으로 감소한 것은 여성의 출산에 대한 교육 수준 향상과 더 많은 부모의 관심과 투자를 통해 더 적은 수의 자녀를 낳는 것을 나타낸다.[175] 결과적으로 더 부유하고 교육을 받은 부모들은 더 적은 수의 자녀를 낳고, 자녀들을 노동력에서 철수시켜 학교에서 교육받을 기회를 주어 아동 노동 문제를 개선했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도상국 내에서 소득 분배가 불평등한 것처럼 보이더라도, 경제 성장과 발전은 전체 인구의 생활 수준과 복지를 향상시켰다.

1980년 이후 세계화된 국가들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960년대 연평균 1.4%, 1970년대 연평균 2.9%에서 1980년대 3.5%, 1990년대 5.0%로 가속화되었다. 부유 국가들이 1960년대 4.7%에서 1990년대 2.2%로 꾸준히 성장률이 감소한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성장 가속화는 더욱 주목할 만하다. 또한 세계화되지 않은 개발도상국은 세계화된 국가보다 더 나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보이는데, 전자의 연간 성장률은 1970년대 3.3%에서 1990년대 1.4%로 떨어졌다. 세계화된 국가들의 이러한 급속한 성장은 단순히 1980년대와 1990년대 중국인도의 강력한 성과 때문이 아니다. 24개의 세계화된 국가 중 18개국이 성장률이 증가했고, 그중 많은 국가들이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176]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의 세계화는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가 평화를 증진시킨다는 생각을 다시 제기하게 했다.[177] 이러한 생각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세계화 기간 동안 매우 강력했으며, 젊은 존 메이너드 케인스(1883-1946)와 같은 당시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의 중심적인 교리였다.[178]

세계화에 반대하는 일부 사람들은 이 현상을 기업 이익의 증진으로 본다.[179] 그들은 또한 기업체의 자율성과 힘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의 정치적 정책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180][181] 그들은 빈곤층과 노동 계급의 도덕적 주장과 환경적 우려를 더 잘 해결한다고 믿는 세계적 제도와 정책을 옹호한다.[182] 공정무역 이론가들의 경제적 주장은 제한 없는 자유 무역이 빈곤층을 희생시키면서 더 많은 재정적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익이 된다고 주장한다.[183]

세계화를 통해 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일자리를 고비용 지역에서 아웃소싱할 수 있으며, 가장 경쟁력 있는 임금과 근로자 혜택을 통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한다.[80] 세계화 비판자들은 이것이 빈곤국에 불리하다고 말한다. 자유 무역이 국가 간 세계화를 촉진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부 국가는 국내 공급업체를 보호하려고 한다. 빈곤국의 주요 수출품은 대개 농산물이다. 대국은 종종 농업 보조금을 지급하여(예: EU의 공통농업정책) 외국 농작물의 시장 가격을 낮춘다.[184]

7. 세계화와 한국

세계화는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 사회·문화, 정치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화로 인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7. 1. 경제

경제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기술, 자본이 빠르게 이동하면서 전 세계 국가 경제의 상호 의존성이 커지는 현상이다.[306] 사업의 세계화가 국제 무역 규제 완화와 관세, 세금 등 무역 장벽 축소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경제 세계화는 국가 간 경제 통합을 통해 세계 시장, 즉 단일 세계 시장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경제 세계화는 생산의 세계화와 시장의 세계화를 포함하며, 경쟁, 기술, 기업과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306]

현재의 세계화 추세는 외국인 직접 투자, 무역 장벽 감소, 그리고 이민을 통해 덜 발달된 경제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세계화 이전에는 미국이 세계 수출에서 중요한 경제력을 가진 국가였지만, 세계화 이후 독일, 일본, 한국, 중국이 미국의 지위에 도전하는 주요 국가로 부상했다.[307] 국제 표준은 상품과 서비스 무역을 효율적으로 만들었으며, 컨테이너와 같은 표준화는 운송 비용을 줄여 국제 무역 붐과 세계화를 이끌었다.

다국적 기업(또는 초국가적 기업)은 자국 외 국가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 생산을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조직이다. 자유 무역 지역은 회원국들이 자유 무역 협정에 서명한 무역 블록으로, 무역 장벽을 낮추고 상품과 서비스 교역을 촉진한다.[308] 유럽 연합(EU)은 28개 회원국의 정치-경제 연합으로, 표준화된 법 체계를 통해 유럽 단일 시장을 발전시켰으며, 사람, 상품, 서비스,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한다.[309]

무역 촉진은 국경 간 물품 이동 절차와 통제를 개선하여 비용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비스 무역 또한 중요한데, 인도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은 GDP 성장, 고용 증가, 빈곤 완화에 기여하며 국가 발전의 주요 엔진으로 묘사된다.[310]

윌리엄 I. 로빈슨은 1980년대에 시작된 세계 자본의 새로운 형태를 통해 경제 활동의 국경 확장과 초국가적 단편화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310]

자본 시장은 다양한 활동에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하는 금융시장의 통합을 통해 세계적인 자본 시장을 형성한다. 장기적으로 자본 이동 증가는 자본 소유주에게 유리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자본 수출국의 특정 부문 소유자와 노동자들이 조정 부담을 떠안게 된다.[204]

7. 2. 사회·문화

문화적 세계화는 사회 관계를 확장시키고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아이디어, 의미, 가치의 전 세계적인 전달을 의미한다.[311] 이 과정은 인터넷, 대중문화 매체, 국제 여행에 의해 확산된 문화의 일반적인 소비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전 세계에 문화적 의미를 전달하는 더 긴 역사를 가진 상품 교환과 식민지화의 과정에 더해졌다. 문화의 순환은 개인들이 국경을 넘어 확장된 사회적 관계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311] 그러한 사회적 관계의 생성과 확장은 단지 물질적인 차원에서만 관찰되는 것이 아니다. 문화적 세계화는 사람들이 개인과 집단적 문화적 정체성을 연관시키는 공통의 규범과 지식의 형성을 포함하며, 다른 인구와 문화 간의 상호연관성을 증가시킨다.[311]

이종문화간의 의사소통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 비슷하고 다른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이 문화를 가로질러 의사소통을 하려고 노력하는지 살펴보는 학문 분야다.[312]

문화적 확산은 아이디어, 스타일, 종교, 기술, 언어 등과 같은 문화 아이템의 확산이다. 문화적 세계화는 이종문화적 접촉을 증가시켰지만, 한때 고립된 공동체의 고유성이 감소하는 것을 동반할 수도 있다.[313] 예를 들어 초밥은 일본뿐만 아니라 독일에서도 이용 가능하지만 유로디즈니는 파리시를 앞질렀으며, 잠재적으로 "진정한" 프랑스 페스트리에 대한 수요를 줄인다. 세계화가 전통으로부터의 소외에 기여하는 정도는 장폴 사르트르와 알베르 카뮈와 같은 실존주의자들이 주장하는 현대성 자체의 영향에 비하면 미미한 것일 수 있다. 세계화는 특히 인터넷과 위성 TV를 통해 대중 문화를 확산시킴으로써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확대해 왔다.[313]

종교는 세계화의 가장 초기 문화적 요소들 중 하나로, 강제, 이주, 복음주의, 제국주의, 그리고 무역자들에 의해 전파되었다.[314]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교와 같은 최근의 종파들은 그들의 기원과는 거리가 먼 곳에서 고질적인 문화를 뿌리내리고 영향을 준 종교들 중 하나이다.[314]

세계화는 스포츠에 큰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어, 현대 올림픽에는 2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온 선수들이 다양한 경기에 참가한다. FIFA 월드컵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시청되고, 가장 많이 관찰되며, 올림픽 경기마저도 뛰어넘는다. 전 세계 인구의 9분의 1이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을 시청했다.[311]

세계화라는 용어는 변화를 의미한다. 전통 음악을 포함한 문화적 관습은 유실되거나 전통의 융합으로 바뀔 수 있다.[311] 세계화는 음악 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비상사태를 촉발할 수 있다. 고고학자들은 멜로디가 동화되거나 수정되기 전에 레퍼토리를 수집, 녹음 또는 필사하려고 시도할 수 있는 반면, 지역 음악가들은 진품성을 위해 애쓰고 지역 음악적 전통을 보존하려고 애쓸 수 있다. 세계화는 공연자들이 전통 악기를 버리도록 이끌 수 있다.[311] 퓨전 장르는 흥미로운 분석 분야가 될 수 있다.[311]

음악은 세계화 시대에 경제와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즈나 레게 같은 음악 장르들은 국내에서 시작되었고 후에 국제적인 현상이 되었다.[311] 세계화는 개발도상국의 음악이 더 많은 관객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계 음악 현상을 지원했다. 세계음악이라는 용어는 원래 민족 고유의 음악을 위한 것이었지만, 세계화는 이제 그 범위가 확대되어 "세계 퓨전", "글로벌 퓨전", "민족 퓨전", 그리고 세계박람과 같은 혼합된 하위 장르를 포함하고 있다.[311]

7. 3. 정치

일반적으로 세계화는 국가의 중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럽 연합, WTO, G8, 국제형사재판소와 같은 초국가적 기관들은 국제 협약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기능을 대체하거나 확대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유럽 연합 모델에 기초한 국제 연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315]

정부간 독립주의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진 정치학 용어다. 첫 번째는 스탠리 호프만(Stanley Hoffmann)에 의해 원래 제안되었던 지역 통합 이론을 언급한다. 두 번째 것은 주와 국가 정부를 통합의 주요 요소로 다룬다.[315] 다단계 지배는 유럽 통합에 관한 연구로부터 비롯된 정치학과 공공행정 이론의 접근 방식이다. 다단계적인 통치는 신흥 세계 정치 경제에서 활동하는 많은 상호 작용하는 권력 구조가 있다는 생각을 표현한다. 그것은 국내와 국제적 수준의 권한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316]

어떤 사람들은 여러 민족 국가의 시민이다. 이중국적 또는 복수국적이라고도 하는 다중국적은 한 개인의 시민권 지위를 말하며, 그 국가의 법에 따라 한 개인을 둘 이상의 국가의 시민으로 동시에 간주한다.[317]

비정부기구들이 인도적 원조와 개발 노력을 포함하여 국경을 초월한 공공 정책에 점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다.[318] 글로벌 미션이 있는 자선단체들도 인도적 노력의 선봉에 서고 있다.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 어시온 인터내셔널, 애큐먼, 에코 그린과 같은 자선단체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해 글로벌 비즈니스 조직을 탄생시켰다.[318]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프로젝트에는 현재 세계적으로 빈곤하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몇몇 국가의 예방접종을 지원하기 위한 수십억 달러의 약속이 포함되어 있다.[318] 허드슨 연구소는 2010년에 개발도상국으로의 총 민간 자선활동의 흐름을 590억달러로 추산했다.[318]

세계화에 대한 대응으로 일부 국가들은 고립주의 정책을 채택했다. 예를 들어, 북한 정부는 외국인들이 한국에 입국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그들이 입국할 때 그들의 활동을 엄격하게 감시한다. 구호 요원들은 상당한 정밀 조사를 받아야 하고 정부가 그들이 들어가지 않기를 바라는 장소와 지역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시민들은 자유롭게 나라를 떠날 수 없다.[319]

7. 4. 과제

세계은행 시위대,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세계은행(WB),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무역기구(WTO) 및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같은 국제기구들은 신자유주의를 조장하고 윤리적 기준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자카르타에서 열린 세계은행 반대 시위에서 볼 수 있듯이 자본시장의 통합에 대한 반대 움직임이 활발하다.[204] 이들 기구가 부유한 국가의 권력만 강화하고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우려도 제기된다.[205]

''노 로고''와 같은 책과 ''기업''과 같은 영화를 통해 기업의 권리가 개인의 권리보다 우선시되는 기업주의 현상에 대한 비판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206]

반소비주의 운동은 소비와 물질적 소유를 행복과 동일시하는 것에 반대하며, 대기업의 소비자 대우 문제, 환경 파괴, 사회적 불만 등을 지적하고 소비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07]



세계 정의 운동은 현재의 세계 경제 통합 제도가 사회 정의에 어긋난다고 주장하며 공정 무역 규칙을 옹호한다.[210] 이들은 기업 권력 확장에 반대하고, 평등연대 원칙, 인권 존중을 강조한다.[211] 사회적 불평등과 세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워차일드, 적십자, 프리 더 칠드런(Free The Children), 케어 인터내셔널(CARE International) 등 다양한 비정부기구(NGO)들이 활동하고 있다.[212][213][214]

국가별 총자산(조 달러), 스위스 크레디트(Credit Suisse)

8. 비판 및 논쟁

세계화에 대한 반응은 영토 밖의 접촉과 무역만큼이나 역사에 따라 크게 달라져 왔다. 이러한 과정의 비용과 편익에 관한 철학적인 차이는 광범위한 이데올로기와 사회 운동을 야기했다.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 확장, 발전의 지지자들은 세계화 과정을 인간 사회의 복지에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반면, 반세계화주의자들은 하나 이상의 세계화 과정이 전 세계적 또는 지역적 규모의 사회 복지에 해롭다고 보았다. 이들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경제 팽창의 사회적 또는 자연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구조적 불평등, 식민주의, 제국주의, 헤게모니적 민족주의, 문화 파괴 등을 우려한다.[335]

세계화는 사람들을 외국 문화와 접촉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외국인 혐오증은 외국인이나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체성 상실, 외부 집단에 대한 의심, 공격성, 순수성 유지를 위한 외부 존재 제거 욕망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336][337]

세계화에 대한 비판은 주로 세계화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비용을 둘러싼 논의에서 비롯된다.[338] 이들은 GDP과 같은 전통적인 지표에 도전하고 지니 계수나 행복플래닛지수와 같은 다른 지표를 통해 "사회적 붕괴, 민주주의의 붕괴, 환경 악화, 새로운 질병 확산 등 상호 연결된 치명적인 결과"를 지적한다.[339] 이들은 증가하는 가난과 소외가 세계화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고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세계화의 힘이 서구식 민주주의 확산으로 이어졌지만, 자유 시장 경제 정책과 민주적 원칙 강요를 위한 군사력 확대가 민족 간 긴장과 폭력을 증가시켰다고 지적한다.[340]

2005년 페어 피스와 폴 허쉬의 연구에 따르면, 1998년에는 부정적인 기사가 긍정적인 기사를 2대 1로 앞질렀으며, 1991년 전체 기사의 약 10%였던 부정적 기사 수가 1999년에는 55%로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는 세계화에 관한 전체 조항의 수가 거의 두 배로 늘어난 기간 동안 일어났다.[341]

여러 국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 주민들은 유럽이나 북아메리카보다 세계화를 더 호의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아프리카에서 갤럽 여론조사는 인구의 70%가 세계화를 호의적으로 본다는 것을 발견했다.[342] BBC는 50%의 사람들이 경제 세계화가 너무 빨리 진행되고 있다고 믿는 반면, 35%는 너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고 믿는다는 것을 발견했다.[342]

2004년 필립 고든은 유럽 대다수가 세계화가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믿으며, 유럽 연합이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세계화의 이익을 이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주요 반대 세력은 사회주의자, 환경 단체, 민족주의자들이었다. 2007년 덴마크 여론조사에서는 76%가 세계화가 좋은 것이라고 응답했다.

1993년 미국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0% 이상이 세계화 개념에 익숙하지 않았으나, 1998년에는 89%가 세계화에 대해 양극화된 견해를 보였다. 1995년 WTO 출범 이후 반세계화 운동이 대규모로 일어났다. 처음에는 대학 교육을 받은 근로자들이 세계화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개발도상국 이민자들과 경쟁할 가능성이 높은 저학력 노동자들은 반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2007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상황이 바뀌어, 1997년 대졸자의 58%가 세계화가 미국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지만, 2008년에는 33%만이 그렇게 생각했다.[344]

다케나카 헤이조와 치다 료키치는 1998년 일본에서는 경제가 "소규모와 취약"하다는 인식이 있었고, 자원 부족으로 인해 수출에 의존해야 했다. 이러한 불안감은 국제화와 세계화라는 용어가 일상 언어가 되게 했다. 그러나 일본의 전통은 특히 농업에서 가능한 한 자급자족하는 것이었다.[345]

많은 개발도상국 사람들은 세계화를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긍정적인 힘으로 본다. 세계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환경 문제와 민족주의를 결합하며, 정부를 다국적 기업에 종속된 신식민주의의 대리인으로 간주한다.[161] 브루킹스 연구소는 중산층이 저소득층의 상향 이동을 경제적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판이 중산층에서 주로 나온다고 제안했다.[347]

세계화의 진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추진하려는 의견이 있는 한편, 비판적인 의견도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장단점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세계화 자체는 좋은 것이지만, 불평등 심화를 방치하면 많은 사람들이 세계화가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극단적인 민족주의로 치닫는 위험이 있다고 지적한다.[266]
  • 경영학자이자 경제학자인 고암은 세계화에 대해 '세계화 자체가 빈곤 문제를 해결한다'는 견해와 '세계화로 인해 빈곤 문제가 더 심각해진다'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고 지적한다.[267]
  • 경제학자 조지프 E. 스티글리츠는 세계화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올바른 정책 조합과 순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68]
  • 경제학자 다니 로드릭은 저서 『세계화의 역설』에서 세계화의 선택지로 "민주주의를 희생하더라도 세계화를 추진한다",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정치 통합을 추진하여 세계 민주주의를 실현한다", "각국의 정책 자율성을 보장하고 국가 수준에서도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대신 세계화에 일정한 제한을 가한다"는 세 가지 길을 제시한다.[269]
  • 다케나카 헤이조는 세계화의 진전으로 재정 제도, 금융 제도 등 제도의 경쟁이 일어나고, 제도의 균일화가 일어나는 것이 세계화라고 지적한다.[270] 또한 세계화 속에서 사람들의 이동은 활발해지고 있지만, 일반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국내에서도 소득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271]
  • 국제정치학자 새뮤얼 헌팅턴은 저서 『문명의 충돌』에서 세계가 세계화됨에 따라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사라지지만, 동서 문명의 대립이 부각될 것이라고 지적했다.[272]
  • 평론가 모리나가 타쿠로는 일본인이 '세계화'라고 말할 경우, 그것은 '미국화'를 의미하며, 미국이 세계 표준이라는 근거는 없고, 미국만이 자신들의 것을 세계라고 착각하고 있다고 지적한다.[273] 또한 일본에 대한 진정한 세계화는 미국을 상대화하고 미국화를 거부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274]

8. 1. 반세계화 운동

2016년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TTIP 반대 시위


반세계화 또는 대항세계화[197]는 세계화에 대한 여러 비판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기업 자본주의의 세계화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198] 이 운동은 대안세계화 운동, 반세계화 운동, 반기업 세계화 운동,[199] 또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반대 운동으로도 불린다.

세계화 반대론자들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국제 무역에서 권력과 존중이 불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200] 이 운동은 노동조합원, 환경운동가, 무정부주의자, 토지 권리 및 원주민 권리 운동가, 인권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하는 단체, 민영화 반대론자, 그리고 반착취 노동 운동가 등 다양한 구성원들을 포함한다.[201]

크리스토퍼 라쉬(Christopher Lasch)는 ''엘리트의 반란과 민주주의의 배신''에서[202] 세계화를 통해 소득 상위 20%에 속하는 새로운 엘리트들은 더 이상 동료 시민들과 같은 세상에 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기업의 비국가화는 자신을 "세계 시민"으로 여기지만, 정치 공동체에서 시민권이 일반적으로 수반하는 어떤 의무도 수용하지 않는 계급을 만들어 낸다고 주장했다.

D.A. 스노우(D.A. Snow) 등은 반세계화 운동이 기존 사회 운동과는 다른 전술과 자원을 사용하는 새로운 사회 운동의 한 예라고 주장한다.[203] 이 운동의 가장 악명 높은 전술 중 하나는 1999년 세계무역기구(WTO) 제3차 각료회의에 대한 항의 시위였던 시애틀 전투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 운동은 WTO,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세계경제포럼(WEF), 주요 8개국(G8)과 같은 기관의 회의 외부에서 시위를 벌였다.[201]

세계 부의 분포(크레디트스위스, 2017)


세계 경제는 역사적으로 불균등하게 발전해 왔으며, 2013년에는 85명의 억만장자가 전 세계 인구 70억 명 중 가장 가난한 절반(35억 명)이 소유한 부의 총량과 맞먹는 부를 축적했다.[217]

세계화에 대한 비판론자들은 세계화가 약한 노동조합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184] 또한 아동 노동 착취의 증가를 지적하며, 아동 보호가 취약한 국가는 악덕 기업과 범죄 조직이 아동을 착취하는 곳이 될 수 있다고 비판한다.[218]

2006년 5월 1일, 메이데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이민자 권리 행진


여성들은 종종 불안정한 일자리, 수출 지향적 고용을 포함한 노동 시장에 참여하며, 세계화가 여성의 고용 기회를 확대했지만, 장기적인 목표인 성 불평등 해소는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219]

2016년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현대 세계화된 자본주의의 이념적 토대인 신자유주의는 "과장 광고"되었으며, 그 비용, 특히 국가 내 소득 불평등의 심화는 "성장 수준과 지속 가능성을 저해한다"는 것이다.[221]

마다가스카르 고원 지대의 산림벌채는 광범위한 토사 퇴적과 서쪽 강들의 불안정한 흐름으로 이어졌다.


'''a'''는 중국에서의 외국 최종 소비의 탄소발자국(CF) 집중 지역을 보여준다. '''b'''–'''d'''는 각각 미국, 홍콩, 일본의 소비 탄소발자국 집중 지역을 보여준다. 모든 외국 지역 중 미국, 홍콩, 일본이 중국에서 가장 큰 CF를 가지고 있으며, 2012년 중국의 총 외국 CF에 각각 약 23.0%, 10.8%, 9.0%를 기여했다.


환경운동은 지구 온난화, 세계 물 공급 및 물 부족, 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 절약의 불평등, 국가 간 대기 오염 및 세계 해양 오염, 인구 과잉, 세계 서식지 지속 가능성, 산림 벌채, 생물 다양성 손실 및 종 멸종 등의 문제에 우려를 표한다.

세계화에 대한 한 가지 비판은 가난한 사람들의 천연 자원이 부유한 사람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점령되었고 부유한 사람들에 의해 발생된 오염이 체계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떠넘겨졌다는 것이다.[226]

헬레나 노르베르그 호지(Helena Norberg-Hodge)는 로컬 퓨처스/국제 생태 문화 사회(International Society for Ecology and Culture)의 설립자이자 이사로서 세계화를 비판한다. 그녀는 세계화의 표준화와 합리화는 항상 기대되는 성장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며, 세계화가 실제로 일부 국가를 발전시키는 대신 후퇴시켰다고 주장한다.[228]

오염 피난처 가설에 따르면, 대규모 산업 국가들이 해외에 공장이나 사무실을 설립하려고 할 때, 환경 규제가 덜 엄격한 개발도상국으로 이전하는 경향이 있다.[229]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 무역 지역 중 하나를 형성할 유럽연합-메르코수르 자유무역협정[230]은 환경 운동가와 원주민 권리 운동가들에 의해 비난받았다.[231] 브라질산 쇠고기의 시장 접근성이 확대됨에 따라 이 협정이 아마존 열대 우림 벌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232]

세계화라는 용어는 메가 컴페티션, 다국적 기업에 의한 착취 강화, 국내 산업의 쇠퇴, 프레카리아트(비정규직 노동자) 증가 등의 부정적인 현상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1992년 이후 세계화의 부정적 현상을 혐오하는 사람들은 주요국 정상회의 개최지 등에서 반세계화를 주장하고 있다. 1999년 11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시애틀에서 열린 제3차 세계무역기구 각료회의(WTO 총회)에서의 반대 시위는 이러한 움직임이 처음으로 전 세계에 알려진 사건이다.[242]

2015년경에는 "반세계화", 특히 "세계 자본주의에 대한 혐오"를 내건 정파가 세계적으로 약진하고 있다. 보호무역주의를 내건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것(2016년 11월 8일)이 그 상징적인 사건이다. 이러한 반세계화 움직임은 종종 대립축으로서 민족주의의 융성을 가져왔다.[243]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을 막지 못해 팬데믹에 이르면서, 세계 각국에서 입국 제한이 시작되어 세계 경제의 전제였던 세계화가 파괴되었다. 이 팬데믹을 계기로 세계적으로 민족주의가 발현되어 무제한적인 세계화의 문제점이 인류 전체에서 인식되게 되었다.[245]

8. 2. 대안 세계화 운동



환경운동은 환경 보전과 환경 건강 개선에 대한 우려와 관련된 광범위한 철학, 이데올로기 및 사회 운동이다.[223][224][225] 환경운동가들은 지구 온난화, 세계 물 공급 및 물 부족, 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 절약의 불평등, 국가 간 대기 오염 및 세계 해양 오염, 인구 과잉, 세계 서식지 지속 가능성, 산림 벌채, 생물 다양성 손실 및 종 멸종 등의 문제에 대해 우려한다.

세계화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가난한 사람들의 천연자원이 부유한 사람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점령되고, 부유한 사람들에 의해 발생된 오염이 체계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떠넘겨졌다는 것이다.[226] 일부 사람들은 북반구 기업들이 세계적인 활동을 위해 가난한 국가들의 자원을 착취하는 반면, 세계화된 경제의 환경적 부담을 불균형적으로 떠안고 있는 것은 남반구라는 주장을 한다. 따라서 세계화는 일종의 "환경 아파르트헤이트"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227]

헬레나 노르베르그 호지(Helena Norberg-Hodge)는 로컬 퓨처스/국제 생태 문화 사회(International Society for Ecology and Culture)의 설립자이자 이사로서 세계화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비판한다. 그녀의 저서 ''고대의 미래(Ancient Futures)''에서 노르베르그 호지는 "수세기 동안 지속된 생태적 균형과 사회적 조화가 개발과 세계화의 압력으로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또한 세계화의 표준화와 합리화를 비판하는데, 이는 항상 기대되는 성장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세계화가 대부분의 국가에서 유사한 단계를 밟지만, 호지와 같은 학자들은 특정 국가에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세계화가 실제로 일부 국가를 발전시키는 대신 후퇴시켰다고 주장한다.[228]

관련된 우려 영역은 오염 피난처 가설로, 이는 대규모 산업 국가들이 해외에 공장이나 사무실을 설립하려고 할 때 자원과 노동 측면에서 가장 저렴한 옵션을 찾고, 필요한 토지와 재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최저가 경쟁 참조)[229] 이것은 종종 환경적으로 건전한 관행을 희생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저렴한 자원과 노동력을 가진 개발도상국은 일반적으로 환경 규제가 덜 엄격하고, 반대로 환경 규제가 더 엄격한 국가는 이러한 기준 충족과 관련된 비용으로 인해 기업에 더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외국에 물리적으로 투자하기로 선택한 기업은 가장 낮은 환경 기준 또는 가장 약한 집행력을 가진 국가로 (재)이전하는 경향이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 무역 지역 중 하나를 형성할 유럽연합-메르코수르 자유무역협정[230]은 환경 운동가와 원주민 권리 운동가들에 의해 비난을 받았다.[231] 브라질산 쇠고기의 시장 접근성이 확대됨에 따라 이 협정이 아마존 열대 우림 벌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232]

8. 3. 세계화에 대한 여론

세계화에 대한 반응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철학적 차이는 광범위한 이데올로기와 사회 운동을 야기한다. 경제 성장, 확장, 발전의 지지자들은 세계화 과정을 인간 사회의 복지에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것으로 본다.

반면, 반세계화주의자들은 세계화 과정이 전 세계적 또는 지역적 규모의 사회 복지에 해롭다고 본다. 이들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경제 팽창의 사회적 또는 자연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구조적 불평등, 식민주의, 제국주의, 헤게모니적 민족주의, 문화 파괴 등을 우려한다.[335]

세계화는 사람들을 외국 문화와 접촉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외국인 혐오증은 외국인이나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체성 상실, 외부 집단에 대한 의심, 공격성, 순수성 유지를 위한 외부 존재 제거 욕망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336][337]

세계화에 대한 비판은 주로 세계화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비용을 둘러싼 논의에서 비롯된다.[338] 이들은 GDP와 같은 전통적인 지표에 도전하고 지니 계수나 행복플래닛지수와 같은 다른 지표를 통해 "사회적 붕괴, 민주주의의 붕괴, 환경 악화, 새로운 질병 확산 등 상호 연결된 치명적인 결과"를 지적한다.[339] 이들은 증가하는 가난과 소외가 세계화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고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세계화의 힘이 서구식 민주주의 확산으로 이어졌지만, 자유 시장 경제 정책과 민주적 원칙 강요를 위한 군사력 확대가 민족 간 긴장과 폭력을 증가시켰다고 지적한다.[340]

2005년 페어 피스와 폴 허쉬의 연구에 따르면, 1998년에는 부정적인 기사가 긍정적인 기사를 2대 1로 앞질렀으며, 1991년 전체 기사의 약 10%였던 부정적 기사 수가 1999년에는 55%로 증가했다.[341]

여러 국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 주민들은 유럽이나 북아메리카보다 세계화를 더 호의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아프리카에서 갤럽 여론조사는 인구의 70%가 세계화를 호의적으로 본다는 것을 발견했다.[342] BBC는 50%의 사람들이 경제 세계화가 너무 빨리 진행되고 있다고 믿는 반면, 35%는 너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고 믿는다는 것을 발견했다.[342]

2004년 필립 고든은 유럽 대다수가 세계화가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믿으며, 유럽 연합이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세계화의 이익을 이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주요 반대 세력은 사회주의자, 환경 단체, 민족주의자들이었다. 2007년 덴마크 여론조사에서는 76%가 세계화가 좋은 것이라고 응답했다.

1993년 미국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0% 이상이 세계화 개념에 익숙하지 않았으나, 1998년에는 89%가 세계화에 대해 양극화된 견해를 보였다. 1995년 WTO 출범 이후 반세계화 운동이 대규모로 일어났다. 처음에는 대학 교육을 받은 근로자들이 세계화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개발도상국 이민자들과 경쟁할 가능성이 높은 저학력 노동자들은 반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2007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상황이 바뀌어, 1997년 대졸자의 58%가 세계화가 미국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지만, 2008년에는 33%만이 그렇게 생각했다.[344]

다케나카 헤이조와 치다 료키치는 1998년 일본에서는 경제가 "소규모와 취약"하다는 인식이 있었고, 자원 부족으로 인해 수출에 의존해야 했다. 이러한 불안감은 국제화와 세계화라는 용어가 일상 언어가 되게 했다. 그러나 일본의 전통은 특히 농업에서 가능한 한 자급자족하는 것이었다.[345]

많은 개발도상국 사람들은 세계화를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긍정적인 힘으로 본다. 세계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환경 문제와 민족주의를 결합하며, 정부를 다국적 기업에 종속된 신식민주의의 대리인으로 간주한다.[161] 브루킹스 연구소는 중산층이 저소득층의 상향 이동을 경제적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판이 중산층에서 주로 나온다고 제안했다.[347]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세계화 자체는 좋은 것이지만, 불평등 심화를 방치하면 많은 사람들이 세계화가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극단적인 민족주의로 치닫는 위험이 있다고 지적한다.[266]

경영학자이자 경제학자인 고암은 세계화에 대해 '세계화 자체가 빈곤 문제를 해결한다'는 견해와 '세계화로 인해 빈곤 문제가 더 심각해진다'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고 지적한다.[267]

경제학자 조지프 E. 스티글리츠는 세계화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올바른 정책 조합과 순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68]

경제학자 다니 로드릭은 저서 『세계화의 역설』에서 세계화의 선택지로 "민주주의를 희생하더라도 세계화를 추진한다",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정치 통합을 추진하여 세계 민주주의를 실현한다", "각국의 정책 자율성을 보장하고 국가 수준에서도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대신 세계화에 일정한 제한을 가한다"는 세 가지 길을 제시한다.[269]

다케나카 헤이조는 세계화의 진전으로 재정 제도, 금융 제도 등 제도의 경쟁이 일어나고, 제도의 균일화가 일어나는 것이 세계화라고 지적한다.[270] 또한 세계화 속에서 사람들의 이동은 활발해지고 있지만, 일반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국내에서도 소득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271]

국제정치학자 새뮤얼 헌팅턴은 저서 『문명의 충돌』에서 세계가 세계화됨에 따라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사라지지만, 동서 문명의 대립이 부각될 것이라고 지적했다.[272]

평론가 모리나가 타쿠로는 일본인이 '세계화'라고 말할 경우, 그것은 '미국화'를 의미하며, 미국이 세계 표준이라는 근거는 없고, 미국만이 자신들의 것을 세계라고 착각하고 있다고 지적한다.[273] 또한 일본에 대한 진정한 세계화는 미국을 상대화하고 미국화를 거부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274]

참조

[1] 논문 Defining Globalisation 2008
[2] 논문 A Genealogy of globalization: The career of a concept http://www.tandfonli[...]
[3] 서적 Globalization, Knowledg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4] 서적 Read "Following the Money: U.S. Finance in the World Economy" at NAP.edu https://www.nap.edu/[...]
[5] 웹사이트 Imagining the Internet http://www.elon.edu/[...] Elon University School of Communications 2009-08-17
[6] 논문 Science, Systems, and Society
[7] 논문 Shaping Globalization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5-08-10
[8] 논문 When did globalisation begin? 2002-04-01
[9] 서적 The Global City: New York, London, Tokyo. http://pup.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Globalization: Threat or Opportunity?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9-11-28
[11]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Globalization John Wiley & Sons
[12] 웹사이트 6 Pros and Cons of Globalization in Business to Consider https://online.hbs.e[...] 2024-09-04
[13] 웹사이트 Weighing the Pros and Cons of Globalization {{!}} Wilson Center https://www.wilsonce[...] 2024-09-04
[14] 서적 Navigating supply chain disruptions: New insights into the resilience and transformation of EU firms https://www.eib.org/[...] European Investment Bank 2024-10-03
[15] 웹사이트 Globalisation, automation and the history of work: Looking back to understand the future https://unctad.org/n[...]
[16] 웹사이트 Global Trade Liberalization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 An IMF Issues Brief https://www.imf.org/[...] 2024-10-10
[17] 논문 Globalization and Mondialisation – A Conceptual Analysis https://ideas.repec.[...]
[18] 서적 Globalization in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Norton
[19] 논문 Globaliz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alse Twins?
[20]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https://stars.librar[...] Pluto Press
[21] 서적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Polity Press
[22] 서적 Globalization: Social Theory and Global Culture https://archive.org/[...] Sage
[23] 서적 Global Transformations Polity Press
[24] 웹사이트 DHL Global Connectedness Index 2014 http://www.dhl.com/c[...] DHL 2015-03-31
[25] 서적 The Race to the Top: The Real Story of Globalization Cato Institute
[26] 논문 Arguing Globalizations: Propositions Towards an Investigation of Global Formation https://www.academia[...]
[27] 서적 Globaliza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 논문 Levels of Subjective Globalization: Ideologies, Imaginaries, Ontologies https://www.academia[...]
[29] 논문 Faces of Globalization and the Borders of States: From Asylum Seekers to Citizens https://www.academia[...]
[30] 서적 The Dell Theory of Conflict Prevention Bedford, St. Martins
[31] 간행물 Globalization, the reformist Left and the Anti-Globalization 'Movement.' http://www.inclusive[...] 2001-07-01
[32] 서적 The Globalization Reader John Wiley & Sons
[33] 뉴스 Beyond Globophobia http://www.thenation[...] 2003-11-13
[34] 뉴스 Globophobia http://www.spectator[...] 2014-10-29
[35]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6] 논문 When Did Globalization Begin?
[37] 서적 The Sociology of Globalization Policy Press
[38] 서적 Globality versus Democracy: The Changing Na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ternational Progress Organization
[39] 서적 ReOrient: Global economy in the Asian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The Legacy of the Silk Road http://yaleglobal.ya[...] Yale Global 2013-01-25
[43] 논문 Islam at the Center: Technological Complexes and the Roots of Modernity https://www.jstor.or[...] 2009
[44] 뉴스 Building a new road https://www.newindia[...] 2024-03-12
[45] 서적 Globalization in World History Norton
[46] 서적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 The Study of an Early Joint-stock Company 1600–1640 (Vol. 4) Routledge/Thoemmes Press
[47] 서적 China and the Birth of Globalization in the 16th Century
[48] 서적 The Silver Way: China, Spanish America and the Birth of Globalisation, 1565-1815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7-10-12
[49] 웹사이트 Trade and empire (Chapter 4) –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Modern Europe https://www.cambridg[...]
[50] 뉴스 How the invention of a box changed our world – Business – smh.com.au https://www.smh.com.[...] 2006-06-12
[51] 웹사이트 World Exports as Percentage of Gross World Product http://www.globalpol[...] Global Policy Forum
[52] 서적 Gender,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Economics as if all people mattered Routledge
[53] 서적 The Shock Doctrine Vintage
[54] 논문 Gender and International Migration: Globalization, Development and Governance 2012-08-08
[55] 논문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ncepts and Contexts
[56] 논문 Will the nation-state survive globalization? https://www.foreigna[...]
[57] 서적 Globalization: The Essentials John Wiley & Sons
[58] 논문 Trad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A Survey
[59]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present
[60] 웹사이트 The Open Market Internet Index http://www.treese.or[...] Treese.org 1995-11-11
[61] 웹사이트 World Stats http://www.internetw[...] Miniwatts Marketing Group 2012-06-30
[62] 뉴스 Signs of life https://www.economis[...] 2014-11-15
[63] 뉴스 A Global Retreat As Economies Dry Up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9-03-05
[64] 뉴스 Globalization is coming undone, and that's a huge red flag https://www.cnn.com/[...] CNN 2022-05-24
[65] 뉴스 Sputtering Trade Fuels Fears of a Fractured Global Economy https://www.wsj.com/[...] 2023-08-09
[66] 뉴스 Is Globalization in Decline? A New Number Contradicts the Consensus https://www.wsj.com/[...]
[67] 논문 How Far Goods Travel: Global Transport and Supply Chains from 1965–2020 2023-08
[68] 웹사이트 Melting Arctic ice could transform international shipping routes, study finds {{!}} Brown University https://www.brown.ed[...] 2024-11-25
[69] 뉴스 Czech foreign owned companies take second biggest dividend yield in 2017:report http://www.radio.cz/[...] Radio Prague 2018-03-07
[70] 서적 International Business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Year 12 Economics Tim Riley Publications
[72] 서적 International business: compe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 McGraw-Hill
[73] 웹사이트 What Is Globalization? https://www.piie.com[...] 2018-10-29
[74] 웹사이트 Sample Chapter for Levinson, M.: The Box: How the Shipping Container Made the World Smaller and the World Economy Bigger.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02-17
[75] 서적 The nature of the transnational firm https://books.google[...] Routledge
[76] 웹사이트 Multinational Corporations https://www2.econ.ia[...] 2016-12-23
[77] 간행물 Global Logistics and Stateless Corporations 1992-01-01
[78]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Pearson Prentice Hall
[79] 웹사이트 The EU Single Market: Fewer barriers, more opportunities http://ec.europa.eu/[...] Europa web portal 2007-09-27
[79] 웹사이트 Activities of the European Union: Internal Market http://europa.eu/pol[...] Europa web portal 2007-06-29
[80] 학술지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And Macro- And Micro-Level Human Resource Policies: The Case Of India's "Outsourcing" Industry 2008-10-01
[81] 뉴스 Outsourcing to Africa: The world economy calls http://www.economist[...] 2011-04-16
[82] 학술지 Globalization and the sociology of Immanuel Wallerstein: A critical appraisal
[83] 서적 Globalism, Nationalism, Tribalism https://www.academia[...] Sage Publications 2017-12-20
[84] 서적 Globalization and Culture: Vol. 4, Ideologies of Globalism https://uws.academia[...] Sage Publications
[84] 서적 The Anthropology of Globalization Wiley-Blackwell
[85] 학술지 Globalization and Culture http://www.cato.org/[...] 2003-05-01
[86] 학술지 Macaulay's (Cyber) Children: The Cultural Politics of Outsourcing in India http://nadeem.common[...]
[87] 학술지 Budovanie mediálneho priemyslu a podpora hodnotovo orientovanej spoločnosti v globalizácii: od chichotského výberu k pragmatickým výhodám EU občanov https://www.ceeol.co[...] 2011-01-01
[88] 학술지 Modernization Theory and China's Road to Modernization 2009-09-01
[89] 학술지 Globalization and the Religious Production of Space https://digitalcolle[...] 2005-09-01
[90] 웹사이트 Globalization and Sport: A Review by Susan Froetschel http://yaleglobal.ya[...]
[91] 백과사전 Overview of Olympic Games https://www.britanni[...] 2008-06-04
[92] 웹사이트 2006 FIFA World Cup broadcast wider, longer and farther than ever before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7-02-06
[9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ce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94] 서적 The Comprehensive Guide to Careers in Sport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2-03-08
[95] 학술지 "Competing Conceptions of Globalization" Revisited: Relocating the Tension between World-Systems Analysis and Globalization Analysis https://uknowledge.u[...] 2004-08-01
[96] 문서 The music industry in the new millennium: Global and Local Perspectives https://web.archive.[...]
[97] 웹사이트 Ethnic fusion Music https://www.allmusic[...] 2020-02-20
[98] 웹사이트 Worldbeat https://www.allmusic[...] 2020-02-20
[99] 웹사이트 World Fusion Music http://worldmusic.na[...] worldmusic.nationalgeographic.com
[100] 웹사이트 Chili: Small Fruit Sets Global Palettes on Fire http://yaleglobal.ya[...]
[101] 서적 Musicology: The Key Concepts Routledge
[102] 웹사이트 International Flows of Selected Goods and Services http://www.uis.unesc[...] 2010-07-31
[103] 뉴스 Why do we need religion in a globalized world? https://aleteia.org/[...] 2018-04-11
[104] 학술지 Cultural Changes and Challeng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Case of India 2011-06-01
[105] 문서 Multiculturalism or Transculturalism: Towards a Cosmopolitan Citizenship https://web.archive.[...]
[106] 웹사이트 transcultural http://www.thefreedi[...]
[107] 웹사이트 transcultural http://www.yourdicti[...]
[108] 서적 Globalization as Evolutionary Process: Modeling Global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12-20
[109] 뉴스 These are all the countries where the US has a military presence https://qz.com/37413[...] 2015-04-02
[110] 서적 Global Non-governmental Administrative System: Geosociology of the Third Sector IFiS Publishers
[111] 웹사이트 Vaccine Delivery http://www.gatesfoun[...]
[112] 간행물 The Index of Global Philanthropy and Remittances 2012 http://www.hudson.or[...] Hudson Institute Center for Global Prosperity
[113] 웹사이트 North Korean Refugees NGO http://www.northkore[...] Northkoreanrefugees.com 2008-10-20
[114] 웹사이트 UNHCR Freedom in the World 2008 – North Korea http://www.unhcr.org[...] Unhcr.org 2008-07-02
[115] 서적 Rags, Riches and Women Workers: Export-Oriented Garment Manufacturing in Bangladesh Commonwealth Secretariat
[116] 서적 The Dialectics of Still Life: Murder, Women, and Disposability Routledge
[117] 서적 Globalization & New Geographies of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8] 서적 War as Business: Technological Change and Military Service Contract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19] 학술지 Faces of Globalization and the Borders of States: From Asylum Seekers to Citizens https://www.academia[...]
[120] 논문 Fertility and Immigration UCLA 2009-01-15
[121] 뉴스 Flugzeugparkplatz im Outback: Schlaf in der Wüste https://www.faz.net/[...]
[122] 학술지 UNWTO World Tourism Barometer http://dtxtq4w60xqpw[...] 2013-01
[123] 간행물 Visa Openness Report 2015 January 2016 http://dtxtq4w60xqpw[...]
[124] 웹사이트 immigration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125] 웹사이트 immigrat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126] 웹사이트 Who's who: Definitions http://www.refugeeco[...] Refugee Council
[127] 웹사이트 Mainstreaming of Migration in Development Policy and Integrating Migration in the Post-2015 UN Development Agenda http://www.ilo.org/w[...]
[128] 뉴스 Most London babies have foreign-born parent https://www.ft.com/c[...] 2016-12-01
[129]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ssessment
[130] 서적 Build Your Cultural Agility The Nine Competencies of Successful Global Professionals. Kogan Page, Limited 2021
[131] 학술지 Policy options for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 migration: the sending country's perspective
[132] 간행물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cross-border student mobilit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 UNESCO
[133] 웹사이트 Measuring digital development: Facts and figures 2023 https://www.itu.int/[...] Telecommunication Development Burea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134] 웹사이트 Company Info – Facebook Newsroom https://newsroom.fb.[...] Facebook
[135] 학술지 What is Global Journalism? 2008
[136] 뉴스 The Coronavirus Could Finally Kill the Wild Animal Trade https://foreignpolic[...] 2020-02-25
[137] 뉴스 Coronavirus: Which countries have confirmed cases? https://www.aljazeer[...] 2020-04-06
[138] 웹사이트 Coronavirus COVID-19 Global Cases by the Center for 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 (CSSE) at Johns Hopkins https://gisanddata.m[...]
[139] 뉴스 Disaster in motion: 3.4 million travelers poured into US as coronavirus pandemic erupted https://abcnews.go.c[...] 2020-04-02
[140] 웹사이트 KOF Index of Globalization http://globalization[...] The KOF Swiss Economic Institute 2014
[141] 웹사이트 Globalization Index http://www.atkearney[...] 2006-10-16
[142] 논문 How to Measure Globalization? A New Globalization Index (NGI)
[143] 논문 Energy: The missing link in globalization https://www.research[...] 2016-04-01
[144] 서적 Collective choice and social welfare Holden-Day
[145] 웹사이트 Definition of xenophobia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oxforddiction[...]
[146] 웹사이트 Define Xenophobia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147] 서적 Dictionary of race, ethnicity and culture SAGE Publications Ltd.
[148] 웹사이트 Poverty Analysis – Measuring Inequality http://web.worldbank[...]
[149] 웹사이트 The Happy Planet Index http://www.happyplan[...] Neweconomics.org
[150] 서적 The Hidden Connection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51]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Globalization and Social Justice Sage
[152] 뉴스 Pope: isolationism and populism lead to war –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019-08-09
[153] 논문 Globalisation
[154] 논문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 Framing and Sensemaking of an Emerging Concept 2005-02-01
[155] 웹사이트 Africans and Asians Tend to View Globalization Favorably; Europeans and Americans are More Skeptical https://worldpublico[...] 2006-11-07
[156] 웹사이트 Widespread Unease about Economy and Globalization – Global poll http://www.worldpubl[...] 2008
[157] 웹사이트 Globalization: Europe's Wary Embrace http://yaleglobal.ya[...] 2004-11-01
[158] 잡지 Why Denmark Loves Globalization http://content.time.[...] 2007-11-15
[159] 뉴스 The Declining Value Of Your College Degree https://www.wsj.com/[...] 2008-07-18
[160] 서적 Domestic Adjustments to Globalization Japan Center for International Exchange
[161] 논문 Reclaiming Democracy, the Anti-globalization Movement in South Asia
[162] 웹사이트 Winners and Losers: Perspectives on Globalization from the Emerging Market Economies http://www.brookings[...] Brookings 2011-01-01
[163] 논문 Consensus Among Economists: Revisited http://www.indiana.e[...] 2003-09-01
[164] 논문 The Case for Free Trade http://www.hoover.or[...]
[165] 논문 Do Economists Agree on Anything? Yes!
[166] 웹사이트 Outsourcing Redux http://gregmankiw.bl[...] 2006-05-07
[167] 웹사이트 Poll Results {{!}} IGM Forum http://www.igmchicag[...]
[168] 서적 The End of Poverty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169] 서적 In Defense of Globaliz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0] 서적 Theories of Development: Contentions, Arguments, Alternatives The Guilford Press
[171] 서적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Approaches, Actors, and Issues Oxford University Press
[172] 서적 Globalization, ethnic conflict and nationalism http://easyweb.easyn[...] Routledge/ Taylor & Francis
[17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03 http://hdr.undp.org/[...] UNDP
[174] 논문 Equality and Efficiency http://www.imf.org/e[...]
[175] 서적 Why Globalization Work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76] 웹사이트 Trade, Growth, and Poverty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1-06-06
[177] 웹사이트 Globalisation promotes peace http://www.voxeu.org[...] 2009-03-21
[178] 서적 The Life of John Maynard Keynes Macmillan
[179] 뉴스 WTO blamed for India grain suicides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07-05-17
[180] 서적 The Corporation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181] 서적 Confessions of an Economic Hit Man https://archive.org/[...] Berrett-Koehler
[182] 웹사이트 Fórum Social Mundial http://www.forumsoci[...] Forumsocialmundial.org.br
[183] 웹사이트 NAFTA at 10 http://www.epi.org/p[...]
[184] 서적 Social Inequality: Forms, Causes, and consequences
[185] 웹사이트 USACOR.org http://www.usacor.or[...] USACOR.org 2009-07-28
[186] 웹사이트 The Case for a United Nations Parliamentary Assembly http://www.wfm-igp.o[...] The World Federalist Movement – Institute for Global Policy
[187] 학술지 The Case for Global Civics http://www.brookings[...]
[188] 웹사이트 Global Parliament | World Citizens Association (Australia) https://www.wcaa.org[...]
[189] 학술지 A Global Civics: Necessary? Feasible? http://www.globalpol[...] 2010-06
[190] 학술지 The Journal of Bahá'í Studies Association for Bahá'í Studies
[191] 웹사이트 Cosmopolitan http://dictionary.re[...]
[192] 학술지 Cosmopolitan Patriots 1997-03
[193] 서적 The Global Village: Transformations in World Life and Media in the 21st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09-17
[194] 서적 Culture wars: an encyclopedia of issues, viewpoints, and voices, Volume 1 M.E. Sharp
[19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a stepping-stone to a world government http://www.globalpol[...] Global Policy Journal
[196] 잡지 Slowbalisation 2019-01-26
[197] 웹사이트 Enlightenment past and to come http://mondediplo.co[...] 2004-05
[198] 서적 Globalization and Media Democracy: The Case of Indymedia http://www3.fis.utor[...] MIT Press
[199] 서적 Networking Futures: The Movements against Corporate Global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200] 서적 Social movement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 웹사이트 The Anti-Globalization Movement Defined Share The World's Resources http://www.stwr.org/[...] 2007-05-30
[202] 뉴스 The treachery of the lites Elite sense of irresponsibility https://www.independ[...] 1995-03-10
[203]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social movements Malden, MA: Blackwell Pub.
[204] 학술지 Invested Interests: The Politics of National Economic Policies in a World of Global Finance
[205] 웹사이트 How Tariffs and Regressive Trade Policies Hurt the Poor https://www.heritage[...]
[206] 학술지 Corporatism Goes Global http://carnegieendow[...] 2001-09
[207] 학술지 Lived effects of the Contemporary Economy: Globalization, Inequality, and Consumer Society.
[208] 학술지 Collective dissonance and the transition to post-consumerism 2013-07
[209]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Data https://data.worldba[...]
[210] 서적 A Movement of Movements: Is Another World Really Possible? Verso
[211] 논문 The Social Bases of the Global Justice Movement: Some Theoretical Reflections and Empirical Evidence from the First European Social Forum UNRISD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212] 서적 Education and Social Justice
[213] 서적 Nursing ethics: across the curriculum and into practic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14] 웹사이트 Legal Birth Definition Act – Act 135 of 2004 http://www.legislatu[...] 2012-06-01
[215] 뉴스 How much do you know about the world? https://www.bbc.com/[...] BBC 2013
[216] 뉴스 Inequality is a Choice http://opinionator.b[...] 2013-10-13
[217] 웹사이트 Outlook on the Global Agenda 2014 http://www3.weforum.[...] World Economic Forum
[218] 학술지 Child Labor in the Global Economy 2005-09
[219] 학술지 Gender equity and globalization: macroeconomic policy for developing countries http://siteresources[...] 2006-11
[220] 서적 Gender,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economics as if all people mattered
[221] 잡지 Globalization's True Believers Are Having Second Thoughts https://time.com/435[...] 2016-06-03
[222] 서적 The Parliament of Ma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United Nations Harper Collins
[223] 웹사이트 Ideology and Sustainability http://www-formal.st[...] Formal.stanford.edu
[224] 웹사이트 Debunking Green Myths http://reason.com/ar[...] Reason.com 2002-02
[225] 서적 Environmentalism: Ideology and Power Nova Science Pub Inc.
[226] 서적 Global Ethics and Environment Routledge Science
[227] 서적 The Globalization Reader Wiley-Blackwell
[228] 서적 Ancient futures: learning from Ladakh https://archive.org/[...] Sierra Club Books
[229] 학술지 Unmasking the Pollution Haven Effect http://www.nber.org/[...]
[230] 뉴스 Farmers, environmentalists slam 'sell-out' EU-Mercosur trade deal https://www.france24[...] France24 2019-06-29
[231] 뉴스 EU urged to halt trade talks with S. America over Brazil abuses https://www.france24[...] 2019-06-18
[232] 뉴스 We must not barter the Amazon rainforest for burgers and steaks https://www.theguard[...] 2019-07-02
[233] 백과사전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https://kotobank.jp/[...] 朝日新聞出版
[234] 사전 広辞苑第六版 岩波書店
[235] 간행물 グローバル化の世界史 山川出版社 2002-05
[236] 서적 グローバル化の世界史 ミネルヴァ書房
[237] 웹사이트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https://www2.ninjal.[...] 国立国語研究所 2023-09-13
[238] 간행물 「外来語」言い換え提案 第1回~第4回 総集編 https://www2.ninjal.[...] 国立国語研究所「外来語」委員会 2006-03-13
[239]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と開発の主要課題 勁草書房 2009-02-25
[240] 뉴스 朝日新聞 1990-01-01
[241] 서적 新社会人に効く日本経済入門 毎日新聞社
[242] 서적 新訂 新聞学 日本評論社 2009-05-20
[243] 서적 民族とネイション 岩波新書 2008-11-20
[244] 서적 現代政治学 第3版 有斐閣 2007-09-30
[245] 뉴스 コラム:新型コロナに乗じる中ロ、揺らぐグローバリズム https://jp.reuters.c[...] 2020-03-24
[246] 서적 International Business Oxford University Press
[247] 서적 Year 12 Economics Tim Riley Publications
[248] 웹사이트 Globalization and its Impacts on the World Economic Development https://web.archive.[...]
[249] 방송 真相報道 バンキシャ! 日本テレビ 2010-05-02
[250]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縮小する世界 朝倉書店 2018-03-05
[251] 서적 グローバル・エコノミー 有斐閣 2007-07-10
[252]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縮小する世界 朝倉書店 2018-03-05
[253] 서적 現代政治学 第3版 有斐閣 2007-09-30
[254] 서적 国際政治の基礎知識 増補版 芦書房 2002-05-01
[255] 서적 国際政治の基礎知識 増補版 芦書房 2002-05-01
[256] 서적 アフリカ経済論 ミネルヴァ書房 2004-11-25
[257] 서적 図説アフリカ経済 日本評論社
[258] 서적 ケニアを知るための55章 明石書店 2012-07-01
[259] 서적 アフリカ経済論 ミネルヴァ書房 2004-11-25
[260]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縮小する世界 朝倉書店 2018-03-05
[261] 서적 グローバル・エコノミー 有斐閣 2007-07-10
[262] 뉴스 The Coronavirus Could Finally Kill the Wild Animal Trade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20-02-25
[263]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縮小する世界 朝倉書店 2018-03-05
[264] 뉴스 Coronavirus: Which countries have confirmed case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0-04-06
[265] 웹사이트 Coronavirus COVID-19 Global Cases by the Center for 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 (CSSE) at Johns Hopkins https://gisanddata.m[...]
[266] 뉴스 グローバル化に透明性を パリ経済学校教授・ピケティ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12-22
[267] 웹사이트 CSRを考える 新春特別対談 2008年のCSR新展開を占う 後半 http://www.nikkei.co[...] 日経CRSプロジェクト 2008-02-13
[268]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69] 서적 経済学の巨人 危機と闘う-達人が読み解く先人の知恵 日本経済新聞社
[270]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271]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272] 서적 経済ってそういうことだったのか会議 日本経済新聞社
[273] 서적 「騙されない!」ための経済学 モリタク流・経済ニュースのウラ読み術 PHP研究所
[274] 서적 「騙されない!」ための経済学 モリタク流・経済ニュースのウラ読み術 PHP研究所
[275] 서적 現代政治学 第3版 有斐閣 2007-09-30
[276] 웹사이트 貧困の終焉:2025年までに世界を変える http://www.hitachi-h[...] 日立総合計画研究所
[277] 웹사이트 前田浩次 話題の本棚 新しい世界 グローバル化の新局面に期待も http://book.asahi.co[...] BOOK.asahi.com 2006-09-03
[278]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と開発 勁草書房 2009-02-25
[279]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と開発 勁草書房 2009-02-25
[280] 서적 本当の経済の話をしよう 筑摩書房
[281] 서적 글로벌 경제를 움직이는 어리석은 사람들 2014-03-00
[282] 간행물 글로벌리제이션과 글로벌 거버넌스 勁草書房 2009-02-25
[283] 서적 현대정치학 제3판 유비각 2007-09-30
[284] 서적 현대정치학 제3판 유비각 2007-09-30
[285] 간행물 식문화의 다양성과 표준화 아사쿠라 쇼텐 2018-03-05
[286] 간행물 글로벌리제이션과 개발의 주요 과제 勁草書房 2009-02-25
[287] 간행물 글로벌 이슈와 국제 레짐 유비각 2007-07-10
[288] 웹사이트 세계 경제의 조류 2016년 제1장 제5절 글로벌화와 격차 https://www5.cao.go.[...] 일본 내각부 2019-07-11
[289] 저널 Globalisation www.jstor.org/stable[...] 2007-00-00
[290] 서적 Globalization, Knowledge and Society Sage 1990-00-00
[291] 웹사이트 Imagining the Internet http://www.elon.edu/[...] Elon University School of Communications 2009-08-17
[292] 저널 Science, Systems, and Society 1972-00-00
[293] 저널 Shaping Globalization http://www.imf.org/e[...] 2014-00-00
[294] 웹사이트 Globalization and Global History http://58.192.114.22[...] 2012-07-03
[295] 저널 When did globalisation begin? https://academic.oup[...] 2002-04-01
[296] 웹사이트 Globalization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2-07-07
[297] 웹사이트 Globalization http://dictionary.oe[...] 2010-11-05
[298] 뉴스 Theodore Levitt, 81, Who Coined the Term 'Globalization', Is Dead https://www.nytimes.[...] 2006-07-06
[299] 저널 Globaliz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alse Twins? 2013-00-00
[300] 웹사이트 Definitions of the Globalization: A Comprehensive Overview and a Proposed Definition http://www.sustainab[...] 2006-00-00
[301] 서적 Global Transformations Polity Press 1999-00-00
[302] 저널 When Did Globalization Begin? 2002-00-00
[303] 서적 The Sociology of Globalization Policy Press 2010-00-00
[304] 서적 Globality versus Democracy: The Changing Na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ternational Progress Organization 2000-00-00
[305] 웹사이트 The Legacy of the Silk Road http://yaleglobal.ya[...] Yale Global 2018-12-28
[306] 웹사이트 This Time is Different - A Book by Carmen M. Reinhart and Kenneth S. Rogoff http://www.reinharta[...] reinhartandrogoff.com
[307] 웹사이트 Globalization and its Impacts on the World Economic Development https://ijbssnet.com[...]
[308] 웹사이트 Multinational Corporations http://www2.econ.ias[...]
[309] 저널 Global Logistics and Stateless Corporations 1992-00-00
[310] 뉴스 Outsourcing to Africa: The world economy calls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1-04-16
[311] 서적 Globalism, Nationalism, Tribalism https://www.academia[...] Sage Publications 2006-00-00
[312] 서적 Ideologies of Globalism https://uws.academia[...] Sage Publications 2010-00-00
[312] 서적 The Anthropology of Globalization Wiley-Blackwell 2002-00-00
[313] 저널 Globalization and Culture http://www.cato.org/[...] 2003-05-00
[314] 저널 "Competing Conceptions of Globalization" Revisited: Relocating the Tension between World-Systems Analysis and Globalization Analysis 2004-00-00
[315] 서적 Globalization: A Critical Introduction Palgrave 2005-00-00
[316] 서적 The Uniting of Nations: An Essay on Global Governance (3rd ed. revised and updated) P.I.E. Peter Lang
[317] 웹인용 The Contribution of the Neofunctionalist and Intergovernmentalist Theories to the Evolution of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http://www.japss.org[...] Journal of Alternative Perspectives in the Social Sciences 2012-05-21
[318] 서적 Global Non-governmental Administrative System: Geosociology of the Third Sector IFiS Publishers
[319] 웹인용 UNHCR Freedom in the World 2008 – North Korea http://www.unhcr.org[...] Unhcr.org 2008-07-02
[320] 서적 Rags, Riches and Women Workers: Export-Oriented Garment Manufacturing in Bangladesh https://archive.org/[...] Commonwealth Secretariat
[321] 서적 The Dialectics of Still Life: Murder, Women, and Disposability Rouledge
[322] 저널 Faces of Globalization and the Borders of States: From Asylum Seekers to Citizens https://www.academia[...]
[323] 논문 Fertility and Immigration UCLA 2009-01-15
[324] 저널 UNWTO World Tourism Barometer http://dtxtq4w60xqpw[...] World Tourism Organization 2013-01
[325] 뉴스 Visa requirements for tourism eased around the world, says UN agency http://www.winnipegf[...]
[326] 웹인용 Visa Openness Report 2015 January 2016 http://dtxtq4w60xqpw[...]
[327] 웹인용 immigration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328] 웹인용 immigrat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In.
[329] 웹인용 Who's who: Definitions http://www.refugeeco[...] Refugee Council
[330] 웹인용 Mainstreaming of Migration in Development Policy and Integrating Migration in the Post-2015 UN Development Agenda http://www.ilo.org/w[...]
[331] 뉴스 Most London babies have foreign-born parent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16-12-01
[332] 저널 Policy options for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 migration: the sending country's perspective
[333] 웹인용 Company Info – Facebook Newsroom https://newsroom.fb.[...] Facebook
[334] 저널 WHAT IS GLOBAL JOURNALISM?
[335] 서적 Collective choice and social welfare Holden-Day
[336] 웹인용 Definition of xenophobia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oxforddiction[...] 2019-01-30
[337] 웹인용 Define Xenophobia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338] 웹인용 Poverty Analysis – Measuring Inequality http://web.worldbank[...]
[339] 웹인용 The Happy Planet Index http://www.happyplan[...] Neweconomics.org
[340]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Globalization and Social Justice SAGE
[341] 저널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 Framing and Sensemaking of an Emerging Concept
[342] 웹인용 Widespread Unease about Economy and Globalization – Global poll http://www.worldpubl[...] 2008
[343] 뉴스 Globalization: Europe's Wary Embrace http://yaleglobal.ya[...] Yale Global 2004-11-01
[344] 뉴스 Why Denmark Loves Globalisation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345] 서적 Japan Japan center for International Exchange
[346] 저널 Reclaiming Democracy, the Anti-globalization Movement in South Asia http://visuality.org[...] Feminist Review
[347] 웹인용 Winners and Losers: Perspectives on Globalization from the Emerging Market Economies http://www.brookings[...] Brookings 2011-01-01
[348] 웹인용 USACOR.org http://www.usacor.or[...] USACOR.org 2009-07-28
[349] 웹인용 The Case for a United Nations Parliamentary Assembly http://www.wfm-igp.o[...] The World Federalist Movement–Institute for Global Policy
[350] 저널 The Case for Global Civics http://www.brookings[...]
[351] 웹사이트 World Citizens Association Australia http://www.worldciti[...]
[352] 저널 A Global Civics: Necessary? Feasible? http://www.globalpol[...] 2010-06-01
[353] 서적 The Journal of Bahá’í Studies Association for Bahá’í Studies
[354] 웹인용 Cosmopolitan http://dictionary.re[...] 2012-04-07
[355] 논문 Cosmopolitan Patriots 1997-03-01
[356] 서적 The Global Village: Transformations in World Life and Media in the 21st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09-17
[357] 서적 Culture wars: an encyclopedia of issues, viewpoints, and voices, Volume 1 M.E.Sharp
[358] 웹인용 Food Security and International Trade Unpacking disputed narratives http://www.fao.org/3[...]
[359] 문서 Food Security Policy in a Food Importing Country: The Case of Norw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