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광역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광역시장은 광주광역시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부터 1995년까지는 대통령이 임명했으나,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직선제로 선출된다. 역대 시장으로는 송언종, 고재유, 박광태, 강운태, 윤장현, 이용섭, 강기정 등이 있으며,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장 - 박윤종
    박윤종은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승주군수, 나주군수, 광주광역시장을 역임했으며, 전라남도 기획관리실장, 교육위원, 도정 자문위원장, 대한체육회 상임부회장 등을 지냈고, 제1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광주광역시장 - 김양배
    김양배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후보로 당선되었지만 1986년 11월 1일에 사직했다.
  • 광주광역시청 -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광주광역시의 정보문화산업 육성을 목표로 2002년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SW융합, 콘텐츠산업, CGI센터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정보문화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이사회, 원장, 산업지원본부, 기반운영본부 등의 조직과 스마트모바일앱개발지원센터, 광주영상복합문화관 등의 시설을 운영한다.
  • 광주광역시청 -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은 1992년 8월 1일에 개관하여 본관, 비엔날레관 등을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하고, 2016년 6월 1일부터 입장료는 무료이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광주광역시장
시장 정보
강기정
직책광주광역시장
관할광주광역시
현직강기정
취임일2022년 7월 1일
임기4년
초대서민호
성립일1945년 8월 16일
웹사이트광주광역시장 공식 웹사이트

2. 역대 시장

1945년부터 1995년까지 광주광역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 시장이었다.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광주광역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되기 시작했다.

임기초상화이름임기정당당선
취임퇴임재임 기간
1대
송언종|宋彦鐘한국어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민주당 → 신한국당1995
2대--고재유|高在維한국어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신한국당 → 새천년민주당1998
3대
4대
--박광태|朴光泰한국어2002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새천년민주당 → 민주당 → 민주당2002, 2006
5대
강운태|姜雲太한국어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민주당 →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2010
6대--윤장현|尹壯鉉한국어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2014
7대
이용섭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더불어민주당2018
8대
강기정|姜琪正한국어2022년 7월 1일현직더불어민주당2022


2. 1. 전라남도 광주부윤 (1945년 ~ 1948년)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비고
관선초대서민호(徐珉濠)1945년 8월 16일~1945년 10월 26일
2대디론(Diron)1945년 10월 27일~1946년 1월 23일미국 육군 소령
3대서민호(徐珉濠)1946년 1월 24일~1946년 6월 2일
4대1946년 6월 3일~1946년 10월 16일
5대김희성(金喜誠)1946년 10월 17일~1947년 6월 26일
6대정광호(鄭光好)1947년 6월 27일~1948년 3월 10일
7대1948년 3월 10일~1948년 5월 28일5.10 제헌의원 총선거 무투표 당선으로 인한 사퇴
8대민병기(閔丙基)1948년 5월 29일~1948년 12월 23일



광복 직후 미군정 시기에는 미국 육군 소령 디론이 잠시 광주부윤을 맡기도 했다. 서민호(徐珉濠), 정광호(鄭光好), 민병기(閔丙基) 등이 광주부윤을 역임했다. 정광호(鄭光好)는 5.10 제헌의원 총선거 무투표 당선으로 인해 사퇴했다.

2. 2. 전라남도 광주시장 (1949년 ~ 1986년)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
관선9대윤영선1948년 12월 24일~1950년 5월 14일
10대박기홍1950년 5월 15일~1952년 2월 20일
11대, 12대배기형1952년 2월 21일~1954년 5월 18일
13대홍용구1954년 6월 5일~1958년 2월 20일
14대김일도1958년 4월 4일~1959년 11월 12일
15대노인환1959년 11월 12일~1960년 5월 11일
16대김상호1960년 5월 23일~1960년 12월 28일
직무대리김남권1960년 12월 28일~1961년 1월 3일
민선17대홍용직1961년 1월 4일~1961년 5월 23일
관선18대박창환1961년 5월 24일~1961년 7월 29일
19대박남칠1961년 8월 2일~1961년 8월 11일
20대, 21대정래정1961년 8월 12일~1963년 9월 30일
22대노인환1963년 10월 28일~1968년 4월 20일
23대장형태1968년 5월 1일~1969년 5월 6일
24대박윤종1969년 5월 7일~1970년 3월 2일
25대정시채1970년 3월 3일~1971년 8월 10일
26대남상집1971년 8월 11일~1973년 7월 8일
27대김재완1973년 7월 9일~1974년 11월 12일
28대전영춘1974년 11월 13일~1975년 11월 12일
29대전석홍1975년 11월 13일~1977년 7월 19일
30대송언종1977년 7월 20일~1979년 7월 15일
31대구용상1979년 7월 16일~1980년 5월 30일
32대문창수1980년 5월 31일~1981년 4월 16일
직무대리, 33대김양배1981년 4월 17일[2]~1983년 12월 26일
34대엄대현1983년 12월 27일~1984년 5월 13일
35대김동환1984년 5월 14일~1985년 12월 13일
36대범택균1985년 12월 14일~1986년 10월 31일



1949년부터 1986년까지 전라남도 광주시의 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이었다.[1] 김양배 시장 재임 중 광주직할시로 승격되었다.

2. 3. 광주직할시장 (1986년 ~ 1994년)

1986년 11월 1일 광주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광주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광주직할시장이 임명되었다. 1995년까지 광주직할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이었다.[1] 김양배가 초대 광주직할시장이었다.[1] 최인기노태우 정부 출범 이후 첫 광주직할시장이었다.[1]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
관선초대김양배1986년 11월 1일 ~ 1988년 5월 20일
2대최인기1988년 5월 20일 ~ 1990년 6월 20일
3대이효계1990년 6월 21일 ~ 1992년 4월 20일
4대김동환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4일
5대강영기1993년 3월 4일 ~ 1994년 9월 24일
6대강운태1994년 9월 24일 ~ 1994년 12월 31일


2. 4. 광주광역시장 (1995년 ~ 현재)

1995년 지방자치제도 부활 이후 현재까지의 광주광역시장은 다음과 같다.

선출 방식대수이름임기정당시정 구호비고
관선1대강운태1995년 1월 1일~1995년 6월 30일
민선2대송언종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민주당[1]새정치국민회의
3대고재유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4대박광태2002년 7월 1일~2004년 1월 29일새천년민주당 → 민주당 → 중도통합민주당 → 민주당통합민주당민주당첨단산업 문화수도 1등광주 1등시민2004년 시장직 상실[2]
2004년 7월 27일~2006년 6월 30일2004년 재보궐선거 당선, 시장직 복귀
5대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6대강운태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민주당 →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무소속행복한 창조도시 광주
7대윤장현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더불어 사는 광주 더불어 행복한 시민
8대이용섭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더불어민주당광주, 대한민국 미래로!
9대강기정2022년 7월 1일~더불어민주당내☆일이 빛나는 기회도시광주






3. 역대 선거

1995년 개정된 지방자치법 조항에 따라 광주광역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된다.

임기초상화이름
임기정당당선
취임퇴임재임 기간
1대송언종|宋彦鐘한국어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3년민주당 → 신한국당1995
2대--고재유|高在維한국어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4년새정치국민회의1998
3대--박광태|朴光泰한국어2002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8년새천년민주당 → 민주당 (00) → 민주당 (08)2002
4대2006
5대강운태|姜雲太한국어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4년민주당 (08) → 민주통합당 → 민주당 (11) → 새정치민주연합2010
6대--윤장현|尹壯鉉한국어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4년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2014
7대이용섭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4년더불어민주당2018
8대강기정|姜琪正한국어2022년 7월 1일현직더불어민주당2022


3.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1995년에 개정된 지방자치법 조항에 따라 광주광역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된다.

임기초상화이름임기정당당선
1대송언종|宋彦鐘한국어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3년민주당 → 신한국당1995


3. 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1995년 개정된 지방자치법 조항에 따라 광주광역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된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고재유 후보가 당선되었다.

1998년 광주광역시장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새정치국민회의2고재유261,57867.20%
무소속4이승채127,62632.79%
합계389,204100.00%
투표율45.07%


3. 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박광태 후보가 광주광역시장으로 당선되었다. 박광태는 2002년 7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3]

3. 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200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박광태|박광태|朴光泰한국어는 광주광역시장에 당선되어 2010년까지 재임하였다.

3. 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강운태|姜雲太한국어'''는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광주광역시장에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적이 변경되었다. 임기는 2010년 7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였다.

임기초상화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정당당선
5대강운태|姜雲太한국어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민주당 →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2010


3. 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윤장현|尹壯鉉한국어 후보가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하여 광주광역시장에 당선되었다. 윤장현은 2014년 7월 1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광주광역시장직을 수행했다.

3. 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이용섭'''이용섭|李庸燮한국어 (1951년 출생)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2018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제7대 광주광역시장을 역임했다.

3. 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강기정 후보가 당선되었다. 강기정 시장의 임기는 2022년 7월 1일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22년 광주광역시장 선거
정당번호후보자득표수득표율
colspan=2 |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2] 뉴스 http://newslibrary.n[...]
[3] 뉴스 오마이뉴스 - 박광태 광주시장 첫 공판서 법정구속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4] 뉴스 한국경제 - 박광태 광주시장 무죄 석방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