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주시는 전라남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영산강이 시의 중앙을 관통하고, 나주평야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마한의 불미국으로 추정되며, 백제, 신라, 후백제를 거쳐 고려 시대에는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전라우영이 자리 잡았고, 1895년 나주군을 설치하여 전남 일원을 관할하는 나주부로 개편되었다. 1981년 금성시로, 1986년 나주시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나주군과 통합되어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현재 1읍, 12면, 7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4년 빛가람동이 혁신도시로 조성되었다. 농업이 발달하여 쌀, 배, 홍어 등이 특산물로 유명하며, 한국전력공사 등 공공기관이 이전한 혁신도시가 위치해 있다. 나주역을 통해 육상 교통이 발달했으며, 다수의 문화재와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의 도시 - 여수시
여수시는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해군 기지로서 기능했고 1998년 통합을 거쳐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로 국제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석유화학산업 중심의 경제와 아름다운 해안,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이다. - 전라남도의 도시 - 광양시
광양시는 전라남도 동남부에 위치하며, 마한의 만로국에서 기원하여 고려 시대부터 광양으로 불렸고, 포스코 광양 제철소를 중심으로 철강 산업과 물류 산업이 발달하여 1인당 지역내총생산이 전국 최고 수준이며, 전남 드래곤즈 축구팀의 연고지이다. - 나주시 - 빛가람동
빛가람동은 나주시의 법정동으로 광주전남혁신도시 내에 위치하며, 주거 시설, 교육 시설, 공공기관, 의료 시설, 행정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 나주시 -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09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감사실, 원장 직속 부서, 경영기획본부, 정보보호산업본부, 인터넷서비스지원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 1986년 설치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1986년 설치 -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벌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농업 기반 경제, 풍부한 문화유적, 뛰어난 교통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현재 인구 감소에 대응하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나주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나주시 |
로마자 표기 | Naju-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Naju-si |
지역 | 호남 |
방언 | 전라 |
면적 | 693.04 km² |
인구 | 116,891명 |
인구 밀도 | 196.2명/km² |
행정 구역 | 1읍, 12면, 6동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읍 12면 7행정동 |
정치 | |
시장 | 윤병태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나주시·화순군)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배꽃 |
시조 | 파랑새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나주시청 홈페이지 |
시청 소재지 | 나주시 시청길 22 (송월동 1100) |
![]() | |
![]() | |
![]() | |
![]() | |
![]() |
2. 지리
전라남도 중서부 나주평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질은 전 지역이 화강암 지대이다. 영산강이 나주시의 중앙을 관통하고, 서쪽은 구 나주읍, 남쪽은 구 영산포읍, 동쪽은 빛가람동 등 동부권역이다. 시의 북서쪽에 금성산(452m)이 있고, 주변에는 영산강의 범람원이 넓어서 홍수 피해가 많았다. 화순군 여첩산에서 발원한 신탄천은 시의 동부를 흐르다가 구 나주읍에서 영산강에 합류하는데, 도중에 남부 산지로부터 발원하여 북류하는 여러 계류(溪流)를 합한다. 이 강들은 관개에 크게 이용된다.
나주는 고대부터 전라도 남부 지역의 중심지였다. '전라(全羅)'라는 명칭은 전주와 나주에서 유래했지만, 관찰사가 주재하게 된 것은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나주부(羅州府)가 설치된 이후이다. 그러나 이듬해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전라남도의 도청 소재지는 광주로 정해졌고, 나주는 그 관할에 들어갔다.
3. 역사
1914년 나주군과 남평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나주군이 성립되었고, 1931년 나주면이 나주읍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행정 구역 변화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고대 ~ 고려 시대
원삼국 시대에 나주 지역은 마한의 54개국 중 하나인 불미국(不彌國)으로 추정된다. 삼국 시대에는 백제에 정복되어 발라군(發羅郡)이 설치되었으며, 백제 멸망 후에는 당나라 웅진도독부의 대방주(帶方州)가 되었다.
남북국 시대에 신라는 웅진도독부를 몰아내고 발라군을 발라주(發羅州)로 승격시켰으나, 9년 만에 다시 발라군으로 강등되고 무진주(武珍州, 현 광주광역시) 중심의 지방 편제로 개편되었다. 현 반남면 지역은 반남군(潘南郡)으로 승격되었다. 신라는 현 남평읍 지역인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에 군사조직인 미다부리정을 설치하여 치안 유지 및 토착 세력 통제를 담당하게 했다. 686년(신라 신문왕 6년) 통의군(通義郡)으로 개칭되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금성군(錦城郡) 혹은 금산군(錦山郡)으로 개칭되었다.
후삼국 시대에는 후백제의 영역이었으나, 903년 왕건이 금성군을 점령하고 나주(羅州)로 개칭하였다. 왕건은 나주에서 장화부인과 혼인하여 정치적 기반을 확대하였으며, 장화부인은 훗날 고려 현종의 어머니가 되었다.[2]
고려 시대에는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 중 하나인 '''나주목'''(羅州牧)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년)에는 병마절도사가 파견되어 진해군이라 칭하였다. 1011년(현종 2년) 거란의 침입으로 고려 현종이 나주로 피난을 오기도 하였으며(1011년 1월 13일~1월 31일), 1018년 전국 8목 중 하나로 나주목이 유지되었다. 나주목은 5개의 속군과 11개의 속현을 거느리고, 1부, 4군 4현의 영군현을 지휘감독하는 위치에 있었다.
3. 2. 조선 시대 ~ 현대
朝鮮時代중국어인 1457년(세조 2년) 병영의 하부조직인 거진(巨鎭)이 설치되고 진장(鎭將)인 병마사(兵馬使)는 목사(牧使)가 겸임하였다. 1657년(효종 8년) 나주거진(羅州巨鎭)이 전라우영(全羅右營)으로 개편되어 우영장(右營將)을 두어 2군 8현의 군비를 장악하게 하였다.[27]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를 설치하여 전남 일원을 관할하고 나주군을 두었다.[27]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나주군으로 개편되고, 38개 면 중 일부가 주변 군으로 이관되어 28개 면이 되었다.[28]
1914년 4월 1일 나주군과 남평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나주군이 되었다(19면).[29] 1917년 10월 1일 양곡면을 영산면으로 개칭하였다. 1929년 4월 1일 나신면을 나주면과 영산면에 분할 편입하였다(18면).[30] 1931년 11월 1일 나주면이 나주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7면).[31] 1937년 7월 1일 영산면이 영산포읍으로 승격하였다(2읍 16면).[32] 1949년 8월 14일 삼도면·평동면·본량면이 광산군으로 편입되었다(2읍 13면).[33]
1981년 7월 1일 나주읍과 영산포읍 일원을 관할로 금성시가 신설되었다. 금성시는 쌍둥이도시(기능, 성격 등이 유사한 인접 두 도시가 상호 팽창에 따라 합쳐진 도시)였다.[34](시: 11행정동, 군: 13면) 1983년 2월 15일 문평면 일부가 다시면에 편입되었다.[35] 1986년 1월 1일 금성시를 나주시로 개칭하였다.[36]
1995년 1월 1일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나주시가 설치되었다.[37] 1995년 3월 1일 남평면을 남평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2면 11행정동).[38] 1996년 6월 24일 반남면 하촌리를 성계리로, 다시면 신풍리를 회진리로 개칭하였다.[39] 1998년 10월 1일 일부 행정동이 통합되었다(1읍 12면 6행정동).[40] 2014년 2월 24일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부지에 빛가람동이 설치되었다(1읍 12면 7행정동).[41]
4. 행정 구역
나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남평읍), 12면(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봉황면), 7동(송월동, 영강동, 금남동, 성북동, 영산동, 이창동, 빛가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42] 2024년 9월 기준 인구는 116,891명(60,162세대)이며, 이 중 약 34%인 40,000여 명이 빛가람동에 거주하고 있다.[43] 나주시의 면적은 608.46km²이다.[42]
읍·면·동 | 한자 | 세대수 | 인구 (명) | 면적 (km²) |
---|---|---|---|---|
남평읍 | 南平邑 | 5,923 | 11,765 | 54.37 |
세지면 | 細枝面 | 1,476 | 2,352 | 30.02 |
왕곡면 | 旺谷面 | 1,567 | 2,619 | 30.07 |
반남면 | 潘南面 | 820 | 1,262 | 20.35 |
공산면 | 公山面 | 1,317 | 2,152 | 32.30 |
동강면 | 洞江面 | 1,414 | 2,270 | 46.89 |
다시면 | 多侍面 | 2,086 | 3,342 | 56.75 |
문평면 | 文平面 | 1,146 | 1,780 | 47.02 |
노안면 | 老安面 | 2,465 | 4,223 | 42.56 |
금천면 | 金川面 | 3,566 | 6,867 | 27.94 |
산포면 | 山浦面 | 1,877 | 3,108 | 20.43 |
다도면 | 茶道面 | 1,014 | 1,775 | 73.13 |
봉황면 | 鳳凰面 | 2,464 | 3,874 | 59.97 |
송월동 | 松月洞 | 4,202 | 7,930 | 4.76 |
영강동 | 榮江洞 | 1,504 | 2,583 | 6.84 |
금남동 | 錦南洞 | 2,492 | 4,414 | 11.57 |
성북동 | 城北洞 | 4,023 | 8,253 | 8.08 |
영산동 | 榮山洞 | 1,804 | 2,791 | 12.81 |
이창동 | 二倉洞 | 1,995 | 3,211 | 15.25 |
빛가람동 | 빛가람洞 | 17,007 | 40,320 | 7.36 |
합계 | 60,162 | 116,891 | 608.46 |
5. 인구
나주시의 인구는 1966년 245,162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5·18 민주화 운동의 영향과 주변 도시 및 수도권 등으로의 인구 유출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44] 그러나 최근 남평읍 남평강변마을 입주와 빛가람동 광주전남혁신도시 조성으로 인구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44]
연도 | 총인구 (명) | 비고 |
---|---|---|
1960년 | 222,808 | |
1966년 | 245,162 | |
1970년 | 222,452 | |
1975년 | 212,246 | |
1980년 | 186,005 | |
1985년 | 166,927 | |
1990년 | 158,634 | |
1995년 | 107,831 | |
2000년 | 99,533 | |
2005년 | 87,212 | |
2010년 | 78,679 | |
2015년 | 92,582 | |
2020년 | 115,613 |
2017년 말 나주시 인구는 약 11만 명이었다. 1968년에는 247,071명이었지만, 농촌 인구 유출로 인해 2000년대까지 계속 감소하여 2004년에는 1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건설과 이에 따른 한국전력공사 등의 전입 효과로 다시 11만 명대를 회복했다.[12]
6. 산업
넓고 비옥한 평야와 온화한 기후를 바탕으로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쌀, 누에고치, 면화의 삼백지방으로 유명하다. 채소, 과일 등의 원예농업이 활발하며, 특히 나주배는 전국 최대 생산지이다. 왕곡면, 산포면, 남평면을 중심으로 시설원예 농업이 발달하여 오이, 고추, 무, 배추 등을 생산한다. 1962년 준공된 호남비료 나주공장은 한때 대한민국 2대 비료공장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화학제품 생산 공장으로 개편되었다. 광산물로는 금, 은, 고령토 등이 생산되며, 과실 통조림공장, 명주, 죽세공품, 목공예품(소반) 등의 가내수공업이 이루어지고 있다.[5]
6. 1. 특산물
쌀은 넓고 비옥한 영산강 유역 평야에서 재배되어 품질이 좋다.[5] 나주배는 영산강 유역에서 오랫동안 재배되어 온 나주의 대표적인 특산물로, 재배 역사가 길고 품질이 우수하다.[5] 홍어는 영산포 인근에서 판매되는 특산물이다. 나주 배와 참외는 설날과 같은 명절 선물로 인기가 많다.7. 혁신도시
2007년 11월 8일 혁신도시 건설 개막식이 열렸으며, 노무현 대통령이 개막 행사에 참석했다.[6] 나주는 혁신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여러 공공기관이 서울에서 이곳으로 이전했다. 건설 시작은 제주, 김천, 진주에 이어 네 번째였다.
이전 대상 기관은 다음과 같다.[6]
기관 종류 | 기관명 |
---|---|
에너지 | 한국전력공사 (KEPCO) |
한전KPS|한전KPS한국어 (KEPCO KPS) | |
한전KDN|한전KDN한국어 (KEPCO KDN) | |
한국전력거래소 (KPX) | |
IT 및 통신 | 우정사업정보센터 (KPIC) |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 |
국립전파연구원 (RRA) |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KCA) | |
농업 | 한국농어촌공사 (KRC)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 | |
농식품공무원교육원 (ATI) | |
농림축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IPET) | |
문화 및 기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KO) |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 | |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TP) |
새로운 도시는 7.327km2 면적으로 조성될 예정이며, 남서부 경제권의 문화 중심지로 개발하는 것을 대규모 계획으로 하고 있다.[7]
혁신도시 근처에는 배를 전문으로 하는 나주배박물관 및 배밭 관광체험 시설이 있다.
8. 교통
호남선 나주역을 비롯하여 도로 교통이 발달하면서 영산포의 항구 기능은 쇠퇴하였으나, 광주·목포 간의 국도 제1호선, 무안광주고속도로(나주IC, 문평IC) 등 간선 도로를 통해 광주, 목포, 영암 등지로 연결되는 육상 교통의 요지이다. 따라서 전라남도 서부 평야 지대의 교통 요지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1]
나주역에는 KTX 일부(하루 4회 왕복)와 KTX를 제외한 모든 여객 열차가 정차한다. KTX로 서울특별시 용산역까지 3시간, 광주송정역까지는 10분 소요된다.[1]
노안역과 남평역에는 정차하는 열차가 없다.[1]
9. 문화관광
영산강 유역은 5세기경 일본식 전방후원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나주시에는 복암리 고분군, 반남면 고분군, 대안리 고분군, 덕산리 고분군, 신촌리 고분군 등 고분군이 밀집해 있고, 왜계 집단이 축조했다고 지적되는 고분군도 있다.[1]
또한 조선시대 나주읍성(사적 제337호)과 일제강점기 영산포 등대,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 본정통 등이 남아 있다.[1]
9. 1. 관광지
- 불회사
- 나주향교
- 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 나주 목사내아
- 빛가람호수공원
- 남평 드들강 솔밭유원지
- 앙암바위
- 영산호
- 우습제
- 미천사원
구나주읍을 대표하는 석조물로는 보물 제50호로 지정된 북문외 삼층석탑이 있다. 이 석탑은 원래 금성산 기슭의 심향사에 있었는데, 그 위치가 북문 밖이어서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 구나주읍의 북동쪽 노변에 세워진 나주동문외석당간은 당간 전체가 잘 보존되어 귀중한 유물이 되고 있다. 팔각의 화강석재 5장을 연결시켜 세운 간주 위에 옥간석과 보주가 얹혀 있으며, 높이는 11m이다. 구나주의 지형이 배의 모양이기 때문에 그 안정을 빌기 위해서 돛대 형태를 본떠서 세웠다는 풍수설이 전해지고 있다.
구영산포는 과거 영산강의 가항종점으로 조기, 멸치, 소금, 젓갈류 등 해산물과 제주말 및 일대의 농산물 집산지를 이루어, 상업도시로 크게 번영하였던 곳이다. 그 밖에 문화재로는 나주의 금성관과 김천일 정렬사지, 미천사원 등이 있다.
영산강 유역은 5세기경의 일본식 전방후원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나주시내에도 복암리 고분군, 반남면 고분군, 대안리 고분군, 덕산리 고분군, 신촌리 고분군 등의 고분군이 밀집해 있고, 왜계 집단이 축조했다고 지적되는 고분군도 있다.
또한 조선시대의 나주읍성과 일제강점기의 영산포 등대,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 본정통 등이 남아 있다.
9. 2. 박물관·기념관
나주복암리고분전시관, 나주목문화관, 영산포 역사 갤러리, 백호문학관,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나주시천연염색박물관, 국립나주박물관 등이 있다. 국립나주박물관은 영산강 유역에 남아있는 고고자료를 보존하고 전시하며 호남지역 발굴매장 문화재에 대한 수장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혁신도시 근처에는 배를 전문으로 하는 나주배박물관 및 배밭 관광체험이 있다.영산강 유역은 5세기경의 일본식 전방후원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나주시내에도 복암리 고분군, 반남면 고분군, 대안리 고분군, 덕산리 고분군, 신촌리 고분군 등의 고분군이 밀집해 있고, 왜계 집단이 축조했다고 지적되는 고분군도 있다.
또한 조선시대의 나주읍성과 일제강점기의 영산포 등대,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 본정통 등이 남아 있다.
9. 3. 문화재
영산강 유역은 5세기경의 일본식 전방후원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나주시내에도 복암리 고분군, 반남면 고분군, 대안리 고분군, 덕산리 고분군, 신촌리 고분군 등의 고분군이 밀집해 있고, 왜계 집단이 축조했다고 지적되는 고분군도 있다.[1]또한 조선시대의 나주읍성(사적 제337호)과 일제강점기의 영산포 등대,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 본정통 등이 남아 있다.[1]
10. 스포츠시설
전라남도 국제사격장, 영산강 둔치 체육공원
11. 대형마트
롯데마트 나주점, 농협 하나로마트 나주점, 축협 나주점이 있다.
12. 출신인물
- 진현주(벨) - K팝 그룹 시그니처 멤버이자 유니스의 리더
13. 산하기관
종류 | 기관명 |
---|---|
도청 산하기관 | 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전라남도 교육과학연구원, 전라남도 교육시설감리단, 전라남도 도로안전사업소,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생물산업진흥재단 |
도청 직속기관 | 농식품공무원교육원, 전남운전면허시험장 |
중앙행정기관 | 광주전파관리소,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나주출토유물보관센터), 국립나주병원, 국립나주박물관 |
14. 교육기관
나주시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기관이 있다.
'''고등학교'''
'''대학교'''
- 고구려대학교
- 광주가톨릭대학교
- 동신대학교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15. 자매 도시
나주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s - Population - Information - Introduction - Naju
https://www.naju.go.[...]
[2]
법률
대한민국헌법 (1981.4.13)에 따른 시군 설치
[3]
법률
구리시 등 11개 시군의 임시 변경 및 나주시 명칭 변경 허가 (1985.12.28) (대한민국헌법)
[4]
법률
시군 복합체 처리 기관 (1994.8.3.)
[5]
웹사이트
Local Specialties - Shopping - Tourism/Shopping - NAJUSI
http://www.naju.go.k[...]
[6]
웹사이트
혁신도시
https://innocity.mol[...]
2021-04-28
[7]
웹사이트
혁신도시
https://innocity.mo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8]
웹사이트
Nanchang City and Sister Cities Intercommunion
http://english.nc.go[...]
Nanchang Economic Information Center
2013-11-05
[9]
웹사이트
Missing "Nevertheless," Already? Here Are Our 6 Favourite Filming Locations from the Drama You Can Visit
https://www.kpopmap.[...]
2021-08-26
[10]
웹사이트
나주 천연염색문화관 체험현장 '각광'
https://www.dailian.[...]
2007-04-13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2]
뉴스
羅州市の人口、18年ぶりに11万人突破
http://jnilbo.com/ar[...]
[13]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4]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5]
법률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16]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 등 11개 시설치 및 관할구역 조정 및 금성시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
1985-12-28
[17]
법률
법률 제4789호
1994-12-20
[18]
법률
나주시 조례 제184호
1996-06-24
[19]
법률
시 조례 제314호
1998-09-14
[20]
법률
시 조례 제1052호
2014-02-24
[2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2]
법률
도령 제5호
1929-03-28
[2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2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25]
법률
대통령령 제161호
1949-08-13
[26]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01-10
[27]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8]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0]
법률
도령 제5호
1929-03-28
[3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3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33]
법률
대통령령 제161호
1949-08-13
[34]
법률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35]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01-10
[36]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37]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38]
법률
법률 제4789호
1994-12-20
[39]
조례
나주시조례 제184호
1996-06-24
[40]
조례
시조례 제314호
1998-09-14
[41]
조례
시조례 제1052호
2014-02-24
[42]
웹인용
통계자료마당 - 통계현황 - 행정자료 - 정보공개 - 나주시청
https://www.naju.go.[...]
나주시청
2024-10-13
[43]
웹인용
인구현황 - 인구 - 나주의현황 - 나주소개 - 나주시청
https://www.naju.go.[...]
나주시청
2024-10-13
[44]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