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스테파노 9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스테파노 9세는 1057년부터 1058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본명은 프레데리크로, 로렌 공작 고드프루아의 동생이며, 몬테카시노 수도원장이었다.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에는 추기경으로 활동하며 교황 레오 9세의 사절로 동서 교회 분열에 관여했다. 재위 기간 동안 성직자 독신주의를 강조하고 교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남부 이탈리아의 노르만족을 몰아내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1058년 피렌체에서 사망했으며, 로마인들의 사주로 독살되었다는 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림뷔르흐가 - 림뷔르흐 공국 (중세)
림뷔르흐 공국은 11세기 초 랭부르 마을에서 시작하여 중세 시대에 존재했던 정치적 실체로서, 림부르크 성 건설 후 공국으로 인정받았으나 상속 전쟁, 여러 지배를 거쳐 분할되어 현재 벨기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11세기 독일 사람 - 교황 빅토르 2세
교황 빅토르 2세는 1055년부터 1057년까지 재위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추천으로 교황이 되어 성직 매매 금지, 황제의 대리인 역할, 하인리히 4세의 후견인 역할을 수행하다가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 11세기 독일 사람 - 교황 클레멘스 2세
신성 로마 제국 출신으로 밤베르크의 주교였던 클레멘스 2세는 하인리히 3세의 지지를 받아 교황으로 선출되어 성직 매매 금지 등 교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짧은 재임 기간 후 사망, 알프스 산맥 이북에 묻힌 유일한 교황이다. - 1058년 사망 - 카지미에시 1세 오드노비치엘
카지미에시 1세 오드노비치엘은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의 아들로, 폴란드 혼란기에 왕위 계승의 어려움을 겪었으나 독일과 키예프 루스의 지원으로 폴란드를 재건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수도 이전 및 봉건제 도입 등 폴란드 중세 사회의 기틀을 다져 "복원자"라는 칭호를 얻은 폴란드의 공작이다. - 1058년 사망 - 룰라크 막 길레 코엠간
룰라크 막 길레 코엠간은 1057년 스코틀랜드 왕위에 올랐으나 이듬해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당했으며, 모레이 백작 길레 코엠간과 케네스 3세의 손녀 그루오흐 사이에서 태어났다.
교황 스테파노 9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테파노 9세 |
본명 | 프리드리히 폰 로트링겐 |
로마자 표기 | Stephanus IX |
직책 | |
직책 | 교황 |
재임 시작 | 1057년 8월 3일 |
재임 종료 | 1058년 3월 29일 |
이전 교황 | 빅토르 2세 |
다음 교황 | 니콜라오 2세 |
기타 직책 | 몬테카시노 수도원장, 성청 상서원장 및 사서관 |
출생과 사망 | |
출생 | 1020년경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로렌 |
사망 | 1058년 3월 29일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토스카나 변경령 피렌체 |
가문 | |
가문 | 로트링겐 가문 |
아버지 | 로트링겐 공작고첼로 1세 |
2. 가문과 배경
스테파노 9세의 세례명은 프레데리크이며, 신성 로마 제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아르덴-베르됭 왕조 가문 출신이다.[2][3][4] 그의 가문은 생 반 수도원과 강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었다.[3] 그의 형제인 하 로렌 공작 고텔로 2세는 1046년에 사망했다.
2. 1. 가족 관계
세례명은 프레데리크(fr)이며, 아르덴-베르됭 왕조 출신이다. 아버지는 신성 로마 제국의 중신이자 로렌 공작이었던 고젤로 1세이며, 형은 고드프로이 3세이다.[2][3][4]그의 여동생 레겔린데는 나뮈르 백작 알베르 2세와 결혼했고,[5] 또 다른 여동생 오다는 루뱅 백작 람베르 2세와, 막내 여동생 마틸다는 로타링기아 궁정 백작 헨리 1세와 결혼했다.[5]
3. 교황 선출 이전의 경력
프레데리크는 리에주 생 람베르 대성당에서 교회 재산[6]을 보유했으며, 이후 대주교가 되었다.[3][7] 1049년 혹은 1051년에 교황 레오 9세를 만나 로마로 초청받았다.[8] 산타 마리아 인 도미니카 성당의 추기경-부제로 임명되었으며, 툴의 수석서기 오도가 주교로 임명되면서 "사서 및 재무"로 임명되었다. 그의 마지막 재무 서명은 1051년 1월 16일에 이루어졌고,[9] 1051년 3월 9일부터 1053년 12월 21일까지 교황 문건에 서명한 것으로 나타난다.[10]
신성 로마 제국의 중신이자 로렌 공작고젤로 1세의 셋째 아들인 고드프로이 3세의 동생이다. 몬테카시노 수도원의 수도사였으나, 빅토르 2세가 하인리히 4세의 후견인으로서 행한 외교 정책의 일환으로 고드프로이를 포섭하려 했을 때, 카시노 수도원장으로 발탁되었고, 추기경과 교황청 상서원장·서기관에 임명되었다.
3. 1. 교황 사절
1054년 1월, 추기경 프레데릭은 추기경 실바 칸디다의 움베르토와 아말피의 대주교 피에트로와 함께 교황 레오 9세의 사절로 임명되어 콘스탄티누스 9세 황제에게 파견되었다.[15] 이들의 목적은 황제가 교황을 도와 하인리히 3세와 힘을 합쳐 노르만족을 멸망시키도록 설득하는 것이었다.[16] 사절들은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하여 황제에게 환대받았고, 얼마 동안 황궁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들과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미하일 케룰라리오스, 오흐리드의 레오 대주교 사이의 협상은 성공하지 못했다. 교황 레오 9세는 협상 중이던 1054년 4월 19일에 사망했다. 1054년 7월 16일, 추기경 움베르토는 성 소피아 대성당의 주 제단에 총대주교와 대주교에 대한 파문 교서를 게시했다. 추기경 프레데릭은 동서 교회 분열로 이어진 사건에 참여한 세 명의 교황 사절 중 한 명이었다. 사절들이 출발 의사를 밝히자, 황제는 그들의 업적을 기려 황실의 선물과 교황청에 상당한 선물을 하사했다.[17]3. 2. 은신과 수도원 생활
프리드리히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상당한 양의 자금(''pecunia'')을 가져온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황제 헨리 3세의 의심을 샀다.[18] 1055년 말, 프리드리히는 황제와 교황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피신하여 성 베네딕토 수도회의 수도사가 되었다.[19] 그는 수도원장의 허락을 받아 아드리아 해의 테르몰리 항구 앞 테르미티 섬으로 피신하였다.4. 몬테카시노 수도원장
빅토르 2세는 1055년 12월 몬테카시노 수도원장 리셰르가 사망한 후, 후임 수도원장 선출 과정에서 교황청과 상의하지 않은 것에 불쾌감을 느꼈다. 1057년 5월, 오순절 직후 교황 사절 실바 칸디다의 움베르토 추기경이 수도원에서 조사를 시작했고, 수도원장 페테르를 설득하여 사임하게 했다. 5월 23일, 움베르토 추기경 주재로 수도사들이 새 수도원장을 선출했는데, 그가 바로 몬테카시노의 수도사이자 로렌의 프리드리히 추기경이었다. 1057년 6월 24일, 교황 빅토르 2세는 프리드리히를 몬테카시노의 36대 수도원장으로 서임했다.[22] 그는 수도원장에게 종교 의식에서 샌들과 달마티카를 착용할 수 있는 특권 등을 얻었다.[22]
1057년 6월 14일, 프리드리히는 산 크리소고노의 추기경 사제로 승진했다.[24] 이후 교황으로 취임했을 때도 수도원장 직무를 겸임했는데, 이는 수도원 개혁을 수행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5. 교황 선출
빅토르 2세의 사망 소식이 7월 31일 로마에 전해졌다. 로마의 성직자와 백성들은 차기 교황 선출을 논의했고, 다섯 명의 후보가 거론되었지만 모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결국 몬테카시노 수도원 출신의 추기경 프레데리크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26] 1057년 8월 2일,[27] 프레데리크는 선출을 통해 교황 스테파노 9세가 되었다.[28] 그는 라테라노 궁전으로 호송되었고, 다음 날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29]
6. 교황 재위 기간의 업적과 한계
스테파노 9세는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페트루스 다미아니, 움베르토, 훗날 그레고리우스 7세가 되는 힐데브란트 등 유능한 인재들의 도움을 받아 교회 개혁을 추진했다.
특히 성직자 독신주의를 강조하는 등 그레고리오 개혁 정책을 시행하려 노력했다.[30]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미하일 1세를 파문하여 동서교회 분열을 가속화시키는 등 실패도 있었다.
또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를 폐위하고 자신의 형인 고드프로이 3세를 황제로 세우려 했으나, 건강 악화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재위 7개월 26일 만에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6. 1. 교회 개혁 노력
스테파노 9세는 그레고리오 개혁 정책을 시행했다. 1057년 8월부터 11월까지 로마에서 여러 차례 시노드를 열어 성직자 독신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라테란 대성당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그는 동방 교회의 전통은 사제, 부제, 부제보의 결혼을 허용하지만, 서방 교회는 그렇지 않다고 언급했다.[30]1057년 11월 30일부터 1058년 2월 10일까지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방문하여 개혁을 즉시 시작했다. 그는 수년간 스며든 느슨한 관행을 없애기 위해 수도사들을 설득하고, 권고하고, 꾸짖었다. 또한 암브로시아 성가 사용을 금지하고, 그레고리오 성가만을 사용하도록 명령했다.[31]
6. 2. 대외 정책
스테파노 9세는 남부 이탈리아에서 노르만족을 몰아낼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34] 1057년이나 1058년 어느 시점에 그는 노르만 공국의 수도인 카푸아 시민들과 란도라는 성직자를 파문하는 시노드를 열었다.[30] 남부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058년 초에 비잔틴 제국 황제 이삭 1세 콤네노스에게 사절단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사절단은 로마의 성 안드레아와 그레고리오 수도원 출신의 베네딕토회 수사 추기경 스테파노, 몬테카시노 출신의 베네딕토회 수사 추기경 마이나르드, 몬테카시노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장으로 선출된 데시데리우스였다.[35] 사절단은 로마를 떠나 비잔틴 제국이 점령한 바리에 도착했으나, 스테파노 9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임무를 포기했다.1057년 여름, 스테파노 9세는 어린 황제 하인리히 4세를 폐하고 형인 고드프로이 3세를 즉위시키려 했다. 이는 이탈리아 남부의 노르만족에 대항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7. 동서 교회와의 관계
교황 스테파노 9세는 수도원장 직무를 겸임하면서, 성인으로 시성된 페트루스 다미아니, 움베르토, 힐데브란트(후의 그레고리우스 7세) 등 유능한 인재들의 도움을 받아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미하일 1세를 파문하여 동서교회 분열을 심화시키는 등 실패도 있었다.
8. 사망
스테파노 9세는 1058년 3월 29일 피렌체에서 사망했으며, 임종 시 클뤼니의 휴 수도원장의 간호를 받았다.[41] 로마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로마인들의 사주를 받은 자에 의해 피렌체로 가는 길에 독살되었다고 한다. 로마인들은 교황의 형제인 고프레드 공작이 로마의 지배권을 되찾기 위해 군대와 자금을 보냈다는 주장을 제기했는데, 이것이 로마인들이 행동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고 한다.[42]
스테파노 9세는 산타 레파라타 성당에 안치되었으나, 1357년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건설을 위해 성당이 철거되면서 그의 무덤은 성 제노비오 제단 옆에서 발견되었다. 무덤에서는 비문과 교황의 상징물이 발견되었지만, 현재 유해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43]
참조
[1]
서적
Die deutschen Päpste. Benedikt XVI. und seine deutschen Vorgänger
[2]
서적
The Beneventan Ch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Chronicle of Hugh of Flavigny: Reform and the Investiture Contest in the Late Eleventh Century
Ashgate Publishing
[4]
서적
L'Alsace et l'Église au temps du pape saint Léon IX (Bruno d'Egisheim) 1002–1054
https://books.google[...]
F.-X. Le Roux
[5]
서적
Histoire du comté de Namur
https://books.google[...]
A. Jamar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L'Alsace et l'Église au temps du pape saint Léon IX (Bruno d'Egisheim) 1002–1054
https://books.google[...]
F.-X. Le Roux et Cie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Popes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서적
null
[25]
문서
[26]
문서
[27]
서적
Oxford Dictionary of Popes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간행물
Annales Romani
Monumenta Germaniae Historia Scriptorum Tomus V (Hannover: Hahn 1844)
[37]
서적
Gregorovius IV
[38]
간행물
Chronica Monasterii Cassinensis
Monumenta Germaniae Historia Scriptorum Tomus VII (Hannover: Hahn 1846)
[39]
간행물
Chronica Monasterii Cassinensis
Monumenta Germaniae Historia Scriptorum
[40]
문서
[41]
문서
[42]
간행물
Annales Romani
Monumenta Germaniae Historia Scriptorum Tomus V (Hannover: Hahn 1844)
[43]
서적
Mann VI
[44]
간행물
Chronica Monasterii Cassinensis
Monumenta Germaniae Historia Scriptorum
[45]
문서
[46]
서적
Die deutschen Päpste. Benedikt XVI. und seine deutschen Vorgänger
[47]
서적
The Chronicle of Hugh of Flavigny: Reform and the Investiture Contest in the Late Eleventh Century
Ashgate Publishing
[48]
서적
Theology, Rhetoric, and Politics in the Eucharistic Controversy, 1078-1079
Columbia University Press
[49]
서적
Pope Gregory VII, 1073-1085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