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빅토르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빅토르 3세는 1086년 5월 24일부터 1087년 9월 16일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본명은 다우페리우스로, 랑고바르드 왕국 귀족 출신으로 몬테카시노 수도원장과 추기경을 거쳤다. 교황 선출을 여러 번 거부했으나 결국 교황직을 수락했지만,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와의 갈등과 친황제파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었다. 1087년 베네벤토 시노드를 주재하고 십자군을 선포했으나, 그해 9월 몬테카시노에서 선종했다. 1887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87년 사망 - 윌리엄 1세
윌리엄 1세는 노르망디 공작이자 1066년 잉글랜드를 정복하고 잉글랜드 왕으로 즉위하여 봉건제 확립과 행정 및 사법 제도 정비 등 잉글랜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087년 사망 - 셜러몬
셜러몬은 1063년 신성 로마 제국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 왕위에 올랐으나, 사촌들과의 갈등과 모조로드 전투에서의 패배로 왕위를 잃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 베네벤토 출신 - 교황 그레고리오 8세
12세기 이탈리아 출신 교황 그레고리오 8세는 추기경과 교황 특사로 활동하며 교회법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고,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제3차 십자군을 호소하고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다. - 베네벤토 출신 - 성 피아톤
성 피아톤은 여러 성당과 샤르트르 대성당의 예배당,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등에서 언급되는 인물이며, 투르네에는 그를 기리는 성당이, 샤르트르 대성당에는 생 피아 예배당이 존재한다. - 교황 레오 13세가 시복한 복자 -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088년부터 1099년까지 재위하며 제1차 십자군 파병을 호소하여 십자군 운동을 촉발하고, 개혁을 추진하며 교황권을 강화하다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직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 교황 레오 13세가 시복한 복자 - 장 바티스트 드 라 살
프랑스 사제이자 교육자인 장 바티스트 드 라 살은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에 헌신하며 현대 교육 시스템의 기초를 다졌고, 사범학교 설립, 학년별 교육과정 도입 등 혁신적인 교육 정책으로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추대되었다.
교황 빅토르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교황 복자 |
존칭 접미사 | O.S.B. |
이름 | 빅토르 3세 |
직함 | 로마 주교 |
![]() | |
출생명 | 다우페리오 |
출생일 | 1026년경 |
출생지 | 베네벤토, 베네벤토 공국 |
사망일 | 1087년 9월 16일 (61세) |
사망지 | 몬테카시노, 교황령, 신성 로마 제국 |
이전 직책 | 산티 세르조 에 바코 성당의 추기경 부제 (1058–59) 몬테카시노 수도원 원장 (1058–59) 산타 체칠리아 성당의 추기경 사제 (1059–86) 콘스탄티노플 특사 (1059) |
축일 | 9월 16일 (로마 순교록) 10월 16일 (로마 고유) |
공경 | 가톨릭 교회 |
시복일 | 1887년 7월 23일 |
시복 장소 | 로마, 이탈리아 왕국 |
시복자 | 교황 레오 13세 |
속성 | 교황 예복 교황관 주교 지팡이 |
수호 | 몬테카시노 수도원장 |
기타 | 빅토르 |
교황 직무 | |
교황 즉위 시작 | 1086년 5월 24일 |
교황 직무 종료 | 1087년 9월 16일 |
선임자 | 그레고리오 7세 |
후임자 | 우르바노 2세 |
서임 | 1087년 5월 9일 |
서임자 | 오토 드 라게리 |
추기경 | |
임명일 | 1058년 3월 6일 |
임명자 | 교황 니콜라오 2세 |
2. 생애
다우페리우스는 1026년 랑고바르드 왕국 베네벤토 공작 란둘프 5세의 외동아들로 태어나, 1059년 교황 니콜라오 2세에 의해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7세 치하에서 이탈리아 남부 노르만족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등 교황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1086년 5월 24일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교황직에 큰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1년 후인 1087년 5월 9일에야 즉위식이 거행되었다. 당시 로마에 있던 대립 교황 클레멘스 3세의 압박을 피해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은거하기도 했으나, 토스카나 여공작 마틸데의 설득으로 로마로 돌아왔다. 1087년 8월, 베네벤토에서 교회 회의를 열어 클레멘스 3세를 파문하고, 평신도 서임 금지를 재확인했으며, 아프리카의 사라센인에 대한 군사 행동을 결의했다. 그러나 회의 중 병을 얻어 1087년 9월 16일 베네벤토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수도 생활
다우페리우스는 1026년 랑고바르드 왕국의 유력한 가문 출신인 베네벤토 공작 란둘프 5세의 외동아들로 태어났다.[14] 1047년 그의 부친은 노르만족과의 전투 중에 전사하였다. 그 후 그는 정략결혼을 피해 달아났다가 다시 붙잡혀 끌려왔지만, 결국 다시 달아났다. 그는 카바데티레니로 가서 그곳에 있는 산 소피아 수도원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그는 데시데리우스(Desiderius)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그의 모친은 하나뿐인 아들이 수사가 되는 것을 크게 반대했다. 그러나 산 소피아 수도원의 생활이 그다지 엄격하지 않자, 젊은 수사는 아드리아 해의 이솔레트레미티 섬의 수도원으로 갔다가[2] 1053년 아브루초 주의 마이엘라에 있는 은수자들을 찾아갔다. 이 무렵 그는 교황 레오 9세의 눈에 띄어, 치비타테 전투 이후 노르만족과의 평화 협상을 위한 교황 사절로 파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얼마 후에 데시데리우스는 피렌체에서 교황 빅토르 2세 밑에서 일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의 명망 높은 베네딕도회 수사 두 명을 만나 1055년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들어갔다. 데시데리우스는 수도원 공동체에 들어간 지 얼마 안 되어 카푸아에 있는 지부의 총장이 되었다. 1057년 크리스마스에 교황 스테파노 9세가 자신이 소유권을 갖고 있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직접 찾아왔다. 앞으로 자신이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한 교황은 수사들에게 새 수도원장을 선출할 것을 지시했다. 수사들은 자신들의 새 아빠스로 데시데리우스를 선택했다. 그러나 건강이 호전된 교황은 앞으로 자신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대한 소유권을 계속 갖고 싶어했다. 그래서 그는 데시데리우스를 교황 특사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임명했다. 바리의 항구에 도착해 동방으로 떠날 배에 오를 준비를 하던 데시데리우스는 스테파노 9세가 선종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아풀리아의 노르만 백작(나중에 공작으로 승격됨) 로베르 기스카르로부터 안전 통행증을 받은 그는 수도원으로 돌아갔으며, 1058년 부활절에 훔베르트 추기경에 의해 공식적으로 아빠스로 축성되었다.[3]
2. 2. 추기경 시절
다우페리우스는 1058년 3월 6일 교황 니콜라오 2세에 의해 산티 세르조 에 바코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고, 1059년에는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이 되었다.[14]데시데리우스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의 아빠스(수도원장) 시절, 성당과 수도원을 개축하고 수사본 필사실을 마련했으며 수도원 규율을 재정비하여 많은 수사들이 그를 따랐다.[15] 1071년 10월 1일에는 교황 알렉산데르 2세가 몬테카시노의 새 대성당을 축성하기도 했다. 그의 명성은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많은 선물과 특혜를 가져다주었으며, 특히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제작한 보석과 법랑으로 장식된 황금 제대는 교회의 장식품과 전례 용기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15] 베드로 부제는 데시데리우스가 몬테카시노에서 필사한 히포의 아우구스티노, 암브로시오, 베다 등 저명한 신학자들의 저서와 요세푸스, 바오로 부제 등 역사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로마법 대전》, 키케로의 《신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 70권의 고서 목록을 정리했다.
데시데리우스는 캄파냐, 아풀리아, 칼라브리아, 베네벤토 공국의 교황 대리로 임명되어 수도원 개혁을 주도하는 권한을 부여받았다.[6] 그는 교황으로부터 성직자가 부재한 성당이나 수도원에 베네딕도회 수사들 중에서 주교와 아빠스를 임명할 권한까지 부여받을 정도로 큰 신임을 얻었다.[6]
교황 그레고리오 7세 치하에서 데시데리우스는 성좌를 위해 이탈리아 남부 노르만족의 지지를 얻고자 노력했다. 1059년에 그는 로베르 기스카르와 카푸아의 리카르도 1세를 설득하여 교황의 신하가 되도록 만들었다. 또한, 그레고리오 7세는 데시데리우스를 파견하여 노르만족 점령 지역의 상황을 확인하고, 1073년 8월 2일 베네벤토에서 로베르 기스카르와 협상하도록 했다. 그는 노르만족 지도자들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으며, 1080년 후반에는 교황을 위해 노르만족 군대를 얻는 데 성공했다. 1082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를 만나기도 했다. 1084년 로마가 하인리히 4세에게 함락되고 그레고리오 7세가 산탄젤로 성에 포위되자, 데시데리우스는 로베르 기스카르에게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와서 교황을 구해줄 것을 요청했다.[3]
2. 3. 교황 선출과 재위
1086년 교황 선거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1085년 5월 25일 살레르노에서 사망한 후, 몬테카시노 수도원의 아빠스였던 데시데리우스가 후임 교황으로 추천되었다. 로마 시민들은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를 몰아냈고, 데시데리우스는 추기경들과 교황 선거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로마로 갔다. 그러나 교황직을 강요받을 것을 우려하여 몬테카시노로 피신했고, 노르만족과 랑고바르드족에게 성좌 지지를 호소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가을이 되자 데시데리우스는 노르만 군대와 함께 로마로 왔지만, 추기경들과 노르만 지도자들이 자신을 교황으로 추대하려는 것을 알고 계획을 포기하겠다는 약속 없이는 로마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결국 선거는 연기되었고, 1086년 5월 23일 산타 루치아 인 셉티솔리스 성당에서 열린 회의에서 데시데리우스는 다시 교황직을 제안받았지만, 강요받을 경우 수도원으로 돌아가겠다고 위협하며 거절했다.
다음 날인 성령 강림 대축일 아침, 회의가 다시 소집되었지만 같은 상황이 반복되었다. 로마 집정관 켄키우스는 오스티아의 주교 오동(훗날 교황 우르바노 2세)을 제안했지만, 일부 추기경들이 교회법에 어긋난다며 반대했다. 결국 데시데리우스는 1086년 5월 24일 교황직을 수락하고 교황 빅토르 2세를 본받아 빅토르 3세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교황으로 선출된 지 4일 만에 빅토르 3세와 추기경들은 친황제파의 소요를 피해 로마를 탈출하여 테라치나로 갔다. 그곳에서 빅토르 3세는 교황 휘장을 버리고 몬테카시노로 돌아가 1년 동안 칩거하였다.
1087년 사순 시기 중반, 카푸아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카푸아의 교황 대리 리용의 위그가 빅토르 3세 지지 의사를 밝혔다. 노르만 지도자, 로마 귀족, 고위 성직자들도 지지를 표명했고, 빅토르 3세는 마침내 교황 의복을 착용하며 교황직을 수락했다.[17]
1087년 예수 부활 대축일 이후, 빅토르 3세는 노르만 군대와 함께 로마로 진격하여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를 호위하던 병사들을 성 베드로 대성전 밖으로 몰아냈다. 빅토르 3세는 1087년 5월 9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공식적으로 즉위식을 가졌다. 그는 8일만 로마에 머물다가 몬테카시노로 돌아갔지만, 토스카나의 마틸데와 카푸아의 요르단 1세의 도움으로 바티칸 언덕을 탈환했다. 5월 말, 마틸데의 부름을 받고 다시 로마를 방문했고, 교황 군대는 레오 성벽과 트라스테베레를 탈환했다. 그러나 6월 말, 대립교황이 성 베드로 대성전을 다시 장악하면서 빅토르 3세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으로 물러났다.
8월, 베네벤토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 파문, 평신도 서임권 비판, 북아프리카 사라센에 대한 성전(聖戰)을 결의했다.[14] 시노드 폐막 3일 후, 빅토르 3세는 중병에 걸려 1087년 9월 16일 몬테카시노에서 선종했고, 시신은 몬테카시노 수도자실에 안장되었다.
3. 시복
교황 레오 13세는 빅토르 3세를 시복하였다.[1]
빅토르 3세에 대한 공경은 그의 선종 후 약 60년 뒤인 교황 아나스타시오 4세 재임 시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1] 1727년 몬테카시노 수도원장은 교황 베네딕토 13세로부터 빅토르 3세의 축일을 지낼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1]
4. 저술
교황 빅토르 3세의 현존하는 유일한 문헌 작품은 《대화》인데, 몬테카시노에서 베네딕토와 다른 성인들이 행한 기적에 대한 내용이다. 피터 디콘은 그의 저서 《카시넨시스의 저명한 인물들(De Viris Illustribus Casinensibus)》에서 그가 "성 마우루스를 위한 찬가(Cantus ad B. Maurum)"를 작곡했으며, 프랑스 국왕 필리프 1세와 클뤼니의 휴에게 보낸 서한도 썼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들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12]
빅토르 3세는 비잔틴 제국에서 성지 순례자들을 괴롭히는 문제에 관해 황후 어머니 안나 달라세네에게 보낸 편지의 저자일 가능성이 높다.[12] 또한, 몬테카시노의 수도원장 시절 사르데냐의 주교들에게 보낸 편지도 있는데, 이 섬은 그가 수도사들을 파견한 곳이다. (1050년경부터 피사와 제노바의 지배를 받게 된 후)[12]
참조
[1]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3-12-17
[2]
간행물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Blessed Victor III
https://www.newadven[...]
2021-12-15
[4]
문서
Chron. Cass., III, 18 (20)
[5]
문서
Chron. Cass., III, 63
[6]
문서
Chron. Cas., III, 34
[7]
문서
Chron. Cass., III, 66
[8]
웹사이트
Papal elections of the 11th Century (1061-1099): Election of May 24, 1086 (Victor III)
https://cardinals.fi[...]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9]
문서
Grant 2016, p. 995
[10]
문서
Chron. Cass., III, 68
[11]
문서
Monumenta German. History: Script. VIII, 466–468
[12]
논문
"Pope Victor and the Empress A."
1992
[13]
웹인용
September 16 - The pope who exacted tribute from the Mohammedan ruler of Tunis
http://nobility.org/[...]
Nobility
2015-06-02
[14]
웹사이트
Pope Blessed Victor II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15]
문서
Chron. Cass., III, 18 (20)
[16]
문서
Chron. Cass., III, 66
[17]
문서
Chron. Cass., III, 68
[18]
문서
Monumenta German. Histor.: Script. VIII, 46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