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테오도로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테오도로 1세는 예루살렘 출신의 그리스인으로, 642년 11월 24일에 즉위한 교황이다. 그는 레반트 지역의 무슬림 정복 이후 로마로 피신한 시리아 성직자 출신으로, 교황 요한 4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테오도로 1세는 단의설에 대한 투쟁을 지속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바울 2세를 인정하지 않고, 콘스탄스 2세 황제에게 헤라클리우스의 에크테시스 철회를 요구했다. 그는 에크테시스를 규탄하기 위해 649년 라테란 공의회를 계획했으나, 소집 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49년 사망 - 송첸캄포
송첸캄포는 7세기 티베트 야르룽 왕조의 제33대 왕으로, 티베트를 통일하고 불교를 전파했으며, 라싸를 수도로 삼고 영토를 확장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다. - 649년 사망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그리스 출신 교황 - 교황 식스토 2세
교황 식스토 2세는 257년부터 258년까지 로마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했고, 아프리카 및 동방 교회와의 관계 회복에 기여했으며, 저술 활동의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다. - 그리스 출신 교황 - 교황 아가토
교황 아가토는 7세기 후반 교황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3차 공의회를 통해 단의설을 단죄하고 동로마 제국과의 협상으로 교황 선출에 대한 제국 간섭을 줄였으며,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7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호노리오 1세
교황 호노리오 1세는 앵글로색슨 선교 지원과 기독교 건축물 재건에 힘썼으나, 단의론 논쟁에 휘말려 사후 파문되었고, 이슬람의 부상을 인지했다. - 7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요한 4세
교황 요한 4세는 640년에 즉위하여 642년에 사망한 교황으로, 단의론을 비판하고 슬라브족 선교에 힘썼으며 고향 지역 구호 활동을 펼쳤다.
교황 테오도로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교황 |
이름 | 테오도로 1세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교회 |
로마자 표기 | Theodorus I |
재임 기간 | |
시작 | 642년 11월 24일 |
종료 | 649년 5월 14일 |
이전 교황 | 요한 4세 |
다음 교황 | 마르티노 1세 |
개인 정보 | |
출생지 | 예루살렘, 동로마 제국 |
사망일 | 649년 5월 14일 |
사망 장소 | 로마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테오도로 |
![]() |
2. 초기 생애와 경력
테오도로 1세는 642년 11월 24일 교황 요한 4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선출은 비잔틴 제국의 라벤나 총독부의 지지를 받았다.[4] 그는 재위 기간 동안 단의설 이단에 맞서 싸우는 데 주력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갈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Θεόδωρος|테오도로스grc 1세는 예루살렘 출신의 그리스인이었다.[2] 그의 아버지 테오도로스는 예루살렘의 주교였다. 그는 예루살렘 출신인 유일한 교황이다. 테오도로 1세는 레반트의 무슬림 정복 이후 로마로 피신한 많은 시리아 성직자 중 한 명이었다.[3] 그는 640년경 추기경 부제가 되었고, 교황 요한 4세에 의해 정식 추기경이 되었다.
3. 교황 선출과 단의설 논쟁
테오도로 1세는 649년 라테란 공의회를 열어 ''에크테시스''를 규탄하고자 했으나, 공의회를 소집하기 전에 사망하였다. 그의 후임자인 마르티노 1세가 대신 공의회를 개최했다. 테오도로 1세는 옛 성 베드로 대성당에 묻혔으며, 동방 정교회에서 그의 축일은 5월 18일이다.[4]
3. 1.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갈등
테오도로 1세는 단의설 이단에 대한 지속적인 투쟁에 힘썼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였던 바울 2세의 전임자 피로스 1세가 정당하게 교체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바울 2세를 인정하지 않았다. 테오도로 1세는 콘스탄스 2세 황제에게 헤라클리우스 황제의 단의설 칙령인 ''에크테시스''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노력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서방에서는 단의설에 대한 반대를 증가시켰다.[4]
피로스 1세는 645년에 잠시 단의설을 철회했지만, 648년에 다시 파문되었다. 바울 2세는 649년에 파문되었다. 이에 맞서 바울 2세는 플라키디아 궁전에 있는 로마 제단을 파괴하고 교황 사절을 추방하거나 투옥했다. 콘스탄스 2세는 ''타입'' 칙령을 공포하여 ''에크테시스''를 철거하고 단의설 논쟁을 종식시키려 했다.[4]
테오도로 1세는 ''에크테시스''를 규탄하기 위해 649년 라테란 공의회를 계획했지만, 공의회가 소집되기 전에 사망했다.[4]
4. 사망과 유산
테오도로 1세는 649년 라테란 공의회를 소집하기 전에 사망하여 옛 성 베드로 대성당에 안치되었다.[4] 그의 후임 마르티노 1세 교황이 라테란 공의회를 개최하여 단의설을 정죄하였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8일을 그의 축일로 기념한다.[4]
참조
[1]
백과사전
Theodore I
https://www.britanni[...]
2016-08-31
[2]
서적
Bibliothecarii Historia, de vitis romanorvm pontificvm
https://books.google[...]
in typographeio I. Albini
[3]
서적
New SCM Dictionary of Liturgy and Worship
Hymns Ancient and Modern Ltd
2013
[4]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Θεόδωρος ὁ Ἱερομάρτυρας Ἐπίσκοπος Ρώμης
http://www.synaxario[...]
[5]
간행물
Pope Theodore I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6]
문서
《에크테시스》를 작성한 세르기우스 1세의 후계자 피루스 1세는 테오도로 1세에게 서신을 보내어 단의설을 지지하였다. 이에 테오도로 1세는 콘스탄스 3세 황제에게 피루스 1세를 파직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결국 피루스 1세가 황제에 의해 파직되고 바울로 2세가 뒤를 이어 총대주교가 되었다. 피루스 1세는 641년 콘스탄티노플을 떠나 카르타고로 도주하였다. 나중에 그는 총대주교로 복귀할 수 있다는 희망을 안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한 후에 로마에 가서 테오도로 1세를 알현하고 정통 신앙을 고백하였다. 그러나 그는 다시 단의설로 복귀하였기 때문에 테오도로 1세는 그를 최종 파문하였다.
[7]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Θεόδωρος ὁ Ἱερομάρτυρας Ἐπίσκοπος Ρώμης
http://www.synaxar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