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글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글링은 구글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온라인 정보를 찾는 행위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1998년 구글 공동 창업자가 처음 사용했으며, 2002년 드라마에서 동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구글은 상표권 보호를 위해 동사 사용을 자제해 왔으나, Merriam-Webster Collegiate Dictionary에 등재되기도 했다. "Ungoogleable"은 구글링으로 찾을 수 없는 정보를 의미하며, 구글 검색은 다양한 연산자와 명령어를 활용하여 검색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대 인터넷 문화 - 리트 (인터넷)
    리트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알파벳 문자를 숫자나 기호로 변환하여 은어나 속어처럼 사용하는 방식이며, 내용 이해를 어렵게 하거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 1990년대 인터넷 문화 - ㅋㅋ
    'ㅋㅋ'는 온라인에서 웃음소리를 표현하는 초성체 의성어로, 'ㅋ'의 개수로 웃음의 뉘앙스를 나타내며 청소년 통신 언어 사용 빈도 1위를 차지하는 등 널리 사용되고, 다양한 콘텐츠에 활용되기도 한다.
  • 인터넷 신조어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 인터넷 신조어 - 먹방
    먹방은 방송 출연자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과식 조장, 섭식 장애 유발 등의 논란도 있는 문화 현상이다.
  • 1990년대 신조어 - 블로그
    블로그는 웹로그의 줄임말로, 개인이나 단체가 글, 사진,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웹사이트이며, 다양한 종류와 운영 방식이 존재하고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지만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 1990년대 신조어 - IPTV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이며, 고속통신망과의 통합, 양방향 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망 사업자 제한 등의 제한 사항도 존재한다.
구글링
기본 정보
유형타동사
의미구글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무언가를 검색하는 것
언어별 사용
영어Google
한국어구글링

2. 어원

"구글링"이라는 단어는 1998년 7월 8일, 구글 공동 창업자 래리 페이지동명사 형태로 처음 사용했다. 그는 메일링 리스트에 "재밌게 구글링하세요!"라고 썼다.[7] 미국 텔레비전에서 동사로 명시적으로 사용된 가장 오래된 사례는 뱀파이어 해결사의 도움 에피소드(2002년 10월 15일)에서 윌로우가 버피에게 "그녀를 구글링해 봤어?"라고 묻는 장면이다.[8]

일반화된 상표가 되어 상표권을 잃을 것을 우려한 구글은 동사로의 사용, 특히 일반적인 웹 검색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것을 자제해 왔다. 2003년 2월 23일,[9] 구글은 신조어를 추적하는 웹사이트인 Word Spy의 제작자인 폴 맥페드리스에게 중단 및 포기 서한을 보냈다.[10] 워싱턴 포스트의 기사에서 프랭크 아렌스는 구글 변호사로부터 받은 서한에 대해 논의했는데, 이 서한은 "구글링" 동사를 사용하는 "적절한" 방식과 "부적절한" 방식을 보여주었다.[11]

이러한 우려에 대한 대응으로, ''Merriam-Webster Collegiate Dictionary''의 사전 편찬자들은 "google"의 실제 항목을 소문자로 변경했다고 보도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온라인 정보를 찾기 위해 구글 검색 엔진을 사용하다"라는 정의에서 검색 엔진의 대문자를 유지했다(이는 옥스퍼드 편집자들이 양쪽 "경우"의 역사를 보존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는 우려였다).[12] 2006년 10월 25일, 구글은 대중에게 "구글 주식회사와 저희 서비스를 실제로 지칭할 때만 'Google'을 사용하십시오."라고 요청했다.[13]

3. 검색 방법

구글 검색은 다양한 연산자와 명령어를 활용하여 검색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어를 반드시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검색, 특정 기간 내에 업데이트된 페이지를 찾는 검색, 특정 사이트나 도메인 내에서 검색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검색 방법들은 기본 검색, 고급 검색, 추가 설정 등을 통해 활용할 수 있다.[18][19][20][21][22]

3. 1. 기본 검색

검색창에 찾고자 하는 정보와 관련된 단어 또는 구를 입력한다.

검색 옵션사용법예시
다음 단어 또는 문구 정확하게 포함"검색어""랫테리어"
다음 단어 중 아무거나 포함검색어 OR 검색어미니어처 OR 표준
다음 단어 제외-검색어-설치류, -"잭러셀"
숫자 범위숫자..숫자10..35lb, 300USD..500USD, 2010..2011
언어lr=lang_??lr=lang_en (영어), lr=lang_ko (한국어) [18]
지역cr=country??cr=countryUS (미국), cr=countryKR (한국) [19]
최종 업데이트&tbs=qdr:n/h/d/w/m/y(숫자)&tbs=qdr:d (하루 이내), &tbs=qdr:w (일주일 이내) [20]
사이트 또는 도메인site:검색어site:위키백과
검색어 표시 위치intitle:검색어 intext:검색어 inurl:검색어 inanchor:검색어intitle:구글 intext:검색
파일 형식filetype:검색어filetype:pdf
페이지당 검색결과 개수&num=10/20/30/40/50/100&num=100 (페이지당 100개 결과)
검색결과 여는 창&newwindow=1&newwindow=1 (새 창에서 열기)
지역설정gl=??gl=US (미국), gl=KR (한국) [21]
Google 제품에서 사용할 언어hl=??hl=en (영어), hl=ko (한국어) [22]


3. 2. 고급 검색


  • 정확한 단어/문구 포함: "검색어" (예: "랫테리어")[18]
  • 특정 단어 제외: -검색어 (예: -설치류, -"잭러셀")[18]
  • 단어 중 아무거나 포함: 검색어 OR 검색어 (예: 미니어처 OR 표준, OR은 반드시 대문자)[18]
  • 숫자 범위: 숫자..숫자 (예: 10..35lb, $300..$500, 2010..2011)[18]
  • 언어: lr=lang_?? (en, ko, ja, zh-CN, zh-TW 등)로 설정하여 해당 언어 페이지를 찾는다.[18]
  • 지역: cr=country?? (US, KR, JP, CN, TW 등)로 설정하여 특정 지역 게시 페이지를 찾는다.[19]
  • 최종 업데이트: &tbs=qdr:n/h/d/w/m/y(숫자) 또는 &tbs=cdr:1,cd_min:월.일.년,cd_max:월.일.년으로 설정하여, 기간 내 업데이트된 페이지를 찾는다.[20]
  • 사이트/도메인: site:검색어 (예: site:wikipedia.org)로 특정 사이트나 .edu, .org, .gov 도메인으로 검색 결과를 제한한다.[18]
  • 검색어 위치: intitle:검색어, intext:검색어, inurl:검색어, inanchor:검색어로 링크, 웹 주소, 제목, 전체 페이지에서 용어를 검색한다.[18]
  • 파일 형식: filetype:검색어 (예: filetype:pdf)로 특정 형식의 파일을 찾는다.[18]
  • 페이지당 검색 결과 수: &num=10/20/30/40/50/100[18]
  • 검색 결과 새 창 열기: &newwindow=1[18]
  • 지역 설정: gl=?? (US, KR, JP, TW 등)[21]
  • Google 제품 사용 언어: hl=?? (en, ko, ja, zh-CN, zh-TW 등)[22]

3. 3. 추가 설정

구글 검색 시 언어, 지역, 최종 업데이트, 페이지당 검색 결과 개수 등 다양한 추가 설정을 활용하여 검색 결과를 맞춤 설정할 수 있다.

설정설명사용 예시
언어 (`lr=lang_??`)특정 언어로 된 페이지를 검색한다.한국어 페이지 검색: `lr=lang_ko`[18]
지역 (`cr=country??`)특정 지역에서 게시된 페이지를 검색한다.대한민국 페이지 검색: `cr=countryKR`[19]
최종 업데이트 (`&tbs=qdr:n/h/d/w/m/y`)특정 기간 내에 업데이트된 페이지를 검색한다.n: 숫자, h: 시간, d: 일, w: 주, m: 월, y: 년
페이지당 검색결과 개수 (`&num=10/20/30/40/50/100`)한 페이지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조절한다.


4. 유의사항

OR 연산자는 반드시 대문자로 입력해야 하며, 검색어와 OR 사이에는 공백을 둬야 한다.[18] 예를 들어 "치킨 OR 피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문자 'or'은 인식되지 않는다.

물결표(~) 연산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진 검색어를 찾는 기능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몇 년 전에 폐기되어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다.[18]

숫자 범위(..) 연산자는 특정 숫자 사이의 범위를 검색할 때 사용한다. 이때 숫자와 함께 단위를 명시해야 정확하게 작동한다. 예를 들어 "2001..2019 년"과 같이 입력해야 한다.[18]

intitle:, inurl: 등의 연산자는 제목(title)이나 주소(url)에서 검색할 때 사용하며, 맨 앞 글자를 반드시 소문자로 입력해야 한다.[18] Intitle:꽃과 같이 대문자로 시작하면 작동하지 않는다.

5. 언어별 활용

(언어별 활용 섹션은 하위 섹션들에서 이미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별도의 내용을 추가하지 않는다.)

5. 1. 한국어

한국어로 된 페이지를 검색하려면 `lr=lang_ko`를 사용한다.[18] 예를 들어, '랫테리어'를 한국어로 검색하려면 "랫테리어"&lr=lang_ko 와 같이 검색할 수 있다.

한국 관련 정보를 찾을 때는 `cr=countryKR`을 사용하여 한국에서 게시된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다.[19]

특정 한국 웹사이트 (예: 디시인사이드, 루리웹, 에펨코리아 등) 내에서 검색하려면 `site:` 연산자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사이트를 한 번에 검색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site:dcinside.com OR site:ruliweb.com OR site:fmkorea.com OR site:mlbpark.donga.com OR site:humoruniv.com OR site:ygosu.com OR site:hygall.com OR site:82cook.com OR site:gasengi.com OR site:slrclub.com OR site:pann.nate.com OR site:ddanzi.com OR site:inven.co.kr OR site:ppomppu.co.kr OR site:todayhumor.co.kr OR site:etoland.co.kr OR site:bobaedream.co.kr OR site:instiz.net OR site:theqoo.net OR site:clien.net OR site:dogdrip.net

5. 2. 영어

영어 구글링 시에는 `lr=lang_en`을 사용하여 영어로 된 페이지를 찾을 수 있다.[18]

5. 3. 일본어

일본어로 된 페이지를 찾으려면 `lr=lang_ja`를 사용한다.[18]

6. 기타


  • 언구글러블(Ungoogleable): 구글 검색으로 찾기 어려운 정보를 의미하는 신조어이다.[21]
  • 유튜브 라이브 검색: `https://www.youtube.com/live?gl=국가코드`를 통해 특정 국가의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검색할 수 있다. (예: 한국 - 한국)[21]

참조

[1] 웹사이트 Top 10 Search Providers, April 2007 http://searchenginew[...] SearchEngineWatch.com 2007-08-11
[2] 웹사이트 Google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com 2011-09-19
[3] 웹사이트 How Google Became a Verb http://www.thelingua[...] The Lingua File - The Language Blog 2013-11-22
[4] 웹사이트 2002 Words of the Year http://www.americand[...] American Dialect Society 2007-08-11
[5] 웹사이트 To Google or Not to Google https://www.fool.com[...] 2024-04-20
[6] 웹사이트 Dictionary adds verb: to google http://www.mercuryne[...] 2006-07-07
[7] 웹사이트 Google Search Engine: New Features http://www.egroups.c[...] Google Friends Mailing List 2007-08-06
[8] 서적 Digital Wars: Apple, Google, Microsoft and the Battle for the Internet https://archive.org/[...] Kogan Page Publishers 2013-01-02
[9] 웹사이트 Google trademark concerns http://listserv.ling[...] American Dialect Society Mailing List 2007-08-11
[10] 뉴스 Google calls in the 'language police' http://news.bbc.co.u[...] 2024-04-20
[11] 뉴스 So Google Is No Brand X, but What Is 'Genericide'? https://www.washingt[...] 2006-08-05
[12] 웹사이트 Brin, Page See 'Google' Take Its Place In Dictionary https://www.forbes.c[...] 2024-04-20
[13] 웹사이트 Do you "Google?" https://googleblog.b[...] The Official Google Blog 2007-08-11
[14] 뉴스 Who, What, Why: What is 'ungoogleable'? https://www.bbc.co.u[...] BBC 2013-04-05
[15] 뉴스 Google gets ungoogleable off Sweden's new word list https://www.bbc.co.u[...] BBC 2013-04-05
[16] 뉴스 'Ungoogleable' removed from list of Swedish words after row over definition with Google: California based search engine giant asked Swedish to amend definition https://www.independ[...] 2013-04-05
[17] 뉴스 "'구글링'으로 개인정보 여과없이 '노출'" http://sstv.freechal[...] SSTV 2018-07-19
[18] 문서 language restriction
[19] 문서 country restriction
[20] 문서 각각 1분, 1시간, 1일, 1주, 1달, 1년. 숫자를 붙이면 그 숫자만큼.
[21] 문서 geolocation
[22] 문서 host langua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