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쓰키 마사쓰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쓰키 마사쓰나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자 난학자, 고전 수집가로, 1750년에 태어나 1802년에 사망했다. 그는 13세부터 고전 수집을 시작하여 "고전가의 왕자"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20세 무렵부터 세계 지리 연구에 매진하여 난학을 배우고 네덜란드어에 능통했다. 38세에 유럽 화폐를 다룬 『서양전보』를 간행하고, 『태서여지도설』, 『화한고금천화감』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그는 문인 다이묘로 활동했으나 정치가로서는 평가가 엇갈리며, 수집한 고전들은 번 재정 위기로 인해 해외로 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치야마 구쓰키가 - 구쓰키 다네쓰나 (1605년)
- 후쿠치야마 구쓰키가 - 구쓰키 다네마사
구쓰키 다네마사는 에도 시대 무장으로 쓰치우라 번 2대 번주이자 후쿠치야마 번 초대 번주이며, 쓰치우라 번주 구쓰키 다네쓰나의 장남으로 가독을 상속받아 단바 후쿠치야마 번으로 이봉된 후 번 재정 악화 속에서도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후쿠치야마번주 - 구쓰키 다네마사
구쓰키 다네마사는 에도 시대 무장으로 쓰치우라 번 2대 번주이자 후쿠치야마 번 초대 번주이며, 쓰치우라 번주 구쓰키 다네쓰나의 장남으로 가독을 상속받아 단바 후쿠치야마 번으로 이봉된 후 번 재정 악화 속에서도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후쿠치야마번주 - 이나바 노리미치 (1603년)
이나바 노리미치는 타마루번 번주를 거쳐 셋츠 나카지마번, 단바 후쿠치야마번으로 이봉되었으나, 광적인 행위와 막부에 반하는 행동으로 인해 자살하고 이나바가는 개역되었다. - 1802년 사망 - 쇼온왕
쇼온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18대 국왕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교육 진흥과 대외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요절하였다. - 1802년 사망 -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알렉산드르 라디셰프는 18세기 러시아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작가로,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비판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까지의 여행』을 출판하여 사형 선고 후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나, 귀환 후 잠시 법 개정에 참여하다 자살했으며, 그의 저서는 러시아 사회 개혁과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구쓰키 마사쓰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朽木 昌綱 (くつき まさつな) |
계명 | 불견원전상외진료종비대거사 (不見院殿相外真了宗非大居士) |
별명 | 사몬 (通称), 사쿠라다사이운도 (桜田彩雲堂) |
개명 | 오노지로 (斧次郎, 아명), 마사쓰나, 류코 (竜橋, 법명) |
사망 | 교와 2년 4월 17일 (1802년 5월 18일) |
출생 | 간엔 3년 1월 27일 (1750년 3월 5일) |
시대 | 에도 시대 중기 ~ 후기 |
묘소 | 도쿄도 미나토구 타카나와의 센가쿠지 |
관직 | |
관위 | 종5위하 오키노카미, 오미노카미 |
번 | 탄바 후쿠치야마번 번주 |
주군 | 도쿠가와 이에나리 |
막부 | 에도 막부 |
가족 관계 | |
아내 | 정실: 마츠다이라 무네노부의 딸 이쿠만히메 (幾万姫) 계실: 혼다 스케미츠의 딸 두 번째 계실: 이토 나가토시의 딸 |
형제 | 쿠츠키 에이츠나 |
부모 | 아버지: 쿠츠키 츠나사다 어머니: 불명 양아버지: 쿠츠키 노부츠나 |
자녀 | 유노스케, 츠나카타, 요네쿠라 마사나가, 후쿠쥬스케 양자: 토모츠나 |
씨족 | 쿠츠키씨 |
2. 생애
덴메이 7년 (1787년) 11월 22일, 노부쓰나가 사망하자 가독을 계승했다. 38세에 『서양전보(西洋銭譜)』를 간행했는데, 이는 17세기부터 18세기의 유럽 화폐 그림이 상세히 삽입된 획기적인 자료였다.
마사쓰나는 『난학계제(蘭学階梯)』 서문, 『태서여지도설(泰西輿地図説)』, 『화한고금천화감(和漢古今泉貨鑑)』, 『신찬전보찬(新撰銭譜撰)』 12권, 『양화분량고(良貨分量考)』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매형이자 다인(茶人) 다이묘였던 마쓰에번주 마쓰다이라 하루사토의 다도 제자가 되었고, 문인 다이묘였던 히메지번주 사카이 다다자네의 동생인 화가 사카이 호이츠 등과 교류하며 문인 다이묘로도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정치가로서는 이류였다고 하며, 일설에는 지나친 재능 때문에 공의(公儀)가 꺼렸다고 한다.
간세이 12년 (1800년) 윤4월 9일, 가독을 양자인 도모쓰나에게 물려주고 은거했다. 출가하여 오미뉴도(近江入道|오미뉴도일본어)라 칭했다. 에도로 돌아와 교와 2년 (1802년) 4월 17일에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간엔 3년 (1750년) 1월 27일, 6대 번주 구쓰키 쓰나사다의 장남으로 에도에서 태어나 거기서 자랐다. 안에이 5년 (1776년) 11월 22일, 구쓰키 노부쓰나의 양자가 되었다. 안에이 6년 (1777년) 3월 19일,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를 배알하였다. 안에이 9년 (1780년) 12월 18일, 종5위하 오키노카미에 서임되었다.13살 무렵부터 화한(華漢)의 옛 동전 수집을 취미로 하여, "고전가의 왕자(古銭家の王者)"라는 별칭을 얻었다. 마사쓰나가 소년 시절을 보낸 호레키 연간에는 오사카와 에도에서 옛 동전 수집이 유행했다. 마사쓰나는 유럽 국가의 화폐도 수집했다. 20세 무렵에는 세계지리 연구에 뜻을 두었다. 안에이 원년 (1772년), 23세 무렵, 난학의 마에노 료타쿠에게 입문한다. 동문에는 스기타 겐파쿠, 나카가와 쥰안, 가쓰라가와 호슈 등이 있으며, 후에 오쓰키 겐타쿠, 시바 코칸 등이 입문해 온다. 그 가운데 네덜란드어로 지리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마사쓰나는 네덜란드 상관장 (카피탄) 아이작 티칭과도 교우가 있어, 서양 책이나, 유럽의 동전 입수에 원조를 받았다. 네덜란드어는 펜팔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능숙해졌다. 안에이 9년 (1780년)무렵부터는 네덜란드 통사인 아라이 쇼주로(荒井庄十郎)를 조수로 삼아 세계지리 연구를 했다.
2. 2. 난학과 고전 연구
안에이 원년 (1772년), 23세 무렵 마에노 료타쿠에게 난학을 배우기 시작했다. 스기타 겐파쿠, 나카가와 쥰안, 가쓰라가와 호슈 등이 동문수학했으며, 나중에 오쓰키 겐타쿠, 시바 코칸 등이 합류했다. 이들과 함께 네덜란드어 지리서를 연구했다. 마사쓰나는 네덜란드 상관장 (카피탄) 아이작 티칭과 교류하며 서양 서적이나 유럽 동전 입수를 지원받았다. 네덜란드어는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을 정도로 능숙했다. 안에이 9년 (1780년) 무렵부터는 네덜란드 통역관 아라이 쇼주로(荒井庄十郎)를 조수로 삼아 세계지리 연구에 매진했다. 번주가 된 38세에 『서양전보(西洋銭譜)』를 간행했는데, 17세기부터 18세기의 유럽 화폐 그림이 상세히 삽입된 획기적인 자료였다.13세 무렵부터 한국과 중국의 옛 동전 수집을 취미로 하여 "고전가의 왕자(古銭家の王者)"라는 별칭을 얻었다. 옛 동전 수집은 마사쓰나가 소년 시절을 보낸 호레키 연간에 오사카와 에도에서 유행했다. 마사쓰나는 유럽 국가의 화폐도 수집했으며, 20세 무렵에는 세계지리 연구에도 관심을 가졌다.
『난학계제(蘭学階梯)』 서문, 『태서여지도설(泰西輿地図説)』, 『화한고금천화감(和漢古今泉貨鑑)』, 『신찬전보찬(新撰銭譜撰)』 12권, 『양화분량고(良貨分量考)』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난학 연구에도 열심이었다.
2. 3. 번주 시절과 말년
간엔 3년 (1750년) 1월 27일, 6대 번주 구쓰키 쓰나사다의 장남으로 에도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다. 덴메이 7년 (1787년) 11월 22일, 노부쓰나의 사망으로 가독을 계승했다.13살 무렵부터 화한(和漢)의 옛 동전 수집이 취미였으며, 이 때문에 "고전가의 왕자(古銭家の王者)"라는 별칭을 얻었다. 옛 동전 수집 취미는 마사쓰나가 소년 시절을 보낸 호레키 연간에는 오사카・에도에서도 유행했다. 마사쓰나는 유럽 국가의 화폐도 수집했다. 20세 무렵에는 세계지리 연구에 뜻을 두었다. 안에이 원년 (1772년), 23세 무렵, 난학의 마에노 료타쿠에게 입문하여 네덜란드어로 지리서를 연구했다. 마사쓰나는 네덜란드 상관장 (카피탄) 아이작 티칭과도 교우가 있어, 서양 책이나, 유럽의 동전 입수에 원조를 받았다. 네덜란드어는 펜팔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능숙해졌다. 안에이 9년 (1780년)무렵부터는 네덜란드 통사인 아라이 쇼주로(荒井庄十郎|아라이 쇼주로일본어)를 조수로 삼아 세계지리 연구를 했다. 번주가 된 38세에 『서양전보(西洋銭譜)』를 간행했는데, 이는 17세기부터 18세기의 유럽 화폐의 극명한 그림이 삽입된 것으로, 당시로써는 획기적이었다.
저서로는 『난학계제(蘭学階梯)』 서문과 『태서여지도설(泰西輿地図説)』, 『화한고금천화감(和漢古今泉貨鑑)』, 『신찬전보찬(新撰銭譜撰)』 12권, 『양화분량고(良貨分量考)』 등 많은 귀한 저서를 남겼다. 난학 연구에 열심이었으며, 매형이자 다인(茶人) 다이묘였던 마쓰에번주 마쓰다이라 하루사토의 다도 제자가 되었다. 또한 문인 다이묘였던 히메지번주 사카이 다다자네의 동생인 화가 사카이 호이츠 등과도 교류하는 등, 문인 다이묘로도 이름을 떨쳤다. 그러나 정치가로서는 이류였다고 하며, 일설에는 지나친 재능 때문에 공의(公儀)가 꺼렸다고 한다.
간세이 12년 (1800년) 윤4월 9일, 가독을 양자인 도모쓰나에게 물려주고 은거했다. 출가하여 오미뉴도(近江入道|오미뉴도일본어)라 칭했다. 에도로 돌아와, 교와 2년 (1802년) 4월 17일에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마사쓰나가 수집한 옛 동전은 후에 번 재정의 위기 및 서양식 군비의 필요 때문에 50정의 괴펠총과 교환하여 해외로 유출되었다. 현재 그 일부가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주로 일본 동전이지만, 중국, 베트남, 조선 동전도 섞여있다.
2. 4. 사후 평가
구쓰키 마사쓰나는 "고전가의 왕자(古銭家の王者)"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옛 동전 수집에 조예가 깊었다. 13세 무렵부터 화한의 옛 동전을 수집했으며, 유럽 국가의 화폐까지 수집 범위를 넓혔다. 네덜란드어를 익혀 네덜란드 상관장 아이작 티칭과 교류하며 서양 책이나 유럽 동전을 입수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38세에 『서양전보(西洋銭譜)』를 간행했는데, 이는 17세기부터 18세기의 유럽 화폐 그림을 담은 획기적인 자료였다. 『난학계제(蘭学階梯)』 서문, 『태서여지도설(泰西輿地図説)』, 『화한고금천화감(和漢古今泉貨鑑)』, 『신찬전보찬(新撰銭譜撰)』 12권, 『양화분량고(良貨分量考)』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난학에도 조예가 깊어 마에노 료타쿠에게 입문하여 스기타 겐파쿠, 오오츠키 겐타쿠 등과 교류했다. 마쓰다이라 하루사토에게 다도를 배우고, 사카이 호이츠와 교류하는 등 문인 다이묘로서 명성을 떨쳤다. 그러나 정치가로서는 이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사쓰나가 수집한 옛 동전은 번 재정 위기와 서양식 군비 마련을 위해 50정의 괴펠총과 교환되어 해외로 유출되었다. 현재 대영박물관에 일부가 소장되어 있으며, 일본 동전 외에도 중국, 베트남, 조선 동전도 포함되어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구쓰키 쓰나사다 | 1713년 ~ 1788년 |
어머니 | 불명 | |
양아버지 | 구쓰키 노부쓰나 | 1731년 ~ 1787년 |
정실 | 이쿠만히메 | 마쓰다이라 무네노부의 딸 |
계실 | 혼다 스케미쓰의 딸 | |
두번째 계실 | 이토 나가토시의 딸 | |
아들 (생모 불명) | 유노스케 | |
차남 (생모 불명) | 구쓰키 쓰나카타 | 1787년 ~ 1838년, 구쓰키 도모쓰나의 양자 |
3남 (생모 불명) | 요네쿠라 마사나가 | 1793년 ~ 1863년, 요네쿠라 마사노리의 양자 |
아들 (생모 불명) | 후쿠쥬스케 | |
양자 | 구쓰키 도모쓰나 | 1767년 ~ 1803년, 구쓰키 노부쓰나의 장남 |
4. 저서
구쓰키 마사쓰나는 신찬전보찬(전12권), 화한고금천화감, 서양전보(1787년 간행), 태서여지도설(1789년 간행) 등의 저서를 남겼다. 이 중 신찬전보찬은 마사쓰나의 첫 고전 목록이며, 화한고금천화감은 간행 당시 인기작이었다. 서양전보는 서구 여러 나라의 화폐에 대해, 태서여지도설은 서양 지리에 대해 다룬 책이다.
4. 1. 고전 목록
1798년에 간행된 구쓰키 마사쓰나의 고전 목록으로, 에도 시대 당시 인기작이었다.제목 | 권수 | 비고 |
---|---|---|
신찬전보찬(新撰銭譜撰) | 전12권 | 마사쓰나의 첫 고전 목록 |
화한고금천화감(和漢古今泉貨鑑) | 1798년 간행, 간행 당시 인기작 |
4. 2. 서양 관련 저서
1787년 간행된 『서양전보(西洋銭譜)』는 서구 여러 나라의 화폐에 관해 다룬 저서이다. 1789년 간행된 『태서여지도설(泰西輿地図説)』은 서양 지리에 대한 개설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