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인류는 단일하고 합의된 정의가 없으며, 학자에 따라 현생 인류를 포함하는 종으로 보거나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구인류는 호모 에렉투스보다 뇌 용적이 확대되었으며, 뇌 용적의 증가는 단속 평형의 예시로 설명되기도 한다. 구인류의 개체 발생은 현생 인류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알타무라 남자, 시에마 데 로스 후에소스, 크로마뇽인, 드래곤 맨, 카브웨 두개골 등 다양한 구인류 화석들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인류학 - 저우커우뎬
저우커우뎬은 베이징 교외의 고고학 유적으로, 베이징 원인 화석과 석기, 불 사용 증거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유물을 제공하여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인류학 - 투마이
관련 정보가 없어 투마이에 대한 요약을 할 수 없다. - 사람속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사람속 - 네안데르탈인
네안데르탈인은 유럽과 서아시아에 살았던 고대 인류로, 큰 뇌 용량과 독특한 신체적 특징을 지녔으며, 무스테리안 문화를 사용하고 동굴에서 거주하며 매장 의례를 치르는 등 복잡한 사회생활을 영위했지만, 현생 인류와의 경쟁, 기후 변화 등으로 약 4만 년 전 멸종한 종이며, 현생 인류와 이종교배하여 현생 인류 유전체에 일부 유전자가 남아있다. - 인류의 진화 - 수렵채집사회
수렵채집사회는 인류가 수렵과 채집으로 식량을 얻는 사회 형태이며, 이동 생활과 평등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농업의 등장으로 감소했고, 현재는 극소수만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 인류의 진화 - 혼인
혼인은 당사자 간의 합의와 혼인신고를 통해 시작되는 법률행위이며, 부부 관계를 형성하고 법적 의무가 따르며, 사회적, 문화적, 법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 구인류 | |
|---|---|
| 개요 | |
| 학명 | Homo sapiens 고인류 |
| 하위 그룹 |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로데시엔시스 호모 안테세소르 호모 헬메이 기타 호모 종 |
| 시대 | 플라이스토세 |
| 특징 | 현대 호모 사피엔스와 유사하지만, 뚜렷한 해부학적 차이 존재 뇌 크기: 현대인과 유사하거나 약간 더 큼 골격: 더 튼튼함 이마: 경사짐 얼굴: 큼 |
| 사용 도구 | 무스테리앙 르발루아 기타 구석기 시대 도구 |
| 거주지 |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
| 언어 능력 | 제한적인 언어 능력 (현대인에 비해) |
| 분류 | |
| 종(種) |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로데시엔시스 호모 안테세소르 호모 헬메이 호모 롱기 호모 날레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데니소바인 |
| 논쟁적인 분류 | 일부 학자들은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게오르기쿠스 포함 |
| 연대 |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번성 (약 180만 년 전 ~ 11,700년 전) |
| 문화 | |
| 기술 | 구석기 시대 기술 사용 무스테리앙 문화, 르발루아 기술 등 불 사용, 간단한 옷 제작 |
| 사회 | 작은 집단으로 생활 협력적인 사냥 간단한 장례 의식 |
| 예술 | 제한적인 예술 활동 (동굴 벽화, 조각) 상징적인 사고 능력의 초기 형태 |
| 유전적 혼합 | 현생 인류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간의 유전자 교환 존재 아프리카인 제외한 유라시아인 유전자 일부에서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발견 |
| 다른 이름 | |
| 호칭 | 고인류 구인류 |
| 추가 정보 | |
| 관련 링크 | 인류 진화 호모 선사 시대 |
2. 용어와 정의
구인류의 개체발생은 현생 인류 개체발생의 출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1] 현생 인류와 화석 인류의 뇌 및 치아 발달 비교 결과, ''호모 에렉투스''의 개체발생은 현생 침팬지의 개체발생과 현생 인류의 개체발생보다 더 유사했으며,[22] 네안데르탈인은 생애사 이론에 따라 현생 인류와 유사한 생애사를 경험했는데, 이는 수렴 진화의 결과일 수 있다.[21] 생물 인류학자 타냐 M. 스미스는 구인류의 생애사를 연구할 때 현생 인류와 현존하는 유인원을 참고하는 것은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멸종된 인류가 두 참고 자료 중 하나와 유사하게 발달했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23]
로빈 던바는 구인류가 최초로 언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뇌 크기와 인류 집단 크기 간의 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구인류가 큰 뇌를 가졌기 때문에 120명 이상의 집단에서 생활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던바는 언어 없이는 이렇게 큰 집단이 응집력을 유지하기 어려워 결국 붕괴될 것이기 때문에, 구인류가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침팬지는 최대 50명 정도의 더 작은 집단에서 생활하는데, 이는 언어 없이 유지 가능한 집단 크기의 상한선으로 여겨진다.[24][25][37]

고(古)인류라는 범주는 단일하고 합의된 정의가 없다.[11] 한 정의에 따르면, ''호모 사피엔스''는 고인류와 현생 인류를 포함하는 여러 아종으로 구성된 단일 종이다. 이 정의에 따르면 현생 인류는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로 지칭되며 고인류는 "''호모'' ''사피엔스''" 접두사로도 지정된다. 예를 들어, 네안데르탈인은 ''호모 사피엔스 네안데르탈렌시스''이고,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호모 사피엔스 하이델베르겐시스''이다. 다른 분류학자들은 고인류와 현생 인류를 단일 종으로 간주하지 않고 여러 다른 종으로 간주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 경우 표준 분류법, 즉 ''호모 로데시엔시스'' 또는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가 사용된다.[11]
현생 인류와 고인류, 고인류와 ''호모 에렉투스''를 구분하는 진화적 경계선은 불분명하다. 233,000년에서 195,000년 전의 오모 유적과 같은 해부학적으로 현생 인류의 가장 초기의 화석, 160,000년 전의 ''호모 사피엔스 이달투'', 90,000년 전의 카프제 유적 화석은 확실히 현생 인류이다. 이 초기 현생 인류는 뚜렷하지는 않지만 적당한 눈썹 융기와 같은 여러 고인류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뇌 용적의 확대

구인류의 출현은 때때로 단속 평형의 예시로 사용되기도 한다.[19] 이는 종이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상당한 생물학적 진화를 겪은 후, 다음 단속이 있을 때까지 오랜 기간 동안 거의 변화를 겪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구인류의 뇌 크기는 호모 에렉투스의 평균 900cm3에서 1300cm3 수준으로 크게 확대되었는데, 이는 현생 인류의 평균 뇌 용적과 비슷한 수준이다. 구인류 시대 동안 인간 뇌 크기가 정점에 달한 이후, 감소하기 시작했다.[20]
4. 생애사 진화
5. 언어의 기원
6. 화석
참조
[1]
논문
The origin and evolution of Homo sapiens
[2]
논문
The Omo-Kibish I pelvis
2017-07
[3]
논문
Pleistocene ''Homo sapiens'' from Middle Awash, Ethiopia
[4]
논문
Oldest Homo sapiens fossil claim rewrites our species' history
http://www.nature.co[...]
2017-06-07
[5]
뉴스
Oldest ''Homo sapiens'' bones ever found shake foundations of the human story
https://www.theguard[...]
2017-06-07
[6]
논문
New fossils from Jebel Irhoud, Morocco and the pan-African origin of ''Homo sapiens''
http://kar.kent.ac.u[...]
[7]
논문
Age of the oldest known Homo sapiens from eastern Africa
2022-01
[8]
논문
Apidima Cave fossils provide earliest evidence of ''Homo sapiens'' in Eurasia
https://zenodo.org/r[...]
[9]
논문
The origin of Neandertals
[10]
웹사이트
Early and Late "Archaic" Homo Sapiens and "Anatomically Modern" Homo Sapiens
https://web.archive.[...]
[11]
서적
The Ancestor's Tale
https://archive.org/[...]
Mariner
[12]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뉴스
DNA Turning Human Story Into a Tell-All
https://www.nytimes.[...]
2012-01-30
[14]
뉴스
Neanderthals did not interbreed with humans, scientists find
https://www.telegrap[...]
2012-08-14
[15]
뉴스
Neanderthals 'unlikely to have interbred with human ancestors'
https://www.theguard[...]
2013-02-04
[16]
논문
Neanderthal and Denisova genetic affinities with contemporary humans: Introgression versus common ancestral polymorphisms
[17]
뉴스
Remains found in China may belong to previously unknown human lineage - Scientists in eastern China examined a jawbone, fragments of a skull and various foot bones from a hominin that lived approximately 300,000 years ago; Findings suggest this particular lineage bears a closer resemblance to Homo sapiens, or modern-day humans
https://www.ynetnews[...]
2023-08-07
[18]
논문
Morphological and morphometric analyses of a late Middle Pleistocene hominin mandible from Hualongdong, China
https://www.scienced[...]
2023-09-01
[19]
논문
Hominin cognitive evolution: identifying patterns and processes in the fossil and archaeological record
2012-08
[20]
뉴스
Cro Magnon skull shows that our brains have shrunk
https://phys.org/new[...]
2010-03-15
[21]
논문
Brain ontogeny and life history in Pleistocene hominins
https://www.jstor.or[...]
2015
[22]
논문
Growth, Development, and Life History throughout the Evolution of Homo
https://www.jstor.or[...]
2012
[23]
논문
Teeth and Human Life-History Evolution
https://www.jstor.or[...]
2013
[24]
웹사이트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https://www.cambridg[...]
[25]
서적
Grooming, Gossip, and the Evolution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Ancestor's Tale
Mariner
[27]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llustrated
[28]
뉴스
DNA Turning Human Story Into a Tell-All
http://www.nytimes.c[...]
NYTimes
2012-01-30
[29]
뉴스
Neanderthals did not interbreed with humans, scientists find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12-08-14
[30]
뉴스
Neanderthals 'unlikely to have interbred with human ancestors'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3-02-04
[31]
뉴스
Neanderthal and Denisova genetic affinities with contemporary humans: Introgression versus common ancestral polymorphisms
http://www.sciencedi[...]
ScienceDirect
2013-11-01
[32]
뉴스
Human fossils hint at new species
http://www.bbc.co.uk[...]
BBC
2012-03-14
[33]
웹사이트
Chinese human fossils unlike any known species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12-03-14
[34]
뉴스
Cave Fossil Find: New Human Species or "Nothing Extraordinary"?
http://news.national[...]
2012-03-14
[35]
서적
Alone in the World?
Wm. B. Eerdmans
[36]
뉴스
Cro Magnon skull shows that our brains have shrunk
http://phys.org/news[...]
2010-03-15
[37]
서적
Grooming, Gossip, and the Evolution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