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안보총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안보총국(GUGB)은 합동국가정치국(OGPU)에서 유래하여 1934년부터 1941년까지 존재했던 소련 내무인민위원회(NKVD) 산하 조직이다. GUGB는 군사 방첩 업무를 담당하는 특수 부서를 육군과 해군에 편입시키는 등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NKVD와 NKGB로 분리되었다가 SMERSH로 통합되기도 했다. GUGB는 1935년 9개의 부서로 시작하여 1937년, 1938년, 그리고 1941년에 이르기까지 조직 구조가 변경되었으며, 독특한 계급 체계를 사용했다. 야코프 아그라노프, 미하일 프리노프스키, 라브렌티 베리야, 세볼로트 메르쿨로프 등이 GUGB의 주요 인물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정보기관 - 스메르시
    스메르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방첩 기관으로, "스파이에게 죽음을"이라는 구호 아래 소련군의 후방 보호, 불순분자 색출, 군사 방첩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종전 후 히틀러 사망 진상 조사 및 유해 처리 임무를 맡았으나 해체되었고, 긍정적 기여와 부정적 인권 침해 양면으로 평가받는다.
  • 소련의 정보기관 - 내무인민위원부
    내무인민위원부는 소련의 내무 기관으로, 초기에는 행정 업무를 수행했으나 점차 비밀 경찰, 첩보, 정치 탄압 등 광범위한 권력을 행사하며 공포 정치를 상징하는 기관이 되었고, 이후 내무부와 국가보안위원회로 분리되었다.
  • 러시아의 정보기관 - 러시아 내무부
    러시아 내무부는 1802년 설립되어 치안 유지, 교도소 관리, 국경 관리 등의 권한을 행사했던 러시아의 행정 기관으로, 비밀경찰 기능을 수행하며 감시와 통제 역할을 담당해 국민 사생활 침해 논란이 있다.
  • 러시아의 정보기관 - 공안질서수호국
    공안질서수호국은 제정 러시아 시기에 반체제 인사 감시와 정치적 탄압을 담당했던 비밀 경찰 조직으로, 혁명 운동 탄압, 노동 운동 감시 등의 활동을 수행했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해체되었고 볼셰비키 정권에 의해 체카로 대체되었다.
  • 해체된 정보기관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대한민국 중앙정보부는 1961년에 설립되어 국가 안보 관련 정보 수집, 범죄 수사, 정부 부처 감독을 수행했으며, 김종필, 김형욱, 이후락 등이 부장을 역임하고 인민혁명당 사건, 동베를린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 등과 관련된 기관이다.
  • 해체된 정보기관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국가안보총국
개요
러시아 연방 보안국의 문장
러시아 연방 보안국의 문장
국가소비에트 연방 (1954년–1991년)
국가러시아 (1991년–현재)
유형정보 기관
역할국내 보안
정보방첩
역사
설립1954년 (국가보안위원회)
해체1991년
계승러시아 연방 보안국
구조
상위 기관소비에트 연방 각료 회의 (1954–1991)
러시아 대통령 (1991)
추가 정보
이전 명칭국가보안위원회 (1954년-1991년)
후신러시아 연방 보안국 (1991년-현재)
대외정보국 (1991년-현재)
연방 경호국 (1991년-현재)
대통령 특별 프로그램 관리국 (1991년-현재)
정부 통신 및 정보 연방 기관 (1991년-현재)
러시아 연방 국경 수비대 (1991년-현재)
소련 비밀 경찰 기관 연표
1917–22전러시아 비상 위원회 (All-Russian Extraordinary Commission)
1922–23국가 정치 총국 (State Political Directorate)
1923–34합동 국가 정치 총국 (Joint State Political Directorate)
1934–41, 1941–43인민 내부 문제 위원회 (People's Commissariat for Internal Affairs) (국가 보안 총국) (Main Directorate of State Security)
1941, 1943–46국가 보안 인민 위원회 (People's Commissariat for State Security)
1946–53국가 보안부 (Ministry of State Security)
1953–54내부 문제부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1954–91국가 보안 위원회 (Committee for State Security)

2. 역사

국가안보총국은 합동국가정치국(OGPU)에서 발전했다. 1941년 2월 3일, NKVD의 특수 부서(OO)(군사 방첩 담당)는 육군해군(각각 RKKA 및 RKKF)에 편입되었고, 국가보안총국은 NKVD 내 조직으로 해체되었다. 국가보안총국 부서는 재편성되어 NKGB의 핵심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NKVD와 NKGB는 별개 국으로 재결합되었다. 1941년 7월 20일, 육군 및 공군 방첩 부서는 빅토르 아바쿠모프 휘하 특별 부서 국으로 NKVD에 반환되었고, 1942년 1월 해군 방첩 부서도 NKVD로 복귀했다. 1943년 4월, 이들은 다시 국방 인민 위원회와 해군 인민 위원회로 이관되어 SMERSH('스메르트 시피오남', "스파이에게 죽음을")가 되었다. 동시에 국가보안총국은 NKVD에서 분리되어 NKGB가 되었다.

2. 1. 초기 조직 개편 (1934-1937)

국가보안총국은 합동국가정치국(OGPU)에서 발전했다. 1941년 2월 3일, 국가보안총국-NKVD의 특수 부서(OO)(군사 방첩 담당)는 육군해군(각각 RKKA 및 RKKF)에 편입되었다. 국가보안총국은 NKVD USSR 내의 조직으로 해체되었다. 국가보안총국에서 운영되던 부서는 재편성되어 새로 만들어진 인민 국가 보안 위원회(NKGB)의 핵심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NKVD와 NKGB는 국가보안총국이 아닌 완전히 별개의 국으로 재결합되었다. 1941년 7월 20일, 육군 및 공군 방첩 부서는 빅토르 아바쿠모프 휘하의 특별 부서 국으로 NKVD로 반환되었다. 1942년 1월에는 해군 방첩 부서(CI)가 뒤따랐다. 1943년 4월, 다시 국방 인민 위원회와 해군 인민 위원회로 이관되어 SMERSH('스메르트 시피오남' 또는 "스파이에게 죽음을")가 되었다. 동시에, 국가보안총국은 다시 NKVD에서 분리되어 NKGB가 되었다.

2. 2. 예조프 시기의 조직 확대 (1937-1938)

1941년 2월 3일, 국가안보총국(GUGB)-NKVD의 특수 부서(OO)(군사 방첩 담당)는 육군해군(각각 RKKA 및 RKKF)에 편입되었다. GUGB는 NKVD USSR 내의 조직으로 해체되었다. GUGB에서 운영되던 부서는 재편성되어 새로 만들어진 인민 국가 보안 위원회(NKGB)의 핵심이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NKVD와 NKGB는 GUGB가 아닌 완전히 별개의 국으로 재결합되었다. 1941년 7월 20일, 육군 및 공군 방첩 부서는 빅토르 아바쿠모프 휘하의 특별 부서 국으로 NKVD로 반환되었다. 1942년 1월에는 해군 방첩부서(CI)가 뒤따랐다. 1943년 4월, 다시 국방 인민 위원회와 해군 인민 위원회로 이관되어 SMERSH('스메르트 시피오남' 또는 "스파이에게 죽음을")가 되었다. 동시에, GUGB는 다시 NKVD에서 분리되어 NKGB가 되었다.[1]

2. 3. 베리야 시기의 조직 개편 (1938-1941)

베리야 시기인 1941년 2월 3일, 국가보안총국(NKVD 산하 특수 부서(OO))(군사 방첩 담당)은 소련군의 육군과 해군(각각 RKKA 및 RKKF)에 편입되었다. 국가보안총국(GUGB)은 NKVD USSR 내의 조직으로 해체되었다. 국가보안총국에서 운영되던 부서는 재편성되어 새로 만들어진 인민 국가 보안 위원회(NKGB)의 핵심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NKVD와 NKGB는 국가보안총국(GUGB)이 아닌 완전히 별개의 국으로 재결합되었다. 1941년 7월 20일, 육군 및 공군 방첩 부서는 빅토르 아바쿠모프 휘하의 특별 부서 국으로 NKVD로 반환되었다. 1942년 1월에는 해군 CI가 뒤따랐다. 1943년 4월, 다시 국방 인민 위원회와 해군 인민 위원회로 이관되어 SMERSH('스메르트 시피오남' 또는 "스파이에게 죽음을")가 되었다. 동시에, 국가보안총국(GUGB)는 다시 NKVD에서 분리되어 NKGB가 되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해체

1941년 2월 3일, 국가보안총국(GUGB)-NKVD의 특수 부서(OO)(군사 방첩 담당)는 육군해군(각각 RKKA 및 RKKF)에 편입되었다. GUGB는 NKVD USSR 내의 조직으로 해체되었다. GUGB에서 운영되던 부서는 재편성되어 새로 만들어진 인민 국가 보안 위원회(NKGB)의 핵심이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NKVD와 NKGB는 GUGB가 아닌 완전히 별개의 국으로 재결합되었다. 1941년 7월 20일, 육군 및 공군 방첩 부서는 빅토르 아바쿠모프 휘하의 특별 부서 국으로 NKVD로 반환되었다. 1942년 1월에는 해군 방첩 부서가 뒤따랐다. 1943년 4월, 다시 국방 인민 위원회와 해군 인민 위원회로 이관되어 SMERSH('스메르트 시피오남' 또는 "스파이에게 죽음을")가 되었다. 동시에, GUGB는 다시 NKVD에서 분리되어 NKGB가 되었다.[1]

3. 조직 구조

국가보안총국(GUGB)은 1937년 말까지 내무인민위원회(NKVD) 내에서 가장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기관이었다. GUGB의 각 부서는 정보, 내부 보안, 방첩, 정부 보호, 비밀 통신 등을 담당했다.[2]

1934년부터 1941년까지 GUGB는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다. 1935년 1월에는 9개 부서, 1937년 말에는 12개 부서로 구성되었으며, 1938년 9월 라브렌티 베리야가 GUGB 국장이 된 후 다시 한번 조직이 개편되었다.

GUGB의 상세한 조직 구조는 하위 섹션인 "주요 부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부서

1934년부터 1941년까지 국가보안총국은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다.

1935년 1월, 국가보안총국(GUGB) 구조에는 9개의 부서가 있었다.

부서명부서장
작전 부서카를 파우커
특별 부서글레프 보키
경제 부서(ЭКО/EKO)레프 미로노프
특별 부서(OO)마르크 가이
비밀 정치 부서(СПО/SPO)게오르기 몰차노프
외무 부서(ИНО/INO)아르투르 아르투조프
운송 부서(ТО)블라디미르 키치킨
정보 및 통계 부서(УСО/USO)야코프 겐킨
인사 부서(OK)야코프 베인슈톡



1937년 말, 내무인민위원 니콜라이 예조프는 명령 #00362를 통해 부서 수를 5개에서 12개로 변경했다.

부서명부서장
제1부서 (정부 보호)이스라엘 다긴
제2부서 (작전)안스 잘페테르
제3부서 (방첩)(КРО/KRO)알렉산드르 미나예프-치카노비치
제4부서 (비밀 정치)(СПО/SPO)미하일 리트빈
제5부서 (특별)(OO)니콜라이 니콜라예프-주리드
제6부서 (운송)(TO)미하일 볼코프
제7부서 (외무(정보))(ИНО/INO)아브람 슬루츠키
제8부서 (기록 및 통계)(УСО/USO)블라디미르 체사르스키
제9부서 (특별(암호))(OO)이사크 샤피로
제10부서 (감옥)야코프 베인슈톡
제11부서 (해상 운송)(ВО/WO)빅토르 이르체프
제12부서 (기술 및 작전)(OOT)세묜 주코프스키



라브렌티 베리야가 1938년 9월 29일에 국가보안총국(GUGB) 국장이 된 후, GUGB는 또 다른 조직 개편을 거쳤다.

부서명부서장
제1부서 (정부 보호)이스라엘 다긴
제2부서 (비밀 정치)보그단 코불로프
제3부서 (방첩)니콜라이 니콜라예프-주리드
제4부서 (특별)표트르 페도토프
제5부서 (외무(정보))젤만 파소프
제6부서 (암호)알렉산드르 발라무토프
GUGB 수사부



국가보안 3급 위원 세볼로트 메르쿨로프[2] 시기의 GUGB 조직은 다음과 같다.


  • 제1부서 - 당 및 소련 관리 보호
  • * 정치 부서, 24개 사무 부서, 학교, CC VKP(b) 및 NKVD USSR의 사령부 사무실 포함

  • 제2부서 - 비밀 정치
  • * 제1부서: 트로츠키주의자, 지노비예프주의자, 좌익, 우익, 미아스니코프주의자, 실랴프니코프주의자, 당에서 추방된 자, 외교 임무
  • * 제2부서: 멘셰비키, 아나키스트, 사회혁명당 구성원, 분트주의자, 시온주의자, 성직자, 도발자, 헌병, 방첩 요원, 처벌자, 백 코사크, 군주주의자
  • * 제3부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우그로-핀란드 민족 방첩
  • * 제4부서: 반소련 정치 정당, 다시나크, 튀르크-타타르-몽골 민족 방첩, 그루멕스, 무사바트주의자, 민족주의자에 대한 요원 연구
  • * 제5부서: 문인, 언론, 출판, 극장, 영화, 예술
  • * 제6부서: 과학 아카데미, 과학 연구소, 과학 협회
  • * 제7부서: 학생 청소년, 계몽 인민 위원회 시스템 및 억압된 자녀들 사이에서 방첩 형성 발견 및 연구
  • * 제8부서: USSR 및 RSFSR의 보건 인민 위원회 및 교육 기관
  • * 제9부서: 사법 인민 위원회, 대법원, 검찰청, 사회 보장 인민 위원회 및 교육 기관
  • * 제10부서: 교회 및 종교 방첩
  • * 제11부서: 체육 단체, 자원 봉사 단체, 클럽, 스포츠 출판사
  • * 제12부서: 특별 평의회, 민병대, 소방대, 군사 위원회들, 예비군 지도부

  • 제3부서 - 방첩
  • * 제1부서: 독일, 헝가리
  • * 제2부서: 일본, 중국
  • * 제3부서: 영국
  • * 제4부서: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스위스, 스페인
  • * 제5부서: 루마니아, 그리스,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 * 제6부서: 폴란드
  • * 제7부서: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 * 제8부서: 미국 및 남아메리카 국가
  • * 제9부서: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 * 제10부서: 백색 운동 방첩 요소
  • * 제11부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 * 제12부서: 외무 인민 위원회, 대사관 및 영사관
  • * 제13부서: ECCI, MOPR
  • * 제14부서: 대외 무역, 무역 사무소
  • * 제15부서: 인투리스트 및 VOKS
  • * 외교관 보안 부서
  • * 외교관 보안 정치 부서
  • * 제16, 17, 18, 19 외교관 보안 부서

  • 제4부서 - 특별
  • * 제1부서: 본부
  • * 제2부서: 정보국
  • * 제3부서: 항공
  • * 제4부서: 기술 부대
  • * 제5부서: 자동차 부대
  • * 제6부서: 포병, 기병대 및 포병 부대
  • * 제7부서: 보병, 기병대 및 포병 부대
  • * 제8부서: 정치 지도원
  • * 제9부서: 의료 서비스
  • * 제10부서: 해군
  • * 제11부서: NKVD 군
  • * 제12부서: 조직 및 동원
  • * 수사 부서

  • 제5부서 - 외무(정보)
  • * 제1부서: 독일, 헝가리, 덴마크
  • * 제2부서: 폴란드
  • * 제3부서: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네덜란드
  • * 제4부서: 영국
  • * 제5부서: 이탈리아
  • * 제6부서: 스페인
  • * 제7부서: 루마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 * 제8부서: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스피츠베르겐
  • * 제9부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 * 제10부서: 미국, 캐나다, 남아메리카, 멕시코
  • * 제11부서: 일본, 만주
  • * 제12부서: 중국, 신장
  • * 제12부서: 몽골, 투바
  • * 제12부서: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 * 제12부서: 기술 정보
  • * 제12부서: 작전 장비
  • * 제12부서: 비자

  • 제6부서 - 암호화, 국가 기밀 보호
  • * 제1, 2, 3 부서: 국가 기밀 보호, 비밀 업무에 투입된 사람 및 문서 검증 및 기록 보관
  • * 제4부서: 해독
  • * 제5부서: 암호 연구, 개발 및 기록 보관, NKVD 암호 초안 작성, 암호화 전문가 양성
  • * 제6부서: NKVD 암호화 과정
  • * 제7부서: 주변 장치 조직 관리, 비밀 암호화 및 요원 임무에 대한 지침 및 규정 개발
  • * 제8부서: 암호화

  • GUGB 수사부

3. 2. 계급 체계

국가안보총국(GUGB)은 적군의 직위-계급 체계와 민병대의 개인 계급 체계를 혼합한 독특한 계급 체계를 사용했으며, 계급장 또한 매우 뚜렷했다. 1937년에 도입된 계급장은 적군의 칼라 패치 패턴을 따랐지만, GUGB와 내무군/정치/전문 분야에 대해 매우 다른 계급을 부여하여 GUGB 계급은 최소 한 단계 더 높은 군대 계급과 동등하게 배치되었다.[3][4][5][6]

1943년 2월, GUGB와 민병대 계급이 군 계급과 계급장으로 대체되면서, 소령에서 상사 계급은 대령에서 준위 계급에 해당했으며, 선임 소령 이상은 다양한 등급의 위원으로 대체되었다. 1945년, 라브렌티 베리야는 소련 원수 계급을 받았고, 다른 GUGB 위원들은 소장에서 육군 대장에 이르는 계급을 받았다.

;GUGB 계급 1935–1943

  • 국가보안부 일반 위원
  • 국가보안부 1급 위원
  • 국가보안부 2급 위원
  • 국가보안부 3급 위원
  • 국가보안부 선임 소령
  • 국가보안부 소령
  • 국가보안부 대위
  • 국가보안부 선임 중위
  • 국가보안부 중위
  • 국가보안부 소위
  • 국가보안부 상사


;계급장 1935-1937

국가보안부 일반 위원국가보안부 1급 위원국가보안부 2급 위원국가보안부 3급 위원국가보안부 선임 소령국가보안부 소령국가보안부 대위국가보안부 선임 중위국가보안부 중위국가보안부 소위국가보안부 상사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петлица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н/з гб 1936
[7]



;계급장 1937-1943

국가보안부 일반 위원국가보안부 1급 위원국가보안부 2급 위원국가보안부 3급 위원국가보안부 선임 소령국가보안부 소령
петлица ГБ 1937
Нквд1936вс5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8]



국가보안부 대위국가보안부 선임 중위국가보안부 중위국가보안부 소위국가보안부 상사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петлица ГБ 1937
[8]


4. 주요 인물


  • 야코프 아그라노프: 국가보안 1급 위원이자 내무인민위원회 제1차 부국장으로, 1937년까지 국가안보총국의 초대 책임자였다.
  • 미하일 프리노프스키: 코르군(komkor) 계급으로, 1937년 4월 15일부터 1938년 9월 8일까지 국가안보총국의 책임자였다.
  • 라브렌티 베리야: 국가보안 1급 위원으로 승진하여 미하일 프리노프스키의 뒤를 이어 국가안보총국의 책임자가 되었다. 이후 내무인민위원회(NKVD 수장) 위원장이 되었다.
  • 세볼로트 메르쿨로프: 국가보안 3급 위원으로, 베리야가 내무인민위원회(NKVD 수장) 위원장이 되자 그의 제1차 부국장이자 국가안보총국의 마지막 수장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pl. Wielki Leksykon Służb Specjalnych Świata (eng. Great lexicon of world special services) https://www.empik.co[...] Książka i Wiedza
[2] 웹사이트 Structure and functions of NKVD USSR at the end of 1939 (Структура и функции НКВД СССР на конец 1939 года)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Парковочная страница R01 http://www.rkka.ru/u[...]
[4] 웹사이트 PIPNI.cz - Moderní hosting http://www.uniformin[...]
[5] 웹사이트 PIPNI.cz - Moderní hosting http://www.uniformin[...]
[6] 웹사이트 PIPNI.cz - Moderní hosting http://www.uniformin[...]
[7] 웹사이트 Звания и знаки различия органов госбезопасности (1935 – 1943 г.) http://shieldandswor[...] 2017-08-28
[8] 웹사이트 Форма и знаки различия в органах госбезопасности 1922- 1945 гг. http://www.fssb.su/h[...] 2017-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