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이 예조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예조프는 소련의 정치인으로, 1936년부터 1938년까지 내무인민위원장을 역임하며 대숙청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는 1930년대 스탈린의 측근으로 권력을 잡았으며, 수많은 당원, 군인, 일반 시민들을 체포, 처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예조프는 1938년 몰락하여 이듬해 체포되었고, 1940년 처형되었다. 그는 대숙청의 책임자로서 소련 및 러시아 당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재활되지 않았으며, 그의 사진은 권력에서 실각한 후 조작을 통해 삭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성소수자 정치인 - 게오르기 치체린
    게오르기 치체린은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 귀족 출신으로 외무성에서 근무하다 볼셰비키에 입당하여 소련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소련 외교의 기틀을 다졌고 독일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으나 말년에는 건강 악화와 정치적 비판으로 해임되었다.
  • 소련의 내무상 - 국가보안위원회
    국가보안위원회(KGB)는 냉전 시대 소련의 정보, 방첩, 첩보 활동을 총괄하는 막강한 기관이었으나 인권 탄압의 비판도 받으며, 소련 해체와 함께 해체되어 러시아 연방 보안청 등으로 기능이 계승되었다.
  • 소련의 내무상 - 유리 안드로포프
    유리 안드로포프는 소련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KGB 의장을 거쳐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소련을 이끌었으며, 경제 개혁과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지만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등으로 비난을 받았다.
  • 내무인민위원부 관련자 - 겐리흐 야고다
    겐리흐 야고다는 러시아 제국의 유대인 출신으로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굴라그 감독, 대숙청 주도 등 권력을 행사했으나 스탈린과의 갈등으로 처형되었다.
  • 내무인민위원부 관련자 - 라브렌티 베리야
    라브렌티 베리야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비밀 경찰 수장으로, 스탈린의 심복으로서 대숙청을 주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생산을 감독했으나, 스탈린 사후 권력 투쟁에서 밀려 처형되어 공포 정치의 대명사로 남았다.
니콜라이 예조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예조프의 사진
1938년의 예조프
별칭예제비카 (러시아어: Ежевика, "블랙베리")
철제 고슴도치
피투성이 난쟁이
붉은 난쟁이
직책
내무인민위원시작: 1936년 9월 26일
종료: 1938년 11월 25일
수상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전임겐리흐 야고다
후임라브렌티 베리야
소련 공산당 중앙통제위원회 의장시작: 1935년
종료: 1939년
전임라자르 카가노비치
후임안드레이 안드레예프
수운인민위원시작: 1938년 4월 8일
종료: 1939년 4월 9일
수상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전임니콜라이 파호모프
후임폐지
제17차 중앙위원회 정위원시작: 1934년 2월 10일
종료: 1939년 3월 3일
제17차 정치국 후보위원시작: 1937년 10월 12일
종료: 1939년 3월 3일
서기국 위원시작: 1935년 2월 1일
종료: 1939년 3월 3일
개인 정보
본명니콜라이 이바노비치 예조프
출생1895년 5월 1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1940년 2월 4일 (향년 44세),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사망 원인총살형
국적소비에트
정당소련 공산당 (1917–1939)
배우자안토니나 티토바 (1919–1930)
예브게니야 페이겐베르크 (1930–1938, 사망)
자녀1명 (입양)
니콜라이 예조프 서명
니콜라이 예조프 서명 (1938년)
군 복무
소속러시아 제국 육군
붉은 군대
복무 기간1915년 - 1917년 (러시아 제국 육군)
1919년 - 1921년 (붉은 군대)
1936년 - 1938년 (붉은 군대)
참전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계급국가보안총감
훈장
훈장레닌 훈장
몽골 인민 공화국 적기 훈장
노농 적군 20주년 기념 훈장
명예 국가보안총국장

2. 초기 이력

니콜라이 예조프의 어린 시절이나 가족에 대한 정보는 명확하지 않으며, 심지어 이름조차 막심 고리키의 소설 등장인물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엇갈린다. 공식적인 소련 전기 자료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예조프 본인도 스스로를 프롤레타리아 출신임을 강조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생이라고 주장했다.[5] 그러나 심문 과정에서는 그의 아버지가 볼콘시노 마을 출신의 부유한 러시아 농민 가문이었다고 진술했다.[5] 리투아니아 국립 역사 문서 보관소에서는 1895년 4월 19일 (율리우스력), 툴라주 크라피벤스키 관구 크라스넨스키 향에서 니콜라이가 태어났다는 기록이 발견되기도 했다.[61] 그의 아버지 이반 예조프는 음악가, 철도 신호수, 산림 감시인, 사창가 운영자, 집 칠 계약업자 등 다양한 직업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6][58] 어머니 안나 안토노브나 예조바는 리투아니아인이었다.[7] 예조프는 공식 문서에 리투아니아어와 폴란드어를 구사한다고 기재했으나, 후에 심문 과정에서는 이를 부인하며 군 복무 시절 동료들에게 몇 마디 배운 수준이라고 밝혔다.[5][49] 그는 스스로를 러시아인으로 여겼다.[49]

예조프는 초등 교육만 마쳤다. 1909년부터 1915년까지 재봉사의 조수와 공장 노동자로 일했으며, 푸틸로프 공장(키로프 공장)에서 일했다는 공식 약력과는 달리 실제 근무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65][66] 1915년 러시아 제국군에 징집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북서부 전선에 배치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병과 부상으로 후방 부대로 옮겨졌다.[49] 키가 151cm로 매우 작아 병역에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받고 포병 공방에서 경비병으로 일하다가, 글을 읽고 쓸 줄 안다는 이유로 서기관으로 임명되었다.[67][68][49] 그는 실제 전투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49]

1917년 5월 볼셰비키에 가입했으며, 러시아 내전 (1917–1922) 동안에는 붉은 군대 소속으로 싸웠다. 내전 이후에는 공산당 활동을 시작했다.

예조프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볼셰비키 지도자 중 한 명인 니콜라이 부하린은 "구 볼셰비키의 편지"(1936)에서 예조프의 잔인하고 가학적인 성향을 지적하며 "내 삶을 통틀어 예조프만큼 본질적으로 혐오스러운 사람을 거의 만나지 못했다. 그를 보면서, 나는 종종 케로신에 적신 고양이 꼬리에 종이를 묶어 불을 붙이고, 고양이가 공포에 질려 거리를 뛰어다니며 점점 더 가까워지는 불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즐기는 라스테리예바 거리 작업장의 사악한 소년들을 떠올리게 된다. 나는 예조프가 실제로 어린 시절에 이런 유형의 오락을 이용했고, 현재 다른 분야에서 다른 형태로 계속 그렇게 하고 있다고 의심하지 않는다."라고 술회했다. 그의 작은 키와 성향 때문에 "피의 난쟁이" 또는 "독 난쟁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10] 반면, 작가 나데즈다 만델슈탐은 1930년대 초 예조프를 만났을 때 그에게서 특별히 불길한 점을 느끼지 못했고 "수수하고 꽤 유쾌한 사람"으로 기억했다.[9]

2. 1. 초기 정치 활동

러시아 내전이 끝난 1922년 12월 이후 공산당의 여러 지역위원회 서기로 활동했다.[49]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의 결정으로[49] 1922년 2월 마리 자치주 지방 위원회 서기장으로 파견되었으나[69][70], 현지 지도부와의 갈등 끝에 10월 휴가를 떠난 뒤 복귀하지 않았다[49].

이후에도 여러 지역에서 당직을 거쳤다. 1923년 3월부터 1924년까지 발레리안 쿠이비셰프의 추천으로[71] 세미팔라틴스크 주 당 위원회 서기장을 지냈고, 1924년부터 1925년까지는 볼셰비키 전연방 공산당 키르기스 지방 위원회의 조직부장을, 1925년부터 1926년까지는 볼셰비키 전연방 공산당 카자흐스탄 지역 위원회 서기장 대리를 역임하며 필리프 골로셰킨 밑에서 일했다[72]. 1925년 12월 제14차 당대회 대표로 참가하여 당시 중앙위원회 조직배급부 부장이던 이반 모스크빈과 교류했다[49]. 모스크빈은 훗날 예조프를 "이상적인 노동자"로 평가하면서도 "멈출 때를 모른다"는 단점을 지적하기도 했다[49].

1927년 모스크바 중앙당의 회계 및 배포 부서로 전출되어 강사 및 부서장 대행으로 일하며 중앙 정치 무대에 진입했다[73][49]. 1929년부터 1930년까지는 농업 인민 위원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1930년 11월, 당 중앙위원회의 특별 문제 부서, 인사 부서, 산업 부서 등 여러 핵심 부서의 책임자로 임명되면서[49] 이오시프 스탈린의 신임을 얻고 그의 인사 정책을 실행하는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49].

1933년부터 1934년까지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서 당의 "숙청" 작업에 참여했다. 1934년 1월 제17차 당대회에서 자격 증명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같은 해 2월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8][49]. 동시에 중앙위원회 조직국 위원 및 당 통제 중앙 위원회 위원장으로도 선출되었는데, 이는 스탈린의 직접적인 추천에 의한 것이었다[49].

1935년 2월에는 중앙위원회 서기 및 당 통제 중앙 위원회 의장으로 취임하여 권력 핵심부에 더욱 깊숙이 자리 잡았다[75]. 이 시기 중앙위원회 산업부, 당 지도부, 계획·무역·재정 부문, 정치·행정 부문 등 여러 부서의 책임자를 겸임하며 당내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75].

1934년 12월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이 발생하자, 스탈린의 지시로 사건 수사를 지휘했다[49]. 예조프는 이 수사에서 레프 카메네프,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트로츠키 등이 암살에 연루되었다는 허위 결론을 내렸으며, 이는 이후 대숙청의 중요한 빌미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야코프 아그라노프와 협력하여 당시 내무인민위원이었던 겐리흐 야고다를 실각시키기 위한 공작을 벌이기도 했다[76]. 1937년 제17차 당 대회에서는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며 정치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49].

3. 내무인민위원장

1936년 9월 26일, 겐리흐 야고다의 후임으로 내무인민위원회(NKVD) 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49],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스탈린의 충실한 추종자였지만 국가 안보 기관 출신이 아니었던 점이 발탁 배경 중 하나로 여겨진다.[17][18] 스탈린은 NKVD를 완전히 장악하고 잠재적 반대파를 제거하기 위해 예조프가 적임자라고 판단했다.[18]

예조프가 스탈린으로부터 받은 첫 번째 임무는 전임자 야고다를 조사하고 기소하는 것이었다.[18] 예조프는 의욕적으로 증거를 조작하여 야고다를 반역자로 기소하였고 결국 처형하였다. 이 과정에서 야고다에게 모욕을 주기 위해 처형 전에 옷을 벗기고 심한 고문을 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야고다 숙청을 시작으로, 예조프는 대숙청으로 알려진 무자비한 탄압을 주도하게 된다.

1938년4월 8일, 예조프는 소련 수운 인민위원(Народный комиссариат 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СССР|나로드니 코미사리아트 보드노고 트란스포르타 에스에스에스에르ru) 직책을 겸임하게 되었다.

3. 1. 대숙청 주도

1935년 예조프는 "(스탈린에 대한) 정치적 반대는 필연적으로 폭력과 테러로 귀착된다"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이후 대숙청의 기본 논리가 되었다.

1936년 9월 26일, 겐리흐 야고다의 후임으로 내무인민위원회(NKVD) 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49],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스탈린의 충실한 추종자로 여겨졌던 예조프는 국가 안보 기관 출신이 아니었기에[17], 스탈린이 NKVD를 장악하고 잠재적 반대파를 제거하는 데 적합한 인물로 평가되었다.[18] 10월 1일 직무를 시작하며 예조프는 "나의 자그마한 몸에 주목할 필요는 없다. 나의 이 두 손은 튼튼하게 만들어졌다. 스탈린의 손이니까.", "인민의 적과의 투쟁을 방해하는 자는 지위나 계급에 관계없이 투옥하고 사살할 것이다"라고 발언하며 강력한 숙청 의지를 드러냈다.[49][49]

굴라그 신문 ''페레코프카'' ("재단조") 표지. 겐리흐 야고다를 니콜라이 예조프로 교체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예조프의 첫 임무는 전임자 겐리흐 야고다를 조사하고 기소하는 것이었다. 그는 야고다를 독일 스파이로 몰기 위해 자신의 사무실에 수은을 뿌려 중독된 것처럼 꾸미는 등[19] 증거를 조작하여 야고다를 반역 혐의로 기소했고, 결국 처형에 이르게 했다. 그는 야고다와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원수 등 많은 체포자들을 직접 고문하여 자백을 받아낸 것으로 알려졌다.[21][81] 야고다 처형 전에는 옷을 벗기고 심한 고문을 가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야고다 숙청을 시작으로 예조프는 무자비한 '''대숙청'''을 주도했다. 1937년부터 1938년까지 소련 공산당 고위 당원과 붉은 군대 고위 장교의 50%에서 75%가 직위 박탈, 투옥, 시베리아의 수용소 유배, 또는 처형을 당했다. 또한 수십만 명의 일반 소련 시민들도 "반소련 활동", "첩보 활동"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시베리아로 끌려갔다. 이들 중 상당수는 예조프가 지역 NKVD 기관에 할당한 체포 및 처형 할당량을 채우기 위해 무고하게 희생된 경우였다.[49] 예조프는 내무인민위원회(NKVD)와 군사정보국(GRU) 내부 숙청도 단행하여, 전임자 야고다나 멘진스키가 임명한 요원들뿐만 아니라 자신이 임명한 요원들까지 제거했다.[77]

소련 내무인민위원령 제00447호


1937년 7월 30일, 예조프는 '전 부농, 범죄자, 반소련 분자의 억압 작전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Приказ НКВД СССР № 00447|프리카스 엔카베데 에스에스에스에르 노메르 00447ru(소련 내무인민위원령 제00447호)에 서명하여 대량 탄압을 공식화했다.[49][79] 체포된 사람들의 운명은 주로 법적 절차를 무시한 비공식 위원회인 "Тройки НКВД|트로이카 엔카베데ru"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이들은 광범위한 체포, 투옥, 처형 권한을 행사했다. 예조프는 "Ленинская гвардия|레닌스카야 그바르디야ru" (레닌 친위대)로 불리던 오랜 볼셰비키 혁명가들을 숙청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니콜라이 부하린, 알렉세이 리코프, 얀 루주타크, 스타니슬라프 코시오르, 블라스 추바르, 파벨 포스티셰프, Эйхе, Роберт Индрикович|로베르트 에이헤ru 등이 희생되었다.[49] 1937년 6월에는 "Дело Тухачевского|델로 투하쳅스코보ru" (투하체프스키 사건)으로 알려진 재판에서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원수가 유죄 판결을 받고 총살되었다.

예조프는 "인민의 적 한 명이 도망가는 것보다 무고한 열 명이 고생하는 게 낫다" 또는 "나무를 자를 때는 톱밥이 날린다"고 말하며 일부 무고한 희생을 인정하면서도 숙청의 필요성을 강변했다.[22]

예조프 해임 직전 강제 수용소 건물 벽에 붙은 예조프와 스탈린의 초상화. 하단에는 혁명 기념 문구와 함께 "인민의 적, 해충, 외국의 첩보기관에 고용된 공작원을 근절하자! 조국을 배신한 자에게는 죽음을!"이라고 적혀 있다.


예조프가 내무인민위원장으로 재직하던 1937년부터 1938년까지 최소 130만 명이 체포되었고, 그중 681,692명 이상이 "국가에 대한 범죄" 혐의로 처형되었다.[23][49] 이는 1921년부터 1953년까지 정치적 이유로 처형된 전체 인원(799,455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49] 나머지는 굴라그로 보내졌으며, 굴라그 인구는 예조프 시기에 685,201명 증가하여 거의 세 배가 되었다. 굴라그에서도 가혹한 환경, 영양실조, 과로 등으로 최소 14만 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3] 하루 평균 1,500명 이상이 총살된 셈이다.[49]

예조프는 외국 인사에 대한 공작도 서슴지 않았다. 1937년 9월 22일, 소련 장군 예브게니 밀러를 파리에서 납치하여 모스크바로 압송한 뒤 처형했으며,[49] 1938년5월 23일에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지도자 예우헨 코노발레츠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폭탄으로 암살했다.[82][83]

1937년 12월 소련 최고 평의회 의원 선거 당시 스탈린(왼쪽)과 예조프(오른쪽)


1937년 7월 17일, 예조프는 "내무인민위원부를 통솔하고 정부의 임무 수행에 있어서 뛰어난 성공을 거두었다"는 이유로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78][49] 이 시기 예조프는 스탈린, 몰로토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다음가는 권력자로 부상했으며,[49] 그의 초상화가 신문과 공공장소에 걸리는 등 개인 숭배 현상까지 나타났다. 1937년 12월 체카 창립 20주년 기념식에서 아나스타스 미코얀은 "동지 예조프에게서 배우자. 그가 동지 스탈린에게서 배우듯이"라고 연설하기도 했다.[49] 1937년부터 1938년까지 이어진 극심한 공포 정치를 "Ежовщина|예좁시나ru" ("예조프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49]

그러나 1937년 12월 볼쇼이 극장에서 열린 체카 창립 20주년 기념식에서 예조프가 주인공처럼 행세하며 갈채를 받는 모습을 본 스탈린은 그의 정치적 야망을 의심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탈린은 권력 경쟁자가 성장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이는 예조프에게도 예외는 아니었다. 1938년4월 8일, 예조프는 소련 수운 인민위원(Народный комиссариат 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СССР|나로드니 코미사리아트 보드노고 트란스포르타 에스에스에스에르ru)을 겸임하게 되었다.

4. 몰락과 해임

1938년 4월 6일, 예조프는 수운인민위원으로 임명되었으나, 여전히 내무인민위원회(NKVD) 위원장직은 유지했다. 그러나 이 시기 이오시프 스탈린은 예조프의 무분별한 숙청으로 소련의 고급 인재 손실이 심각하다고 판단하여 숙청의 강도를 완화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예조프의 영향력은 점차 줄어들었다. 특히 나치 독일의 위협이 커지는 상황에서 예조프가 군대와 산업 전반에 걸쳐 실시한 광범위한 숙청은 소련의 국력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16][23][24]

1938년 6월 13일, 극동 NKVD 책임자였던 겐리흐 류시코프(Генрих Люшков|겐리흐 류시코프ru)가 일본 제국으로 망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예조프는 이전에 류시코프를 숙청으로부터 보호했었기 때문에, 이 사건으로 자신이 불충 혐의를 받을까 두려워했다.[24]

예조프의 몰락은 1938년 8월 22일, 스탈린의 동향인인 라브렌티 베리야(Лаврентий Берия|라브렌티 베리야ru)가 NKVD 제1부장으로 임명되면서 본격화되었다.[49] 베리야는 스탈린의 신임을 등에 업고 NKVD 내에서 예조프의 세력을 몰아내기 시작했다. 스탈린은 권력기관 책임자의 힘이 강해지면 다른 인물로 교체한 뒤 숙청하는 방식을 반복했는데, 예조프 역시 베리야의 등장이 자신의 몰락을 의미함을 직감했다. 이 때문에 그는 절망감에 술에 빠져 지냈다. 베리야는 1938년 초 예조프에 의해 체포될 뻔했으나, 조지아 NKVD 수장 세르게이 고글리제의 경고와 스탈린에 대한 직접적인 충성 맹세로 위기를 모면한 바 있었다.[25] 1938년 9월 8일, 예조프의 핵심 측근이었던 제1부장 미하일 프리노프스키(Михаи́л Фрино́вский|미하일 프리노프스키ru)가 해군으로 전출되면서 예조프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49]

1938년 10월, NKVD 이바노보 지방국장 빅토르 주라블료프는 당 중앙위원회에 예조프가 무고한 이들을 체포하고 "인민의 적"은 방치한다며 비판하는 서신을 보냈다. 베리야는 이 서신을 이용해 1938년11월 14일 스탈린에게 예조프의 문제점을 보고했다.[49] 1938년11월 19일, 중앙위원회 정치국 회의에서 이 문제가 논의되었고, 스탈린은 이를 예조프 해임의 공식적인 구실로 삼았다.

예조프 측근들의 운명도 비극으로 치달았다. 1938년11월 14일, 예조프는 우크라이나 NKVD 수장이자 자신의 측근인 알렉산드르 우스펜스키에게 위험을 경고했고, 우스펜스키는 잠적했다.[87] 스탈린은 예조프가 우스펜스키의 도주를 도왔다고 의심하며 베리야에게 체포를 명령했다.[26] 우스펜스키는 1939년 4월 체포되어 1940년 2월 26일 총살당했다.[49] 또 다른 측근 미하일 리트빈은 체포 직전 자살했으며[88], 예조프의 아내 예브게니아는 남편의 몰락과 주변 인물들의 연이은 체포 속에서 1938년 11월 19일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8][27]

결국 1938년11월 23일, 예조프는 정치국과 스탈린에게 사직서를 제출했다. 그는 사직서에서 NKVD와 검찰청에 잠입한 "인민의 적"들을 간과한 책임과 부하들의 망명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면서도, "중앙위원회의 지도 아래 적들을 훌륭하게 분쇄했다"고 주장하고 70세 노모에게는 해를 끼치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다.[49][91] 1938년 11월 25일, 예조프는 직무 소홀을 이유로 내무인민위원장에서 공식적으로 해임되었고, 베리야가 그 자리를 계승했다.[29] 1938년12월 9일, 프라우다(Правда|프라우다ru)는 예조프가 본인의 요청에 따라 해임되었으며 수운인민위원으로 임명되었다고 보도했다.[49]

해임 이후에도 예조프의 몰락은 계속되었다. 그는 1939년 1월 29일 마지막으로 정치국 회의에 참석했고, 1939년 3월 3일에는 중앙위원회 내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었으나 수운인민위원 직함은 유지했다. 하지만 1939년 3월 10일 시작된 제18차 당대회 대표로 선출되지 못했고, 발언 기회조차 얻지 못했으며 중앙위원회 위원으로도 재선되지 못했다. 1939년4월 9일, 수운인민위원회가 하천인민위원회와 해군인민위원회로 분할되면서 예조프는 마지막 직책마저 잃게 되었다.[49][30] 술에 의지하며 절망적인 나날을 보내던 예조프의 정치적 생명은 사실상 끝났다.[49]

5. 체포와 처형

1938년 8월 22일, 베리야가 NKVD 수장 예조프의 부관으로 임명되면서 예조프의 몰락이 시작되었다. 베리야는 대숙청 기간 동안 예조프에 의해 숙청될 뻔했으나, 스탈린에게 직접 충성심을 호소하여 살아남았고, 결국 권력 투쟁에서 예조프를 밀어내기 시작했다.[25] 스탈린의 승인 아래 베리야는 점차 NKVD의 실권을 장악했으며, 예조프의 핵심 측근들은 하나둘씩 제거되거나 다른 부서로 전출되었다. 자신의 몰락을 예감한 예조프는 알코올 중독과 절망에 빠져 업무를 거의 보지 못했다. 1938년 11월 11일, 스탈린과 몰로토프는 보고서를 통해 예조프 재임 기간 NKVD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비판하며 그의 제거를 위한 명분을 쌓았다. 예조프의 아내 예브게니는 남편의 몰락과 주변 인물들의 체포 속에 절망하여 1938년 11월 19일 자살했다.[28] 결국 예조프는 11월 25일 내무인민위원장에서 공식 해임되었고, 베리야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29]

1939년 3월 3일, 예조프는 공산당 중앙위원회 내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었으나, 수운인민위원 직함은 유지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4월 9일 해당 인민위원회가 폐지되면서 마지막 직위마저 잃게 되었다.[30] 스탈린은 몇 달간 예조프를 무시하다가, 베리야에게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에서 예조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1939년 4월 10일, 예조프는 게오르기 말렌코프의 사무실에서 베리야에게 체포되어[49] 수하노프카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의 체포 사실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31][32]

수감된 예조프는 극심한 고문을 당했다. 조사관 아나톨리 에사울로프와 보리스 로도스는 "신체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수단", 즉 심한 구타를 동원하여[49] 예조프로부터 자백을 받아냈다. 예조프는 "정부 기금 착복", "독일 스파이들과의 연계", "직무 소홀", "쿠데타 음모", "테러리즘 준비", "파괴 공작 활동" 등 정치적 혐의뿐만 아니라, 모욕감을 주기 위한 "성적 일탈 행위", 특히 동성애 혐의까지[33][34] 인정하도록 강요받았다. 기소장에는 그가 15세 때부터 동성애 성향을 보였으며, 야코프 보야르스키, 필리프 골로셰킨, 블라디미르 콘스탄티노프 등 여러 남성과 관계를 맺었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49]

1940년 2월 2일, 바실리 울리흐 판사 주재로 비공개 군사 재판이 열렸다.[35] 예조프는 재판 전날 베리야로부터 "모든 것을 정직하게 말하면 목숨을 살려주겠다"는 회유를 받았으나[49], 법정에서는 고문으로 인한 허위 자백이었다고 주장하며 대부분의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스파이, 테러리스트, 음모가가 아니라고 항변하며 "거짓말을 하느니 차라리 죽음을 택하겠다"고 말했다.[49] 다만, "체키스트 14,000명을 숙청했지만, 숙청은 불충분했다"고 인정하며 자신은 "인민의 적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고 주장했다.[36][49]

최후 변론에서 예조프는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스탈린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강조했다.

: "나는 25년 동안 당의 공적 시선 속에 있었습니다... 모든 사람이 저의 겸손함과 정직함을 사랑했습니다... 저는 스탈린에게 제 정치 생활에서 당을 속인 적이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시기를 요청합니다... 저는 스탈린에게 제가 상황의 희생자일 뿐이며... 스탈린에게 저는 그의 이름을 입술에 담은 채 죽을 것이라고 전해주십시오."[38][49]

그는 또한 자신의 어머니와 딸, 조카들의 안위를 부탁했다.[49]

1940년 2월 3일, 예조프에게 사형이 선고되었다. 판결을 듣고 그는 실신했으나 경비원들에게 끌려 나갔다. 사면 요청은 즉시 거부되었고, 예조프는 히스테릭하게 울부짖으며 끌려 나갔다고 전해진다.[39]

1940년 2월 4일, 예조프는 모스크바 바르소노페프스키 레인에 있는 NKVD 비밀 지하실에서 바실리 블로힌에 의해 총살되었다.[40][41][42] 처형 장소는 예조프 자신이 지시하여 만든 곳으로, 완전한 비밀 유지를 위해 루뱐카의 주 처형실을 피해서 선택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그는 처형 직전 옷이 벗겨진 채 심하게 구타당했으며, 반쯤 의식을 잃고 울부짖는 상태였다고 한다. 파벨 수도플라토프는 예조프가 처형장으로 끌려가면서 인터내셔널가를 불렀다고 증언했다.[49] 그의 시신은 즉시 화장되어 모스크바 돈스코예 묘지의 신원 미상자 공동 매장지에 버려졌다.[43] 예조프의 처형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고, 1948년까지도 그의 생사 여부에 대한 소문만 무성했다.[44]

1998년 러시아 연방 대법원 군사 자문 위원회는 예조프가 수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살해하고 소련과 우호 국가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등 중대한 범죄를 저질렀다고 판단하여 그의 명예 회복 신청을 기각하고 "명예 회복 대상이 아님"을 선언했다.[49] 위원회는 예조프가 "스스로 조직한 테러리즘의 희생자"로 간주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그의 이름은 '예좁시나'(Ежовщина|예좁시나ru, 예조프 시대의 공포 정치)라는 보통명사로 남아 스탈린 시대 대숙청의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6. 개인사

니콜라이 예조프는 키가 151cm로 매우 작았으며, 이 때문에 "독 난쟁이" 또는 "피의 난쟁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0]

1917년 그는 공산당 하급 서기였던 안토니나 알렉세예브나 티토바(Антонина Алексеевна Титоваru)와 처음 결혼했으나,[11] 1930년 이혼했다. 안토니나는 이후 별다른 탄압 없이 살다가 1988년9월 14일 사망했다.

1930년 이혼 직후, 예조프는 잡지 ''건설 속의 소련''의 편집장이자 여러 소련 작가 및 배우들과 친분이 있던 예브게니야 페이겐베르크(예브게니야 하유티나)와 재혼했다.[12] 예브게니야는 남편 외에도 여러 남성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1938년9월 18일, 예조프는 예브게니야에게 이혼을 요구했다. 절망한 예브게니야는 스탈린에게 "도움과 보호"를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으나 답장을 받지 못했다.[94] 그녀는 1938년 5월경부터 정신 상태가 악화되어 잡지 편집 업무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고, 10월 29일 "심각한 우울증" 진단을 받고 요양소에 입소했다. 11월 15일에는 그녀의 친구 지나이다 글리키나가 체포되었고, 예브게니야는 다시 스탈린에게 편지를 썼지만 역시 답은 없었다. 11월 17일, 예브게니야는 수면제인 루미날을 과다 복용하여 의식을 잃었고, 이틀 뒤인 1938년11월 19일 끝내 사망했다.[49][95]

예조프의 두 번째 아내 예브게니야와 양녀 나탈리야


훗날 아내의 죽음에 대해 심문을 받았을 때, 예조프는 자신이 아내에게 진정제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말했으며, 진정제 과다 복용이 죽음에 이를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고 진술하여 자살 방조 가능성을 시사했다.[49] 그는 예브게니야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49] 예브게니야의 친구 지나이다 글리키나는 1940년1월 25일 총살되었다.[96]

예조프 부부는 1933년 고아원에서 생후 5개월 된 여자아이 나탈리아를 입양했다. 예조프가 체포된 후인 1939년, 나탈리아는 다시 고아원에 맡겨졌고, 이후 나탈리아 니콜라예브나 하유티나라고 불렸다.[13] 나탈리아는 "양아버지에 대한 고발은 모두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며[97] 그의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했다.[49] 그녀는 2016년1월 10일 사망했다.[98]

예조프에게는 세 명의 조카가 있었다. 세르게이 니콜라예비치 바블린은 1939년10월 23일 내무인민위원회 특별회의 결정에 따라 "위험 분자"로 노동 수용소에서 8년 형을 선고받았다. 1946년5월 22일, 형기를 마치고 석방되었지만, 1952년1월 26일, 소련 내무성 특별위원회가 내린 결의에 따라 이전과 같은 이유로 국외 추방 처분을 받았다. 1953년 5월 말, 사면되었다.[49] 나머지 조카 아나톨리와 빅토르는 모두 1940년에 총살되었으며, 나중에 명예 회복이 이루어졌다.[49]

6. 1. 동성애 혐의

1939년 4월 10일 체포되어 수하노프카 감옥에 수감된[31][32] 예조프는 고문을 동반한 심문 과정에서[49] 정치적 혐의 외에도 동성애를 포함한 성적 문란 혐의로 고발당했으며 이를 자백했다.[33][34] 당시 소련에서는 1934년 3월 7일 소비에트 연방 중앙 집행 위원회의 결정으로 남색(동성애)이 범죄로 규정되어 있었다.[49]

예조프는 심문 과정에서 1925년 후반 필리프 골로셰킨을 포함한 여러 남성 애인이 있었으며, 카자흐 자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당 간부였던 골로셰킨과는 크즐오르다에서 아파트를 함께 사용했다고 진술했다. 또한 15세 때부터 동성애 성향이 있었다고도 언급했다.[49] 기소장에는 예조프가 "남색 행위에 탐닉했으며, '반소련 및 이기적인 목적으로 행동했다'"고 기술되었다.[49] 그의 동성애 상대로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 연출가 야코프 보야르스키, 필리프 골로셰킨, 사단 정치 위원 블라디미르 콘스탄티노프, 이반 데멘티예프 등이 거론되었다. 이 중 정신병원에 보내진 이반 데멘티예프를 제외한 나머지 인물들은 모두 총살되었다.[49][93]

1940년 2월 1일 예조프에게 제기된 5가지 주요 혐의에는 반소련 음모 조직 지도, 외세와의 첩보 활동 및 조국 배반, 무장 봉기 및 테러 준비, 파괴 공작 활동과 더불어 "남성과 성관계를 가졌다(동성애)"는 내용이 포함되었다.[49][49] 그러나 1940년 2월 2일 열린 비공개 재판의 기록에 따르면, 예조프는 최종 변론 등에서 다른 혐의들에 대해 부인하거나 해명했지만, 동성애 혐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으며, 해당 혐의는 최종적으로 기소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49]

7. 평가 및 유산

러시아에서 예조프는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자행된 대숙청의 만행 책임자로 알려져 있다.[45] 그는 처형된 후 공식 사진에서 모습이 사진 조작을 통해 지워져 기록말살형을 당했는데, 이 때문에 역사가들 사이에서 "사라진 코미사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는 소련에서 실각한 인물을 기록에서 "사라지게" 만드는 방식의 가장 잘 알려진 사례 중 하나이다.[46]

예조프가 숙청된 후, 그의 이름은 공식 기록에서도 지워졌다. 예를 들어, "볼셰비키 전연방 공산당사 약사" 초판에는 "1917년 10월, 벨라루스 서부 전선에서 대중 봉기를 위해 동지 예조프는 병사들을 대량 동원했다"고 기술되었으나,[49] 예조프가 총살된 후 이 문구는 삭제되었다.[49]

대숙청에서의 역할 때문에 소련러시아 당국은 예조프를 공식적으로 복권하지 않았다.[47][48] 1998년, 러시아 연방 대법원 군사 자문 위원회는 예조프에 대해 "복권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언했다.[49] 위원회는 "예조프는 자신의 아내를 포함하여 자신에게 불리한 인물들을 살해하는 등 수많은 살인을 조직했다. 소련과 우호 국가의 관계를 악화시켰으며, 소련과 일본 간의 군사 충돌을 부추겼다. 예조프의 명령에 따라 NKVD의 작전을 통해 1937년부터 1938년까지 150만 명 이상의 시민을 탄압했으며, 그중 약 절반을 총살했다"고 밝혔다.[49] 예조프의 복권은 거부되었으나, 그에게 제기된 첩보 활동, 반역 등의 공식적인 혐의 중 일부는 근거가 부족함을 시사하기도 했다.[49] 러시아 연방 대법원은 예조프를 "자신이 조직한 테러의 희생자로 간주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 그의 후임자인 라브렌티 베리야 역시 2000년에 복권이 거부되었다.[49]

역사학자 낸시 애들러는 예조프와 같은 인물들의 사후 복권 가능성이 법치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러시아에 복잡한 법적,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다고 지적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제정된 러시아의 관련 법률은 스탈린 시대 사형 집행관들의 명령으로 살해된 무고한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형 집행관 자신에게 관대함을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복권은 희생자들에 대한 새로운 모독이자 민주주의 확립에 나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49]

예조프의 이름은 러시아어에서 대숙청 시기를 가리키는 Ежовщина|예조프시나ru('예조프 체제')라는 보통명사로 남았다. 이는 베리야의 이름을 딴 Бериевщина|베리예프시나ru와 함께 사용된다.[49]

한편, 역사학자 올레그 흐르멜류크 등은 대숙청 격화에 스탈린의 역할이 결정적이었고, 예조프는 스탈린의 명령을 집행하는 하수인에 가까웠다는 평가도 있다. 숙청과 대규모 처형에 관한 주요 결정은 스탈린이 직접 내렸음을 보여주는 문서가 다수 존재한다는 것이다.[49]

참조

[1] 서적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2] 서적 Service (2009)
[3] 웹사이트 Ministers of Internal Affairs https://мвд.рф/histo[...] 2020-06-22
[4]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People's Commissar Nikolai Yezhov 2002
[5] 웹사이트 Interrogations of Nikolai Ezhov, former People's Commissar for Internal Affairs. https://msuweb.montc[...] 2020-11-03
[6] 서적 Waiting for Hitler
[7]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People's Commissar Nikolai Yezhov 2002
[8] 웹사이트 N.I. Yezhov: Biographical Notes http://www.cyberussr[...] 2009-10-10
[9] 서적 Hope Against Hope Collins & Harvill Press 1971
[10] 서적 Stalinist Russia https://books.google[...] Heinemann 2015-08-12
[11] 서적 Самые секретные родственники https://books.google[...] 2005
[12] 뉴스 Unknown roman of Mikhail Sholokov https://www.kommersa[...] 2013-01-24
[13] 뉴스 Daughter fights to clear Stalin's hitman http://www.bellybutt[...] 2018-09-30
[14]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People's Commissar Nikolai Ezhov, 1895-1940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2002
[15] 웹사이트 Заявление арестованного Н. И. Ежова в Следственную часть НКВД СССР. 24 апреля 1939 г. | Проект "Исторические Материалы" https://istmat.info/[...] 2020-12-29
[16] 서적 A Dictionary of 20th Century Commu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17]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18] 웹사이트 Stalin by Nikolaus Basseches https://books.google[...] 2020-09-20
[19] 서적
[20] 서적 Ezhov : biografii︠a︡ https://www.worldcat[...] 2007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The Whisperers: Private Life in Stalin's Russia 2007
[24]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25] 웹사이트 Book Review of Beria — Stalin's First Lieutenant by Amy Knight. http://www.haciendap[...] 2011-12-23
[26]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27]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28] 웹사이트 Хаютина Евгения Соломоновна, 01.01.1904-21.11.1938 http://bozaboza.ru/p[...] 2022-03-15
[29]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30]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31] 서적 "Stalinskiĭ pitomet︠s︡"--Nikolaĭ Ezhov https://www.worldcat[...] ROSSPĖN 2008
[32]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33] 서적
[34] 서적 Nikolai Yezhov: Bloody dwarf 2006
[35]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36]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37] 문서 A Statement Made Before a Secret Judicial Session of the Military Collegium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SSR 1940-02-03
[38] 서적 The Road to Terror "Stalin and the Self-Destruction of the Bolsheviks, 1932–1939"
[39] 서적 Stalin and His Hangmen: The Tyrant and Those Who Killed for Him
[40] 서적 undefined
[41]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42] 웹사이트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2007-12-18
[43] 서적 undefined
[44] 뉴스 COMMUNISTS: The Hunter http://www.time.com/[...] 2010-05-20
[45]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People's Commissar Nikolai Ezhov, 1895-1940 Hoover Institution Press 2002
[46] 웹사이트 "The Commissar Vanishes" in ''The Vanishing Commissar'' http://www.newseum.o[...] 2012-09-30
[47] 웹사이트 Women of the Gulag: Portraits of Five Remarkable Lives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2020-12-15
[48] 서적 Stalin's Loyal Executioner
[49] 웹사이트 Министры Внутренних Дел https://мвд.рф/histo[...] 2023-06-02
[50] 웹사이트 Справочник по истории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ой партии 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1898 - 1965 http://www.knowbysig[...] 2023-06-02
[51] 웹사이트 Ежов, Николай Иванович - Официальная справка члена ЦК http://www.hrono.inf[...] 2023-06-02
[52] 서적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53] 웹사이트 "Неусыпный страж революции": 80 лет НКВД https://tass.ru/obsc[...] 2023-06-12
[54] 웹사이트 В Украине чтят память жертв Большого террора: что нужно знать о массовых политических репрессиях https://24tv.ua/ru/v[...] 2023-06-12
[55] 서적 Сталин. Жизнь одного вождя Corpus 2015
[56] 서적 2004
[57] 웹사이트 Трудное возвращение: судьбы советских политзаключенных в 1950-1990-е годы https://imwerden.de/[...] 2023-10-23
[58] 웹사이트 Interrogations of Nikolai Ezhov, former People's Commissar for Internal Affairs. https://www.booksite[...] 2023-06-07
[59] 서적 Кто руководил НКВД, 1934−1941 Звенья 1999
[60] 웹사이트 Новое в биографии палача Н.И.Ежова © http://cheprakov.nar[...] 2023-06-05
[61] 웹사이트 Метрика ЕЖОВА Николая Ивановича - ''LVIA, F. 605, AP. 20, B. 515, L. 119V-120, EIL. 16'' https://karagodin.or[...] 2023-06-05
[62] 서적 Кто руководил НКВД, 1934−1941 Звенья 1999
[63] 서적 Ежов. Биография Захаров 2007
[64] 웹사이트 "В антисоветских целях занимался мужеложеством" https://www.kommersa[...] 2023-06-05
[65] 웹사이트 Млечин Леонид - КГБ. Председатели органов госбезопасности. Рассекреченные судьбы. http://profismart.or[...] 2023-06-05
[66] 서적 КГБ. Председатели органов госбезопасности. Рассекреченные судьбы. Центрполиграф 2010
[67] 웹사이트 Литература https://www.booksite[...] 2023-06-06
[68] 서적 Щит и меч :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правочник Олма-пресс; СПб.: Нева 2002
[69] 웹사이트 Н.Ежов: хроника преступлений https://nomad.su/?a=[...] 2023-06-07
[70] 서적 Марийская биографиче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Марийский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центр 2007
[71] 웹사이트 Семипалатинск в ежовых рукавицах http://www.express-k[...] 2023-06-07
[72] 웹사이트 Заявление арестованного Н. И. Ежова в Следственную часть НКВД СССР. 24 апреля 1939 г. http://istmat.info/n[...] 2023-06-07
[73]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секретных служб России ООО «Издательство Астрель» 2004
[74] 웹사이트 Николай Ежов: как Колька-книжник превратился в «кровавого карлика» http://www.business-[...] 2023-12-06
[75] 서적 Щит и меч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Справочник: краткие биографии руководителей орган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СССР и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декабрь 1922 – декабрь 1991 гг.) Litres 2022-01-29
[76] 서적 Хозяин. Сталин и утверждение сталинской диктатуры РОССПЭН 2012
[77] 서적 Кто руководил НКВД, 1934-1941 Звенья 1999
[78] 웹사이트 Справочник по истории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ой партии 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1898 - 1991 http://www.knowbysig[...] 2023-06-10
[79] 웹사이트 ОПЕРАТИВНЫЙ ПРИКАЗ НАРОДНОГО КОМИССАРА ВНУТРЕННИХ ДЕЛ СОЮЗА С.С.Р. № 00447 об операции по репрессированию бывших кулаков, уголовников и др. антисоветских элементов. http://old.memo.ru/h[...] 2023-06-08
[80] 서적 Хозяин. Сталин и утверждение сталинской диктатуры РОССПЭН 2012
[81] 서적 Чёрная книга коммунизма Три века истории 2001
[82] 웹사이트 Спецоперации https://agentura.ru/[...] 2023-08-28
[83] 웹사이트 УБИЙСТВО ЕВГЕНИЯ КОНОВАЛЬЦА http://www.murzim.ru[...] 2023-06-09
[84] 웹사이트 Николай Ежов - «Именем Сталина» http://echo.msk.ru/p[...] 2023-09-06
[85] 웹사이트 Без срока давности http://trud-archive.[...] 2023-06-09
[86]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железного наркома». В 1925 г. Н. Ежов - секретарь Киргизского обкома РКП ... http://kyrgyznews.co[...] 2023-06-10
[87] 웹사이트 Сталин: «Задета и опозорена честь чекистов, не могут поймать одного мерзавца» https://novayagazeta[...] 2023-07-03
[88] 웹사이트 Литвин М.И. https://protivpytok.[...] 2023-06-09
[89] 웹사이트 Хотел "кинуть" Сталина, но попал в руки Берия https://dzen.ru/a/Y6[...] 2023-12-22
[90] 웹사이트 Комиссар Успенский так и не сумел уйти от Сталина https://argumenti.ru[...] 2023-07-03
[91] 웹사이트 Конец "кровавого карлика" Николая Ежова https://www.bbc.com/[...] 2023-06-09
[92] 서적 Ежов. История «железного» сталинского наркома Вече, АРИА-АиФ 2001
[93] 서적 «Сталинский питомец» — Николай Ежов Фонд Первого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Б. Н. Ельцина/ Российская политиче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2009
[94] 웹사이트 НЕЖЕЛЕЗНЫЙ НАРКОМ - Последний год Николая Ежова https://newtimes.ru/[...] 2023-06-09
[95] 웹사이트 «Единственный мой братик...» http://s537668583.on[...] 2023-06-09
[96] 웹사이트 Любовный треугольник в доме «железного наркома» Ежова: чем всё закончилось Об этом сообщает "Рамблер". Далее: https://weekend.ramb[...] 2023-10-26
[97] 웹사이트 Уроки русского. Ежов https://www.pravda.r[...] 2023-06-09
[98] 웹사이트 Какой на самом деле была Евгения Хаютина https://vm.ru/societ[...] 2023-06-09
[99] 웹사이트 NKVD.ORG: The Memorial Page http://www.nkvd.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