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40호선 (아르헨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40호선 (아르헨티나)은 아르헨티나의 주요 국도로, 볼리비아 국경에서 시작하여 마젤란 해협 근처의 카보 비르헤네스까지 이어진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이 도로를 포장하고 다른 고속도로와 통합하여 국내 관광을 증진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쿠에바 데 라스 마노스, 로스 글라시아레스 국립공원, 칼차키 계곡 등 국제적으로 중요한 여러 장소를 통과한다. 이 도로는 북부 구간과 남부 구간으로 나뉘며, 다양한 지형과 경유지를 포함한다. 1935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쳐 현재의 노선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도로 - 국도 제25호선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의 주요 국도 제25호선은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에서 라리오하 주까지 이어지며, 웨일스 식민지 개척의 역사와 연관되어 있고, 테우엘체족의 이동 경로이자 추붓강의 주요 식수원이었던 곳을 지난다.
  • 아르헨티나의 도로 - 국도 제1호선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국도 제1호선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라플라타를 지나 아르헨티나 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로, 1964년 연구 시작 후 1995년 일부 개통되었으며 2004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미완성 상태이고 확장 공사가 중단되었다.
국도 제40호선 (아르헨티나)
노선 정보
노선 번호국도 제40호선
총 길이5061 m
위치아르헨티나
지방아르헨티나의 11개 지방을 통과
출발점라키아카 (후후이 주)
종점카보비르헤네스 (산타크루스 주)
역사
개통1935년
설명
특징세계에서 가장 긴 도로 중 하나이며, 파타고니아 지역을 따라 안데스 산맥과 평행하게 5,000km 이상 뻗어있다. 대략 5,000m (16,000ft) 고도에 이른다.

2. 노선 설명

국도 제40호선(Ruta Nacional 40, RN40)은 아르헨티나를 남북으로 종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대를 통과하는 도로이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이 도로에 다른 고속도로 구간을 통합하고 포장하여 국내 관광을 증진시키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이 도로 주변에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여러 장소가 있다. 약 13,000년 전의 동굴 벽화가 있는 쿠에바 데 라스 마노스, 아르헨티나에서 두 번째로 큰 국립공원인 로스 글라시아레스 국립공원, 칼차키 계곡 등이 이 도로 근처에 있다.

2. 1. 북부 구간

국도 제40호선은 볼리비아 국경의 라 키아카에서 시작하여 산 후안 데 오로, 산 안토니오 데 로스 코브레스, 카치를 지나 안데스 산맥과 나란히 남쪽으로 뻗어 있다. 칼차키 계곡을 거쳐 카페야테로 이어지며, 벨렌, 비야 우니온을 지나 산 후안에 이른다. 산 후안에서 멘도사까지는 번화한 고속도로이다.

2. 1. 1. 주요 경유지

라 키아카(볼리비아 국경)에서 서쪽으로 산 후안 데 오로까지 이동한 다음, 산 안토니오 데 로스 코브레스와 카치를 지나 안데스 산맥과 나란히 남쪽으로 이동하여 칼차키 계곡을 거쳐 카페야테로 간다. 그 다음 벨렌, 비야 우니온을 거쳐 산 후안까지 이어진다.

2. 2. 남부 구간

국도 제40호선(Ruta Nacional 40, RN40)의 남부 구간은 멘도사주에서 시작하여 네우켄주, 리오네그로주, 추부트주, 산타크루스주를 거쳐 최남단 티에라델푸에고 제도까지 이어진다. 이 구간은 파타고니아의 광활한 평원과 빙하 지대를 지나며, 비교적 온화한 기후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이 도로는 페리토 모레노에서 남쪽으로 더욱 외딴 지역으로 들어선다.[3]

2. 2. 1. 주요 경유지

아르헨티나 산타 크루스 주 남부의 국도 제40호선에서 바라본 토레스 델 파이네


칼차키 계곡의 RN40


멘도사에서 국도 제40호선은 남쪽으로 파레디타스, 말라궤, 초스 말랄, 사팔라까지 이어진다. 바릴로체 동쪽으로 우회하여 엘 마이텐으로 이동, 레레케에서 국도 제258호선과 합류한다. 이후 에스켈 근처를 지나 테카, 호세 데 산 마르틴, 알토 리오 센구에르를 거쳐 페리토 모레노에서 국도 제43호선과 합류한다.

페리토 모레노에서 남쪽으로 124km 떨어진 곳에 쿠에바 데 라스 마노스로 가는 길이 있으며, 3km 더 가면 바호 카라콜레스(인구 100명)가 있다.[3] 여기서 101km 더 가면 페리토 모레노 국립공원으로 가는 도로와 합류하지만, 경찰서와 에스탄시아 외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다. 235km 남쪽에는 트레스 라고스가 있다. 트레스 라고스에서 도로는 엘 칼라파테 동쪽 32km 지점의 교차로와 리오 가예고스로 가는 주요 고속도로에서 벗어나는 엘 세리토의 교차로까지 포장되어 있다. 이후 28 데 노비엠브레를 거쳐 리오 가예고스로 가는 우회로를 따라가며,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가예고스 강 계곡을 따른다. 리오 가예고스에서 36km 떨어진 가예고스 강 하구, 푼타 로욜라에서 대서양에 도달한다.

3. 역사

1935년 건설이 시작된 이래, 이 도로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4] 2004년 11월 24일, 아르헨티나 국립 고속도로 관리청(Dirección Nacional de Vialidad)은 결의안 1.748/04를 공포했는데, 이 결의안은 이정표 표시를 변경하고, 도로의 새로운 최남단 종점인 마젤란 해협 근처의 카보 비르헤네스에 "0" 킬로미터 지점을 설치했다.[4] 2009년 1월, 카보 비르헤네스의 새로운 표지 지점과 푼타 로욜라(리오 갈레고스 근처) 사이에는 도로가 건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2009년 초 기준 임시 운전 시작 지점은 KM 100 지점에 있었다.

2004년 이전에는 국도 제40호선이 "루타 40 수르"(남부)와 "루타 40 노르테"(북부)로 나뉘었으며, 이전의 "전통적인" 0km 시작 지점은 멘도사주 멘도사 시의 산 마르틴 거리와 가리발디 거리의 교차점에 있었다. 그 0km 표지점은 이후 국도 제7호선과 굽 애비뉴의 교차점에 있는 도시의 동쪽 진입 지점인 리카르도 비델라(아베니다 코스타네라로도 알려짐)로 옮겨졌다. 새로운 법률과 도로 재표시의 목적은 국도 제40호선의 전통적인 북쪽 종점을 시에나가 데 파이코네 지역 근처의 볼리비아 국경으로 옮기는 것이었다.

국도 제40호선, 추부트주 (2004)


2006년 5월 20일, 아르헨티나 국도 관리국과 후후이주 도로 관리국은 후후이 주 지방 도로 85, 70, 74, 7, 64, 65, 5번의 일부 구간을 국가 관리로 이관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이른바 "광산 회랑" 건설을 위한 것으로, 해당 주는 국도 제40호선의 새로운 경로가 되어 더 서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 협약은 주 법률 5520호로 비준되었다. 이에 따라 산 안토니오 데 로스 코브레스와 아브라 팜파 사이의 도로 구간은 국도 1V40으로 명명되었다.

2009년 2월,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은 산타크루스주에 남아 있는 비포장 구간을 포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4. 특이 사항

이 도로는 자연 경관으로 지정되어 있는 로스글라시아레스 국립공원을 중간에 관통하고 있다.[3] 또한 일부 구간에는 칠레 등 주변국 경계선과 인접해 있는 길들도 다수 존재한다.

이 경로를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여러 장소가 있는데, 쿠에바 데 라스 마노스에는 약 13,000년 전의 동굴 벽화가 있다. 로스 글라시아레스 국립공원과 칼차키 계곡 또한 이 경로 근처에 있다.

페리토 모레노에서 남쪽으로 124km 떨어진 곳에 쿠에바 데 라스 마노스로 가는 측면 도로가 있으며, 여기서 3km 더 가면 바호 카라콜레스(인구 100명)의 작은 정착지가 있다.[3]

5. 갤러리

국도 제40호선(아르헨티나)의 갤러리 부분은 해당 국도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들로 구성되어 있다.


  • 아르헨티나 북부 40번 국도의 흥미로운 지질
  • 40번 국도변의 묘지
  • 아르헨티나 북부 40번 국도의 광활한 풍경
  • 40번 국도와 가와사키 KLR 650
  • 가우치토 길 제단
  • --
  • --

5. 1. 아르헨티나 북부 40번 국도의 지질


5. 2. 40번 국도변의 묘지


5. 3. 아르헨티나 북부 40번 국도의 광활한 풍경


5. 4. 40번 국도와 가와사키 KLR 650



가와사키 KLR 650 오토바이를 타고 아르헨티나 40번 국도를 여행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5. 5. 가우치토 길 제단


5. 6. 바릴로체 인근 40번 국도

5. 7. 바호 카라콜레스 인근 40번 국도

참조

[1] 웹사이트 La nueva ruta 40 promueve el desarrollo de la zona cordillerana Diario la Capital de Mar del Plata http://www.lacapital[...]
[2] Google maps Overview map of RN-40 https://www.google.c[...] 2021-07-27
[3] 서적 South American Handbook 2009
[4] 뉴스 Terminar la ruta 40 ahora cuesta el doble http://www.lanacion.[...] 2009-04-26
[5] 뉴스 Terminar la ruta 40 ahora cuesta el doble http://www.lanacion.[...] 2009-04-26
[6] 웹인용 La nueva ruta 40 promueve el desarrollo de la zona cordillerana Diario la Capital de Mar del Plata http://www.lacapit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