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IGY)은 1957년부터 1958년까지 진행된 전 지구적 규모의 과학 관측 프로그램으로, 극지방 연구를 중심으로 했던 과거의 국제 극지년을 계승하여 전 세계적인 지구물리 현상을 연구했다. 로켓 기술, 레이더, 컴퓨팅 기술의 발전을 배경으로 기획되었으며, 67개국이 참여하여 다양한 지구물리 현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했다. IGY 기간 중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과 미국의 익스플로러 1호의 밴 앨런대 발견 등 우주 개발 경쟁이 시작되었으며, 대서양 중앙 해령의 전체 길이가 발견되는 등 주요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IGY는 남극 조약 체결에 영향을 미쳤으며, 세계 데이터 센터 시스템 구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공유하고 보존하는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 행사 - 2022년 아시안 사이언스 캠프
    2022년 아시안 사이언스 캠프는 노벨상 수상자들의 참여와 저명한 과학자들의 강연, 패널 토론, 포스터 세션, 연구 시설 견학, 한국 문화 체험 등을 제공하는 초청 기반의 과학 행사이다.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개요
이름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로마자 표기Gukje Jigu Mulli Gwancheungnyeon
영어 명칭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IGY)
프랑스어 명칭Année géophysique internationale
기간1957년 7월 1일 ~ 1958년 12월 31일 (18개월)
목적
목표지구 과학 연구 협력
역사
배경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과학 협력의 필요성 증대
냉전 시대의 과학 기술 경쟁 심화
주도국제 과학 연맹 (ICSU)
참여 국가67개국
연구 분야
주요 분야오로라
극광
지진
중력
해양
전리층
경도 및 위도 결정
기상 관측
태양 활동
우주선
추가 분야빙하
지진파
지구 자기
주요 업적
과학적 성과지구 자기장 연구 진전
전리층 구조 규명
남극 대륙 탐사 및 연구 활성화
해저 확장설 및 판 구조론 발전 기여
기술적 성과인공위성 활용한 지구 관측 시작 (스푸트니크 1호 발사)
로켓 기술 발전
레이더 기술 발전
컴퓨터 활용 확대
국제 협력남극 조약 체결 (1959년)
과학 데이터 공유 및 국제 표준화
영향
과학 발전 기여지구 과학 분야의 획기적인 발전
새로운 연구 분야 개척 및 기존 이론 발전
국제 협력 강화과학 기술 분야의 국제 협력 모델 제시
냉전 시대의 과학 교류 증진
사회적 영향과학 기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 증대
우주 탐사 경쟁 촉발
관련 행사
국제 지구 관측 협력년국제 지구물리 관측년의 후속 사업 (1959년)
국제 지구 행성의 해2007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된 국제 행사 (IYPE로도 불림)
추가 정보
관련 문서스푸트니크 계획
국제 과학 연맹
국제 지구 행성의 해
외부 링크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기념 페이지
NASA의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페이지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기록 보관소
Korolev, Sputnik, and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2. 역사적 배경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의 기원은 1882년~1883년, 1932년~1933년, 그리고 2007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열린 국제 극지년에서 찾을 수 있다. 1950년 4월 5일, 로이드 버크너, 시드니 채프먼, S. 프레드 싱어, 해리 베스틴 등 여러 과학자들이 제임스 밴 앨런의 자택에서 만나 로켓, 레이더, 컴퓨팅 분야의 최근 발전을 고려하여 극지방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인 관측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52] 버크너와 채프먼은 국제 과학 연합 평의회에 1957-58년에 태양 활동이 극대화되는 시기에 맞춰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IGY)을 계획할 것을 제안했다.[53][54] 1952년에 IGY가 발표되었다.[55]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의 사망은 소련과의 국제 협력을 위한 길을 열었다.

이는 50년마다 실시되었던 국제 극지년(IPY)을 계승하여 전 지구 규모로 확대한 것이다. 제1회 국제 극지년은 1882년 - 1883년, 제2회 국제 극지년은 1932년 - 1933년에 실시되었다. 제3회는 1982년 - 1983년에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자연 과학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25년 앞당겨져 1957년 - 1958년에 실시되면서, 극지에 한정되지 않은 전 지구 규모의 국제 공동 관측 사업으로 발전하여, 명칭도 "국제 지구 관측년"으로 변경되었다.[42] 국제 지구 관측년에서 50년 후인 2007년 - 2008년에는 제4회 국제 극지년(IPY2007-2008)이 실시되었다.[43]

일본 학술 회의 IGY 특별 위원회는 "국제 지구 관측년"을 일본에서의 정식 명칭으로 채택하였다. 이는 IGY 특별 위원회의 하세가와 만키치 위원장과 나가타 타케시 총간사가, "천문학, 지구 물리학, 물리학, 전파 과학의 여러 분야가 입체적으로 종합 연구를 해야 하는 IGY 계획에 지구 물리학의 이름을 붙이는 것은 좋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44]

3. 주요 행사 및 성과

1955년 7월 29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공보 비서관 제임스 해거티는 미국이 1957년 7월 1일부터 1958년 12월 31일까지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에 대한 미국의 기여의 일환으로 "소형 지구 선회 위성"을 발사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56] 뱅가드 계획은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관리하고 비군사 과학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관측 로켓 개발을 기반으로 할 계획이었다.[57] 4일 후,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6차 국제우주항행연맹 총회에서 과학자 레오니트 세도프는 소련 대사관에서 국제 기자들과 만나 소련이 "가까운 미래"에 인공위성을 발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8]

소련1957년 10월 4일,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여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실패를 겪은 미국베르너 폰 브라운의 설득으로 1958년 2월 1일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하여 밴 앨런대를 발견하는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뱅가드 1호는 1958년 3월 17일에 발사된 네 번째 인공위성이었다. 이러한 우주 개발 경쟁은 1958년 7월 29일 미국 우주국 NASA의 창설로 이어졌다.

1954년 9월부터 1959년 7월까지 실시된 대서양에 대한 영국과 미국의 조사에서 대서양 중앙 해령의 전체 길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기간 중의 주요 발견이었다.[60]

1958년 2월 1일, 주피터-C 로켓을 이용한 익스플로러 1호의 발사 장면

3. 1. 대한민국 관련

1951년 당시 일본은 완전한 독립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였지만, 국제 지구 관측년(IGY) 참여를 통해 국제적 지위를 인정받고자 하였다. 당초 일본은 적도 관측을 계획했으나, 관측 예정지의 영유권을 가진 미국이 자국에서 관측을 실시한다는 이유로 이를 거절하였다.[44]

이에 일본은 남극 관측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그러나 IGY 남극 분과회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에 대한 반감을 가진 여러 국가들이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미국소련 등 강대국들이 일본을 지지하면서 최종적으로 참여가 승인되었다. 노르웨이가 국력 부족을 이유로 남극 관측을 포기함에 따라, 당시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던 지역이 일본에 할당되었다. 일본은 IGY에 맞춰 남극권 내 동옹굴 섬에 쇼와 기지를 건설하고 관측에 협력하였다. 쇼와 기지는 IGY 종료 후 철수 예정이었으나, 이후 연장되어 현재까지도 관측이 계속되고 있다.[44]

일본은 IGY의 12개 모든 관측 부문에 협력하였다.[44]

이 시기, 대한민국은 IGY에 직접 참여하기는 어려웠지만, IGY를 통해 국제 과학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세계 데이터 센터

IGY 조직위원회는 모든 관측 데이터가 모든 국가의 과학자와 과학 기관에 제공되어야 한다고 결의했다.[62] 1932년 국제 극지년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61] IGY는 세계 데이터 센터 시스템을 구축했다. 미국은 세계 데이터 센터 "A"를, 소련은 세계 데이터 센터 "B"를 맡았다. 세계 데이터 센터 "C"는 서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의 국가로 세분화되었다.[62] 각 세계 데이터 센터는 IGY 데이터 전체를 보관하고,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처리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었으며, 국가 간 자유롭고 개방적인 데이터 교환을 준수하기로 합의했다.[63][64][65] 국제과학연맹위원회 세계 데이터 시스템(ICSU-WDS)은 IGY의 데이터 관리 유산을 계승하여, 과학 데이터의 보존, 접근성, 표준 채택을 촉진하고 있다.[66]

5. 남극과 북극 연구

1957년 일본이 발행한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기념 우표. 일본의 연구선 소야호와 펭귄을 묘사하고 있다.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IGY)은 남극과 북극 연구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호주는 1954년 모슨에 남극 대륙 최초의 영구 기지를 설립했으며,[26] 1957년에는 데이비스를 추가했다. IGY 기간 동안 모슨에는 29명, 데이비스에는 4명이 월동했다. 또한, 모슨에서 서쪽으로 97km 떨어진 테일러 빙하 옆에 2인용 캠프를 설치하여 오로라 오스트랄리스(남극광)를 삼각 측량하고 황제펭귄을 연구했다. 2년 후, 호주는 미국이 IGY를 위해 건설한 윌크스의 운영을 인수했다. 윌크스가 눈과 얼음 축적으로 악화되자 케이시 기지 건설 계획이 세워졌고, 1969년 'Repstat'(교체 기지)가 문을 열었으며, 1988년 현재의 케이시 기지로 대체되었다.

할리 연구 기지는 1956년 영국 왕립 학회의 탐험대에 의해 IGY를 위해 설립되었다. 탐험대가 기지를 세운 만은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의 이름을 따서 할리 만으로 명명되었다.

쇼와 기지는 1957년 1월에 남극에 세워진 최초의 일본 기지로,[27] 쇄빙선 소야의 지원을 받았다. 1년 후 배가 돌아왔을 때 유빙에 갇혀 버튼 아일랜드의 도움으로 풀려났지만, 기지에 보급품을 전달할 수 없었다. 1957년 월동자들은 헬리콥터로 구조되었지만, 악천후로 15마리의 썰매 개들을 데리러 갈 수 없었고, 개들은 쇠사슬에 묶인 채 남겨졌다. 1년 후 배가 돌아왔을 때, 두 마리의 개, 타로와 지로가 살아 있었다.[28] 이 이야기는 1983년 일본 영화 ''남극 이야기''로 제작되었다.

프랑스는 뒤몽 뒤르빌 기지아델리랜드의 샤르코 기지를 기여했다. 프랑스 해군의 함선 ''코망당 샤르코''는 1949/50년 9개월 동안 아델리랜드 해안에 머물렀고, 최초의 프랑스 기지인 포르 마르탱은 1950년 4월 9일에 완공되었지만, 1952년 1월 22일에서 23일 밤에 화재로 파괴되었다.[29]

벨기에는 1958년 보두앵 1세 기지를 설립했다. 이 탐험은 1897~1899년 벨기에 남극 탐험을 이끌었던 아드리안 더 젤라쉬의 아들인 가스통 더 젤라쉬가 이끌었다.[30] 1958년 12월, 경비행기 스키 중 하나가 파손되어 팀원 4명이 내륙에 고립되었으나, 소련 기지 미르니 기지에서 3100km를 비행한 IL-14 항공기에 의해 구조되었다.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는 1957년 1월 남극점에 세워진 최초의 영구 구조물로, 53년 동안 유지되었지만 점차 얼음에 묻혀 2010년 12월 안전상의 이유로 철거되었다.[31]

북극에서는 미국 과학자들이 건설하고 운영한 부유 연구 기지 아이스 스케이트 2(Ice Skate 2)가 운영되어 북극해 해저 지도를 작성했다.[32]

6. 참가국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에는 67개국이 참여했다.[70][34]

참가국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직후의 어려운 상황으로 인해 직접 참여하지는 못했지만, IGY를 통해 국제 과학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7. 유산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IGY)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그 영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IGY 활동은 평화적 목적과 협력적 과학 연구를 위해 남극을 이용할 것을 촉구하는 남극 조약 체결로 직접 이어졌다.[71] 이후 국제 협력을 통해 남극 환경 보호, 유적지 보존, 동식물 보전이 이루어졌다. 현재 41개국이 조약에 서명했으며, 국제 공동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ICSU 세계 자료 시스템(WDS)은 IGY 동안 수집된 데이터의 저장소를 호스팅하며, 이전 ICSU 세계 자료 센터(WDC)와 이전 천문 및 지구 물리학 데이터 분석 연맹(FAGS)의 50년 유산을 기반으로 한다.[35] 미국 내 15개 세계 자료 센터 중 7개는 NOAA 국립 데이터 센터 또는 NOAA 계열사에 있다. 이러한 ICSU 데이터 센터는 역사적 데이터를 보존할 뿐만 아니라 연구 및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촉진한다.[36]

2007~2008년의 제4차 국제 극지년은 기후 변화와 극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60개국이 이 노력에 참여했으며 북극과 남극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37]

참조

[1] 웹사이트 Rockets, Radar, and Computers: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celebrating20[...] 2022-10-24
[2] 간행물 Information Overload https://www.scienceh[...] 2016
[3] 문서 CSAGI Guide to the IGY World Data Centers (1959) Annals of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Vol 7 Part 2 Pergamon Press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s://history.nasa[...]
[5] 웹사이트 IGY History http://www.cmdl.noaa[...]
[6]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7–1958 http://www.nas.edu/h[...]
[7] 웹사이트 Korolev, Sputnik, and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s://history.nasa[...]
[8] 간행물 The Genesis of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2007-07-01
[9]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www.nas.edu/h[...] 2005
[10] 간행물 Shaping the Space Age: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askmagazine.n[...] NASA 2008
[11] 간행물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https://www.aps.org/[...] 2007-10
[12] 보도자료 The White House: Statement by James C. Hagerty https://www.eisenhow[...] 1955-07-29
[13] 웹사이트 Vanguard Project http://www.nrl.navy.[...] U.S. Naval Research Laboratory
[14] 서적 The Race: The uncensored story of how America beat Russia to the Moon https://archive.org/[...] Doubleday
[15] 문서 Out of the Past 2007-11
[16] 웹사이트 Rockets, Radar, and Computers: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celebrating20[...]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05-12
[17] 서적 Historical guide to NASA and the space program Rowman & Littlefield 2016-09-09
[18] 간행물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9
[19] 웹사이트 World Data System (WDS) http://www.icsu.org/[...]
[20] 서적 Ad hoc Strategic Committee on Information and Data. Final Report to the ICSU Committee on Scientific Planning and Review http://www.icsu.org/[...] ICSU
[21] 서적 Ad -hoc Strategic Coordinating Committee on Information and Data Interim Report to the ICSU Committee on Scientific Planning and Review http://www.icsu.org/[...] ICSU
[2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 World Data System (ICSU WDS) http://icsu-wds.org/[...]
[23] 뉴스 International science community to build a 'World Data System' http://www.itnews.co[...] 2008-10-28
[2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cience Council to Revamp World Data Centers http://www.america.g[...]
[25]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www.nas.edu/h[...]
[26] 웹사이트 History of Australian Antarctic stations http://www.antarctic[...]
[27] 웹사이트 ISAS –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istory of Japanese Space Research http://www.isas.jaxa[...]
[28] 웹사이트 Taro and Jiro — A story of canine strength and tenacity http://www.digitaljo[...] 2012-11-21
[29] 웹사이트 French IGY – Following the Data of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7–8) http://public.mpiwg-[...]
[30] 웹사이트 Belgium Federal Science Policy and Polar Secretariat – Home https://www.comnap.a[...]
[31] 웹사이트 South Pole's first building blown up after 53 years http://www.mnn.com/e[...] OurAmazingPlanet.com 2011-03-31
[32] 웹사이트 Shared Photographs https://photos.googl[...]
[33] 웹사이트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7-1958: Drifting Station Alpha Documentary Film, Version 1 https://nsidc.org/da[...]
[34]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7/58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3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ICSU World Data System http://www.icsu-wds.[...] ICSU
[36] 웹사이트 ICSU World Data System https://web.archive.[...] ICSU 2013-07-17
[37] 웹사이트 International Polar Year 2007–2008 http://www.ipy.org/ 2013-07-17
[38] 웹사이트 Lyrics – The Nightfly (1982) – D. Fagen Solo https://web.archive.[...] 2015-08-14
[39] 웹사이트 25th Grammy Awards list of nominees http://www.grammy.co[...] 2016-04-16
[40] 웹사이트 Russell Brockbank Cartoons https://magazine.pun[...] PUNCH Magazine Cartoon Archive 2023-08-25
[41] Kotobank 2022-03-19
[42] Kotobank 2022-03-19
[43] 간행물 IPY (国際極年) 2007-2008 の活動と展望 日本学術協力財団
[44] 간행물 IGY・IQSY・IASY等について ぎょうせい|帝国地方行政学会
[45] 문서 矢澤(1989):358 - 359ページ
[46] 웹인용 Rockets, Radar, and Computers: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celebrating20[...] 2023-08-22
[47] 저널 Information Overload https://www.scienceh[...] 2018-03-20
[48] 웹인용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s://history.nasa[...]
[49] 웹인용 IGY History https://web.archive.[...] 2015-08-14
[50] 웹인용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7–1958 https://web.archive.[...] 2016-06-29
[51] 웹인용 Korolev, Sputnik, and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s://history.nasa[...]
[52] 저널 The Genesis of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2007-07-01
[53] 웹인용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arquivo.pt/wa[...] 2015-08-14
[54] 저널 Shaping the Space Age: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s://web.archive.[...] NASA 2012-07-05
[55] 저널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https://www.aps.org/[...] 2018-09-01
[56] 보도자료 The White House: Statement by James C. Hagerty https://web.archive.[...] 2018-09-01
[57] 웹인용 Vanguard Project https://web.archive.[...] U.S. Naval Research Laboratory 2015-08-13
[58] 서적 The Race: The uncensored story of how America beat Russia to the Moon https://archive.org/[...] Doubleday
[59] 인용 Out of the Past 2007-11
[60] 웹인용 Rockets, Radar, and Computers: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celebrating20[...]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05-12
[61] 서적 Historical guide to NASA and the space program Rowman & Littlefield 2016-09-09
[62] 저널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9
[63] 웹인용 World Data System (WDS) https://web.archive.[...] 2013-06-12
[64] 서적 Ad hoc Strategic Committee on Information and Data. Final Report to the ICSU Committee on Scientific Planning and Review https://web.archive.[...] ICSU 2016-06-29
[65] 서적 Ad -hoc Strategic Coordinating Committee on Information and Data Interim Report to the ICSU Committee on Scientific Planning and Review https://web.archive.[...] ICSU 2016-06-29
[66] 웹인용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 World Data System (ICSU WDS) http://icsu-wds.org/[...] 2013-06-12
[67] 뉴스 International science community to build a 'World Data System' http://www.itnews.co[...] 2008-10-28
[68] 웹인용 International Science Council to Revamp World Data Centers http://www.america.g[...] 2013-06-12
[69] 웹인용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https://web.archive.[...] 2013-06-21
[70] 웹인용 The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7/58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3-11-28
[71] 웹인용 Introduction to ICSU World Data System https://web.archive.[...] ICSU 2013-07-17
[72] 웹인용 ICSU World Data System https://web.archive.[...] ICSU 2013-07-17
[73] 웹인용 International Polar Year 2007–2008 http://www.ipy.org/ 2013-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