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에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수자리 에타는 궁수자리에 위치한 항성계로, 적색 거성인 주성 궁수자리 에타 A와 F형 주계열성인 반성 궁수자리 에타 B로 구성되어 있다. A는 산소가 풍부한 불규칙 변광성으로, 겉보기 등급이 변동하며, B는 1879년 발견되었으며 A와 중력적으로 묶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궁수자리 에타는 우리은하 내에서 희미하고 오래된 원반 무리의 구성원이며, 고유 운동으로 인해 미래에 북쪽왕관자리 방향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랍 문화권에서는 '알 나암 알 와리드'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 중 하나였으며, 인도에서는 코끼리 꼬리에, 중국에서는 기수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형 거성 - HE 1523-0901
HE 1523-0901은 태양 질량의 약 80%이며 약 132억 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광쌍성으로, 초기 우주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M형 거성 - 미라 (항성)
미라는 고래자리에 있는 변광성으로, 약 332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적색 거성인 미라 A와 백색 왜성인 미라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이다. - F형 주계열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F형 주계열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궁수자리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궁수자리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궁수자리 에타 | |
---|---|
위치 | |
![]() | |
명칭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에타 (η Sgr) |
기타 명칭 | HD 167618 HIP 89642 HR 6832 SAO 209957 CD-36°12423 CPD-36°8128 FK5 683 GC 24944 IDS 18109-3647 AB PPM 297508 WDS J18176-3646AB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 |
겉보기 등급 | +3.11/+7.8 |
별자리 | 궁수자리 |
분광형 | |
분광형 | M2 III + F7 V |
B-V 색 지수 | +1.56 |
U-B 색 지수 | +1.71 |
변광성 유형 | Lb |
성표적 정보 | |
시선 속도 | +0.5 km/s |
고유 운동 (적경) | −129.56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166.26 mas/yr |
연주 시차 | 22.35 ± 0.24 mas |
절대 등급 | −4.90 |
물리적 특성 | |
구성 요소 | 궁수자리 에타 A |
질량 | 2.1 ± 0.7 M☉ |
반지름 | 66 ± 12 R☉ |
광도 | 525 L☉ |
표면 온도 | 3638 ± 125 K |
표면 중력 | 1.13 ± 0.05 |
기타 정보 | |
변광성 여부 | 변광성 |
약 146 광년 거리 | (11.9 ± 2.1 밀리초) |
2. 항성계
항성계의 주성 궁수자리 에타 '''A'''는 분광형 M2 III의 적색 거성이다. 이 별은 진화하여 현재 중심핵에 있는 수소와 헬륨을 소진한 점근거성가지 단계에 있다. A는 산소가 풍부한 불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되며 겉보기 등급이 3.08 ~ 3.12 사이에서 맥동한다. A의 각지름은 11.9 ± 2.1 mas이다.[12] A까지의 거리로 보아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57 배이다.
반성 궁수자리 에타 '''B'''는 1879년 미국 천문학자 S. W. 번햄이 최초로 기록했다. A와 B는 공통의 고유운동을 공유하므로 서로 중력에 의해 묶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반성은 겉보기 등급 7.77로 F형 주계열성으로 보인다.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108° 위치에 3.6 초각만큼 떨어진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B는 적색 거성인 주성으로부터 약 165 천문 단위 떨어져 있으며 두 항성은 최소 1270년에 1회 서로를 공전하고 있다.
1879년, S.W. 버넘은 15cm 굴절 망원경으로 지구에서 3.6초(발견 당시 2.8초) 떨어진 9등성을 발견했다. 이 별은 주성과 고유 운동이 공통되어 있으며, 두 별의 거리는 약 100천문 단위이다.
우리은하라는 맥락 안에서 보면 궁수자리 에타 계는 '희미하고 오래된 원반 무리'의 구성원이다. 고유운동 때문에 이 별은 주후 6300년 경 북쪽왕관자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에타 계와 물리적으로 묶여 있지 않은 안시 동반성 두 개가 있다. 첫 번째는 10등급 밝기에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303도 위치에 93 초각 떨어져 있다. 이보다 어두운 두 번째 반성은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276도 위치에 33 초각 떨어져 있다. 이 외에도 지구에서 33초 떨어진 13등성과 93초 떨어진 10등성이 있지만, 물리적인 관계는 없다.
2. 1. 주성 (궁수자리 에타 A)
궁수자리 에타 '''A'''는 분광형 M2 III의 적색 거성이다. 이 별은 진화하여 현재 중심핵에 있는 수소와 헬륨을 소진한 점근거성가지 단계에 있다. A는 산소가 풍부한 불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되며 겉보기 등급이 3.08 ~ 3.12 사이에서 맥동한다. A의 각지름은 11.9 ± 2.1 mas이다.[12] A까지의 거리로 보아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57 배이다.우리은하라는 맥락 안에서 보면 궁수자리 에타 계는 '희미하고 오래된 원반 무리'의 구성원이다. 고유운동 때문에 이 별은 주후 6300년 경 북쪽왕관자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2. 2. 반성 (궁수자리 에타 B)
반성 궁수자리 에타 B는 1879년 미국 천문학자 S. W. 번햄이 최초로 기록했다. A와 B는 공통의 고유운동을 공유하므로 서로 중력에 의해 묶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반성은 겉보기 등급 7.77로 F형 주계열성으로 보인다.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108° 위치에 3.6 초각만큼 떨어진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B는 적색 거성인 주성으로부터 약 165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두 항성은 최소 1270년에 1회 서로를 공전하고 있다.궁수자리 에타 계와 물리적으로 묶여 있지 않은 안시 동반성 두 개가 추가로 존재한다. 첫 번째는 10등급 밝기에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303도 위치에 93 초각 떨어져 있다. 이보다 어두운 두 번째 반성은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276도 위치에 33 초각 떨어져 있다.
2. 3. 동반 천체
궁수자리 에타 항성계의 주성 궁수자리 에타 '''A'''는 분광형 M2 III의 적색 거성이다. 반성 궁수자리 에타 '''B'''는 1879년 미국 천문학자 S. W. 번햄이 최초로 기록했다. A와 B는 공통의 고유운동을 공유하므로 서로 중력에 의해 묶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반성은 겉보기 등급 7.77로 F형 주계열성으로 보인다.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108° 위치에 3.6 초각만큼 떨어진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B는 적색 거성인 주성으로부터 약 165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두 항성은 최소 1270년에 1회 서로를 공전하고 있다.1879년, S.W. 버넘은 15cm 굴절 망원경으로 지구에서 3.6초(발견 당시 2.8초) 떨어진 9등성을 발견했다. 이 별은 주성과 고유 운동이 공통되어 있으며, 두 별의 거리는 약 100천문 단위이다.
우리은하라는 맥락 안에서 보면 궁수자리 에타 계는 '희미하고 오래된 원반 무리'의 구성원이다. 고유운동 때문에 이 별은 주후 6300년 경 북쪽왕관자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에타 계와 물리적으로 묶여 있지 않은 안시 동반성 두 개가 있다. 첫 번째는 10등급 밝기에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303도 위치에 93 초각 떨어져 있다. 이보다 어두운 두 번째 반성은 주성으로부터 방위각 276도 위치에 33 초각 떨어져 있다. 이 외에도 지구에서 33초 떨어진 13등성과 93초 떨어진 10등성이 있지만, 물리적인 관계는 없다.
3. 명칭 및 어원
에타 항성계는 궁수자리 감마, 델타, 엡실론과 함께 '알 나암 알 와리드'(النعم الواردar, '나아가는 타조들') 별자리를 구성한다.[8] 《기술 보고서 33-507 - 537개의 이름이 붙은 항성들을 포함하는 성표》에 따르면 '알 나암 알 와리드' 또는 '''나말와리드'''가 이 별의 이름이었다.[9]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서 이 별은 '라바 알 와리다' 또는 '라비 알 와리다'로 불렸으며, 그 뜻은 '와리다에서 네 번째'이다.[10]
인도에서는 궁수자리의 일부분을 코끼리 형상으로 인식했는데 궁수자리 에타는 코끼리의 꼬리 부분에 해당한다.
중화권에서 궁수자리 에타는 기(箕)에 속해 있다. 기는 에타 외에 궁수자리 감마, 델타, 엡실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에타만을 일컫는 명칭은 기수4(箕宿四)이다.[11]
3. 1. 서양
궁수자리 에타는 궁수자리 감마, 델타, 엡실론과 함께 '알 나암 알 와리드'(النعم الوارد, '나아가는 타조들') 별자리를 구성했다.[8] 《기술 보고서 33-507 - 537개의 이름이 붙은 항성들을 포함하는 성표》에 따르면 '알 나암 알 와리드' 또는 '''나말와리드'''가 이 별의 이름이었다.[9][3] 알 아크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서 이 별은 '라바 알 와리다' 또는 '라비 알 와리다'로 불렸으며, 그 뜻은 '와리다에서 네 번째'이다.[10][4]인도에서는 궁수자리의 일부분을 코끼리 형상으로 인식했는데 궁수자리 에타는 코끼리의 꼬리 부분에 해당한다.
3. 2. 동양
궁수자리 에타는 중화권에서 기(箕)에 속하며, 궁수자리 감마, 델타, 엡실론과 함께 이 별자리를 구성한다.[11] 에타 별만을 부르는 명칭은 기수4(箕宿四)이다.[11]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는 '라바 알 와리다' 또는 '라비 알 와리다'로 수록되었는데, 이는 '와리다에서 네 번째'라는 뜻이다.[10]
인도에서는 궁수자리의 일부분을 코끼리 형상으로 인식했는데, 궁수자리 에타는 코끼리의 꼬리 부분에 해당한다.
에타 항성계는 궁수자리 감마, 델타, 엡실론과 함께 '알 나암 알 와리드'(النعم الوارد, '나아가는 타조들') 별자리를 구성한다.[8] '알 나암 알 와리드' 또는 '''나말와리드'''가 이 별의 이름이었다는 기록도 있다.[9]
참조
[1]
간행물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2]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Inc
2012-09-04
[3]
문서
Jack W. Rhoads - Technical Memorandum 33-507-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https://web.archive.[...]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971-11-15
[4]
간행물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5]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http://aeea.nmns.edu[...]
[6]
간행물
First results from the ESO VLTI calibrators program
2005-05
[7]
간행물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8]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Inc
2012-09-04
[9]
문서
Jack W. Rhoads - Technical Memorandum 33-507-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https://ntrs.nasa.go[...]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971-11-15
[10]
간행물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11]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년 5 월 11 일
http://aeea.nmns.edu[...]
[12]
인용
First results from the ESO VLTI calibrators program
20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