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 (별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수는 현무의 일곱 번째 별자리로, 궁수자리에 위치하며 4개의 별(궁수자리 감마성, 델타성, 엡실론성, 에타성)로 구성된다. 한국 민속에서 청룡의 똥, 농기구의 쌀겨 역할, 바람을 의미하며, 뱀주인자리의 강(糠)과 제단자리의 목저(木杵)를 포함한다. 주나라 시대에는 풍백을 제사하는 제전이 있었으며, 점성술에서는 건축 및 조작 외에는 흉한 의미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십팔수 - 익수
익수는 동아시아 별자리로 컵자리와 바다뱀자리에 걸쳐 있으며, 22개의 별로 구성되고, 《보천가》에 언급되어 있으며, 일 시작은 길하나 불사와 장례는 흉하다고 여겨진다. - 이십팔수 - 정수 (별자리)
정수는 이십팔수 중 하나로, 쌍둥이자리, 작은개자리, 오리온자리 등 여러 현대 별자리에 걸쳐 있는 20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농경 시기 예측이나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천문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도구로 사용된다. - 궁수자리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궁수자리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 별자리에 관한 - 이십팔수
이십팔수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황도를 따라 나눈 28개의 별자리 체계로, 천체 위치 측정, 시간 계산, 계절 예측 등에 활용되었으며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다. - 별자리에 관한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기수 (별자리) | |
---|---|
별자리 정보 | |
한자 | 箕宿 |
로마자 표기 | Gi Su |
별자리 기원 | 동아시아 별자리 |
위치 | 궁수자리 |
황도대 | 사수자리 |
적경 | 18.3h |
적위 | -24° |
주요 별 개수 | 4 |
관련된 별 목록 | 궁수자리 감마 궁수자리 델타 궁수자리 엡실론 궁수자리 에타 |
다른 이름 | 기 윈노윙 바스켓 (Winnowing Basket) |
신화 및 상징 | |
상징 | 키 (곡식을 까부르는 도구) |
의미 | 바람, 풍요, 농업 |
관련된 신 | 농경신 |
문화적 의미 | |
한국 전통 | 농경과 관련된 길조로 여겨짐 |
중국 전통 | 바람을 다스리는 신과 관련 |
일본 전통 | 행운을 가져다주는 별자리로 여겨짐 |
2. 기수에 속한 별자리
기(箕)는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이십팔수 중 하나로, 동방청룡 7수(宿) 중 일곱 번째에 해당된다.
2. 1. 구성 별자리
기수에 속한 별자리들은 다음과 같다.[4][5][6]
별자리로서의 기(箕)는 궁수자리의 γ, δ, ε, η의 4개의 별로 구성된다.
후한 응소의 『풍속통의』사전편에 "풍사자는 기성야. 기주파양, 능치풍기"라고 있으며, 주대에는 풍백(箕宿)과 우사(畢宿)를 제사하는 제전이 있었다고 한다.
2. 2. 명칭 및 표기 관련
기수는 현무의 위수(危宿)와 백호의 위수(胃宿)와 같이 한글 명칭이 동일한 한자 명칭을 가진 별자리들과 구별된다.[4]기수에는 3개의 별자리가 있다.
별자리 | 영문명 | 해석 | 서양 별자리 | 별의 수 |
---|---|---|---|---|
기* | Winnowing basket | 창룡의 똥. 쌀을 체로 쳐서 겨를 제거하는 농기구. 또한 풍백(바람의 신)을 가리킨다. | 궁수자리 | 4 |
겨 | Chaff | 키로 쳐서 남은 겨 | 뱀주인자리 | 1 |
절구공이 | Pestle | 물건을 찧는 막대기 | 제단자리 | 3 |
기수는 궁수자리에 속한 4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궁을 주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주홍색을 띠는 이 별자리는 곡식을 도정하는 일을 의미하는 목저(木杵)와 검은색 별인 강(糠)을 포함한다.[1] 강은 밝기에 따라 풍년과 기근을 점치는 데 사용되었는데, 밝으면 풍년을, 어두우면 기근을 의미했다.[1]
후한 응소의 『풍속통의』사전편에 "풍사자는 기성야. 기주파양, 능치풍기"라고 있으며, 주대에는 풍백(기수)과 우사(畢宿)를 제사하는 제전이 있었다고 한다.
3. 역사와 문화 속 기수
기수는 건축이나 조작과 관련된 일에는 길하지만, 그 외의 일에는 흉하다고 여겨진다.[1]별자리 한자 별 개수 위치 별의 색 의미 기 箕 4 궁수자리 주홍색 후궁을 주관 목저 木杵 3 주홍색 곡식 도정 강 糠 1 검은색 밝으면 풍년, 어두우면 기근
3. 1. 한국 민속에서의 기수
한국 민속에서 기수는 청룡의 똥을 의미하며, 농기구의 쌀겨 역할이나 바람을 상징하기도 한다.
영어 명칭 | 중국어 명칭 | 서양 별자리 | 별의 수 | 의미 |
---|---|---|---|---|
키질 바구니 | 箕 | 궁수자리 | 4 | 청룡의 똥, 농기구의 쌀겨 역할, 바람을 의미 |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Cartography
https://press.uch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서적
The Power of Sta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5-05
[3]
간행물
Ancient Chinese constellations
2009-01
[4]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中國星區、星官及星名英譯表
https://www.lcsd.gov[...]
[5]
문서
伊世同編『中西対照恒星図表』(1981年)、伊世同編『中西対照星圖』(清の『儀象考成』に基づく)、大崎正次著「中国の星座の歴史」雄山閣出版(1988)の「中国の星座・星名の同定一覧表」などによる。
[6]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亮星中英對照表
https://www.lcsd.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