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권은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싱가포르를 포함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는 청나라 시기 중국의 영토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과 홍콩 간의 상업 관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경제적 연관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정치적 통일 가능성을 내포하기도 하며, 기업과 투자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중화권이라는 용어는 대만 문제 등 민감한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중국 팽창주의와 관련된 용어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지리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 중국의 지리 - 간도
간도는 고구려, 발해 등의 영토였으며 여진족 거주지였고,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선 농민들이 이주하여 거주했으나 현재는 중국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영유권 분쟁은 중조변계조약으로 종식되었지만 두만강 위치와 '토문' 명칭 해석 차이로 한국 내 논쟁의 여지가 있다. - 민족통일주의 - 남북통일
남북통일은 한국 전쟁 이후 분단된 한반도의 통일을 의미하며, 미소 양국의 한반도 분할 점령과 남북한 정부 수립, 한국 전쟁을 거치며 고착화되었고, 통일 방식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회의적인 시각이 존재하며, 분단 배경, 통일 방식, 찬반 입장, 통일 정책, 해결 과제 등을 포함한다. - 민족통일주의 -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 정치가로서 파시즘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문학적 명성을 얻은 후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피우메 점령 등의 정치 활동을 펼쳐 이탈리아 파시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문화권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문화권 - 언어권
언어권은 특정 언어가 널리 사용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하며, 영어권, 스페인어권, 프랑스어권 등 다양한 주요 언어권이 존재한다.
| 중화권 | |
|---|---|
| 개요 | |
| 정의 | 중국인과 문화적 유대감을 가진 지역 |
| 좁은 의미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홍콩 특별행정구 마카오 특별행정구 |
| 넓은 의미 | 싱가포르 해외 화교 사회 |
| 오해 | 범중국주의와 혼동 금지 |
| 명칭 | |
| 한국어 | 중화권 |
| 간체 | 大中华地区 (Dà Zhōnghuá Dìqū) |
| 번체 | 大中華地區 (Dà Zhōnghuá Dìqū) |
| 중국어 병음 | Dà Zhōnghuá Dìqū |
| 광동어 병음 | Daai6 zung1 waa4 |
| 민난어 병음 | Tāi Tiong-hôa |
| 우어 병음 | Ta4 Chung1-hua2 |
| 객가어 | Daai+ Zhung+Faa |
| 일본어 | 中華圏 (Chūkaken) |
| 한자 (한국어) | 中華圈 |
| 한글 | 중화권 |
| 베트남어 | Đại Trung Hoa |
2. 명칭
다국적 기업들은 해당 지역에 본사의 이름을 지을 때 이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프록터 앤드 갬블은 광저우에 있는 지역 본사의 명칭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며, 홍콩과 타이베이에서도 운영한다.[13] 애플은 상하이에 있는 지역 본사를 언급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한다.[14][15]
"중화권"이라는 용어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그 의미와 범위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이 용어는 종종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에 대한 민감성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19] 반대로, 중국 민족주의 맥락에서 중국이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아 대중국을 건설해야 한다는 개념과 같은 중국 팽창주의에 대한 언급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6][17]
3. 역사
1930년대 미국의 학자 조지 크레시는 청나라가 통치하는 전체 영토를 중국 본토와 구분하여 "중화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8] 1940년대 미국 정부는 이 용어를 정치적인 의미로 사용했는데, 중화민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만주, 외몽골, 신장, 티베트 등의 영토나 중국의 정치적 국경에 완전히 속하지 않는 지역을 지칭했다.[18]
1970년대 후반, 중국 본토와 홍콩 간의 경제 관계가 활발해지면서 "중화권"이라는 개념이 다시 등장했다. 1979년 대만 잡지 ''창차오''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대만과의 경제적 관계 확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18] 1980년대에는 이 지역 간의 경제적 관계뿐만 아니라 정치적 통일 가능성을 내포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8] 그러나 "중화권"은 EU이나 ASEAN과 같이 제도화된 실체가 아니며,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된 여러 시장을 묶기 위한 일반적인 용어일 뿐 주권을 암시하지는 않는다.[19]
3. 1. 기원
원래 중국 한족은 중원을 중심으로 팽창하며 발전해 온 역사적 경위가 있어, 어디까지를 중국(중화)으로 간주할 것인가는 매우 모호했다. 여기에 엄밀한 국경선 획정을 요구하는 근대 국가 개념이 서양에서 도입되었고, 게다가 열강의 침략과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의 내전·대립의 결과, 여러 영역으로 분단된 점도 있어, 좁은 의미의 중국(중국 대륙)과 대비하여 한족이 지배적인 지역 전체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며 정치적인 의미를 피하는 용어로서 정착되었다.
3. 2. 영어권에서의 호칭
영어권에서 Greater China(대중화)라는 호칭은 원래, 중국 역대 왕조에서의 중원을 중심으로 한 한민족의 거주지, 직접 지배 지역인 China Proper(중국 본토)에 대하여, 책봉국(조공국)을 포함한 지배 지역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18]
1930년대 미국의 학자 조지 크레시는 이 용어를 청나라가 통치하는 전체 영토를 중국 본토와 대조하여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18] 1940년대 미국 정부 지도에서 정치적 용어로 사용된 것은 이전 청 제국의 일부였던 중화민국이 주장하는 영토나, 중국 정치 국경 내에 완전히 속하지 않을 수도 있는 중국과 관련된 지형적 특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8]
이 개념은 1970년대 후반 중국어 자료에서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중국 본토와 홍콩 간의 증가하는 상업적 관계, 그리고 이 관계를 대만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지칭했다.[18]
이후 영어 용어는 1980년대에 이 지역 간의 증가하는 경제적 관계뿐만 아니라 정치적 통일 가능성을 지칭하기 위해 다시 등장했다.[18] 이는 EU, ASEAN, AU와 같은 제도화된 실체가 아니다. 이 개념은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된 것으로 보이는 여러 시장을 묶기 위한 일반화이며 주권을 암시하지 않는다.[19]
4. 특징
5. 범위
中華圈|중화권중국어은 일반적으로 다음 지역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新加坡|싱가포르중국어를 포함하기도 한다.
1930년대 미국 학자 조지 크레시는 中華圈|중화권중국어이라는 용어를 청나라가 통치하는 전체 영토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18] 1940년대 미국 정부 지도에서 정치적 용어로 사용된 것은 이전 청 제국의 일부였던 중화민국이 주장하는 영토나, 중국 정치 국경 내에 완전히 속하지 않을 수도 있는 중국과 관련된 지형적 특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8]
이 개념은 1970년대 후반 중국어 자료에서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중국 본토와 홍콩 간의 증가하는 상업적 관계를 지칭했고, 이 관계를 대만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있었다. 아마도 최초의 그러한 언급은 1979년 대만 잡지 ''창차오''에 있었다.[18]
이후 영어 용어는 1980년대에 이 지역 간의 증가하는 경제적 관계뿐만 아니라 정치적 통일 가능성을 지칭하기 위해 다시 등장했다.[18] 이는 유럽 연합(EU),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또는 아프리카 연합(AU)와 같은 제도화된 실체가 아니다. 이 개념은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된 것으로 보이는 여러 시장을 묶기 위한 일반화이며 주권을 암시하지 않는다.[19]
6. 경제
다국적 기업들은 중화권 지역에 본사의 이름을 지을 때 '중화권'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프록터 앤드 갬블은 광저우에 있는 지역 본사의 명칭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며, 홍콩과 타이베이에서도 운영한다.[13] 애플(Apple Inc.)은 상하이에 있는 지역 본사를 언급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한다.[14][15]
경제 용어로서 중화권 사용법으로는 중화권을 대상으로 하는 주식 자본이나 공동 기금이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ING 그룹은 자산의 80%를 중화권(Greater China)에 투자하고 있으며, ING 그룹에 따르면 그 정의는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으로 구성된 지역"이다.[23] 마찬가지로, 드레이퍼스 코퍼레이션은 "주로 중국 본토, 홍콩, 대만에서 거래를 하는" 또는 이 지역에서 자산이나 총 거래액의 대부분을 얻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24] 이와 유사한 예로 JF 그레이터 차이나 펀드[25]나 2009년 2월 이전의 HSBC 그레이터 차이나 펀드도 있다(2월 이후에는 해당 유가 증권에서 대만의 자산이 제외되어 HSBC 차이나 리전 펀드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6][27] 이 외에도 이와 유사한 사례는 매우 많다.
7. 정치
이 용어는 종종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에 대한 민감성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19] 반대로, 중국 민족주의 맥락에서 중국이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아 대중국을 건설해야 한다는 개념과 같은 중국 팽창주의에 대한 언급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6][17]
중화권이라는 용어는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 등 민감한 문제를 피하기 위한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22] 중국 재통일 지지자 중에는 "중화권"이라는 용어가, 중화권이라는 용어가 가리키는 지역이 본래 중국의 영토가 아님을 암시한다고 하여 용어 사용에 반대하는 사람도 있다. 많은 아시아인에게 중화권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대일본제국에 의해 내걸린 개념인 대동아공영권을 떠올리게 한다.[28]
1980년대 중화권이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을 당시, 이 용어는 본토 중국인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로부터 강한 반대에 직면했다. 학자들의 전형적인 반대 의견은 다음과 같다.[29]
国家观点上,我们排斥大中华的观念。法律观点上,不能因为语言文化相同,就把其他国家处理在一起。同样的,多数东南亚华侨也会排斥大中华这个观念。可是,台湾喜欢大中华的观念。他们接受这是为了在中国发展投资的商业用语。西方学者从夸大的跨海峡的中国成长数据,认为中国比较强大,而建立起经济成长模式。这个问题应该在政府对政府的关系水平来检讨。我们把事物看作是商业问题。华侨跨海峡不是因为爱国心,而是为了获得投资利益。我们需要清楚区分中国大陆的人民和华侨。|황쿤장|산터우 대학 교수중국어
참조
[1]
뉴스
Pact row could harm Greater China economic integration: ANZ
http://focustaiwan.t[...]
2014-04-02
[2]
웹사이트
MTV Channels In Southeast Asia and Greater China To Exclusively Air The Youth Inaugural Ball
http://www.mtvasia.c[...]
[3]
웹사이트
Universal Music Group realigns presence in Greater China
https://tva.onscreen[...]
2008-06-01
[4]
웹사이트
'Greater China' is a harmful myth
https://www.taipeiti[...]
2021-08-06
[5]
논문
Conceptualizing Chinese Migration and Chinese Overseas: The Contribution of Wang Gungwu
[6]
논문
The concept of "Greater China": Themes, variations and reservations
[7]
논문
The concept of greater China in higher education: adoptions, dynamics and implications
[8]
웹사이트
Apple overtakes Lenovo in China sale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1-08-18
[9]
뉴스
https://www.reuters.[...]
2019-04-29
[10]
논문
The concept of greater China in higher education: adoptions, dynamics and implications
[11]
논문
The Concept of "Greater China": Themes, Variations and Reservations*
https://www.cambridg[...]
1993-12
[12]
백과사전
Greater China
M. E. Sharpe
[13]
웹사이트
P&G in Greater China
https://www.pgcareer[...]
[14]
뉴스
Isabel Ge Mahe named Apple's managing director of Greater China
https://www.apple.co[...]
[15]
웹사이트
Apple Closes All Its Stores Outside China Over Coronavirus
https://www.wsj.com/[...]
2020-03-14
[16]
서적
Revolution, State Succession, International Treaties and the Diaoyu/Diaoyutai Island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7]
서적
China, the United Nations, and World Order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논문
The Concept of 'Greater China': Themes, Variations and Reservations
1993-12
[19]
서적
The greater China factbook
http://www.books.com[...]
Taiwan Elite Press
[20]
웹사이트
The Rundown: Pegatron's Tesla Ambitions, Tech Sector Bonuses, and Cisco's New Software Center
https://topics.amcha[...]
Taiwan Topics
2021-01-18
[21]
논문
The Concept of 'Greater China': Themes, Variations and Reservations
1993-12
[22]
서적
The greater China factbook
http://www.books.com[...]
Taiwan Elite Press
[23]
웹사이트
Prospectus - ING Global and International Equity and Fixed-Income Funds - Class A, B,
http://www.ingfunds.[...]
ING그룹
2009-02-27
[24]
웹사이트
Dreyfus Greater China Fund (prospectus)
http://www.dreyfus.c[...]
드레이파스・코퍼레이션
2009-03-01
[25]
웹사이트
J.P. Morgan Country/Region Funds: Class A, Class B & Class C Shares
http://public.jpmorg[...]
JP모건・체이스|JF그레이터・차이나・펀드
2009-02-28
[26]
웹사이트
HSBC Chinese Equity Fund (Factsheet)
http://services.asse[...]
HSBC홀딩스|HSBC Global Asset Management (UK)
2005-12-15
[27]
뉴스
HSBC announces changes to Greater China fund
http://www.ftadviser[...]
2009-02-23
[28]
논문
Introduction: The Emergence of 'Greater China'
1993-12
[29]
서적
Flexible Citizenship: The Cultural Logics of Transnationality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