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역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역어는 특정 언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목표로 하는 인공어를 의미한다. 범슬라브어, 범게르만어, 범로망스어와 같이 여러 언어 집단을 아우르는 구역 인공어가 존재하며, 각 언어권 내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범슬라브어는 17세기부터 시도되었으며,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하거나 슬라브어 어휘와 에스페란토 문법을 결합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났다. 범게르만어는 20세기 초 튜토니쉬를 시작으로 유로노르드, 폴크스프라크 등이 개발되었다. 범로망스어는 라틴어 및 로망스어를 기반으로 하며, 인터링구아, 라티노 모데르네 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에파테어, 팔라와 카니, 부디노스, 오르타튀르크 등 다른 어족을 위한 구역 인공어와 특정 지역의 공통 언어를 목표로 하는 언어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권역어
개요
유형조어
목적특정 언어군 사용자 간 의사소통 촉진
하위 유형권역어
세부 정보
관련 개념보편어
국제어
조어
계획어
링구아 프랑카
중립어
통용어
예시
주요 예시인테르링구아
판로망
로망스어군 기반 조어
기타 예시아프리칸스어
바라사
유로클론

2. 범슬라브어

범슬라브어는 슬라브어파 언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목표로 하는 구역 인공어이다. 구역 보조 언어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초기 범슬라브어 프로젝트는 모든 슬라브어가 개별 언어가 아닌 하나의 슬라브어 방언이라는 믿음에 기반하였다. 범슬라브어는 이러한 방언들이 상호 이해력을 넘어 갈라졌다는 사실에 개탄하며, 이러한 과정을 되돌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들의 장기적인 목표는 개별 슬라브어를 대체하는 것이었다.[3]

2. 1. 역사

범슬라브어의 역사는 17세기 크로아티아 사제 유라이 크리자니치의 러스키 예지크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는 최초의 범슬라브주의자로 여겨지기도 한다.[3] 19세기에는 얀 헤르켈의 보편 슬라브어, 마티야 마야르의 슬라브어 상호 맞춤법 등 다양한 범슬라브어 프로젝트가 등장했다.[3] 20세기 초에는 이그나츠 호셰크의 노이슬라비쉬, 요제프 코네치니의 슬라비나 등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한 자연주의적 범슬라브어가 주류를 이루었다.[3]

2. 2. 20세기 이후의 발전

20세기 중반, 메주슬라뱐스키 예지크와 같은 새로운 자연주의적 프로젝트가 등장했다.[4] 2000년대 이후에는 슬로비안스키, 노보슬로벤스키 등 새로운 범슬라브어가 등장했으며, 2011년에는 인터슬라브어(메주슬로뱐스키)로 통합되었다.[5] 같은 시기, 슬로반슈티나, 네포슬라바, 슬라브스키 예지크, 슬로비오 등 슬라브어 어휘와 에스페란토 문법을 결합한 도식적 범슬라브어도 등장했다.[6]

3. 범게르만어

범게르만어는 게르만어파 언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목표로 하는 구역 인공어이다. 범게르만어 사용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로는 튜토니쉬, 유로노르드, 폴크스프라크 등이 있다.

3. 1. 주요 범게르만어

엘리아스 몰리가 1902년에 만든 범게르만어 프로젝트인 튜토니쉬는 처음에는 보조 언어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결국 다른 모든 게르만어군을 대체할 예정이었다. A.J. 필그림이 만든 유로노르드(1965년), 그리고 1995년에 시작된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된 이질적인 프로젝트인 폴크스프라크 등이 있다.

4. 범로망스어

범로망스어는 로망스어파 언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목표로 하는 구역 인공어이다. 로망스어 사용자나 이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언어로 명시적으로 제시된 언어로는 로마니드, 데이비드 크랜달과 로버트 W. 허버트의 로마노바, 리처드 소르플리트와 조수 라빈의 인터링구아 로마니카, 조르디 카사니 베이츠가 이끄는 언어학자 그룹의 로망스 네오라티노, 레이먼드 자카리아스와 티아고 산투스의 라티노 인터로마니코 등이 있다.

4. 1. 범로망스어와 유사한 국제 보조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국제 보조어는 라틴어 및/또는 로망스어군 자료로만 구성되거나 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굴절 없는 라틴어, 앙드레 실트(1947)의 네오라티노, João Evangelista Campos Lima (1948)의 인터나시오날, 인터링구아 (IALA), 데이비드 Th. 스타크(1996)의 라티노 모데르네, 인테르링게, 그리고 링구아 프랑카 노바가 있다. 이러한 언어들은 범로망스어와 구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4. 2. 대표적인 범로망스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국제 보조어는 라틴어 및/또는 로망스어군 자료로만 구성되거나 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굴절 없는 라틴어, 앙드레 실트(1947)의 네오라티노, João Evangelista Campos Lima(1948)의 인터나시오날, 인터링구아 (IALA), 라티노 모데르네, 인테르링게, 링구아 프랑카 노바가 있다. 이러한 언어들은 범로망스어와 구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하지만, 일부 언어들은 로망스어 사용자나 이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언어로 명시적으로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로마니드, 로마노바, 인터링구아 로마니카, 로망스 네오라티노, 라티노 인터로마니코 등이 있다.

5. 기타 구역 인공어

인도유럽어족 외 다른 어족에서도 구역 인공어 제작 시도가 있었다. 앨런 리드 리버트 등 일부 언어학자들은 관련 없는 언어 사용자들을 위한 특정 지리적 영역에서 사용할 언어를 지역 언어에 포함시키기도 한다.[7]


  • '''인도유럽어족 외 구역 인공어''': 에파테어, 팔라와 카니, 부디노스, 오르타튀르크/외즈튀르크체
  • '''관련 없는 언어를 위한 구역 인공어''': 구오사, 아프리힐리

5. 1. 다른 어족의 구역 인공어

에파테어(19세기): 바누아투 에파테 섬의 언어를 기반으로 인위적으로 혼합된 언어이다.[7]

팔라와 카니(1992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센터에서 만들었으며, 멸종 전 태즈메이니아어에서 등록된 어휘로 구성되었다. 태즈메이니아 원주민의 후손들을 위한 원주민 언어로 의도되었다.[7]

부디노스(2000년대): 핀 우랄어족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해 설계된 언어이다.[7]

오르타튀르크/외즈튀르크체(1992년, 2008년): 통계적으로 계산된 어휘를 가진 범튀르크어 지역 보조 언어이다.[7]

5. 2. 관련이 없는 언어를 위한 구역 인공어

일부 언어학자들은 관련이 없는 언어 사용자들을 위해 특정 지리적 영역에서 사용할 언어를 지역 언어에 포함시키기도 한다.[7]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구오사 (나이지리아 공통어로 의도됨)
  • 아프리힐리 (아프리카 공용어로 의도됨)

참조

[1] 논문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Linguistic Relativity and its Implications for Copyright https://scholarship.[...] Faculty Scholarship of Penn Law 2022-06-05
[2] 논문 Constructed languages in the whirlwind of the digital revolution https://www.research[...] Алфа БК универзитет (Alfa BK univerzitet) 2022-06-05
[3] 서적 Wiederbelebung einer Utopie. Probleme und Perspektiven slavischer Plansprachen im Zeitalter des Internets (Bamberger Beiträge zur Linguistik 6) University of Bamberg Press 2014
[4] 웹사이트 neoslavonic language tutorial http://www.neoslavon[...] Neoslavonic.org 2015-04-09
[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Interslavic http://steen.free.fr[...] 2014-12-09
[6] 문서 Meyer, p. 158.
[7]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2021-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