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망스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망스어군은 로마 제국에서 사용되던 통속 라틴어에서 기원한 언어들의 집합이다. 5세기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라틴어가 지역별로 분화되며 형성되었으며, 현재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등 5개의 주요 언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언어와 방언을 포괄한다. 로망스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음운 변화와 어휘의 변화를 겪어왔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8억 8천만 명이 사용하며, 유럽과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여러 대륙에서 공용어 또는 국어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로망스어군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라틴어 / 네오라틴어 |
지역 | 이탈리아 반도의 고대 라티움에서 기원, 현재 라틴 유럽(동유럽, 남유럽, 서유럽 일부)과 라틴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대부분 국가), 아프리카(라틴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일부에서 사용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족 | 라틴-팔리스카어파 |
어족 | 라틴어 |
조상어 | 고대 라틴어 |
조상어 | 통속 라틴어 |
원시어 | 원시 로망스어 |
하위어군 | 이탈리아-서부 로망스어군 동부 로망스어군 남부 로망스어군 |
사멸어 | 판노니아 라틴어 † 브리튼 라틴어 † |
ISO 639-2 | roa |
ISO 639-5 | roa |
글롯코드 | roma1334 |
글롯코드 참조 이름 | 로망스어 |
링구아존 | 51- (phylozone) |
하위 어군 | |
주요 하위 어군 | 이탈리아-서부 로망스어군 동부 로망스어군 남부 로망스어군 |
기타 하위 어군 | 판노니아 라틴어 † 브리튼 라틴어 † |
2. 역사
로마 제국에서 사용되던 통속 라틴어(Vulgar Latin)는 로망스어군의 기원이다.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라틴어는 이베리아반도에서 흑해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퍼져 있었다. 5세기경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라틴어는 지역별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15세기 이후 유럽 국가들의 식민지 확장을 통해 로망스어는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현재 로망스어 사용 인구의 2/3는 유럽 외부에 거주한다.[16][17][18]
"로망스어(Romance)"라는 명칭은 "로마식으로(in Roman)"를 의미하는 라틴어 부사 'romanice'에서 유래했다.[10][11] 이 단어는 "로마식으로 말하다(to speak in Roman)"라는 표현인 'romanice loqui'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고전 라틴어로 말하는 것을 뜻하는 'latine loqui', 바바리아인 방식으로 말하는 것을 뜻하는 'barbarice loqui'와 대비된다.[10]
라틴어의 풍부한 명사 격변화는 루마니아어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 사실상 소멸하였으며, 대명사의 변화에만 그 흔적이 남아있다. 그리하여 통사적으로 고정된 어순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35]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로망스어는 스페인어이며,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가 그 뒤를 잇는다. 이들 언어는 수십 개국에서 공용어 또는 국어로 사용된다.[13][14][15][16][17][18]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스위스, 벨기에, 루마니아, 몰도바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 하나 이상의 로망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로망스어는 방언 연속체의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아 명확한 구분이 쉽지 않다. 그래서 국가나 지방 구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플라비오 비온도는 1435년에 루마니아어와 이탈리아어의 언어적 유사성과 공통 라틴어 기원을 처음으로 관찰한 학자였다.[26]
3. 명칭과 특징
로망스어 사용 지역은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기독교 문화권에 속해 있어 언어 간 차이가 크지 않다. 서유럽에서는 방언 연속체가 나타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언어 간에는 상호 소통이 가능하다.[12] 예를 들어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는 통역 없이도 기본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정 지역의 언어는 인접 지역의 언어와 약간만 다르지만, 더 먼 지역으로 갈수록 차이가 누적되어 두 지역의 언어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별개의 언어로 인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언어 경계를 긋기가 어려워지며, 따라서 로망스어 변종을 개별 언어로 나누는 명확한 방법이 없다.[12]
4. 문법
5. 현대적 지위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루마니아어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이다.[13]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카탈루냐어는 해체된 라틴 연합의 공용어였다.[14]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는 유엔의 6개 공용어 중 두 개이다.[15] 유럽 외 지역에서는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가 옛 식민 제국에서 비롯된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공용어 지위를 누리고 있다.[16][17][18]
전 세계적으로 거의 5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스페인어는 스페인과 남아메리카 9개국(대륙 인구의 약 절반 거주)에서 공용어이며, 중앙아메리카 6개국(벨리즈 제외)과 멕시코에서도 공용어이다.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에서 공용어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적도 기니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포르투갈에서 거의 1,000만 명의 전체 인구가 사용하는 포르투갈어는 브라질의 공용어로 2억 명 이상이 사용하며, 남아메리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포르투갈어는 6개 아프리카 국가(앙골라,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의 공용어이며,[19] 아시아에서는 동티모르와 마카오에서 다른 언어와 함께 공용어이다.
프랑스어는 캐나다의 퀘벡 주와 뉴브런즈윅 및 온타리오 일부 지역에서 모어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캐나다는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프랑스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다. 아이티와 같은 카리브해 지역 일부에서는 프랑스어가 공용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크리올어인 아이티 크리올어를 모어로 사용한다. 프랑스어는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도 공용어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일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식민 지배가 끝난 후 이탈리아어는 공용어로 남아 있지 않았다. 아프리카의 이전 이탈리아 식민지—즉 리비아, 에리트레아, 소말리아—에서는 소수의 교육받은 사람들이 이탈리아어를 사용한다.
루마니아는 식민 제국을 건설하지 않았다. 루마니아어의 토착 사용 지역은 몰도바뿐만 아니라, 세르비아(보이보디나와 보르 구), 불가리아, 헝가리, 우크라이나(부코비나, 부자크)의 인접 지역과 드니스터와 부그 강 사이의 일부 마을을 포함한다.[22]
로망스어의 총 모어 사용자 수는 (약 2020년 기준) 8억 8천만 명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7]언어 사용자 비율 사용자 수 (모어) 사용자 수 (제2언어 포함) 스페인어 54% 4억 7,500만 명 5억 5,000만 명 포르투갈어 26% 2억 3,000만 명 2억 6,000만 명 프랑스어 9% 8,000만 명 3억 1,000만 명 이탈리아어 7% 6,500만 명 6,800만 명 루마니아어 3% 2,400만 명 해당사항 없음 카탈루냐어 0.5% 400만 명 900만 명 기타 3% 2,600만 명 해당사항 없음
카탈루냐어는 안도라의 공용어이다. 스페인에서는 카탈루냐, 발렌시아 지방(발렌시아어로),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아라곤의 라 프란하 지역에서는 공용어는 아니지만 인정받고 있다. 또한 사르데냐 섬의 알게로 주민들이 많이 사용하며, 이 도시에서는 공용어이다. 3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갈리시아어는 갈리시아에서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인접한 카스티야 이 레온 지역에서 법적 인정을 받고 있다. 다른 몇몇 언어는 지역적 또는 제한적인 수준에서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의 아스투리아스어와 아라곤어, 포르투갈의 미란데스어, 이탈리아의 프리울리어, 사르데냐어, 프랑코프로방스어, 스위스의 레토로망스어 등이다.
나머지 로망스어는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구어로 주로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국가 정부는 언어적 다양성을 잠재적인 분리주의 운동의 원천으로 간주하여, 공용어 사용을 광범위하게 장려하고, 언론에서 다른 언어의 사용을 제한하며, 단순한 "방언"으로 인정하거나, 심지어 박해함으로써 이를 제거하려고 노력해왔다. 그 결과, 이들 언어는 모두 유네스코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간주된다.
6. 하위 분류
로망스어의 음운론, 형태론, 어휘는 주로 통속 라틴어(Vulgar Latin)에서 변화된 형태이지만, 현대 로망스어와 그 조상인 라틴어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로망스어는 라틴어의 어미 변화 체계를 잃었고, 그 결과 SVO 문장 구조를 가지며 전치사를 많이 사용한다.
8세기 후반 샤를마뉴는 당시 라틴어가 고전적인 기준으로 볼 때 많이 변질되었다고 생각하여 서유럽에 고전 라틴어를 다시 도입했다. 그러나 이는 교구민들이 사제들의 설교를 이해할 수 없게 만들었고, 결국 813년 투르 공의회에서 사제들이 설교를 rustica romana linguala (소박한 로마인의 언어, 즉 로망스어)로 번역해야 한다는 칙령을 발표하게 했다. 이는 로망스어가 라틴어와는 별개의 언어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인정한 것이다.[42]
로망스어의 분류는 학술적으로 정치적인 이유로 이루어져 왔으며, 언어 계통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탈로-서로망스어나 갈로-이베리아어 등의 세분화된 분류는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
6. 1. 주요 분류
로망스어군은 크게 대륙 로망스어, 도서 로망스어, 아프리카 로망스어†로 분류된다.6. 2. 세부 분류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다음은 로망스어군의 세부 분류이다.
7. 음운 변화
로망스어군에서는 자음과 모음에 상당한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7. 1. 자음 변화
속어 라틴어에서는 어말 자음이 탈락하는 경향이 있었다.[62] 예를 들어, 후행 '-m'이 탈락되었으며,[62] 많은 단어에서 후행 자음이 사라지거나 삽입 모음에 의해 보호되었다. 이탈로-로망스어와 동부 로망스어에서는 일부 관사와 단음절 전치사를 제외한 모든 후행 자음이 사라지거나 삽입 모음에 의해 보호되었다. 현대 표준 이탈리아어는 후행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매우 적지만, 루마니아어는 후행 와 의 후기 소실을 통해 이러한 자음을 되찾았다.중앙 서부 로망스어는 후행 와 의 일반적인 소실을 통해 많은 후행 자음을 되찾았다. 프랑스어에서는 이러한 2차 후행 자음(및 1차 후행 자음)의 대부분이 1700년경 이전에 사라졌지만, 3차 후행 자음은 후행 < ''-a''의 소실을 통해 나중에 생겨났다.
로망스어군에서 '구개음화'는 후행하는 전설 모음 앞에 위치한 연구개 자음과, 요드를 포함하는 자음군, 또는 구개 근사음 자체의 음운 변화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64]
서로마권(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북부 이탈리아어)에서는 모음 사이의 위치에서 "연화"가 일어났지만,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과 루마니아어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라 스페치아-리미니 선은 로망스어 방언의 가장 중요한 등어선 중 하나이다.[67] 단일 무성 파열음이 유성이 되었다 (''-p-, -t-, -c-'' > ''-b-, -d-, -g-''). 그 후 일부 언어에서는 더 약화되어 마찰음 또는 접근 자음이 되거나 완전히 사라졌다. 유성 파열음 와 는 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일반 유음 ''-s-'' 또한 모음 사이에서 로 유성화되었다. 이중 파열음이 단일음이 되었다. 이중 유음 ''-ss-'' 또한 음성적으로나 음운론적으로 단일 이 되었다.
고대 로마 말기 라틴어에서, 로 시작하는 단어와 무성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의 앞에 모음이 추가되는 모음 앞첨가 /i/(대부분의 언어에서 /e/로 낮아짐)가 삽입되었다 (#sC- > isC-).[70] 서부 로망스어군에서는 모음 앞첨가된 모음이 단어와 합쳐졌지만, 동부 로망스어군과 남부 이탈로-로망스어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7. 2. 모음 변화
(일부 단어)(대부분의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