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망스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망스어군은 로마 제국에서 사용되던 통속 라틴어에서 기원한 언어들의 집합이다. 5세기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라틴어가 지역별로 분화되며 형성되었으며, 현재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등 5개의 주요 언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언어와 방언을 포괄한다. 로망스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음운 변화와 어휘의 변화를 겪어왔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8억 8천만 명이 사용하며, 유럽과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여러 대륙에서 공용어 또는 국어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로망스어군
지도
유럽의 로망스어
유럽의 로망스어
로망스어 사용 지역 상세 SVG 지도
로망스어 사용 지역 상세 지도
기본 정보
다른 이름라틴어 / 네오라틴어
지역이탈리아 반도의 고대 라티움에서 기원, 현재 라틴 유럽(동유럽, 남유럽, 서유럽 일부)과 라틴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 대부분 국가), 아프리카(라틴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일부에서 사용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족라틴-팔리스카어파
어족라틴어
조상어고대 라틴어
조상어통속 라틴어
원시어원시 로망스어
하위어군이탈리아-서부 로망스어군
동부 로망스어군
남부 로망스어군
사멸어판노니아 라틴어 †
브리튼 라틴어 †
ISO 639-2roa
ISO 639-5roa
글롯코드roma1334
글롯코드 참조 이름로망스어
링구아존51- (phylozone)
하위 어군
주요 하위 어군이탈리아-서부 로망스어군
동부 로망스어군
남부 로망스어군
기타 하위 어군판노니아 라틴어 †
브리튼 라틴어 †

2. 역사

로마 제국에서 사용되던 통속 라틴어(Vulgar Latin)는 로망스어군의 기원이다.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라틴어이베리아반도에서 흑해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퍼져 있었다. 5세기경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라틴어는 지역별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15세기 이후 유럽 국가들의 식민지 확장을 통해 로망스어는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현재 로망스어 사용 인구의 2/3는 유럽 외부에 거주한다.[16][17][18]

플라비오 비온도는 1435년에 루마니아어이탈리아어의 언어적 유사성과 공통 라틴어 기원을 처음으로 관찰한 학자였다.[26]

3. 명칭과 특징

"로망스어(Romance)"라는 명칭은 "로마식으로(in Roman)"를 의미하는 라틴어 부사 'romanice'에서 유래했다.[10][11] 이 단어는 "로마식으로 말하다(to speak in Roman)"라는 표현인 'romanice loqui'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고전 라틴어로 말하는 것을 뜻하는 'latine loqui', 바바리아인 방식으로 말하는 것을 뜻하는 'barbarice loqui'와 대비된다.[10]

로망스어 사용 지역은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기독교 문화권에 속해 있어 언어 간 차이가 크지 않다. 서유럽에서는 방언 연속체가 나타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언어 간에는 상호 소통이 가능하다.[12] 예를 들어 스페인어포르투갈어는 통역 없이도 기본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정 지역의 언어는 인접 지역의 언어와 약간만 다르지만, 더 먼 지역으로 갈수록 차이가 누적되어 두 지역의 언어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별개의 언어로 인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언어 경계를 긋기가 어려워지며, 따라서 로망스어 변종을 개별 언어로 나누는 명확한 방법이 없다.[12]

4. 문법

라틴어의 풍부한 명사 격변화는 루마니아어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 사실상 소멸하였으며, 대명사의 변화에만 그 흔적이 남아있다. 그리하여 통사적으로 고정된 어순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35]

5. 현대적 지위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로망스어는 스페인어이며,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가 그 뒤를 잇는다. 이들 언어는 수십 개국에서 공용어 또는 국어로 사용된다.[13][14][15][16][17][18]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스위스, 벨기에, 루마니아, 몰도바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 하나 이상의 로망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루마니아어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이다.[13]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카탈루냐어는 해체된 라틴 연합의 공용어였다.[14]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는 유엔의 6개 공용어 중 두 개이다.[15] 유럽 외 지역에서는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가 옛 식민 제국에서 비롯된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공용어 지위를 누리고 있다.[16][17][18]

전 세계적으로 거의 5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스페인어는 스페인남아메리카 9개국(대륙 인구의 약 절반 거주)에서 공용어이며, 중앙아메리카 6개국(벨리즈 제외)과 멕시코에서도 공용어이다.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에서 공용어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적도 기니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포르투갈에서 거의 1,000만 명의 전체 인구가 사용하는 포르투갈어브라질의 공용어로 2억 명 이상이 사용하며, 남아메리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포르투갈어는 6개 아프리카 국가(앙골라,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의 공용어이며,[19] 아시아에서는 동티모르마카오에서 다른 언어와 함께 공용어이다.

프랑스어는 캐나다의 퀘벡 주와 뉴브런즈윅 및 온타리오 일부 지역에서 모어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캐나다는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프랑스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다. 아이티와 같은 카리브해 지역 일부에서는 프랑스어가 공용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크리올어인 아이티 크리올어를 모어로 사용한다. 프랑스어는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도 공용어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일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식민 지배가 끝난 후 이탈리아어는 공용어로 남아 있지 않았다. 아프리카의 이전 이탈리아 식민지—즉 리비아, 에리트레아, 소말리아—에서는 소수의 교육받은 사람들이 이탈리아어를 사용한다.

루마니아는 식민 제국을 건설하지 않았다. 루마니아어의 토착 사용 지역은 몰도바뿐만 아니라, 세르비아(보이보디나와 보르 구), 불가리아, 헝가리, 우크라이나(부코비나, 부자크)의 인접 지역과 드니스터와 부그 강 사이의 일부 마을을 포함한다.[22]

로망스어의 총 모어 사용자 수는 (약 2020년 기준) 8억 8천만 명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7]

언어사용자 비율사용자 수 (모어)사용자 수 (제2언어 포함)
스페인어54%4억 7,500만 명5억 5,000만 명
포르투갈어26%2억 3,000만 명2억 6,000만 명
프랑스어9%8,000만 명3억 1,000만 명
이탈리아어7%6,500만 명6,800만 명
루마니아어3%2,400만 명해당사항 없음
카탈루냐어0.5%400만 명900만 명
기타3%2,600만 명해당사항 없음



카탈루냐어안도라의 공용어이다. 스페인에서는 카탈루냐, 발렌시아 지방(발렌시아어로),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아라곤의 라 프란하 지역에서는 공용어는 아니지만 인정받고 있다. 또한 사르데냐 섬의 알게로 주민들이 많이 사용하며, 이 도시에서는 공용어이다. 3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갈리시아어는 갈리시아에서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인접한 카스티야 이 레온 지역에서 법적 인정을 받고 있다. 다른 몇몇 언어는 지역적 또는 제한적인 수준에서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의 아스투리아스어아라곤어, 포르투갈의 미란데스어, 이탈리아의 프리울리어, 사르데냐어, 프랑코프로방스어, 스위스의 레토로망스어 등이다.

나머지 로망스어는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구어로 주로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국가 정부는 언어적 다양성을 잠재적인 분리주의 운동의 원천으로 간주하여, 공용어 사용을 광범위하게 장려하고, 언론에서 다른 언어의 사용을 제한하며, 단순한 "방언"으로 인정하거나, 심지어 박해함으로써 이를 제거하려고 노력해왔다. 그 결과, 이들 언어는 모두 유네스코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간주된다.

6. 하위 분류

로망스어는 방언 연속체의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아 명확한 구분이 쉽지 않다. 그래서 국가나 지방 구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로망스어의 음운론, 형태론, 어휘는 주로 통속 라틴어(Vulgar Latin)에서 변화된 형태이지만, 현대 로망스어와 그 조상인 라틴어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로망스어는 라틴어의 어미 변화 체계를 잃었고, 그 결과 SVO 문장 구조를 가지며 전치사를 많이 사용한다.

8세기 후반 샤를마뉴는 당시 라틴어가 고전적인 기준으로 볼 때 많이 변질되었다고 생각하여 서유럽에 고전 라틴어를 다시 도입했다. 그러나 이는 교구민들이 사제들의 설교를 이해할 수 없게 만들었고, 결국 813년 투르 공의회에서 사제들이 설교를 rustica romana linguala (소박한 로마인의 언어, 즉 로망스어)로 번역해야 한다는 칙령을 발표하게 했다. 이는 로망스어가 라틴어와는 별개의 언어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인정한 것이다.[42]

로망스어의 분류는 학술적으로 정치적인 이유로 이루어져 왔으며, 언어 계통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탈로-서로망스어나 갈로-이베리아어 등의 세분화된 분류는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

6. 1. 주요 분류

로망스어군은 크게 대륙 로망스어, 도서 로망스어, 아프리카 로망스어†로 분류된다.

6. 2. 세부 분류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다음은 로망스어군의 세부 분류이다.

7. 음운 변화

로망스어군에서는 자음과 모음에 상당한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7. 1. 자음 변화

속어 라틴어에서는 어말 자음이 탈락하는 경향이 있었다.[62] 예를 들어, 후행 '-m'이 탈락되었으며,[62] 많은 단어에서 후행 자음이 사라지거나 삽입 모음에 의해 보호되었다. 이탈로-로망스어와 동부 로망스어에서는 일부 관사와 단음절 전치사를 제외한 모든 후행 자음이 사라지거나 삽입 모음에 의해 보호되었다. 현대 표준 이탈리아어는 후행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매우 적지만, 루마니아어는 후행 와 의 후기 소실을 통해 이러한 자음을 되찾았다.

중앙 서부 로망스어는 후행 와 의 일반적인 소실을 통해 많은 후행 자음을 되찾았다. 프랑스어에서는 이러한 2차 후행 자음(및 1차 후행 자음)의 대부분이 1700년경 이전에 사라졌지만, 3차 후행 자음은 후행 < ''-a''의 소실을 통해 나중에 생겨났다.

로망스어군에서 '구개음화'는 후행하는 전설 모음 앞에 위치한 연구개 자음과, 요드를 포함하는 자음군, 또는 구개 근사음 자체의 음운 변화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64]

서로마권(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북부 이탈리아어)에서는 모음 사이의 위치에서 "연화"가 일어났지만,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과 루마니아어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라 스페치아-리미니 선은 로망스어 방언의 가장 중요한 등어선 중 하나이다.[67] 단일 무성 파열음이 유성이 되었다 (''-p-, -t-, -c-'' > ''-b-, -d-, -g-''). 그 후 일부 언어에서는 더 약화되어 마찰음 또는 접근 자음이 되거나 완전히 사라졌다. 유성 파열음 와 는 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일반 유음 ''-s-'' 또한 모음 사이에서 로 유성화되었다. 이중 파열음이 단일음이 되었다. 이중 유음 ''-ss-'' 또한 음성적으로나 음운론적으로 단일 이 되었다.

고대 로마 말기 라틴어에서, 로 시작하는 단어와 무성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의 앞에 모음이 추가되는 모음 앞첨가 /i/(대부분의 언어에서 /e/로 낮아짐)가 삽입되었다 (#sC- > isC-).[70] 서부 로망스어군에서는 모음 앞첨가된 모음이 단어와 합쳐졌지만, 동부 로망스어군과 남부 이탈로-로망스어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7. 2. 모음 변화

(일부 단어)au>u (ŭ)짧은 urowspan="2"rowspan="2" |ų*ūu*au
(대부분의 단어)auau*/aw/1 각각 라틴어와 로망스어 연구에서 전통적인 학술적 표기.



갈로-로망스어군과 레토로망스어군에서는 전설모음 이 나타난다. 카탈루냐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에서 /u/ > /y/의 무조건적인 변화가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lūnam''은 프랑스어 ''lune'' , 오크어 가 된다.

무강세 모음은 강세 모음에 비해 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초기 이탈로-서구 로망스어군에서의 무강세 모음의 변천
라틴어원시 로망스어강세 모음어말이 아닌 무강세 모음어말 무강세 모음
원형후기 이탈로 로망스어후기 서부 로망스어갈로 로망스어원시 프랑스어
학술적 표기1IPAIPA
a, āa*colspan="2" |colspan="3"
e, aeę*rowspan=3|rowspan="3" |/e/rowspan="4" |∅; (첨가모음)∅; (첨가모음)
ē, oe*rowspan="2" |
i, yį*
ī, ȳ*colspan="2" |/i/
oǫ*rowspan=3|rowspan=2|colspan=2 rowspan=4|
ō, (au)*rowspan="2" |
uų*rowspan="2" |
ū*colspan="2" |
au
(대부분의 단어)
au*colspan="2" |해당 없음
1 로망스어 연구에서의 전통적인 학술적 표기.

8. 문자 체계

로망스어는 대부분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그 변천에 맞춰 적응해 왔다. 19세기 이전 키릴 문자를 사용했던 루마니아어나, 소련에서 루마니아어(당시 몰도바어)에 키릴 문자 알파벳을 사용했던 경우가 예외에 해당한다. 또한 스페인의 비기독교 인구는 아랍어히브리어와 같은 종교 문자를 사용하여 주데오에스파뇰과 모자라베어와 같은 로망스어를 ''알하미아도''로 썼다.[26]

23개의 고전 라틴 알파벳 –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V', 'X', 'Y', 'Z' – 는 여러 방식으로 변형되고 확장되어 로망스어의 철자 시스템을 만들어냈다. 라틴 문자 'V'는 자음 'V'와 모음 'U'로, 'I'는 'I'와 'J'로 분리되었다. 게르만어족에서 널리 사용된 라틴 문자 'K'와 새로운 문자 'W'는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는 외국어 이름과 동화되지 않은 단어에 주로 사용된다. 이탈리아어에서 chilometroit 대신 kilometroit를 쓰는 것이 그 예이다. 포르투갈어와 카탈루냐어는 "외래" 문자 도입을 더 피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23개 기본 라틴 문자는 음운적 가치를 유지했지만, 일부 문자는 상당히 달라졌다. 중세 이후 추가된 새 문자는 언어마다 다르게 사용되었다. 'H', 'Q'와 같은 문자는 이중모음 또는 삼중모음으로 결합되어 라틴 알파벳으로 기록할 수 없는 음운 현상을 나타내거나 기존 철자 규칙을 우회했다. 대부분의 언어는 구분 부호(구별 부호)를 추가하여 이러한 목적과 다른 목적에 사용했다.

로망스어 철자 시스템은 대부분 간단하고 각 언어 내에서 일관성이 있다. 철자 규칙은 음소적이며, 표준 서면 형태의 실제 발음은 화자의 악센트(지역에 따라 다름)나 단어/발화 내 음의 위치(동소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 문자는 언어 간 또는 라틴어와 로망스어 간에 다른 값을 갖는다.



그 외 이중모음으로 결합되지 않은 문자는 보통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제시된 음소를 나타낸다. IPA 설계는 로망스어 철자 시스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대부분의 로망스어는 라틴 알파벳으로 표현 가능한 음보다 더 많은 음을 가지므로, 이중자음과 삼중자음(단일 음소 값을 갖는 2~3개 문자 조합)을 사용한다. 이 개념은 고전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는데, ''TH'', ''PH'', ''CH''를 사용하여 그리스 문자 "θ", "ϕ"(후에 "φ"), "χ"를 음역했다. 이들은 그리스어에서 마찰음으로 변하기 전 유기음이었으며, ''H''는 로마인들에게 , , 다음에 오는 처럼 들렸다. 현대 문자에서 사용되는 이중자음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중자음설명
CI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코르시카어, 루마니아어에서 A, O, U 앞에서
CH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코르시카어, 루마니아어, 로만슈어, 사르데냐어에서 E, I(요드 포함) 앞에서 . 오크어, 스페인어, 아스투리아스-레온어, 갈리시아어에서는 . 로만슈어에서는 A, O, U 앞에서 또는 . 다른 대부분 언어에서는 . 카탈루냐어에서는 를 나타내는 오래된 철자 규칙에서 사용.
DD시칠리아어, 사르데냐어에서 유성 후설 파열음 . 최근 DDH로 더 정확하게 표기.
DJ와롱어, 카탈루냐어에서
GI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코르시카어, 루마니아어에서 A, O, U 앞에서 . 로만슈어에서는 또는 또는 (A, E, O, U 앞에서) 또는
GH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코르시카어, 루마니아어, 로만슈어, 사르데냐어에서 E, I(요드 포함) 앞에서 . 갈리시아어에서는 무성 인두 마찰음 (표준 음 아님).
GL로만슈어에서 자음과 I 앞, 단어 끝에서
GLI이탈리아어, 코르시카어에서 , 로만슈어에서
GN프랑스어, 이탈리아의 일부 로망스어, 코르시카어, 로만슈어, 와롱어에서 . 이탈리아어에서는 "ogni", "lo gnocco"처럼
GU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코르시카어, 로만슈어, 루마니아어를 제외한 모든 로망스어에서 E, I 앞에서 또는 . 이들 언어는 GH 사용.
IG카탈루냐어에서 단어 끝 (예: maig, safareig, enmig)
IX카탈루냐어/아라곤어에서 모음 사이 또는 단어 끝 (예: caixa/caixa, calaix/calaixo)
JH와롱어에서 /ʒ/ 또는 /h/
LH포르투갈어, 오크어에서
LL스페인어, 카탈루냐어, 갈리시아어, 아스투리아스-레온어, 노르망어, 저지어에서 원래 였으나, 일부 경우 와 합쳐짐. 프랑스어에서는 I(i) 다음에 오지 않으면 . I 다음이면 (일부 방언에서는 ). 이탈리아어처럼 오크어에서는 긴
L·L카탈루냐어에서 겹자음
NH포르투갈어, 오크어에서 , 공식 갈리시아어에서는
N-피에몬테어, 리구리아어에서 두 모음 사이
NN레온어에서 , 이탈리아어에서는 겹자음
NY카탈루냐어, 아라곤어, 와롱어에서
QU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로만슈어에서는 . 프랑스어, 아스투리아스-레온어(보통 e, i 앞)에서는 . 오크어, 카탈루냐어, 포르투갈어에서는 e, i 앞 , a, o 앞 보통 . 스페인어에서는 항상 e, i
RR여러 언어(오크어, 카탈루냐어, 스페인어)에서 모음 사이 떨림 또는 구개음 R, 파열음 대신 사용.
SC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에서 E, I 앞에서 또는 . 유럽 포르투갈어에서는 . 프랑스어, 브라질 포르투갈어, 카탈루냐어,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에서는 특정 어원 단어에서 (표준 이베리아 스페인어에서는 )
SCH로만슈어에서는 또는 . 이탈리아어에서는 요드 를 포함하여 E, I 앞에서
SCI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코르시카어에서 A, O, U 앞에서 또는
SH아란어, 오크어, 와롱어에서
SS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피에몬테어, 로만슈어, 오크어, 카탈루냐어에서 모음 사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의 로망스어, 코르시카어에서는 긴
TS카탈루냐어에서
TSH와롱어에서 /tʃ/
TG로만슈어에서 또는 . 카탈루냐어에서는 E, I 앞 (예: metge, fetge)
TH저지어에서 , 아란어에서는 또는
TJ카탈루냐어에서 모음 사이와 A, O, U 앞 (예: sotjar, mitjó)
TSCH로만슈어에서
TX카탈루냐어에서 단어 시작/끝 또는 모음 사이 (예: txec, esquitx, atxa)
TZ카탈루냐어에서
XH와롱어에서 방언에 따라 /ʃ/ 또는 /h/



''CH'', ''PH'', ''RH'', ''TH'' 이중자음은 한때 그리스어 어원 단어에 사용되었지만, 대부분 언어에서 ''C/QU'', ''F'', ''R'', ''T''로 대체되었다. 프랑스어만이 어원적 철자를 유지하며, 현재 각각 또는 , , , 를 나타낸다.

겹자음은 보통 자음을 두 번 쓰는 것으로 표기하지만, 해당 단모음과 대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기하지 않는다. 제르시아어에서는 긴 자음을 아포스트로피로 표기한다. s'snrf는 긴 , ss'snrf는 긴 , t'tnrf는 긴 이다. 이탈리아어에서는 겹자음-단일 자음 대립이 널리 사용되며, 전통 표기법에서 표시된다. fattoit '완료됨' vs. fatoit '운명', caddeit '떨어졌다' vs. cadeit '떨어진다'. 프랑스어 표기법 겹자음은 어원적이다. 카탈루냐어에서는 lca 겹자음을 punt volatca("떠 있는 점")으로 표시한다(l·lca).

로망스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구분 부호를 도입했다. 어떤 경우 이중자음/삼중자음 대안으로 사용된다. 즉, 기본 알파벳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소리를 나타내거나, 동일하게 쓰였던 소리를 구분한다. 구분 부호는 단어 강세 표시, 특정 단어에서 예외적 발음, 발음 같은 단어(동음이의어) 구분에도 사용된다.

언어에 따라 일부 문자-구분 부호 조합은 어휘 정렬을 위해 별개 문자로 간주될 수 있다. 루마니아어 ''ș'' ()와 스페인어 ''ñ'' ()가 그 예이다.

다음은 로망스어에서 구분 부호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이다.



대부분 언어는 알파벳 두 가지 변형체("대소문자") 혼합으로 쓰인다. 로마 돌 새김 글자 모양에서 유래한 대문자("큰 글자")와 소문자("작은 글자")는 카롤링거 서체와 중세 깃펜 필기체에서 유래, 15~16세기 인쇄업자 채택.

모든 로망스어는 다음 단어 첫 글자 대문자로 쓴다(문장 첫 단어, 사람/장소/조직 이름 대부분 단어, 책 제목 대부분 단어). 로망스어는 일반 명사 포함 모든 명사 대문자 쓰는 독일어 관행 따르지 않음. 영어와 달리, 월/요일 이름과 고유 명사 파생어는 보통 대문자 쓰지 않음. 이탈리아어에서 "프랑스" Franciait, "프란체스코" Francescoit 대문자, "프랑스어" franceseit, "프란체스코회의" francescanoit 소문자. 각 언어에는 이 규칙 예외 존재.

9. 어휘 비교

로망스어 간에는 어휘적 유사성이 높으며, 이는 공통 조상인 라틴어에서 기인한다.[104] 음운 변화로 인해 형태가 달라진 경우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어휘가 유사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어휘 유사성 정도는 언어 간 거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아래 표는 라틴어와 로망스어 사이에서 발생한 여러 음운 변화의 예를 보여주는 어휘 비교를 제공한다.

영어라틴어사르데냐어[88]루마니아어시칠리아어[89][90][91]나폴리어코르시카어이탈리아어베네토어[92]리구리아어[93]에밀리아어롬바르디아어피에몬테어[94]프리울리어[95]로만슈어아르피탄어[96]프랑스어오크어[97]카탈루냐어아라곤어[98]스페인어아스투리아스어[99]포르투갈어갈리시아어
남자homō, hominemómineomomu [ˈɔmʊ]ommo [ˈɔmːə]omuuomo [ˈwɔmo]òm(en~an)o [ˈɔm(en~an)o]; òm [ˈɔŋ]òmmo [ɔmu]òm(en)òm(en) [ˈɔmɐn]òm [ˈɔm]omumhomohommeòme [ˈɔme]homehom(br)ehombrehomehomemhome
여자, 아내Domina, femina, mulier, mulieremFémina, muzèredoamna, femeie, muieremugghieri [mʊˈgːjeri]femmena [femːənə], mugliera [muʎeɾə]donna, mogliedonna [dɔnːa]dòna [ˈdɔna]; fémena [ˈfemena]; mujer [muˈjer]mogê/dònnamujérdòna [dɔnɐ] /femna,[femnɐ] /
miee/moglier [ˈmje]
fomna / fomla [ˈfʊmnɐ]/[ˈfʊmlɐ], mojé [mʊˈje]muîrmuglierfènafemme
고대 프랑스어 moillier
femna/molhèr [ˈfɛnːɒ]/
[muˈʎɛ]
dona, mullermullermujermuyermulhermuller
아들fīliumfízufiufigghiu [ˈfɪgːi̯ʊ]figlio [ˈfiʎə]figliu/figliolufiglio [ˈfiʎːo]fïo [ˈfi.o]; fiòƚo [ˈfi̯ɔ.e̯o]; fiol [ˈfi̯ɔl~ˈfi̯ol]figeu [fiˈdʒø] / figleu [ˈfiˈʎø]fiōlfiœl [ˈfi̯ø]fieul [ˈfi̯øl] / fij [fi]fifigl, fegl [fiʎ]fily, felyfilsfilh [fil]fillfillohijofíufilhofillo
aquamàbbaapăacqua [ˈakːua]acqua [akːu̯ə]acquaacqua [akːwa]aqua~aqoa [ˈaku̯a~ˈakoa]; aba~aiva [ˈaba~ˈai̯va]; buba [ˈbuba]; łénça [ˈensa~ˈlensa]ægoa [ˈɛgu̯a]/ aigoa [ai̯ɡu̯a]aquaaqua/ova/eivaeva [ˈevɐ]agheauaégouaeauaiga [ˈai̯gɒ]aiguaaigua, auguaaguaaguaáguaauga
focumfócufocfocu [ˈfɔkʊ]foco/(pere, from Greek "πυρ")focufuoco [fu̯ɔko]fógo [ˈfogo]; hógo [ˈhogo]fêugo [ˈføgu]foeughfœg [ˈføk]feu [ˈfø]fûcfieufuèfeufuòc [ˈfy̯ɔk] ~ [fjɔk]focfuegofuegofueufogofogo
pluviampróidaploaiechiuvuta [ki̯ʊˈvʊta][100]chiuvutapioggiapioggia [pi̯ɔdʒːa]piova [ˈpi̯ɔva~ˈpi̯ova]ciêuva [ˈtʃøa]pioeuvapiœva [ˈpi̯øvɐ]pieuva [ˈpi̯øvɐ]ploeplievgiapllovepluiepluèja [ˈply̯ɛd͡ʒɒ]plujapluya/plevitalluvialluviachuvachoiva
terramtèrrațarăterra [tɛˈrːa]terra [tɛrːə]terraterra [tɛrːa]tèra [ˈtɛra]tæra [tɛɾa]teraterra [ˈtɛɾɐ]tèra [ˈtɛɾɐ]tiereterra/tiaratèrraterretèrra [ˈtɛʁːɒ]terratierratierratierraterraterra
petrapedrapiatrăpetra [ˈpεtra]preta [ˈpɾɛtə]petrapietra [pi̯etra]piera [ˈpi̯ɛra~ˈpi̯era]; prïa~prèa [ˈpri.a~ˈprɛ.a]pria [pɾi̯a]predapreda/prejapera/pria/prejapierecrapapiérrapierrepèira [ˈpɛi̯ʁɒ]pedrapiedrapiedrapiedrapedrapedra
하늘caelumchélucercelu [ˈtʃɛlʊ]cielo [ˈtʃi̯elə]celucielo [ˈtʃ(i̯)ɛlo]çiél [ˈsi̯el~ˈtsi̯el] ~ çiélo [ˈθi̯elo]çê [se]cēlcel [ˈtɕel]cel/sel [ˈtɕel] / [ˈsel]cîltschiel [ˈtʃ̯i̯ɛl]cièlcielcèl [sɛl]celcielociel(o)cielucéuceo
높은altumàrtuînaltautu [ˈawɾʊ]auto [ɑu̯tə]altualto [ˈalto]alto [ˈalto]ato [atu]éltalt/(v)oltàut [ˈɑʊ̯t]altaut [ˈɑʊ̯t]hiôthaut[101]naut [nau̯t]altaltoaltoaltualtoalto
새로운novumnóbunounovu [ˈnɔvʊ]nuovo [ˈnu̯ovə]novunuovo [ˈnu̯ɔvo]nóvo [ˈnovo]nêuvo [nø̯u]noeuvnœv [ˈnøf]neuv [ˈnø̯w]gnovenov [ˈnøf]nôvo, nôfneufnòu [nɔu̯]nounuevonuevonuevunovonovo
caballumcàdhucalcavaḍḍu [kaˈvaɖɖʊ]cavallo [cɐvɑlːə]cavallucavallo [kavalːo]cavało [kaˈvae̯o] caval [kaˈval]cavàllocavàlcavallcaval [kaˈvɑl]cjavalchaval [ˈtʃ̯aval]chevâlchevalcaval [kaˈβal]cavallcaballocaballocaballucavalocabalo
canemcàne/jàgarucâinecani [ˈkanɪ]cane/cacciuttiellocanecane [kane]can [ˈkaŋ]càn [kaŋ]cancan/ca [ˈkɑ̃(ŋ)]can [ˈkaŋ]cjanchaun [ˈtʃ̯awn]chinchiencan [ka] / gos [gus]ca, goscancan/perrocancãocan
하다facerefàchereface(re)fàciri [ˈfaʃɪɾɪ]fà [fɑ]fare [ˈfaɾe]far [ˈfar]fâ [faː]far / ferfar [ˈfɑ]fé [ˈfe]far [far]fére, fârfairefar [fa]ferferhacerfacerfazerfacer
우유lactemlàtelaptelatti [ˈlatːɪ]latte [ˈlɑtːə]lattelatte [ˈlatːe]late [ˈlate]læte [ˈlɛːte] / laite [lai̯te]lattlacc/lat [ˈlɑtɕ]làit/lacc [ˈlɑi̯t] / [ˈlɑtɕ]latlatg [ˈlɑtɕ]lacél, latlaitlach [lat͡ʃ] / [lat͡s]lletleitlechellecheleiteleite
oculum > *oclumócruochiocchiu [ˈɔkːi̯ʊ]uocchio [uokːi̯ə]ochiu/ochjuocchio [ˈɔkːi̯o]òcio [ˈɔtʃo]éugio [ˈødʒu]òćœgg [ˈøtɕ]euj/eugg [ˈøj] / [ødʑ]voliegluelyœiluèlh [y̯ɛl]ulluello/olloojogüeyuolhoollo
auriculam > *oriclamorícraurecheauricchia [awˈɾɪkːɪ̯a]recchia [ɾekːi̯ə]orecchiu/orechjuorecchio [oˡɾekːjo]récia [ˈretʃa]; orécia [ˈoɾetʃa]oêgiauréćoregia/orecia [ʊˈɾɛd͡ʑɐ]orija [ʊˈɾiɐ̯] / oregia [ʊˈɾed͡ʑɐ]oreleuregliaorelyeoreilleaurelha [au̯ˈʁɛʎɒ]orellaorellaorejaoreyaorelhaorella
혀/
언어
linguamlímbalimbălingua [lingu̯a]lengualingualingua [ˈliŋɡua]léngua [ˈleŋgu̯a]léngoa [leŋgu̯a]léngualengua [lẽgwɐ]lenga [ˈlɛŋɡa]lenghelingualengoualanguelenga [ˈlɛŋgɒ]llengualuengalenguallingualíngualingua
manummànumânămanu [manʊ]mana [ˈmɑnə]manumano [mano]man [ˈmaŋ]màn [maŋ]manman/ma [mɑ̃(ɲ)]man [ˈmaŋ]manmaunmanmainman [ma]manmanomanomãoman
피부pellempèdhepielepeḍḍi [pεdːɪ]pella [pɛlːə]pellepelle [ˈpɛlːe]pèłe [ˈpɛ.e~ˈpɛle]; pèl [ˈpɛl]pélle [pele]pèlpell [pɛl]pèil [ˈpɛi̯l]pielpelpêlpeaupèl [pɛl]pellpielpielpielpelepel
ego(d)ègoeueu/jè/ju/iuije [ijə]eiuio(mi)[102] a(mi)[102] a(mì/mè)[102] a(mi/mé)[102] a(mi)[102] i/a/ejojaujeje, moi[102]ieu [i̯ɛu̯]joyoyoyoeueu
우리nostrumnóstrunostrunostru [ˈnɔstrʊ]nuosto [nu̯oʃtə]nostrunostronòstro [ˈnɔstro]nòstro [ˈnɔstɾu]nòsternòst/nòster [ˈnɔst(ɐr)]nòst [ˈnɔst]nestrinossnoutronnotrenòstre [ˈnɔstʁe]nostrenuestronuestronuesu,[103] nuestrunosso[103]noso[103]
trēstrestreitri [ˈtɹɪ]tre [trɛ]tretre [tre]trí~trè [ˈtri~ˈtrɛ]tréi (m)/træ (f)triitri (남성)/
tre (여성)
trè [ˈtɾɛ]tretraistrêtroistres [tʁɛs]trestrestrestréstrêstres
quattuor >
*quattro
bàtoropatruquattru [ˈku̯aʈɻʊ]quatto [qu̯ɑtːə]quattruquattroquatro~qoatro [ˈku̯a.tro~ˈkoa.tro]quàttro [ˈkuatɾu]quàtarquàter [ˈkwɑtɐr]quatr [ˈkɑt]cuatriquat(t)erquatroquatrequatre [ˈkatʁe]quatrecuatre, cuatrocuatrocuatroquatrocatro
다섯quīnque >
*cīnque
chímbecincicincu [ˈtʃɪnkʊ]cinco [tʃinɡə]cinquecinque [ˈtʃinku̯e]çinque [ˈsiŋku̯e~ˈtsiŋku̯e~ˈθiŋku̯e]; çinqoe [ˈsiŋkoe]çìnque [ˈsiŋku̯e]sinccinc [ʃĩk]sinch [ˈsiŋk]cinctschintg [ˈtʃink]cinqcinqcinc [siŋk]cinc(o)cincocinco, cincucincocinco
여섯sexsesșasesia [ˈsi̯a]seje [sɛjə]seisei [ˈsɛ̯j]sïe~sié [ˈsi.e~ˈsi̯e]sêi [se̯j]siēsex [ses]ses [ˈses]sîssissiéxsixsièis [si̯ɛi̯s]sisseis/saisseisseisseisseis
일곱septemsèteșaptesetti [ˈsɛtːɪ]sette [ˈsɛtːə]settesette [ˈsɛtːe]sète [ˈsɛte]; sèt [ˈsɛt]sètte [ˈsɛte]sètset [sɛt]set [ˈsɛt]sietse(a)t, siat [si̯ɛt]sèptseptsèt [sɛt]setsiet(e)sietesietesetesete
여덟octōòtooptottu [ˈɔtːʊ]otto [otːə]ottuotto [ˈɔtːo]òto [ɔto]éuto [ˈøtu]òtvòt/òt [vɔt]eut [ˈøt]votot(g), och [ˈɔtɕ]huéthuituèch/uèit [y̯ɛt͡ʃ]/[y̯ɛi̯t]vuitueit(o)ochoochooitooito
아홉novemnòbenouănovi [ˈnɔvɪ]nove [novə]novenove [ˈnɔve]nove [nɔve~nove]nêuve [nø̯e]nóvnœv [nøf]neuv [ˈnøw]nûvno(u)vnôfneufnòu [nɔu̯]nounueunuevenuevenovenove
decemdèchezecedeci [ˈɾεʃɪ]diece [d̯i̯eʃə]decedieci [ˈdi̯etʃi]diéxe [di̯eze]; diés [di̯es]dêxe [ˈdeʒe]déśdex [des]des [ˈdes]dîsdiesch [di̯eʃ]diéxdixdètz [dɛt͡s]deudiezdiezdiezdezdez
영어라틴어사르데냐어루마니아어시칠리아어나폴리어코르시카어이탈리아어베네토어리구리아어에밀리아어롬바르디아어피에몬테어프리울리어로만슈어아르피탄어프랑스어오크어카탈루냐어아라곤어스페인어아스투리아스어포르투갈어갈리시아어



다음은 Ethnologue에서 제공하는 로망스어들 간 어휘 유사도(%) 비교표이다.

%사르데냐어이탈리아어프랑스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카탈루냐어로만슈어
이탈리아어85
프랑스어8089
스페인어768275
포르투갈어76807589
카탈루냐어7587858585
로만슈어747878747476
루마니아어74777571727372


참조

[1] 웹사이트 Latin https://web.archive.[...] 2023-11-03
[2] 웹사이트 Neo-Latin https://www.merriam-[...] 2023-11-03
[3] 서적 Vulgar Latin https://archive.org/[...]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French Speaking Countries List | Lingoda Live Language Education Online https://www.lingoda.[...]
[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World CIA (US) 2023-11-14
[6] 웹사이트 Lei n. 5.048/2023 - Do Município de Encantado / RS https://direitolingu[...] 2024-08-11
[7] 웹사이트 Lei n. 2.812/2021 - Do Município de Santa Teresa / ES https://direitolingu[...] 2024-08-11
[8] 일반
[9] 웹사이트 Summary by language size http://www.ethnologu[...]
[10] 서적 Lingüística Românica Ática
[11] 웹사이트 romance {{!}} Origin and meaning of romance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1-03-30
[12] 논문
[13] 웹사이트 Languages https://european-uni[...] European Union 2023-11-09
[14] 웹사이트 Unión Latina https://www.unilat.o[...] UNIÓN LATINA 2023-11-09
[15]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3-11-09
[16] 웹사이트 Cameroon https://www.uottawa.[...] uOttawa 2023-11-09
[17] 웹사이트 CONSTITUIÇÃO DA REPÚBLICA FEDERATIVA DO BRASIL DE 1988 https://www.planalto[...] 2023-11-09
[18] 웹사이트 ¿Por qué hablamos español en Colombia? https://lenguasdecol[...] Instituto Caro y Cuervo 2023-11-09
[19] 웹사이트 Portuguese speaking countries https://www.worlddat[...] 2023-11-22
[20] 일반
[21] 일반
[22] 서적 Istoria românilor din Transnistria (The history of Romanians from Transnistria)
[23] 웹사이트 Reports of about 300,000 Jews who left the country after WW2 https://web.archive.[...] Eurojewcong.org 2010-11-06
[24] 웹사이트 1993 Statistical Abstract of Israel http://www.ethnologu[...]
[25] 서적 La Diaspora aroumaine aux XVIIIe et XIXe siècles Publications Langues'O
[26] 논문 Italian's long-lost sister: the Romanian language and why Italianists should know about it
[27] 웹사이트 Ethnologue https://web.archive.[...] SIL Haley 2022-02-25
[28] 논문 Romanization and Latinization of the Roman Empire in the light of data in the Computerized Historical Linguistic Database of Latin Inscriptions of the Imperial Age https://www.academia[...]
[29] 서적 Reliques of Ancient English Poetry: Consisting of Old Heroic Ballads, Songs, Etc https://archive.org/[...] Abe Books
[30]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2018-10-26
[31] 일반
[32]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Europe: A Comprehensive Guide
[33] 서적 Las Lenguas románicas estándar: historia de su formación y de su uso
[34] 서적 Erdély történetének atlasza [Atlas of the History of Transylvania] Méry Ratio
[35] 일반
[36] 서적 Indo-European ABC-Clio
[37] 학술지 Literacy in the Roman Provinc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from Central Spain
[38] 서적 Romance Languages Routledge
[3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Romance Languages: Volume 2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3-27
[40] 서적 Vulgar Latin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16-05-16
[41] 서적 The Romanians: A History Ohio Stat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French language: past and present Grant and Cutler Ltd
[43] 서적 Introduc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3-28
[44] 웹사이트 "Na" is a contraction of "em" (in) + "a" (the)
[45] 웹사이트 A more accurate translation for "in the mouth"
[46] 웹사이트 Verb; literally means "to put in mouth"
[47] 웹사이트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http://dx.doi.org/10[...] Oxford Academic 2024-03-28
[48] 서적 Language Contact at the Romance–Germanic Language Border https://web.archive.[...] Multilingual Matters 2020-09-15
[4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Romance Languages: Volume 2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3-27
[50] 웹사이트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Romance Languages https://www.cambridg[...] 2024-01-24
[51] 웹사이트 Romance https://www.ethnolog[...] 2024-03-29
[52] 서적 The peoples of Europe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2023-08-18
[53] 웹사이트 Hermathena https://books.google[...] 2023-08-18
[54]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A cognitive grammar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3-08-18
[55] 웹사이트 NEO-ROMANTICISM IN LANGUAGE PLANNING (Edo BERNASCONI) https://web.archive.[...]
[56] 웹사이트 NEO-ROMANTICISM IN LANGUAGE PLANNING (Edo BERNASCONI) https://web.archive.[...]
[57] 간행물 De Latino Sine Flexione. Lingua Auxiliare Internationale http://www.gutenberg[...] Fratres Bocca Editores
[58] 학술지 Il latino quale lingua ausiliare internazionale http://mono.eik.bme.[...] 2022-07-03
[59] 웹사이트 Eall fhoil de Bhreathanach http://www.cix.co.uk[...]
[60] 웹사이트 Þrjótrunn: A North Romance Language: History http://www.kunstspra[...] Kunstsprachen.de 2007-10-28
[61] 웹사이트 Relay0/R – Jelbazech http://steen.free.fr[...] Steen.free.fr 2004-08-28
[62] 서적 Manual of Romance Phonetics and Phonology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3-09-06
[63] 서적 Vowel prosthesis in Romance: a diachronic stud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64] 웹사이트 The Early History of Romance Palatalizations https://doi.org/10.1[...] 2022-06-20
[65] 웹사이트 Palatalizations in the Romance Languages https://doi.org/10.1[...] 2020-07-30
[66] 서적
[67] 서적 Structure of the Syllable – 5.5.3 Leni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학술지 Celtic lenition and Western Romance consonants https://www.jstor.or[...] 2022-11-26
[69] 서적 Comparative historical dialectology: Italo-Romance clues to Ibero-Romance sound change John Benjamins Publishing
[70] 서적 De la Latină la Română Editura Pro Universitaria
[71] 논문
[72] 논문
[7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Romance Languages: Volume 1, Structures
[74] 서적 La langue corse http://languagehat.c[...]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2
[75] 서적
[76] 논문
[77] 학술지 Metaphony and Two Models for the Description of Vowel Systems
[78] 웹사이트 Metaphony http://homepages.uco[...] 2012-05-15
[79] 웹사이트 ALVARO ARIAS CABAL – Publicaciones http://personales.un[...] 2015-12-30
[80] 학술지 Continuity and Innovation in Romance: Metaphony and Mass-Noun Reference in Spain and Italy
[81] 논문 La armonización vocálica en fonología funcional (de lo sintagmático en fonología a propósito de dos casos de metafonía hispánica) https://minerva.usc.[...]
[82] 서적 Manual of Romance Phonetics and Phonology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3-09-06
[83] 서적 Manual of Romance Phonetics and Phonology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3-09-06
[84] 논문
[85] 논문
[86] 서적 A History of the Spanish Language Cambridge UP
[87] 학술지 Metipsimus in Spanish and French
[88] 웹사이트 Ditzionàriu in línia de sa limba e de sa cultura sarda, Regione Autònoma de sa Sardigna https://ditzionariu.[...] 2013-09-14
[89] 웹사이트 Sicilian–English Dictionary http://italian.about[...] Italian.about.com 2010-06-15
[90] 웹사이트 Dictionary Sicilian – Italian http://www.utenti.ly[...] Utenti.lycos.it 2010-11-06
[91] 웹사이트 Indo-European Languages http://www.zompist.c[...] 2013-09-18
[92] 웹사이트 Traduttore – Lingua Veneta http://www.linguaven[...] 2022-08-07
[93] 웹사이트 Traduttore Italiano Genovese – TIG http://www.zeneize.n[...] 2021-01-26
[94] 웹사이트 Grand Dissionari Piemontèis / Grande Dizionario Piemontese http://www.piemontei[...] 2013-09-17
[95] 웹사이트 Dictionary English–Friulian Friulian–English http://www.sangiorgi[...] Sangiorgioinsieme.it 2011-07-31
[96] 웹사이트 Lo trèsor arpitan http://arpitan.eu/Sm[...] 2021-01-26
[97] 웹사이트 Occitan–English Dictionary http://www.freelang.[...] Freelang.net 2008-12-16
[98] 웹사이트 English Aragonese Dictionary Online http://en.glosbe.com[...] Glosbe 2013-09-18
[99] 웹사이트 English Asturian Dictionary Online http://en.glosbe.com[...] Glosbe 2013-09-18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간행물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L Inter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