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옥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옥연은 함경남도 함흥 출신의 서양화가로,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수학하고 프랑스 유학을 거쳐 앵포르멜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개성적인 추상화를 그렸다. 194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1970년대부터 청회색 톤의 작품을 선보였으며, 1978년부터 무의자박물관을 운영하고 1983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86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90년 보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으며, 2011년 작고했다. 그의 작품은 고독과 허무의 정서를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으며, 조각가 권진규와는 친척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동문 - 박열
박열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일본에서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천황 암살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박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해방 후 재일 조선인 단체 활동과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생을 마감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동문 - 김용갑 (1919년)
김용갑은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수, 여러 대학의 초빙교수 및 석좌교수를 지내며 한국 경제학계 발전에 기여한 경제학자이다. - 일제강점기의 화가 - 나혜석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신여성, 작가, 여성운동가로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자유로운 삶을 주장하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예술적 업적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화가 - 김영기 (화가)
김영기는 해강 김규진의 아들이자 전통 한국화 기법에 현대적 감각을 더해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한 동양화가로,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후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 추상화 발전에 기여했고, 서울시민상과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김수근 (건축가)
김수근은 한국 현대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건축가로, 한국적 정체성을 담은 건축물 설계, 문화예술 활동 기여, 군사정권 시절 국가 주도 프로젝트 수행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권옥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권옥연 |
원어 이름 | 權玉淵 |
출생일 | 1923년 7월 4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함경남도 함흥 |
사망일 | 2011년 4월 17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직업 | 서양화가 |
배우자 | 이병복(연극인, 1927-2017) |
친척 | 권태진(작고) 권이나(딸, 재불 조각가/화가; https://www.ina-kwon.com/) 권유진(아들, 첼리스트) 권진규(조각가, 9촌숙부) |
경력 | |
경력 | 금곡박물관 관장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
학력 | |
학력 | 일본 데이코쿠 미술학교 프랑스 파리 아카데미 드 라 그랑 쇼미에르 |
2. 생애
권옥연은 함경남도 함흥의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호는 무의자(無衣子)이다. 함흥에서 유년기를 보낸 후 경성제2고등보통학교(현 경복중고교)에 진학하여 미술교사 사토 구니오를 만났고, 도쿄의 데이코쿠 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 현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서양화 수업을 받았다. 1945년 함흥에서 해방을 맞았으며 한때 모교인 경복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 1948년에 첫 개인전을 열었고, 1951년에는 연극인 이병복과 결혼하였다.
1957년부터 1960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수학하며 유럽 미술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만의 개성적인 추상화를 그렸다. 1965년에는 일본 도쿄에서 개인전을 열고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출품하는 등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1970년대부터는 청회색 톤으로 내면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1978년부터 금곡박물관(이후 무의자박물관으로 개칭)을 운영하였고, 1983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2011년 작고하였다.
조각가 권진규는 먼 친척인데, 권옥연은 권진규에게 여러 면에서 도움을 주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조각가이자 화가인 권이나는 그의 딸이다.
황인 평론가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399540#home "예술가의 한끼"]에서 다음과 같이 권옥연의 삶과 예술을 축약하였다 (중앙일보, 2019.03.02).
"그의 동작은 거침이 없었고 솔직했다. 슬프면 슬픈 표정, 기쁘면 기쁜 표정을 그대로 드러내었다. 기쁘면 아무 데서나 노래를 불렀다. 두툼한 가슴속 깊은 곳에서 길어 올린 노래는 일급이었다. 가곡을 잘 불렀다."
"그는 고유의 체취를 중요시했다. 체취를 다른 말로 포에지라고 했다. 노래라고도 했다.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그 사람의 목청만이, 그 사람의 톤만이 낼 수 있는 표현이 제대로 된 그림이라고 했다. 권옥연의 목청을 그림 속의 빛깔로 나타낸다면 오래된 기왓장을 닮은 청회색이 될 것이다."
2. 1. 유년기와 학창 시절
함경남도 함흥의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호는 무의자(無衣子)이다. 함흥에서 유년기를 보낸 후 경성제2고등보통학교(현 경복중고교)에 진학하여 미술교사 사토 구니오를 만났다. 유영국, 장욱진, 임완규, 김창억, 이대원 등이 당시 그의 선배였다. 1942년에 도쿄의 데이코쿠 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 현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서양화 수업을 시작하였다. 1945년 함흥에서 해방을 맞았으며, 한때 모교인 경복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2. 2. 해방과 귀국, 그리고 결혼
함경남도 함흥에서 해방을 맞았으며, 한때 모교인 경복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 1948년에 동화백화점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다. 당시 그의 그림은 후기인상주의 화풍에 향토적이고 목가적이었다. 1951년 대구에서 연극인 이병복과 결혼하였다.2. 3. 프랑스 유학과 귀국
1957년부터 1960년까지 프랑스 파리의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에서 수학하면서 살롱 도톤느와 레알리테 누벨, 뒤페 회원전, 쉬르레알리즘전 등에 출품했다. 1961년 국립도서관 화랑에서 귀국 개인전을 가졌다. 프랑스 유학 후에는 앵포르멜과 초현실주의 등 유럽 미술의 영향을 받았지만 개성적인 추상적 그림을 그렸다.2. 4. 국내 활동과 국제적 명성
1957년부터 1960년까지 프랑스 파리의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에서 수학하면서 살롱 도톤느와 레알리테 누벨, 뒤페 회원전, 쉬르레알리즘전 등에 출품했다. 1961년 국립도서관 화랑에서 귀국 개인전을 가졌다. 프랑스 유학 후에는 앵포르멜과 초현실주의 등 유럽 미술의 영향을 받았지만 개성적인 추상적 그림을 그렸다. 1965년에는 일본 도쿄 니혼바시 화랑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출품하였다. 1970년대부터는 인물, 정물, 풍경 등에 내재된 이미지를 청회색 톤으로 시를 쓰듯 그렸다.2. 5. 무의자박물관 운영과 예술원 회원
1978년부터 금곡박물관(이후 무의자박물관으로 개칭)을 운영하였고, 1983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2011년 작고하였다.2. 6. 작고와 가족 관계
호는 無衣子|무의자중국어이다. 1951년 대구에서 연극인 이병복과 결혼하였고, 2011년 작고하였다. 권진규는 권옥연의 먼 친척으로, 권옥연은 그에게 여러 면에서 도움을 주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권옥연의 딸 권이나는 조각가이자 화가이다.3. 예술세계와 작품
권옥연의 예술세계와 작품에 대한 정보는 다음 자료들에서 찾을 수 있다.
- 김종근, 2004. http://www.daljin.com/column/2495 "회색의 땅에서 부르는 서정성의 노래 - 권옥연", 김달진 미술연구소.
- 송풍수월(松風水月), 2010.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hyh45&logNo=20109762454&parentCategoryNo=&categoryNo=96&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권옥연 화백의 작품 세계 - 고독과 허무의 색", 네이버 블로그.
- 김미정, 2015.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ingpinur&logNo=220571834992 "상상력의 연금술사, 권옥연의 미술세계 - 권옥연 회고전", 네이버 블로그.
3. 1. 주요 작품 특징
권옥연의 주요 작품 특징은 다음 자료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김종근, 2004. http://www.daljin.com/column/2495 "회색의 땅에서 부르는 서정성의 노래 - 권옥연", 김달진 미술연구소.
- 송풍수월(松風水月), 2010.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hyh45&logNo=20109762454&parentCategoryNo=&categoryNo=96&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권옥연 화백의 작품 세계 - 고독과 허무의 색", 네이버 블로그.
- 김미정, 2015.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ingpinur&logNo=220571834992 "상상력의 연금술사, 권옥연의 미술세계 - 권옥연 회고전", 네이버 블로그.
4. 상훈과 추모
권옥연은 대한민국 예술원상 미술부문(1986), 보관문화훈장(1990), 3.1문화상(1994) 등을 받았다. 2001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덕수궁관에서 초대전이 열렸고 기념화집 2권이 발간되었다. 2015년 12월, 가나아트센터에서 회고전이 열렸다. 2023년 11월, 백주년 기념전이 현대화랑에서 열렸다.
5. 학력
연도 | 학교 |
---|---|
1941년 | 경성 제2고등보통학교 (현 경복중·고등학교) 졸업 |
1942년 ~ 1944년 | 일본 데이코쿠 미술학교 (현 무사시노 미술대학) |
1957년 ~ 1960년 | 프랑스 파리 아카데미 드 라 그랑 쇼미에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