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운은 얇고 깃털 모양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진 구름으로, 라틴어 'cirrus'에서 유래되었으며, '곱슬머리' 또는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권운은 투명하며 흰색을 띠지만, 해가 뜨거나 질 때는 노란색이나 붉은색으로 보일 수 있다. 고도가 높은 곳에서 따뜻하고 건조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생성되며, 제트 기류를 따라 길게 뻗기도 한다. 권운은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온난 전선이나 열대 저기압의 접근을 알리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권운은 다른 행성에서도 관찰되었으며,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권운은 털구름, 갈고리구름, 밀구름, 탑구름, 다발구름 등 5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다양한 광학 현상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국제적인 구름 모양 분류인 10종 구름 모양 중 하나로, 라틴어 학술명은 Cirrus(시러스)이며, 약호는 Ci이다.[85][86] Cirrusla는 라틴어로 곱슬머리를 의미한다.[85] 한국에서는 "권운(巻雲)"이라는 명칭이 처음부터 사용되었다. 그러나 1965년에 巻의 "켄"이라는 읽기가 상용 한자의 표외 음훈이 된다는 지적 등으로 "견운(絹雲)"이라는 표기를 사용하기로 결정[90]되어 한동안 사용되었다. 그 후 1988년에 다시 "권운(巻雲)"으로 돌아왔다.
권운은 얇고 깃털 모양의 구름으로, 1803년 루크 하워드가 처음 과학적으로 정의했다.[2] '곱슬머리' 또는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cirrus''에서 이름이 유래했다.[3] 투명하거나 반투명하여 햇빛을 통과시키며, 보통 흰색이지만 해가 뜨거나 질 때는 노란색이나 붉은색을 띨 수 있다.[5][4] 황혼에는 회색으로 보이기도 한다.[4]
대류권 상부의 계면 가까이에 부는 매우 강한 바람인 제트 기류를 따라 권운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제트운'''[98] 또는 '''제트 권운'''이라고 한다.
맑은 날씨가 흐려질 때, 다른 구름보다 먼저 권운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온난 전선, 저기압, 태풍 등이 접근할 때 권운이 먼저 나타나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85][101] 짙은 권운이나 다양한 형태의 권운이 넓게 퍼지는 것은 상공의 습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후 구름이 늘어나 권층운, 고층운, 난층운과 낮은 구름으로 변화하면서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85][99] 이는 예로부터 알려져 왔으며, 얇은 구름이 하늘 가득히 퍼지면 비가 올 날씨라는 기상 전승 속설이 있다.
권운은 얇고 깃털 모양의 구름으로,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00] 비단, 털, 꼬리, 새, 생선 뼈, 봉화 등 다양한 사물에 비유된다.[85][91][93][88]
권운은 화성,[36] 목성,[37] 토성,[38] 천왕성,[39] 해왕성[40], 그리고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이자 수성보다 더 큰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서도 발견된다.[41] 다른 행성의 권운은 물이 아닌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데, 화성의 권운은 이산화탄소 얼음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42] 극지방과 중위도 지역 모두에서 관찰된다.[43] 목성과 토성의 권운은 암모니아 얼음 결정으로,[37][38] 천왕성과 해왕성의 권운은 메탄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39][40] 타이탄의 권운은 메테인보다 에탄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도가 20km 이상이다.[41]
권운은 지구 표면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으며, 순수한 온난화 효과를 나타낸다.[41] 얇고 반투명한 권운은 들어오는 햇빛을 거의 반사하지 않으면서 나가는 적외선 복사를 효과적으로 흡수한다.[42] 권운이 100m 두께일 경우, 들어오는 햇빛의 약 9%만 반사하지만 나가는 적외선 복사의 거의 50%를 막아 구름 아래 대기 온도를 평균 10°C 높인다.[43] 이는 온실 효과로 알려진 과정이다.[44]
권운은 길고 가닥진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진 얇고 깃털 모양의 구름으로, 깃털 모양,[1] 머리카락 모양, 또는 층을 이룬 모양으로 묘사된다.[5] 1803년 루크 하워드가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과학적으로 정의되었으며,[2] 그 이름은 '곱슬머리' 또는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cirrus''에서 유래되었다.[3] 권운은 투명하며, 햇빛이 통과하여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름 속의 얼음 결정 때문에 보통 흰색으로 보이지만, 해가 뜨거나 질 때는 다양한 노란색이나 붉은색을 띨 수 있다.[5][4] 황혼에는 회색으로 보일 수 있다.[4]
2. 명칭
3. 형태와 발생 환경
권운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곧거나 구부러진 줄무늬, 실이나 깃털 등에 비유되기도 하며, 빠르게 모양이 변한다.[85] 흰 줄무늬가 불규칙하게 구부러지거나, 머리 부분이 갈고리 모양으로 뒤집히거나, 솜 덩어리 모양 등 다양한 변형이 있다.[85][91] 곧게 뻗은 것은 "mare's tails"(암말의 꼬리)라고 불리며, "마미운"이라고도 한다.[92]
대부분 두께가 얇지만, 두꺼운 천 조각 같은 모양을 한 밀운도 있다.[91][101] 바람이 약하고 혼란스러울 때는 실이 얽힌 듯한 얽힌 구름이 나타난다. 갈비뼈처럼 굵은 직선 구름 양쪽에 가느다란 구름이 늘어선 갈비뼈 구름은 비가 오기 전이나 후에 나타날 수 있다.[93][94] 적란운 구름 꼭대기에서 생기는 권운도 있으며,[85] 최성기 적란운에서 나타나는 털 모양의 권운은 다모운이라고 불린다.[95][101]
대류권 상부에서 발생하며, 얼음 알갱이(빙정)로 이루어져 있다.[85] 빙정이 낙하하면서 증발하여 꼬리처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상공의 풍속 차이로 인해 꼬리가 굽어 보이기도 한다.[101] 상공의 습도가 높으면 비행운이 길게 남아 권운(비행기 유래 권운)이 되기도 한다.[96] 비행기 엔진 배기에 포함된 먼지가 응결핵이나 빙정핵 역할을 하여 구름이 생성되기도 한다.
구름이 생기는 고도는 위도에 따라 다르다. 고위도 지역에서는 3 - 8 km, 중위도 지역에서는 5 - 13 km, 저위도 지역에서는 6 - 18 km 부근이며, 상층운 중 가장 높은 곳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중위도 지방에서는 봄과 가을에 많이 보이지만, 일 년 내내 관찰 가능하다.[85]
3. 1. 권운의 종류 (영어 문서 기반)
권운은 5가지 종류로 나타난다: 캐스텔라누스, 피브라투스, 플로쿠스, 스피사투스, 운시누스.[5] 각 종류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각 종류는 최대 4가지 변종으로 나뉜다: 인토르투스, 베르테브라투스, 라디아투스, 듀플리카투스.[10] 각 변종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4. 제트 권운
제트 권운의 대표적인 예로는 '''씨러스 스트릭'''과 '''트랜스버스 라인'''이 있다. 씨러스 스트릭은 제트 기류의 강풍역 저위도 측에 기류와 평행한 방향으로 늘어선 가늘고 긴 띠 모양의 권운이다. 트랜스버스 라인은 제트 기류의 강풍역에 그것과 수직인 방향으로 늘어서 발생하는 파상 권운열이다. 트랜스버스 라인이 발생하는 부분에는 난기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씨러스 스트릭은 직선적이고, 트랜스버스 라인은 가장자리가 물결치는 듯하므로 구름 사진만으로도 구별이 가능하다.
지상에서 제트 권운을 보면, 동서로 하늘을 가로지르는 듯 방사상으로 보인다.[98]
5. 날씨 변화와 권운
온난 전선의 경우, 한기와 난기가 충돌하는 전선 면이 남쪽(북반구의 경우)이나 동쪽(중위도의 경우)으로 갈수록 상공의 높은 지점이 된다. 구름은 전선면 부근에서 생기기 때문에, 가장 높은 고도에서 생기는 권운이 처음에 나타나는 것이다. 열대 저기압의 경우, 대기 상공에서 저기압으로부터 주변으로 습하고 따뜻한 기류가 불어 나가는데, 기류의 말단 부분에 권운이 생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권운이 보이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수 시간 동안 맑은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바로 비가 올 가능성은 적다. 어떤 통계에 따르면, 권운이 나타난 후 비가 내리기까지 12시간에서 24시간 정도가 걸렸다고 한다.[99]
6. 권운과 정경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얇게 펼쳐진 권운은 하늘의 높이를 느끼게 하는 효과를 준다.[88] 아침노을·저녁노을이 질 때 권운은 노란색·분홍색·붉은색 등으로 다채롭게 물들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권운은 가장 높은 곳에 생기는 구름이기 때문에 해 뜰 때 다른 구름보다 먼저, 해 질 때 다른 구름보다 늦게 물들어 오랫동안 밝게 보인다.[85][101]
7. 다른 행성의 권운
8. 기후에 미치는 영향 (영어 문서 기반)
권운의 증가는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자기 강화 피드백으로 작용하여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대기 오염에서 비롯된 인위적인 물질은 추가적인 핵 생성 지점 역할을 하여 권운 형성에 영향을 주어 기후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17]
권운 얇아짐은 이산화 탄소로 인한 기후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능한 지구공학 접근법으로 제안되기도 한다. 하지만, 2021년 IPCC 평가 보고서는 권운 얇아짐의 냉각 효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고 밝혔다.
9. 구름의 성질 (영어 문서 기반)
권운은 시각적으로 뚜렷한 5가지 종류로 나타난다.
각 종류는 최대 4가지 변종으로 나뉜다.
권운은 종종 구름에서 떨어지는 무거운 얼음 결정으로 만들어진 낙하 줄무늬라고 하는 머리카락 모양의 실을 생성한다. 이는 액체-물 구름에서 생성되는 버가와 유사하다. 낙하 줄무늬의 크기와 모양은 바람 시어에 의해 결정된다.[13]
권운의 양은 일주기 변동에 따라 달라진다. 낮에는 권운의 양이 줄어들고 밤에는 증가한다.[15]
권운은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건조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생성되며,[5] 높은 고도에서 수증기가 승화되어 주로 광물 먼지와 금속 입자를 포함한 입자에 부착된다.[2][17]
평균 권운 고도는 위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고도는 항상 대류권계면에 의해 제한된다.[21] 이러한 조건은 일반적으로 온난 전선의 선두에서 발생한다.[35] 이러한 높은 고도에서 절대 습도가 낮기 때문에 비교적 투명한 경향이 있다.[19]
북위 65° N 또는 S와 같이 극지방 근처의 위도에서 권운은 평균적으로 해발 7000m에서 형성된다. 온대 지역, 대략 북위 45° N 또는 S에서 평균 고도는 해발 9500m로 증가한다. 열대 지역, 대략 북위 5° N 또는 S에서 권운은 평균적으로 해발 13500m에서 형성된다. 전 세계적으로 권운은 해발 4000m 에서 20000m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21] 권운은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단에서 하단까지 100m만큼 얇을 수도 있고 8000m만큼 두꺼울 수도 있다. 권운 두께는 일반적으로 이 두 극단 사이, 평균 1500m의 두께를 갖는다.[52]
고고도 풍대인 제트 기류는 권운을 대륙을 가로지를 만큼 길게 뻗을 수 있다.[22] 제트 기류 내에서 더 빠르게 움직이는 공기의 띠인 제트 스트릭은 수백 킬로미터 길이의 권운 호를 만들 수 있다.[23]
과학자들은 라이다(레이저 기반 레이더), 기구에 실린 습도계, 레이더 장치등 여러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권운의 특성을 연구해왔다.[47]
권운은 평균 10 m3당 300,000개의 얼음 결정의 농도를 갖는다. 농도는 10 m3당 1개의 얼음 결정에서 10 m3당 1억 개의 얼음 결정까지이며, 이는 8차수의 차이를 보인다. 각 얼음 결정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0.25 mm이며,[52] 0.01 mm에서 최대 몇 mm까지 다양하다.[54]
권운 내 얼음 결정은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 외에도, 고체 기둥, 속이 빈 기둥, 판, 로제트 및 다양한 다른 유형의 덩어리 등 다른 형태로 결정화될 수 있다. 얼음 결정의 모양은 기온, 대기압, 얼음 과포화도(상대 습도가 100%를 초과하는 양)에 의해 결정된다.
권운은 보통 -20°C보다 춥다.[54] -68°C 이상의 온도에서 대부분의 권운은 상대 습도가 대략 100%이다(즉, 포화 상태이다). 권운은 과포화될 수 있으며, 얼음 위에 200%를 초과하는 상대 습도를 가질 수 있다. -68°C 이하에서는 불포화 및 과포화된 권운이 더 많다. 더 과포화된 구름은 아마도 어린 권운일 것이다.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곧은 것도 있고, 실이나 깃털 등에 비유되는 것처럼 구부러진 것도 있다. 또한 변화가 빠르고, 시시각각 모양을 바꿀 수 있다.[85]
상공은 수증기량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 두께가 얇은 구름이다.
상공의 습도가 높을 때는 비행운이 길게 남아 권운이 된다. 국제운도첩 2017년판에서는 10분 이상 남는 비행운을 권운(비행기 유래 권운)으로 하고 있다. 또한 비행운의 빙정이 성장, 이동하여 늘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 비행기 엔진의 배기에 포함된 먼지가 응결핵이나 빙정핵이 되어 구름이 생긴다.
구름이 생기는 고도는 고위도 지역에서는 3 - 8 km, 일본을 포함한 중위도 지역에서 5 - 13 km, 저위도 지역에서는 6 - 18 km 부근이지만, 상층운 중에서는 가장 높은 고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중위도 지방에서는 특히 봄이나 가을에 많이 보인다. 다만, 빈도는 다르지만 일 년 내내 볼 수 있는 구름이다.[85]
10. 광학 현상 (영어 문서 기반)
권운은 햇빛과 달 주위에 무리와 같은 여러 가지 광학 현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 무리는 구름 속에 있는 육각형 얼음 결정이 빛과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며, 얼음 결정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하늘에 다양한 흰색 및 유색 고리, 호 및 점이 나타날 수 있다.[54] 여기에는 환일,[55] 46°무리,[55] 22°무리,[56] 수평호가 있다.[57] 수평호는 태양이 지평선 위로 58° 이상 떠올랐을 때만 보이며, 고위도 지역의 관찰자는 이를 볼 수 없다.[58]
더 드물게는 권운이 글로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이는 층운과 같은 액체 기반 구름과 더 일반적으로 연관된다. 글로리는 관찰자의 그림자 주위에 나타나는 일련의 동심원, 희미하게 색이 있는 빛나는 고리이며, 높은 시점이나 비행기에서 관찰하기에 가장 좋다.[59] 권운은 구성 얼음 결정이 비구형일 때만 글로리를 형성한다. 연구자들은 글로리가 나타나려면 얼음 결정의 길이가 0.009mm에서 0.015mm 사이여야 한다고 제안한다.[60]
참조
[1]
웹사이트
Cloud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https://www.weather.[...]
NOAA
2022-02-23
[2]
서적
Essay on the Modifications of Clouds
https://books.google[...]
John Churchill & Sons
1865
[3]
OED
Cirrus
1933
[4]
웹사이트
Ten Basic Clouds
https://www.weat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2-03-17
[5]
웹사이트
Cirrus clouds
https://www.metoffic[...]
Meteorological Office of the UK
2022-02-23
[6]
논문
2000
[7]
웹사이트
Cirrus floccus (Ci flo)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zal Organization
2022-03-19
[8]
웹사이트
Cirrus spissatus (Ci spi)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2-03-19
[9]
뉴스
Cloud-busting: Mares' Tails
https://www.bbc.com/[...]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07-04
[10]
웹사이트
Cirrus – Varieties
https://cloudatlas.w[...]
2022-02-23
[11]
웹사이트
Vertebratus
https://glossary.am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22-03-17
[12]
웹사이트
Duplicatus
https://glossary.am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22-03-17
[13]
웹사이트
Cirrus Clouds: Thin and Wispy
http://ww2010.atmos.[...]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at University of Illinois
2011-01-29
[14]
논문
2018
[15]
논문
2017
[16]
논문
2018
[17]
웹사이트
The origins of cirrus: Earth's highest clouds have dusty core
https://csl.noaa.gov[...]
National Oceanic and Aerospace Administration
2013-05-09
[18]
DOI
https://www.science.[...]
[19]
뉴스
Cirrus Clouds
https://www.usatoday[...]
2005-10-16
[20]
웹사이트
Cavum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1]
논문
1990
[22]
논문
1990
[23]
웹사이트
A Cirrus Arc
https://earthobserv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9-11-28
[24]
논문
2020
[25]
웹사이트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cirrus clouds form
https://www.purdue.e[...]
Purdue University
2020-10-01
[26]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Structure
https://www.weat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7]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SSMI – Composite Tutorial
http://www.nrlmry.na[...]
United States Navy
[28]
논문
1985
[29]
논문
2001
[30]
웹사이트
Computer-simulated Thunderstorms with Ice Clouds Reveal Insights for Next-generation Computer Models
http://www.pnl.gov/s[...]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2009-12
[31]
논문
2001
[32]
웹사이트
Clouds Caused By Aircraft Exhaust May Warm The U.S. Climate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4-04-27
[33]
논문
2004
[34]
논문
1974
[35]
논문
2000
[36]
논문
2000
[37]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Observations
http://www.prh.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6-07-23
[38]
논문
1990
[39]
뉴스
Father Hurricane
http://www.cubanet.o[...]
Cable News Network, Inc
1998-03-11
[40]
논문
2017
[41]
논문
2003
[42]
논문
1990
[43]
논문
1986
[44]
웹사이트
Global Warming: Feature Articles
http://earthobservat[...]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0-06-03
[45]
웹사이트
Cloud Climatology
http://isccp.giss.n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46]
학술지
Formation and radiative forcing of contrail cirrus
2018
[47]
논문
1990
[48]
논문
1990
[49]
웹사이트
Cirrus Cloud Detection
http://www.nrlmry.na[...]
NASA (NexSat)
[50]
웹사이트
Particle Analysis by Laser Mass Spectrometry (PALMS)
https://airbornesci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51]
웹사이트
Aerosol Properties & Processes: Instruments: PALMS
https://csl.noaa.gov[...]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52]
논문
1990
[53]
논문
2005
[54]
논문
2005
[55]
논문
2014
[56]
뉴스
Photo in the News: Rare "Rainbow" Spotted Over Idaho
http://news.national[...]
2006-06-19
[57]
웹사이트
Fire Rainbows
http://www.geog.ucsb[...]
University of the City of Santa Barbara Department of Geology
2009-08-29
[58]
웹사이트
Circumhorizontal arc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59]
웹사이트
The Mysterious Glory
http://www.weather.g[...]
The Hong Kong Observatory
[60]
논문
1998
[61]
웹사이트
Classifying clouds
https://public-old.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1-18
[62]
논문
2000
[63]
웹사이트
Cirriform – Glossary of Meteorology
https://glossary.am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64]
웹사이트
Plymouth State Meteorology Program Cloud Boutique
http://vortex.plymou[...]
Plymouth State University
[65]
논문
2001
[66]
논문
1995
[67]
논문
1995
[68]
논문
1995
[69]
웹사이트
Common Cloud Names, Shapes, and Altitudes
http://nenes.eas.gat[...]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70]
논문
2000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웹사이트
Clouds Move Across Mars Horizon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8-09-19
[76]
뉴스
How Martian Clouds Create Snowfall
https://web.archive.[...]
NBC News
2009-07-02
[77]
논문
[78]
웹사이트
Big Mystery: Jupiter Loses a Stripe
https://science.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0-05-20
[79]
논문
[80]
웹사이트
Surprise Hidden in Titan's Smog: Cirrus-Like Clouds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1-02-03
[81]
웹사이트
Uranus
http://www2.scholast[...]
Scholastic
[82]
논문
[83]
서적
Planck: The Scientific Programme (''Blue Book'')
http://www.rssd.esa.[...]
European Space Agency
2009-07-08
[84]
논문
[85]
서적
雲・空
[86]
서적
気象観測の手引き
[87]
서적
雲・空
[88]
서적
雲・空
[89]
서적
雲・空
[90]
간행물
天気
1965-03-00
[91]
서적
雲・空
[92]
서적
雲・空
[93]
서적
雲・空
[94]
웹사이트
雲を見よう!空の不思議を知ろう -雲と空の観察と学習ガイドブック-
http://www.ishikawa-[...]
石川県教育センター
2007-00-00
[95]
서적
雲・空
[96]
웹사이트
special clouds
http://wapichan.saku[...]
2022-05-03
[97]
웹사이트
Cirrus (Ci) > Explanatory remarks and special clouds
https://cloudatlas.w[...]
WMO
2017-00-00
[98]
서적
雲・空
[99]
서적
雲・空
[100]
서적
雲・空
[101]
웹사이트
巻雲
http://www.bioweathe[...]
バイオウェザー お天気豆知識
2007-03-00
[102]
서적
雲・空
[103]
웹사이트
Cloud classification summary
https://cloudatlas.w[...]
WMO
2017-00-00
[104]
문서
波頭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