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인 이씨 (영보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인 이씨 (영보당)는 조선 고종의 후궁으로, 경복궁 만춘전에 속한 영보당에 거처했다. 1868년 고종의 서장남인 완화군 이선을 낳았으며, 이후 옹주를 낳았으나 요절했다. 완화군은 1876년 완화군으로 책봉되었으나 1880년 12세의 나이로 요절했고, 이씨는 숙원에 봉해졌다. 《매천야록》에는 명성황후가 영보당 이씨와 완화군 모자를 대궐 밖으로 내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1928년 80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영화와 드라마에서 여러 배우가 귀인 이씨를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후궁 - 순헌황귀비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는 궁녀로 입궁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아 영친왕 이은을 낳았고, 아관파천 당시 고종을 보필했으며, 귀인, 순빈, 순비를 거쳐 황귀비에 책봉되었고, 교육 사업에도 힘썼으며 사후 순종에 의해 시호를 받았다.
  • 대한제국의 후궁 - 귀인 정씨 (고종)
    고종의 후궁인 귀인 정씨는 덕수궁 궁녀 출신으로 고종의 승은을 입어 황자 이우를 낳은 후 귀인에 책봉되었으며, 묘소는 서삼릉 후궁 묘역에 있다.
  • 운현궁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운현궁 - 고종 (대한제국)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이며,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거쳐 친정을 시작하여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열강의 각축 속에서 국권을 잃고 강제 퇴위당했다.
  • 1849년 출생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대한제국 통감으로서 한국 병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국의 국권 침탈이라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 1849년 출생 - 세르게이 비테
    세르게이 율리예비치 비테는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이자 총리로서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금본위제 도입,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혁명 당시 개혁 촉구 등 격동기 러시아 정치·경제 상황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귀인 이씨 (영보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영보당 귀인 이씨
한자 표기永保堂 貴人 李氏
작위고종의 후궁
출생일1849년
사망일1928년 12월 17일
배우자고종
자녀1남 1녀 (완친왕 · 옹주)
별칭영보당(永保堂)

2. 생애

귀인 이씨의 가계와 초기 행적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궁인으로 입궁하여 고종의 후궁이 되었으며, 거처는 경복궁 만춘전에 속한 영보당이었다. 영보당은 상궁들의 처소였으며, 고종의 다른 후궁들인 귀인 이씨(내안당), 귀인 이씨(광화당)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당호이다.

1868년(고종 5년) 윤4월 10일 고종의 총애를 받아 아들 완화군 이선을 낳았고, 이후 옹주를 낳았으나 요절하였다.[2] 완화군은 1876년(고종 13년)에 완화군으로 책봉되었으나, 1880년(고종 17년) 1월 12일에 1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4] 같은 해 1월 29일 이씨는 내명부 종4품 숙원에 봉작되었다.[5] 황현의 야사 《매천야록》에 따르면 명성황후가 영보당 이씨와 완화군 모자를 대궐 밖으로 내보냈다고 한다.

1928년 12월 17일 정오에 80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당시 동아일보는 다음과 같이 이귀인의 별세 소식을 보도하였다.[1]

순종의 형님 되시는 이를 낳으신 완왕궁 이귀인(完王宮李貴人)은 팔십 세의 고령으로 지난 17일 정오에 별세하였다.


2. 1. 완화군 출생과 요절

1868년(고종 5년) 윤4월 10일 고종의 총애를 받아 서장남 완화군 이선을 낳았다.[1] 고종은 이씨의 산후 조리를 운현궁에서 대령하라고 하였다.[1] 이후 옹주를 낳았으나 요절하였다.[2]

1876년(고종 13년), 아들 이선은 완화군으로 책봉되었으며, 이후 완화군에게 저택과 토지 등이 내려졌다. 다음 해 12월 14일에는 완화군의 관례가 행해졌다.[3] 하지만 완화군은 1880년(고종 17년) 1월 12일 1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4] 같은 해 1월 29일 이씨는 내명부 종4품 숙원에 봉작되었다.[5]

황현의 야사 《매천야록》에 따르면 명성황후가 영보당 이씨와 완화군 모자를 대궐 밖으로 내보냈다고 한다.

2. 2. 귀인 책봉과 사망

1928년 12월 17일 정오에 80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당시 동아일보가 이귀인의 별세 내용을 보도하였다.[1]

순종의 형님 되시는 이를 낳으신 완왕궁 이귀인(完王宮李貴人)은 팔십 세의 고령으로 지난 17일 정오에 별세하였다.


3. 가족 관계

귀인 이씨중국어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배우자: 고종 (1852~1919)
  • 장남: 완친왕 (1868~1880)
  • 장녀: 옹주 (1871~?)

4. 미디어에서

영보당 귀인 이씨는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연도작품명배역방송사
1965년청일전쟁과 여걸 민비이민자해당사항 없음
1995년찬란한 여명조민희KBS1
2001년명성황후정선경KBS2


4. 1. 영화

이민자는 1965년 영화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에 출연했다.

4. 2. 드라마

참조

[1] 서적 고종실록 1868-05-31 #윤4월 10일 (정사)
[2] 서적 고종황제행장
[3] 서적 고종실록 1877-12-04
[4] 서적 고종실록 1880-01-12
[5] 서적 고종실록 1880-01-29
[6] 서적 고종실록 1906-05-27
[7] 서적 순종실록 1907-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