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로불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불린은 혈청 단백질의 한 종류로, 전기영동을 통해 알파, 베타, 감마 글로불린으로 분류된다. 알파 및 베타 글로불린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감마 글로불린은 림프 조직에서 생성되며 면역글로불린(항체)을 포함한다. 글로불린은 교질 삼투압 유지, 물질 운반, 면역 반응 등에 관여하며, 결핍 시 부종, 감염 취약성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글로불린은 크기와 기능이 다양하며, 인간 혈액 내 정상 농도는 약 2.6~4.6g/dL이다. 글로불린은 동식물 모두에서 발견되며, 관련 질병 및 검사 방법이 존재하고, 용해도에 따라 모조 글로불린과 유글로불린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혈액 단백질 - 알부민
    알부민은 혈액 내 주요 단백질로서, 물질 운반, 삼투압 유지, pH 완충, 아미노산 공급,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인간 혈청 알부민, 알파-태아단백질, 비타민 D 결합 단백질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임상적으로 간 기능 지표 및 의학적 제제로 활용된다.
  • 혈액 단백질 - 소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BSA)은 58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혈청 알부민의 일종으로, 교질 삼투압 유지, 물질 수송 등의 생리적 기능과 함께 생화학적 분석, 세포 배양, 나노 구조체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글로불린
개요
종류구상 단백질의 일종
기능항체
효소
운반체 단백질
특징
용해도황산암모늄 반포화 수용액에서 침전됨
구성동물 및 식물에 널리 존재

2. 글로불린의 종류

글로불린은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을 통해 알파 글로불린, 베타 글로불린, 감마 글로불린으로 나눌 수 있다.[1] 이들은 단백질 전기영동 겔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나타난다.

알부민과 다양한 면역글로불린의 수준


글로불린은 크기가 다양하다. 가장 가벼운 것은 알파 글로불린(약 93 kDa)이고, 가장 무거운 것은 감마 글로불린(약 1193 kDa)이다.[8]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은 약 9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8]

글로불린 농도는 리터당 그램(g/L) 또는 데시리터당 밀리그램(mg/dL) 단위로 측정된다.[1] 글로불린 수치가 비정상일 경우, 급성 감염, 장기적인 염증성 질환, 발덴스트룀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등의 가능성이 있다.[7]

2. 1. 알파 글로불린

알파 글로불린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염증 반응 및 물질 운반에 관여하는 글로불린의 한 종류이다.[5]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을 통해 다른 글로불린과 구별할 수 있다.[1] 알파 글로불린은 약 93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가장 가벼운 글로불린이다.[8]

알파 글로불린에는 알파 1 글로불린과 알파 2 글로불린 두 가지 종류가 있다.

2. 1. 1. 알파 1 글로불린

알파 글로불린의 한 종류이다.

2. 1. 2. 알파 2 글로불린

알파 2 글로불린에는 합토글로빈, 세룰로플라스민, 알파 2-마크로글로불린 등이 있다.

2. 2. 베타 글로불린

베타 글로불린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는 글로불린의 한 종류이다. 이들은 지질, 호르몬, 금속 이온 등을 운반하고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베타 글로불린에는 트랜스페린, 베타-지질단백질, 보체 성분 등이 포함된다.[1][4][5][6][7]

2. 3. 감마 글로불린

감마 글로불린은 주로 림프 조직에서 생성되며, 면역 체계의 핵심 구성 요소인 항체(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다.[1] 면역학적으로 활성인 감마 글로불린은 면역글로불린 또는 항체라고도 불린다.[8]

감마 글로불린에는 IgG, IgA, IgM, IgD, IgE 등이 있다.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에서 감마 글로불린은 가장 무거운 글로불린으로, 겔 전기영동에서 분리되는 속도가 가장 느린 그룹 중 하나이다.[8] 일반적으로 약 1193 kDa의 무게를 가진다.[8]

감마 글로불린(면역글로불린)의 감소는 항체 생산 저하로 이어져 감염증에 걸리기 쉬워진다.[5]

3. 글로불린의 크기와 질량

글로불린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한다. 가장 가벼운 글로불린은 알파 글로불린이며 평균적으로 약 93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반면 가장 무거운 글로불린은 감마 글로불린이며 평균적으로 약 1193kDa이다. 감마 글로불린은 가장 무겁기 때문에 겔 전기 영동에서 가장 느리게 분리된다.[1]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은 9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특정 피험자에서 성 호르몬의 크기는 서로 달랐는데, 일부 글로불린은 49 kDa, 52 kDa 및 56 kDa의 크기를 가졌다. 더 높은 분자량을 가진 피험자는 이 단백질의 유전자 변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형 접합자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특정 변이는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서 두 성별에서 발견되었다.[8]

4. 글로불린의 기능

글로불린은 혈액 내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알파 글로불린베타 글로불린은 물질 운반, 효소 작용, 혈액 응고 등에 관여한다.[5] 감마 글로불린(면역글로불린)은 체내에 침입한 항원에 대항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1]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은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등 성호르몬과 결합하여 혈액 내에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4] SHBG-R이라고 하는 특정 수용체가 성 스테로이드 반응 세포의 막에 있으며, 이 수용체가 안드로겐과 에스트라디올에 영향을 미친다.[4]

글로불린은 교질 삼투압을 나타내며, 글로불린이 부족하면 운반 기능 상실, 교질 삼투압 감소로 인한 부종, 감마 글로불린(면역글로불린) 감소로 인한 감염 취약성 증가 및 항체 생성 감소로 이어진다.

5. 인간 혈장에서의 글로불린 농도

사람 혈액 속 글로불린의 정상 농도는 약 2.3~3.6g/dL이다.[1] 글로불린 수치는 간 질환, 신장 질환, 면역 질환, 영양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혈액 검사 기준 범위표에서의 글로불린 혈액 함량 (오른쪽에 자주색으로 표시)

6. 비인간 글로불린

호박씨 글로불린의 결정 구조


글로불린 단백질은 식물에도 존재한다. 완두콩과 다른 콩류에서 나온 비실린과 레구민은 종자 내 단백질 저장 기능을 한다. 이 단백질은 인간의 면역글로불린 E와 결합하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16][9][14]

글로불린은 식물의 염 용해성 저장 단백질로, 7S와 11S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10] 7S 글로불린은 대부분의 식물 종에 존재하며, 스트레스 반응, 호르몬 유사 수용체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다기능 단백질이다.[11]

Bg7S는 염 용액의 특정 높은 이온 강도에서 용해되는 단백질 글로불린으로, 9.05~9.26 pI 정도의 높은 등전점을 가진다. 토마토, 옥수수, 밀, 당근과 같은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며, 유전자 서열 분석 결과 각 식물에 Bg7S 유전자가 존재하여 보편적인 유전자임을 확인했다.[11]

7. 글로불린과 관련된 질병

글로불린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 다양한 질병을 의심할 수 있다.

8. 글로불린 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혈액 내 글로불린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글로불린 검사는 간 기능, 신장 기능, 면역 체계 이상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6] 글로불린 수치는 총 단백질 검사와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6] 총 단백질 검사는 혈액 내 글로불린과 알부민의 양을 측정하고,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는 면역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혈액 내 여러 유형의 글로불린 또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한다.[6]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는 혈액 샘플의 혈청 부분에 있는 단백질의 수를 측정한다. 혈청 글로불린의 정상 범위는 데시리터당 약 2.0~3.5g이며, 면역글로불린 A, M 및 G는 다른 범위를 갖는다. 검사 결과가 비정상이면 급성 감염, 장기적인 염증성 질환, 또는 발덴스트룀 마크로글로불린혈증과 같은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7]

글로불린은 '총 단백질 - 알부민'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로불린 농도는 리터당 그램 또는 데시리터당 밀리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9. 모조 글로불린 및 유글로불린

모조 글로불린은 유글로불린보다 황산 암모늄에 더 잘 용해되는 글로불린의 한 종류이다. 모조 글로불린은 순수한 에도 용해되지만 유글로불린은 용해되지 않는다.[12][15][17]

참조

[1] 웹사이트 Globulins https://eclinpath.co[...] 2023-04-26
[2] 웹사이트 Web of Science https://www.webofsci[...] 2023-04-26
[3] 웹사이트 Web of Science https://www.webofsci[...] 2023-04-26
[4] 논문 Sex Hormone-Binding Globulin: Not only a transport protein. What news is around the corner? https://doi.org/10.1[...] 1999-03-01
[5] 서적 Serum Albumin and Globulin http://www.ncbi.nlm.[...] Butterworths 1990
[6] 웹사이트 Globulin Test: MedlinePlus Medical Test https://medlineplus.[...] 2023-04-26
[7] 웹사이트 Blood and Plasma Proteins - Medical Biochemistry https://doctorlib.in[...] 2023-04-26
[8] 논문 "Subunits of Human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Size" https://www.jbc.org/[...] 1987
[9] 논문 Vicilin and convicilin are potential major allergens from pea 2004-11-12
[10] 웹사이트 Seed Storage Proteins https://www.scienced[...] 2001
[11] 논문 Basic 7S globulin in plants https://www.scienced[...] 2021-05-30
[12] 논문 The Immunological Specificity of the Euglobulin and Pseudoglobulin Fractions of Horse and H^man Serum
[13] 서적 標準化学用語辞典 第2版 丸善
[14] 논문 Vicilin and convicilin are potential major allergens from pea 2004-11-12
[15] 논문 THE IMMUNOLOGICAL SPECIFICITY OF THE EUGLOBULIN AND PSEUDOGLOBULIN FRACTIONS OF HORSE AND HUMAN SERUM
[16] 저널 인용
[17]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