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방망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방망이속(Senecio)은 국화과의 현화식물 중 가장 큰 속 중 하나로,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관목, 작은 나무, 수생 식물, 덩굴 식물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꽃차례는 설상화로 이루어져 있고, 노란색, 녹색, 보라색, 흰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운다. 이 속의 식물에는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포함되어 있어 가축에게 유해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분류는 인위적이고 다계통군이며, 현재도 많은 종들이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금방망이 등 약 10종이 자생하며, 귀화 식물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방망이속 - 개쑥갓
개쑥갓은 유럽, 북아시아, 북아프리카 원산의 국화과 한해살이 식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초식동물의 먹이가 되기도 하지만,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로 인해 가축과 인간에게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어 미국에서는 유해 식물로 지정되었다. - 금방망이속 - 갯솜방망이
갯솜방망이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 원산의 풀로, 노란색 꽃을 피우며 독성 물질을 함유하여 가축 중독을 유발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금방망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 | |
학명 | Senecio L. |
명명자 | L. |
이명 | Dendrosenecio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국화아과 |
족 | 금방망이족 |
아족 | 금방망이아족 |
종 수 | 약 1,250종 (본문 참조) |
2. 형태
금방망이속은 현재의 분류 체계에서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관목, 작은 나무, 수생 식물 또는 덩굴 식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활형을 가진다. 나무 형태인 유일한 종은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에 서식하며, 이전에는 ''로빈소니아'' 속에 속했던 종이다.[2]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는 모든 ''금방망이속'' 종에서 발견되는 주요 화학 성분이다. 이 알칼로이드는 식물을 섭취하려는 동물을 막거나 심지어 죽음에 이르게 하는 천연 살충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유로 가축들은 일반적으로 금방망이속 식물을 먹는 것을 꺼리며,[3] 만약 섭취하게 되면 중독 증상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일부 나비목 종의 유충은 이 알칼로이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금방망이속 식물을 먹이로 이용하기도 한다.
금방망이속(''Senecio'')의 전통적인 분류는 인위적이며 다계통군으로 여겨진다.[7][4] 이는 유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최근의 분류 연구에서도 명확히 해결되지 않아, 여전히 단일 계통을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어떤 종이 이 속에 속하는지를 명확히 결정할 수 있는 형태학적 공유파생형질이 알려져 있지 않아 분류가 어렵다.[7] 이로 인해 정확한 종의 수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2007년 연구에 따르면 많은 속과 전체 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7] 현재 금방망이속으로 분류된 많은 종들이 다른 속이나 새로운 속으로 옮겨져야 할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다른 속에 속했던 종들이 다시 금방망이속으로 재분류되기도 했다.[7]
대부분은 여러해살이풀이며, 두상화서(머리모양꽃차례)는 보통 노란색의 암술만 가진 설상화(혀꽃)와 암술, 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의 통상화(관꽃)로 구성된다. 꽃차례는 보통 여러 개의 머리모양꽃이 가지 끝에 덩어리 형태로 달리며, 대부분 노란색이지만 녹색, 보라색, 흰색, 파란색 꽃을 가진 종도 알려져 있다. 예외적으로 노보로기쿠는 한해살이풀이며 통상화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꽃차례를 받치는 총포는 원통형 또는 반구형이다. 열매인 수과는 원주형이며, 씨앗을 퍼뜨리기 위한 관모(갓털)는 가늘고 많은 털로 이루어져 있다.
일부 종은 잎이나 줄기가 두툼한 다육식물로 취급되기도 한다. 또한, 몇몇 종은 알칼로이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가축이 섭취할 경우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3. 화학적 성분
4. 분류
4. 1. 포함 속 (일부)
금방망이속(''Senecio'')의 전통적인 분류는 인위적이며 다계통군으로 여겨진다.[7][4] 유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분류에서도 여전히 단일 계통을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많은 종이 다른 속으로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속은 여전히 약 1,250종을 포함하여 현화식물 중 가장 큰 속 중 하나이다.[5] 어떤 종이 이 속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형태학적 공유파생형질이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아 정확한 종의 수는 파악하기 어렵다. 이 속은 거의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7] 중신세 중후기에 진화했다.[6] 2007년 연구에 따르면, 현재 속으로 분류된 많은 종은 다른 속 또는 새로운 속으로 옮겨져야 하며, 일부 다른 속에 속했던 종들은 다시 ''금방망이속(Senecio)''으로 재분류되기도 했다.[7]
금방망이속에 포함되었거나 분류학적으로 관련 있는 주요 속 및 종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7]4. 2. 과거에 금방망이속으로 분류되었던 속 (일부)
금방망이속(Senecio)의 전통적인 분류는 인위적이며 다계통군으로 밝혀졌고, 유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분류에서도 여전히 단일 계통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7][4] 이로 인해 과거 금방망이속에 속했던 많은 종들이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2007년 기준으로도 많은 속과 전체 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현재 금방망이속으로 분류된 많은 종들이 다른 속 또는 새로운 속으로 옮겨지거나, 반대로 다른 속에 있던 종들이 다시 금방망이속으로 재분류되기도 했다.[7]
다음은 과거 금방망이속으로 분류되었거나, 금방망이속에 포함되었던 종을 가진 속들의 일부 목록이다.[7]
다음은 금방망이속에서 다른 속으로 재분류된 대표적인 종들의 예시이다.
과거 학명 | 현재 학명 | 비고 (일반명 등) |
---|---|---|
Senecio radicans (L.f.) Sch.Bip., 1845 | Curio radicans (L.f.) P.V.Heath, 1999 | 현월, 초승달 목걸이 |
Senecio rowleyanus H.Jacobsen, 1968 | Curio rowleyanus (H.Jacobsen) P.V.Heath, 1999 | 녹영, 그린 넥클리스 |
Senecio herreanus Dinter, 1932 | Curio herreanus (Dinter) P.V.Heath, 1999 | 대현월성, 아몬드 넥클리스 |
Senecio mikanioides | Delairea odorata | 담쟁이국화 |
Senecio argunensis | Jacobaea argunensis | 코린기쿠 |
Senecio jacobaea | Jacobaea vulgaris | 야코브보로기쿠 |
Senecio nikoensis | Nemosenecio nikoensis | 사와기쿠 |
Senecio takedanus | Tephroseris takedana | 고산금방망이 |
Senecio flammeus glabrifolius | Tephroseris flammea glabrifolia | 코린카 (T. flammea의 아종 또는 변종) |
Senecio kawakamii | Tephroseris kawakamii | 미야마오글마 |
Senecio integrifolius fauriei | Tephroseris integrifolia kirilowii | 오카오글마 (T. integrifolia의 아종) |
Senecio pierotii | Tephroseris pierotii | 사와오글마 |
Senecio stapeliiformis E.Phillips, 1921 | Kleinia stapeliiformis (E.Phillips) Stapf, 1924 | 철석장, 꽃의 사 |
Senecio johnstonii Oliv. | Dendrosenecio johnstonii (Oliv.) B.Nord. subsp. johnstonii | 자이언트 세네키오[11] |
Senecio brassica R.E.Fr. & T.C.E.Fr. | Dendrosenecio keniensis (Baker f.) Mabb. | 덴드로세네키오 케니엔시스, 양배추 세네키오[12] |
Senecio keniodendron R.E.Fr. & T.C.E.Fr. | Dendrosenecio keniodendron (R.E.Fr. & T.C.E.Fr.) B.Nord. | 덴드로세네키오 케니오덴드론, 자이언트 세네키오[13] |
Senecio adnivalis Stapf | Dendrosenecio adnivalis (Stapf) E.B.Knox |
또한, 클레이니아 네리이폴리아(''Kleinia neriifolia'')와 클레이니아 풀겐스(''Kleinia fulgens'') 등도 과거 금방망이속으로 분류되었던 적이 있다.
5. 분포
금방망이속은 거의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7] 이 속은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는 다섯 개 지역 모두에서 발견되는 몇 안 되는 속 중 하나이다. 또한 열대 고산 지대와 같은 산악 지역에서도 종이 발견된다.
대한민국에는 금방망이 등 약 10종이 자생하고, 노란꽃국화나 갯노랑코스모스 등 몇 종이 귀화 식물로 정착해 있다.
6. 일부 종
대한민국에는 금방망이(*S. nemorensis*) 등 약 10종이 자생하며, 개쑥갓(*S. vulgaris*), 양재금방망이(*S. scandens*) 등 몇 종은 귀화 식물로 정착해 있다. 아래는 금방망이속에 속하는 일부 종 목록이다.
- 쑥방망이 (''S. argunensis'')
- 은월 (''S. haworthii'')
- 가는잎금방망이 (''S. inaequidens'') - 남아프리카 래그워트
- 금방망이 (''S. nemorensis'')
- 양재금방망이 (''S. scandens'') - 덩굴성 세네시오
- 개쑥갓 (''S. vulgaris'') - 쑥갓, 봄의 노인
- ''Senecio ampullaceus'' — 텍사스 래그워트, 텍사스 스쿼위드, 텍사스 그라운드셀, 껴안는 잎 그라운드셀[10]
- ''Senecio angulatus'' L.f. — 덩굴성 그라운드셀, 케이프 아이비
- ''Senecio antisanae''
- ''Senecio arborescens''
- ''Senecio barbertonicus'' Klatt — 털머위
- ''Senecio bigelovii'' — 끄덕이는 그라운드셀
- ''Senecio bosniacus'' G. Beck — 보스니아 래그워트
- ''Senecio brasiliensis'' (Spreng.) Less. — 플로르다스알마스
- ''Senecio candicans'' — 엔젤 윙
- ''Senecio cambrensis'' — 웨일스 그라운드셀, 웨일스 래그워트
- ''Senecio crassissimus''
- ''Senecio elegans'' — 자주색 그라운드셀, 레드퍼플 래그워트
- ''Senecio falklandicus''
- ''Senecio flaccidus'' Less. — 더글라스 세네시오, 실잎 그라운드셀, 실잎 래그워트
- ''Senecio gallicus'' Chaix — 프랑스 그라운드셀
- ''Senecio glaucus'' L. — 자파 그라운드셀
- ''Senecio howeanus''
- ''Senecio iscoensis'' — Hieron.
- ''Senecio keniophytum''
- ''Senecio lamarckianus''
- ''Senecio leucanthemifolius'' Poir. — 해안 래그워트
- ''Senecio madagascariensis'' — 마다가스카르 래그워트, Fireweed
- ''Senecio macroglossus'' — 나탈 아이비, 왁스 아이비
- ''Senecio neowbsteri'' — 올림픽산 그라운드셀
- ''Senecio patagonicus''
- ''Senecio pauciradiatus''
- ''Senecio pokohinuensis'' — 모코히나우 그라운드셀
- ''Senecio pulcher''
- ''Senecio sanmarcosensis''
- ''Senecio squalidus'' — 옥스퍼드 래그워트
- ''Senecio trapezuntinus''
- ''Senecio triangularis'' — 화살잎 그라운드셀
- ''Senecio tropaeolifolius'' — 가짜 물냉이
- ''Senecio vaginatus''
- ''Senecio vernalis'' — 동부 그라운드셀
- ''Senecio viscosus'' — 끈적이는 래그워트





참조
[1]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2]
논문
The fate of Robinsonia (Asteraceae): sunk in Senecio , but still monophyletic?
2013-06-10
[3]
서적
Sagebrush Country: A Wildflower Sanctuary
https://www.worldcat[...]
Mountain Press Pub. Co
[4]
논문
A Biosystematic Study of the Jacobaea maritima Group (Asteraceae, Senecioneae) in the Central Mediterranean Area
2008-08
[5]
논문
History and concepts of big plant genera
[6]
논문
Patterns and causes of incongruence between plastid and nuclear Senecioneae (Asteraceae) phylogenies
2010-05-01
[7]
논문
An ITS Phylogeny of Tribe Senecioneae (Asteraceae) and a New Delimitation of Senecio L
[8]
논문
Recent changes in the names of New Zealand tree and shrub species
http://www.nzjf.org/[...]
2008-04-10
[9]
웹사이트
Genus: ''Senecio'' L.
http://www.ars-grin.[...]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National Germplasm Resources Laboratory, Beltsville, Maryland
2008-02-27
[10]
웹사이트
Proceed With Caution
http://kyledailyphot[...]
2007-04-16
[11]
문서
湯浅
[12]
문서
木谷
[13]
문서
冨山
[14]
저널
An ITS phylogeny of tribe Senecioneae (Asteraceae) and a new delimitation of ''Senecio'' L.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IAPT)
20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