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도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기도설》은 요한 테렌츠 슈렉과 왕징이 함께 편찬한 서적으로, 서양의 역학 이론과 기계 도해를 담고 있다. 슈렉은 내용을 구술하고 왕징이 한역과 삽화를 담당하여, 1627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서양의 역학을 서양 문자와 부호를 사용하여 소개한 최초의 서적으로, '동심'(무게중심), '공간'(지렛대), '치륜'(기어) 등 기계공학 관련 용어들을 한역하여 제시하였으며, 일부 용어는 현대에도 사용되고 있다. 《기기도설》은 전통적인 중국 자연철학 개념을 사용하여 서양 역학을 해석하고, 르네상스 이후 발달한 서양 기술과 전통 기술을 함께 보여주며, 중국 과학 기술 변환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기기도설 | |
---|---|
명칭 | |
제목 | 기기도설 |
원제 | 원서: 《기기도설(奇器圖說)》 |
개요 | |
저자 | 왕징 구술, 요한 슈렉 (등미각) 번역 |
저술 시기 | 숭정제 시기 |
간행 시기 | 1627년 |
형태 | 3권 |
언어 | 한문 |
소장처 | 중국국가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내각문고 |
내용 | 유클리드 기하학, 기계공학 관련 지식 소개 |
구성 | |
권1 | 기하학 원리 (기하 원본 1-6권) |
권2, 3 | 기계 그림과 설명 |
삽화 (기계) | |
내용 | 물을 끌어올리는 기계 펌프 풍차 수차 지렛대 도르래 피스톤 크랭크 톱니바퀴 나사 |
특징 | 서양의 기계 원리를 소개하고, 중국의 전통적인 기술과 결합하려는 시도를 보임. |
영향 | |
평가 | 서양 과학 기술 지식을 중국에 소개하는 데 기여. |
참고 | 농정전서, 천공개물 |
2. 저술 배경
《기기도설》은 요한 테렌츠 슈렉(등옥함)과 왕징(王徵)이 함께 저술한 책이다. 왕징은 1616년 예수회 선교사 디에고 데 빤또아(중국명 龐迪我)를 만나 가톨릭 세례를 받고 필리푸스(Philippus)라는 세례명을 받았다.[12] 이후 니콜로 롱고바르도(중국명 용화민龍華民), 요한 테렌츠 슈렉, 요한 아담 샬 폰 벨(중국명 탕약망湯若望) 등에게 가톨릭 교리와 학문을 배웠다.
어려서부터 기계에 관심이 많았던 왕징은[12] 수학에 대한 기초 지식도 있어 「도수지학」(度數之學)의 대강을 빠르게 이해했는데, 이는 《기기도설》 번역에 도움이 되었다.
1627년 두 사람은 한 달 동안 편역에 나서서 《원서기기도설록최》(약칭 기기도설) 3권을 번역했다. 제1권과 제2권은 역학(力學)에 대한 이론적 해설과 기하학적 도면을, 제3권은 역학 원리를 이용한 각종 기계를 그림으로 도해한 기술도를 담고 있다. 인력과 동물의 힘을 이용한 전통 기술과 서양 기술을 함께 보여주어 중국 과학 기술 변환의 과도기를 살펴볼 수 있다.[13]
《기기도설》에는 「동심」(무게중심), 「공간」(지렛대), 「치륜」(기어) 등 기계공학 관련 명사들이 한역되어 실려 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후세에도 사용되었다. 서양 문자와 부호를 사용해 서양 역학을 소개한 첫 서적으로, 원리 해석에 전통 중국 자연철학 개념을 사용해 '예수회 과학'의 초기 양상을 보여준다.[13] 삽화는 아고스티노 라멜리, 비토리오 종카,[14][15] 자크 베송의 작품을 복제한 내용이 실려 있다.[16] 중국식 회화로 각색되었지만, 서구 기계 삽화를 상세하고 정확하게 그렸다.[17]
2. 1. 요한 테렌츠 슈렉
요한 테렌츠 슈렉은 본래 의사였으며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같은 린체이 아카데미 회원이었다. 1619년 중국을 방문한 그는 마카오에서 2년을 머무른 뒤 항저우에서 크리스트교를 전교하기 시작했다. 1623년 베이징으로 와서 1629년 서광계의 추천으로 관직을 얻게 되었다.[11]1627년 정월(2월 또는 3월), 요한 테렌츠 슈렉은 왕징과 함께 한 달 동안 《기기도설》 편역에 착수하여 《원서기기도설록최》(약칭 기기도설) 3권을 번역했다. 요한 테렌츠 슈렉이 관련 내용을 구술하면 그것을 왕징이 한역하고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었다.[13]
2. 2. 왕징
왕징(王徵)은 명나라의 관리이자 학자로, 1616년 예수회 선교사 디에고 데 빤또아(중국명 龐迪我)를 만나 가톨릭 세례를 받고 필리푸스(Philippus)라는 세례명을 얻었다.[12] 이후 니콜로 롱고바르도(중국명 용화민龍華民), 요한 테렌츠 슈렉(등옥함), 요한 아담 샬 폰 벨(중국명 탕약망湯若望) 등에게 가톨릭 교리와 학문을 배웠다.어려서부터 기계에 관심이 많았고, 수학적 지식도 갖추고 있어 서양의 「도수지학」(度數之學)을 빠르게 이해했다.[12] 이는 《기기도설》 번역에 큰 도움이 되었다.
1627년 요한 테렌츠 슈렉과 함께 《기기도설》을 번역하고 그림을 그렸다. 슈렉이 구술하면 왕징이 한역하고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었다.[13] 같은 해 7월, 《기기도설》은 왕징이 1626년에 고안한 기기를 소개한 《신제제기도설》(新製諸器圖說)과 함께 양저우(揚州)에서 합본 간행되었다.
3. 내용 구성
1627년 정월(2월 또는 3월)에 번역된 《원서기기도설록최》(약칭 기기도설)는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과 제2권은 역학(力學)에 대한 이론적 해설과 이를 도해한 기하학적 도면을 담고 있으며, 제3권은 역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각종 기계를 그림으로 도해한 기술도가 실려 있다. 이 기술도에는 인력과 동물의 힘을 이용한 전통적 기술과 르네상스 이후 발달한 서양의 기술이 함께 나타나 있어, 중국 과학 기술 변환의 과도기를 살펴볼 수 있다.[13]
《기기도설》에는 「동심」(重心, 무게중심), 「공간」(槓桿, 지렛대), 「치륜」(齒輪, 기어) 등 기계공학 관련 명사들이 한역되어 실려 있는데, 이들 중 일부는 후세에도 사용되었다. 이 책은 서양의 문자와 부호를 사용해 서양의 역학에 대해 소개한 첫 번째 서적으로, 그 원리를 해석할 때 전통적인 중국 자연철학의 개념을 사용했기 때문에 소위 '예수회 과학'의 초기 양상을 보여준다.[13]
삽화 부분에서 두드러지는 점은 당시 이탈리아의 기계설계사 아고스티노 라멜리와 공학자 비토리오 종카,[14][15] 그리고 프랑스의 기계설계사 자크 베송의 작품을 복제한 내용이 실려 있다는 것이다.[16] 비록 중국식 회화로 각색되기는 했지만, 서구 사회에서 쓰이던 기계의 삽화를 비교적 상세하고 정확하게 그려놓았다.[17]
4. 영향 및 의의
《기기도설》은 당시 중국과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과학사적 의의도 크지 않다.
참조
[1]
서적
Baichun, p.182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Ricci roundtable
http://ricci.rt.usfc[...]
2011-06-15
[3]
서적
Baigrie, p.23
https://books.google[...]
[4]
문서
Baigrie, p.23
[5]
서적
Needham, p.214
https://books.google[...]
[6]
문서
Needham, p.212
[7]
문서
Baigrie, p.23
[8]
서적
Deacy, p.182
https://books.google[...]
[9]
간행물
清华大学图书馆藏《远西奇器图说录最》介绍
2003
[10]
문서
晚明尚「奇」求「俗」文化中的《遠西奇器圖說錄最》
[11]
웹사이트
Johannes Schreck: Herkunft und Heimat (HWTG Konstanz)
https://www.htwg-kon[...]
[12]
문서
그 자신이 쓴 《양리약자서》(兩理略自序)에서 「顧頗好奇,因書傳所載化人奇肱,璇璣指南,乃諸葛氏木牛流馬,更枕、石陣、連弩諸奇制,每欲臆仿而成之」라고 밝히고 있다.
[13]
논문
'《기기도설》의 기술도 분석'
2007
[14]
문서
Baigrie, p.23
[15]
서적
Needham, p.214
https://books.google[...]
[16]
문서
Needham, p.212
[17]
문서
Baigrie, p.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