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바이수이 밥 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바이수이 밥 돈은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인물 또는 인물들의 기원이다. 기플레 경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로맨스 《에레크와 에니드》에 "Girflet (또는 Giflet) fils Do"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며, 이후 《조프레》의 이름의 유래가 된 영웅으로 등장한다. 로저 셔먼 루미스는 길파에트위의 어머니 여신인 돈이 크레티앵의 《에레크와 에니드》가 쓰여질 시점부터 남성 등장인물로 잘못 해석되었다고 언급했다. 아서 왕 전설에서 "Do" 또는 "Don"은 "Giflet"과 "Lore"의 아버지로, 고대 켈트 신화의 브리튼족 신화 여신에서 칼라일의 성주이자 "우서 펜드래곤"의 수석 임업가로 변모했다. "Don"에 관한 "Lore"는 아일랜드의 블라트나트와 웨일스의 블로데이웨드의 아서 왕 전설적 대응물인, 꽃의 신부 "Florée"의 축약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돼지 - 에리만토스의 멧돼지
에리만토스의 멧돼지는 그리스 신화에서 헤라클레스의 네 번째 과업인 생포 대상 괴물 멧돼지로, 헤라클레스는 켄타우로스족과의 싸움과 설원에서의 추격 끝에 멧돼지를 생포하여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데려갔으며, 이 이야기는 다양한 해석의 소재로 활용된다. - 신화의 돼지 - 바라하
바라하는 힌두교의 신으로, 비슈누의 아바타이자 지구를 구원하는 역할을 하며, 멧돼지 또는 야생 멧돼지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되었다. - 신화의 성소수자 - 호루스
호루스는 매의 머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신화의 하늘의 신으로,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위해 세트와 싸워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그의 눈은 보호와 왕권을 상징하고 파라오는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 신화의 성소수자 - 쿠 훌린
쿠 훌린은 아일랜드 신화의 영웅이자 얼스터 전설의 중심인물로, 쿨란의 개를 죽인 후 "쿨란의 사냥개"라는 뜻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초인적인 힘과 용맹함, 뛰어난 무예를 지닌 전사로서 쿠얼릉거의 소도둑 전투에서 활약한 이야기가 유명하고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얼스터 연합주의 모두에게 상징적인 존재이다. - 마비노기온 - 푸일
푸일은 《마비노기온》에 등장하는 아논의 통치자이자 데메테의 왕자로, 아로운과의 자리 바꿈, 리아논과의 결혼, 아들 프라이데리의 탄생과 실종에 얽힌 이야기를 통해 웨일스 신화와 영국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마비노기온 - 구이디온 밥 돈
구이디온 밥 돈은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마법, 전쟁, 레우 라우 기페스의 탄생과 관련된 인물이며, 남쪽과의 전쟁을 일으키고 블로데우에드와의 갈등을 겪으며 나무들의 전투에서 활약하고 현대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재해석된다.
| 길바이수이 밥 돈 | |
|---|---|
| 개요 | |
| 이름 | 길바이수이 밥 돈 |
| 웨일스어 | Gilfaethwy fab Dôn |
| 로마자 표기 | Gilfaethwy fab Dôn (길바이수이 밥 돈) |
| 발음 | /ɡɪlˈvɛɨθʊɨ/ |
| 신화 속 역할 | |
| 신화 | 웨일스 신화 |
| 가문 | 돈의 아이들 중 하나 |
| 형제자매 | 구이디온 아리안로드 길레스위 아마에톤 후던 |
| 배우자 | 고에윈 |
| 아버지 | 돈 |
2. 아서 왕 전설
마비노기온의 많은 등장인물처럼 길파에트위 역시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그 기원이 된 인물들과 연관이 있다. 대표적으로 기플레 경("Girflet fils Do")[2]이 길파에트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플레는 12세기 작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에레크와 에니드''[3]에서 처음 언급되며, 이후 ''조프레''[5] 로맨스의 주인공이 되기도 한다.
학자 로저 셔먼 루미스는 기플레의 이름에 포함된 'Do'가 본래 길파에트위의 어머니인 여신 돈이었으나, 아서 왕 전설로 넘어오면서 남성 인물 'Do' 또는 'Don'으로 잘못 해석되었다고 주장했다.[4] 이 'Don'은 기플레와 'Lore'의 아버지로 설정되는데, 'Lore'는 꽃의 신부 'Florée'의 축약형으로 여겨진다.[6]
2. 1. 기플레 경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기플레 경은 마비노기온의 길파에트위 밥 돈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인물이다. 기플레는 12세기 샹파뉴 출신 작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로맨스 ''에레크와 에니드''[3]에서 "Girflet ( 또는 Giflet ) fils Do"[2]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 이후 오크어로 쓰여진 유일한 로맨스인 ''조프레''[5]에서는 작품 제목의 유래가 된 영웅으로 나온다.학자 로저 셔먼 루미스는 기플레의 이름에 포함된 'Do'가 원래 길파에트위의 어머니인 여신 돈이었으나,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시대에 이르러 남성 인물 'Do' 또는 'Don'으로 잘못 해석되었다고 주장했다. 루미스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아서 왕 전설의 "Do" 또는 "Don"은 "Giflet"과 "Lore"의 아버지로, 고대 켈트 신화의 브리튼족 신화 여신에서 칼라일의 성주이자 "우서 펜드래곤"의 수석 임업가로 이상하게 변모했다.[4]
여기서 언급된 '로르(Lore)'는 꽃의 신부 'Florée'의 축약형으로, 아일랜드 신화의 블라트나트나 웨일스 신화의 블로데이웨드에 해당하는 아서 왕 전설 속 인물이다.[6]
2. 2. 돈 (Do)의 변천
로저 셔먼 루미스는 마비노기온에 등장하는 길파에트위의 어머니 여신인 돈이 12세기 샹파뉴 출신 작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로맨스 ''에레크와 에니드''[3]가 쓰여질 무렵부터 남성 등장인물 'Do'로 잘못 해석되었다고 주장했다.[4] 아서 왕 전설에서 'Do' 또는 'Don'은 기플레("Girflet fils Do", 즉 'Do의 아들 기플레')[2]와 'Lore'의 아버지로 등장한다.루미스는 이러한 변화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아서 왕 전설의 "Do" 또는 "Don"은 "Giflet"과 "Lore"의 아버지로, 고대 켈트 신화의 브리튼족 신화 여신에서 칼라일의 성주이자 "우서 펜드래곤"의 수석 임업가로 이상하게 변모했다.[4]
'Don'의 딸로 언급된 'Lore'는 꽃의 신부 'Florée'의 축약형으로 여겨지며, 이는 아일랜드 신화의 블라트나트나 웨일스 신화의 블로데이웨드에 해당하는 아서 왕 전설 속 인물로 볼 수 있다.[6]
참조
[1]
서적
The Mabinogion
Penguin Books
1976
[2]
서적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
서적
Erec et Enide
Penguin Books
1991
[4]
서적
Arthurian Tradition And Chrétien de Troy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8
[5]
서적
Jaufre: an Occitan Arthurian romance
Routledge (Garland)
2014
[6]
서적
Celtic Myth and Arthurian Roma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