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주는 한국, 일본, 서양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각 지역과 시대에 따라 의미와 역할이 다르다. 한국에서는 고대 국가의 통치 단위인 성을 다스리는 자를 의미했으며, 삼국 시대와 고려 초 호족들이 자칭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죠슈'라고 불리며 성의 주인 또는 장수를 뜻했고, 다이묘의 격식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했다. 서양의 성주는 봉읍을 다스리는 귀족이자 성관의 주인을 의미하며, 성의 방어, 영지 관리, 사법권 행사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에는 명예 성주 임명, 성곽 개수 기금 마련을 위한 칭호 부여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 - 다치바나 긴치요
    다치바나 긴치요는 전국 시대 규슈의 다치바나 씨족 당주로서 뛰어난 지략과 용맹함으로 가문을 이끌었으며, 시마즈 씨족과의 전투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후에도 활약한 여성 영주이다.
  • 성주 - 양만춘
    양만춘은 645년 당 태종의 침입 때 안시성을 지켜 고구려-당 전쟁에서 활약한 고구려 장수로, 역사 기록에는 이름이 불분명하나 명나라 소설을 통해 알려졌으며 안시성 전투의 공으로 영웅적 인물로 재조명된다.
  • 중세 일본의 칭호 - 다이묘
    다이묘는 일본 역사에서 유력 무사를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에 따라 슈고 다이묘, 센고쿠 다이묘로 변화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막부 통제 하에 번주로서 막번 체제를 구성하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사라졌다.
  • 중세 일본의 칭호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성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관직
역할의 통치자, 관리자, 방어자
임명권자군주 또는 영주
역사적 역할
지위성의 유지 및 방어 책임
영주의 대리인으로서 행정 및 사법 기능 수행
유사시 성을 지키는 책임
권한 및 책임
군사적 권한성의 방어 책임
성내 군사 지휘
행정적 권한성내 질서 유지
세금 징수
분쟁 조정
유럽의 성주
프랑스어샤틀랭 (châtelain)
영어카스텔란 (Castellan)
관련 용어
요새화된 구조물
영주봉건제 사회의 지배자
봉건제중세 유럽의 사회 시스템

2. 한국의 성주

한국에서 성은 고대 국가의 기본 통치 단위였으며, 성을 단위로 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행정적인 통치 및 군사적 방위를 수행하였고 이는 삼국 시대는 물론 남북국시대 신라 말기~고려 초기에도 비슷하였다. 이후 군현제 도입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에서 성의 규모에 따라 군현의 규모를 정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성주'라는 용어는 이미 삼국 시대에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에 걸쳐 각 지역에서 할거하던 호족들은 대부분 성주 또는 장군을 자칭하였다.

2. 1. 삼국 시대 및 남북국 시대

2. 2. 고려 시대

2. 3. 조선 시대

3. 다른 나라의 성주

3. 1. 일본

일본에서는 성주를 '죠슈'(城主)라고 불렀으며, '성의 주인'[23] 또는 '한 성의 주장(主将)'을 의미했다.[24] 죠다이(城代)는 성주 당대의 대리인이었고, 죠죠(城将)는 성을 지키는 수비대장이었다.[25] 에도 시대(江戸時代)에는 다이묘(大名)의 격식 중 하나로 국주(国主)에 준하는 성주 다이묘(城主大名)가 있었다. 현대 일본에서는 지역 진흥이나 관광 진흥을 목적으로 명예성주(名誉城主)를 임명하기도 하고, 성곽 개수 비용 모금을 위해 기부자에게 일구성주(一口城主)라는 칭호를 부여하기도 한다. 영어의 Castellan이 '성을 다스리는 지사'라는 점에 착안하여 일본어로 번역할 때 「성주」로 번역하며, 이는 한국에서도 같다.

3. 2. 서양

'''성주'''(城主, 캐스털랜/castellan영어)는 성주령(castellany)을 봉읍으로 삼는 귀족이자 그 성주령의 중심지인 성관의 주인이다.[26]

3. 2. 1. 초기 기능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기(3세기~6세기)에 외국 부족들이 서유럽에 진입하여 분쟁을 일으켰다. 반복되는 침략에 대한 해결책은 요새 지역을 만드는 것이었고, 이는 으로 발전했다.[4]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은 성주를 신뢰할 수 있는 봉신으로 임명하여, 영주에게 헌신하는 대가로 성을 관리하게 했다.[4] 9세기에는 요새가 개선되고 왕들이 부하들이 세금을 납부하거나 요구하는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성주들은 권력을 키워 자신의 봉토를 영주에 대한 걱정 없이 보유하게 되었다.[5]

3. 2. 2. 의무

일반적으로 성주의 의무는 성의 수비대에 대한 군사적 책임, 방어 시설 유지, 성의 토지 보호로 구성되었으며, 성의 가사 요원을 포함한 지역 토지와 일꾼에 대한 법적 관리도 포함되었다. 이러한 책임은 성에 거주하는 성주가 없거나, 성주가 자주 부재하는 경우에도 적용되었다.[6] 성주는 "금지령"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법원 사건을 심리하고, 거주자들로부터 벌금, 세금을 징수하며, 지역이나 왕국의 방어를 위해 지역 주민들을 소집하는 것이었다. 이는 장원 영주와 유사하다.[7] 성주들은 사형을 포함한 모든 지역 정의를 집행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1111년 잘츠부르크의 성주는 무장 반란을 선동한 ''미니스터''를 체포하여 "농노처럼" 맹인으로 만들었다.[8]

3. 2. 3. 유대인과의 관계

서유럽의 일부 성주는 영국 해협에 인접한 유대인 공동체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는 경우가 있었다. 런던 타워의 치안 판사노르망디 공작에게 종속된 성주들은 유대인들의 행정을 담당했다.[10] 비비안 립만은 이에 대한 네 가지 이유를 제시했는데, 성은 방어를 제공했고, 행정의 중심지였으며, 성의 지하 감옥은 감옥으로 사용되었고, 성주들은 고리대금이 가톨릭교도에게 금지되었기 때문에 유대인 공동체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었다는 것이었다.[10]

3. 2. 4. 성주령 (Castellany)

성주 관할구는 성주(castellan)가 관리하는 구역을 나타내는 용어이다.[11] 카스텔라니는 중세 시대에 나타났으며, 현재 대부분의 주권 국가에서는 보다 현대적인 형태의 군/구역 행정 구역으로 대체되었다. 이 단어는 에서 파생되었으며, 문자 그대로 특정 성에 부속된 부동산관할권의 범위를 의미한다.

다른 언어에도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용어가 있다. 프랑스의 ''샤텔레니''의 예로는 이브리라바타유, 노낭쿠르, 파시 쉬르 외르, 베르농, 가이용의 성주 관할구가 있는데, 이들은 1195년 리처드 1세와 전쟁 후 이수도 조약에 따라 필리프 2세에 의해 프랑스 왕실에 귀속되었다.

폴란드의 카스텔라니의 예로는 웽치차와 시에라츠 (둘 다 한때 공국), 스피치미에르, 로즈프자, 현재 우치주에 있는 볼부르츠, 그리고 현재 마워폴스카주에 있는 보이니치 또는 실롱스크주에 있는 오트무후프 등이 있다.

3. 2. 5. 국가별 차이

'''성주'''(城主, 캐스털랜/castellan영어)는 성주령(castellany)을 봉읍으로 삼는 귀족이자 그 성주령의 중심지인 성관의 주인이다.[26]

4. 현대의 성주

참조

[1] 서적 Medieval C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2
[2] 간행물 "Female Founders: Exercising authority in Thirteenth-century Flanders and Hainaut."
[3] 서적 "The Sutton Companion to Castles" Sutton Publishing 2003
[4] 논문 "Ruler and Ruled in the German Empire from the Tenth to the Twelfth Century"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68
[5] 간행물 "Feudal Europe, 800-1300: Communal Discourse and Conflictual Practices." 1992
[6] 서적
[7]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Middle Ages: Volume II, from c.900 to c.150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9
[8] 서적 German knighthood, 1050-1300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9] 간행물 "Rise and Fall of a Twelfth-century Clan: The Erembalds and the Murder of Count Charles of Flanders, 1127-1128." 1959
[10] 간행물 "Jews and castles in medieval England: Transactions & Miscellanies" 1981-1982
[11] 서적 A new dictionary of the English and Italian languages, containing the whole vocabulary in general use with copious selections of scientific, technical and commercial terms and others lately brought into use with their pronunciation figured https://archive.org/[...] 1908
[12] 문서
[13] 서적 "Noble Bondsmen: Ministerial Marriages in the Archdiocese of Salzburg, 1100-1343."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14] 웹사이트 Várnagyok http://www.varturak.[...]
[15] 서적 "Monarchy and Lordship in the Latin Kingdom of Jerusalem, 1099–1291" Clarendon Press 1989
[16] 서적 Lectures on the Statutes of the Sacred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at the University (of Studies) of Malta 1792 https://books.google[...] KIT Scientific Publishing 2012
[17] 서적 Urzędy główne i sejmowanie do połowy XVIII w "Dzieje administracji w Polsce w zarysie" http://www.nonpossum[...]
[18] 백과사전 Alcayde Oxford UP
[19] 서적 大辞林 第三版 三省堂 2006
[20] 서적 広辞苑 第六版 岩波書店 2011
[21] 서적 城の戦国史 どう攻めたか いかに守ったか
[22]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성주' 항목 https://stdict.korea[...]
[23] 서적 大辞林(第三版) 三省堂 2006
[24] 서적 広辞苑(第六版) 岩波書店 2011
[25] 서적 城の戦国史 どう攻めたか いかに守ったか
[26] 서적 "The Sutton Companion to Castles" Sutton Publishing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