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귀주는 민회빈 강씨의 신원을 청하다 사형된 김홍욱의 5대손이자 정순왕후의 오빠로, 1760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했다. 그는 홍봉한과 대립하며 세손 정조를 옹립하려는 움직임을 견제했으나, 정조 즉위 후 흑산도로 유배되었다. 이후 위리안치형을 받았으며, 문효세자 책봉으로 유배지가 옮겨졌지만 사망했다. 사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으로 복권되었으나, 벽파 몰락과 함께 다시 삭탈관작되었다. 김귀주는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은전군 - 홍계희
    홍계희는 조선 후기 노론 문신으로 유형원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반계수록』의 정책을 영조에게 건의하는 등 당파를 초월한 개혁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조선 통신사 정사로 일본에 파견되어 조선과 일본 관계 개선에 기여한 인물이다.
  • 은전군 - 이희 (1824년)
    이희는 사도세자의 서증손이자 은언군의 손자로, 풍계군의 서자로 태어나 은전군과 상계군에게 입양되었으며, 철종의 총애를 받아 요직을 역임하고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고종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1786년 사망 - 문효세자
    정조와 의빈 성씨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 문효세자는 3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5세에 홍역으로 요절하여 정조에게 큰 슬픔을 안겼고, 그의 죽음은 조정의 정치적 상황에도 영향을 미쳤다.
  • 1786년 사망 - 의빈 성씨
    의빈 성씨는 조선 정조의 후궁으로, 문효세자를 낳았으나 요절했고, 임신 중에 사망하여 칠궁에 신위가 모셔졌다.
  • 1740년 출생 - 베네딕트 아널드
    베네딕트 아널드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 장군으로 활약했으나 영국으로 투항하여 배신자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며, 타이콘데로가 요새 점령 등에서 활약했으나 웨스트포인트를 넘기려다 발각되어 영국군에 합류, 준장으로 임명되었고 배신 행위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740년 출생 - 화유옹주
    영조와 귀인 풍양 조씨의 딸인 화유옹주는 1753년 황인점과 혼인 후 정조의 기림을 받았으며, 그녀와 황인점의 묘는 경기도 부천시에 있다.
김귀주
김귀주
김귀주 초상
김귀주 초상
기본 정보
출생1740년
사망1786년
성여(聖汝)
본관안동(安東)
관력
주요 관직대사헌
형조판서
예조판서
가족 관계
아버지김약로
어머니달성 서씨
배우자정후겸의 누이
정조의 후궁 원빈(元嬪)
아들김이주(金頤柱)
기타
관련 인물김종수, 정조

2. 생애와 주요 활동

민회빈 금천 강씨의 신원을 주청하다 장살 사형 조처된 김홍욱의 5대손이며, 오흥부원군 김한구의 아들이다. 정순왕후 김씨는 그의 누이이다. 1760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해 좌승지에 올랐으며,[3] 문과에 급제한 뒤 순탄한 벼슬길을 걸었다.

1775년 홍인한, 정후겸 등이 세손의 대리청정을 반대했다는 이른바 《명의록》 사건과는 관련이 없다.

2. 1. 홍봉한과의 갈등

1761년(영조 37년) 사도세자가 평양에 무단으로 여행을 갔을 때, 당시 정승이던 정휘량과 홍봉한이 이를 막지 않고 영조에게 알리지도 않는다는 내용의 비밀 상소를 영조에게 직접 올리려 했다.[3] 이후 강원도 관찰사, 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외척당인 남당을 만들어 당시 실권을 장악하던 북당의 홍봉한(정조의 외할아버지)과 대립하였다. 이들은 세손(정조)의 외할아버지인 홍봉한을 탄핵하는데 주력해 공홍(攻洪)파라고 불렸다. 1770년 한유를 사주해 홍봉한을 탄핵했으며, 세손이 영조를 수행하지 않는 틈을 타 정후겸과 함께 숙부이던 김한기가 영조에게 홍봉한이 세손을 제거하고 대신 은언군 인을 추대하려 한다는 고변을 했다. 홍봉한은 이 사건에 연루되어 청주에 부처되었으나 영조가 이내 혜빈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철회하였다. 이러한 대목은 김귀주 세력의 성장과 홍봉한 등 영조 계열의 척신들 간의 균형을 위한 영조의 탕평정치의 연장선으로 여겨진다.

2. 2. 정조 즉위와 유배

1776년 3월 정조가 즉위하자 김귀주는 한성판윤에 임명되었다.[3] 그러나 7월에 홍인한, 정후겸에 대한 처분이 끝나자, 정조는 김귀주를 혜경궁 홍씨의 건강 악화에 따른 대소 신료의 문안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죄로 흑산도에 유배했다. 정조는 홍인한의 건을 언급하면서 홍인한 - 정후겸 - 김귀주의 숙청은 자신이 가진 척신 척결의 연장선임을 밝혔다. 임진년 당시 정조가 외조부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김귀주를 흉악하고 반역스럽다고까지 표현하고 있다. 정조 24년 4월 27일에 숙부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자신의 외조부의 연보가 너무 간략하다며 당시의 일들에 대해 그것이 도대체 무슨 사건이며 어떤 사단의 원인이 무엇이며 누구로부터 비롯되었는지 후세 사람이 어떻게 알겠느냐고 항의하며 김귀주에 대해 적대적으로 쓰고 있다. 홍상범의 역모사건에 정조가 바로 사사시키라는 명령을 내린 것은 세손 시절 김귀주에 대한 반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홍국영 등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2. 3. 유배 이후의 삶

1779년 홍국영에 의해 더 높은 형벌인 위리안치에 처해졌다.[3] 1784년 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봉으로 특사령이 내려져 유배지가 육지인 나주로 옮겨졌으나, 2년 뒤 돌연 사망하였다.

3. 사후

정조가 사망하고 1801년 순조가 즉위하였으나 나이가 어려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이 이루어지게 되자, 김귀주는 복권되고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그의 6촌 재종제 김관주는 예조참판까지 제수되는 등 일족들이 다시 등용됐다.[4][5] 그러나 1803년 정순왕후 김씨 수렴청정 이후 벽파가 몰락하면서 김귀주는 또 다시 삭탈관작에 처해졌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증조부김두광(金斗光)
조부김선경
아버지김한구
어머니원주 원씨
첫째 부인덕수 이씨 (이춘빈(李春彬)의 딸)
둘째 부인반남 박씨 (박사경(朴師經)의 딸)
아들김노충(金魯忠)
동생정순왕후 김씨
매제조선 영조


5.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1991년 KBS1 드라마 《왕도》, 2007년 MBC 드라마 《이산》, 2008년 SBS 드라마 《바람의 화원》, 2015년 영화 《사도》에서 각각 배우 강민호, 정명환과 박영지, 최정우, 김민규가 김귀주를 연기했다.[1]

5. 1. 드라마


  • 1991년 KBS1 드라마 《왕도》에서 배우 강민호가 김귀주를 연기했다.
  • 2007년 MBC 드라마 《이산》에서 배우 정명환과 박영지가 김귀주를 연기했다.
  • 2008년 SBS 드라마 《바람의 화원》에서 배우 최정우가 김귀주를 연기했다.
  • 2015년 영화 《사도》에서 배우 김민규가 김귀주를 연기했다.

5. 2. 영화

2015년 영화 《사도》에서 김민규가 김귀주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조선을 뒤흔든 16인의 왕후들: 이수광 조선 팩션 역사서: 당당하게 절대 권력에 도전했던 왕후들의 이야기 https://books.google[...] Dasan Books 2010-07-28
[2] 서적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 조선의 혼이 지다 https://books.google[...] 해냄출판사 2013-09-30
[3] 뉴스 (제목 없음)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4] 서적 조선 왕 독살사건 다산초당 2005-07
[5] 서적 사도세자의 고백 휴머니스트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