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도(王道)는 조선 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김영철이 정조 시대의 권신 홍국영 역을, 강석우가 정조 역을 맡아 출연하며, 정조의 개혁 정치와 홍국영의 권력 쟁취 과정을 그린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 영조의 딸 화완옹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영원한 제국
《영원한 제국》은 19세기 초 조선의 정치적 격변기를 배경으로 안성기, 조재현, 김혜수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여 정조와 정적들의 권력 투쟁과 음모를 그린 영화로, 1995년 대종상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조선 정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성균관 스캔들
《성균관 스캔들》은 조선시대 성균관을 배경으로 여성이 남장하여 입학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역사적 배경 묘사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메시지로 인기를 얻었으나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에 대한 논란도 있으며, 한류 드라마로서 성공을 거두었다. - 김항명 시나리오 작품 - 제3교실
제3교실은 1975년 대한민국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이정길, 이효춘, 김보연, 최불암, 김혜자 등 많은 배우가 출연했으며, 제10회 한국 방송윤리위원회상 TV부문을 수상했다. - 김항명 시나리오 작품 - 이화 (드라마)
격변기 조선 말, 외세의 침략과 혼란 속에서 피어난 이화와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이화》는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을 배경으로 역사적 인물들의 권력 다툼과 비극적인 운명을 다루며 일본 제국주의 세력의 조선 침략 음모를 묘사했지만, 역사 왜곡 논란과 특정 인물에 대한 편향된 묘사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고 뛰어난 연출과 배우들의 열연으로 호평을 받기도 했다. - 199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아스팔트 내 고향
김영애, 신구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고 임기주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아스팔트 내 고향》은 이병헌을 비롯한 다수의 조연과 김혜선, 박주아, 양택조 등 여러 세대의 배우들이 출연하는 한국 드라마이다. - 199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쇼 비디오 자키
《쇼 비디오 자키》는 1987년부터 1991년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코미디 프로그램으로, 시사 풍자와 서울의 물질만능주의를 풍자하는 등 다양한 코너를 선보였다.
왕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언어 | 한국어 |
시대 배경 | 조선 시대 후기 |
방송 횟수 | 34부작 |
제작 정보 | |
원작 | 유현종 《사설 정감록》 |
각본 | 김항명 |
연출 | 김재형 |
출연 | 김영철, 강석우, 정영숙, 김자옥 외 |
방송 정보 | |
방송 채널 | KBS1 |
방송 기간 | 1991년 1월 6일 ~ 1991년 10월 5일 |
방송 시간 | 일요일 밤 9시 30분 |
관련 정보 | |
관련 기사 | 성실 고증-고사성어(故事成語) 자막풀이 인상 |
2. 등장인물
다음은 드라마 《왕도》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 김영철: 홍국영 역[1]
- 강석우: 정조 역[1]
- 정영숙: 혜경궁 홍씨 역[1]
- 김자옥: 정순왕후 김씨 역[1]
- 이효춘: 화완옹주 역[1]
- 박순애: 순지 역[1]
- 신구: 홍봉한 역[1]
- 임혁: 홍인한 역[1]
- 김성원: 영조 역[1]
- 이덕희: 월례 역[1]
- 태민영: 명섭 역[1]
- 강문영: 홍남이 역[1]
- 김종결: 김관주 역[1]
- 이정웅[1]
- 이종만: 무명대사 역[1]
- 선우재덕: 정후겸 역[1]
- 강민호: 김귀주 역[1]
- 이대로: 홍낙춘 역[1]
- 안병경[1]
- 양영준: 서유린 역[1]
- 송재호[1]
- 최정훈: 김상철 역[1]
- 기정수[1]
- 안대용: 서명선 역[1]
- 김현주: 젊은 상궁나인 역[1]
- 정요숙: 어린 상궁나인 역[1]
- 김효선: 걸치패 점개 역[1]
- 장학수: 걸치패 왕초 역[1]
- 이춘식, 이두섭: 걸치패 패거리 역[1]
- 선동혁[1]
- 유동근: 정여립 역[1]
- 맹호림[1]
- 박용식[1]
- 김해권[1]
- 이한승[1]
- 반문섭[1]
- 안형식: 홍낙인 역[1]
- 박진성[1]
- 최헌철[1]
- 송종원[1]
- 이한위[1]
- 장정희[1]
- 차두옥[1]
- 유순철[1]
- 황덕재[1]
- 권혁호[1]
- 유태술[1]
- 박승규[1]
- 양형호[1]
- 김소유[1]
- 신수강[1]
- 김지선[1]
- 최윤영[1]
- 박해상[1]
- 홍승일[1]
- 한혜경[1]
- 유가영[1]
- 예명숙[1]
- 김진오[1]
- 김동완[1]
- 김경하[1]
- 이필수[1]
- 이상원[1]
- 신종태[1]
- 서창호[1]
- 윤용덕[1]
- 안동석[1]
- 최현기[1]
- 한연수[1]
- 윤용준[1]
- 최정화[1]
- 이원직[1]
2. 1. 주요 인물
- 김영철 : 홍국영 역 - 조선 정조 시대의 권신으로, 뛰어난 두뇌와 책략을 가진 인물이다. 정조의 총애를 받아 세도 정치의 중심에 섰으나, 권력 남용과 비리로 몰락한다.
- 강석우 : 정조 역 -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개혁 군주로서 탕평책을 추진하고 홍국영을 등용하여 왕권 강화를 꾀한다.
- 정영숙 : 혜경궁 홍씨 역 - 정조의 어머니로, 아들 정조를 지지하며 홍국영과 대립한다.
- 김자옥 : 정순왕후 김씨 역 - 영조의 계비로, 정조 즉위 후에도 권력을 유지하며 홍국영과 갈등한다.
- 이효춘 : 화완옹주 역 - 영조의 딸이자 정조의 고모로, 홍국영의 정치적 후원자였으나 후에 등을 돌린다.
- 박순애 : 순지 역
- 신구 : 홍봉한 역
- 임혁 : 홍인한 역
- 김성원 : 영조 역
- 이덕희 : 홍국영의 처 월례 역
- 태민영 : 홍국영의 친구 명섭 역
- 강문영 : 홍국영의 누이동생 홍남이 역
- 김종결 : 김관주 역
- 이정웅
- 이종만 : 무명대사 역
- 선우재덕 : 정후겸 역
- 강민호 : 김귀주 역
- 이대로 : 홍국영의 부 홍낙춘 역
- 안병경
- 양영준 : 서유린 역
- 송재호
- 최정훈 : 김상철 역
- 기정수
- 안대용 : 서명선 역
- 김현주 : 젊은 상궁나인 역
- 정요숙 : 어린 상궁나인 역
- 김효선 : 걸치패 점개 역
- 장학수 : 걸치패 왕초 역
- 이춘식 : 걸치패 패거리 역
- 이두섭 : 걸치패 패거리 역
- 선동혁
- 유동근 : 정여립 역
- 맹호림
- 박용식
- 김해권
- 이한승
- 반문섭
- 안형식 : 홍낙인 역
- 박진성
- 최헌철
- 송종원
- 이한위
- 장정희
- 차두옥
- 유순철
- 황덕재
- 권혁호
- 유태술
- 박승규
- 양형호
- 김소유
- 신수강
- 김지선
- 최윤영
- 박해상
- 홍승일
- 한혜경
- 유가영
- 예명숙
- 김진오
- 김동완
- 김경하
- 이필수
- 이상원
- 신종태
- 서창호
- 윤용덕
- 안동석
- 최현기
- 한연수
- 윤용준
- 최정화
- 이원직
2. 2. 홍국영 주변 인물
- 박순애: 순지 역 - 홍국영을 흠모하는 인물이다.
- 이덕희: 월례 역 - 홍국영의 처이다.
- 태민영: 명섭 역 - 홍국영의 친구이다.
- 강문영: 홍남이 역 - 홍국영의 누이동생이다.
- 이대로: 홍낙춘 역 - 홍국영의 아버지이다.
- 안형식: 홍낙인 역
2. 3. 정조 주변 인물
- 신구 : 홍봉한 역 - 영조, 정조 시대의 중신, 혜경궁 홍씨의 친정아버지[1]
- 임혁 : 홍인한 역 - 홍봉한의 동생, 홍국영의 숙부[1]
- 강민호 : 김귀주 역 - 정순왕후의 오빠[1]
- 김종결 : 김관주 역 - 조선 후기의 문신[1]
- 이종만 : 무명대사 역[1]
- 선우재덕 : 정후겸 역[1]
- 최정훈 : 김상철 역[1]
- 안대용 : 서명선 역[1]
2. 4. 그 외 인물
영조(김성원 분): 조선의 제21대 왕.[1]정여립(유동근 분)[1]
서유린 (양영준 분)[1]
젊은 상궁나인 (김현주 분)[1]
어린 상궁나인 (정요숙 분)[1]
걸치패 점개 (김효선 분)[1]
걸치패 왕초 (장학수 분)[1]
이춘식, 이두섭: 걸치패 패거리 역[1]
3. 참고 사항
홍국영 역을 맡은 김영철은 훗날 KBS 1TV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궁예 역을 맡았다.[2] 태조 왕건의 초기 연출은 왕도의 김재형 PD가 맡을 예정이었으나,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하차했다.[3] 김재형 PD는 SBS로 이적 후 여인천하를 연출했는데, 이 드라마는 왕도와 마찬가지로[4] 홍국영의 일대기를 다룬[5] MBC 드라마 홍국영과 경쟁 관계에 있었다.
참조
[1]
뉴스
성실 고증-고사성어(故事成語) 자막풀이 인상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1-03-19
[2]
뉴스
"[KBS] ‘왕건’역에 최수종… \"차별성 높이 샀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9-09-30
[3]
뉴스
"[김재형 PD] `왕건 연출 도중하차"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9-08-06
[4]
뉴스
연말연시창사기념 특집극·새드라마"푸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0-12-14
[5]
뉴스
"[방송] TV는 '추억'을 싣고..."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1-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