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덕수는 대한민국의 사물놀이 연주자이다. 1952년 대전에서 태어나 5세에 남사당에 들어가 음악을 시작했으며, 7세에 전국 민속 음악 경연 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1978년 김용배, 이광수, 최종실과 사물놀이 그룹을 결성하여 꽹과리, 징, 북, 장구를 연주하며 실내 공연을 펼쳤고, 이후 사물놀이 장르를 확장시켰다. 1993년에는 사물놀이 공연을 홍보하는 "한울림" 오케스트라를 창단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전통예술학교의 초대 교수로 임명되었다.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과 대한민국 문화훈장을 수훈했으며, 조선일보가 선정한 '광복 50주년 50인의 한국을 빛낸 인물'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최인훈
최인훈은 남북 분단과 이념 갈등 속 개인의 고뇌를 그린 《광장》 등의 작품으로 한국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서울예술전문대학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기여했고, 사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이창동
소설가로 데뷔하여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며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거장이 된 이창동은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버닝》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대전광역시 출신 음악가 - 여원 (가수)
여원은 1996년 대전에서 태어나 2016년 펜타곤으로 데뷔 후 가수와 배우로 활동하며, 2023년 큐브 엔터테인먼트를 떠나 독립 아티스트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대전광역시 출신 음악가 - 전웅
전웅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AB6IX의 멤버이며 대전대성중학교와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국제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이다. -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동문 - 오정해
오정해는 미스춘향 출신으로 영화 서편제를 통해 데뷔하여 판소리 명창, 배우, 방송인으로서 활동하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대한민국의 예술가이다. -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동문 - 유소영
유소영은 선화예술중학교,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하고 2005년 KBS1 《TV유치원 하나둘셋》의 '하나 언니'와 2009년 애프터스쿨 데뷔 후 배우로 전향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김덕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김덕수 |
출생일 | 1952년 9월 2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대전시 |
직업 | 국악인, 대학 교수 |
장르 | 국악 |
악기 | 장구 |
배우자 | 김리혜 |
자녀 | 수파사이즈(아들) |
활동 시기 | 1957년 ~ 현재 |
2. 생애
김덕수는 1952년 대한민국 대전에서 태어나 5세 때 남사당에 들어가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2] 7세에는 전국 민속 음악 경연 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최연소 수상자가 되었다.[3][4] 1978년 사물놀이 그룹을 결성하여 꽹과리, 징, 북, 장구를 연주했다.[1] 박정희 정권의 탄압으로 실내에서 공연해야 했지만, ''사물놀이'' 장르는 점차 확장되었다.[5][6]
1993년 "한울림"이라는 대규모 ''사물놀이'' 오케스트라를 창단하고,[1][7]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1]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문화훈장 등 많은 상을 받았으며,[3] ''조선일보''가 선정한 "광복 50주년 50인의 한국을 빛낸 인물"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3]
2. 1. 초기 생애 및 활동
김덕수는 1952년 9월 23일 대한민국 대전에서 태어났다. 5세 때 유랑 예술단인 남사당에 들어가 음악 경력을 시작했고,[2] 7세에는 전국 민속 음악 경연 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최연소 수상자가 되었다.[3][4]1978년, 김덕수는 김용배, 이광수, 최종실과 함께 사물놀이 그룹을 결성하였다. 이들은 꽹과리, 징, 북, 장구 등 네 가지 주요 악기를 사용했는데, 김덕수는 장구를 연주했다.[1] 박정희 정권 하에서는 전통 악기가 학생 시위와 연관되어 야외 연주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실내에서 공연해야 했다.[5] 이후 더 많은 그룹이 같은 스타일의 음악을 연주하면서 ''사물놀이'' 장르가 확장되었다.[6]
2. 2. 사물놀이 창단
1978년 김덕수는 김용배, 이광수, 최종실과 함께 사물놀이 그룹을 결성했다. 이 그룹은 꽹과리, 징, 북, 그리고 김덕수가 연주한 장구의 네 가지 주요 악기를 사용했다.[1] 박정희 정권 하에서는 전통 악기가 학생 시위와 연관되어 야외에서 연주하면 체포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실내에서 공연했다.[5] 더 많은 그룹이 같은 음악 스타일을 연주하기 시작하면서 이 초기 앙상블에서 ''사물놀이'' 장르가 확장되었다.[6]2. 3. 한울림 예술단 창단 및 교육 활동
1993년 김덕수는 대규모 ''사물놀이'' 오케스트라인 "한울림"을 창단하여 ''사물놀이'' 공연을 홍보하는 데 힘썼다.[1][7]같은 해, 김덕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전통예술학교의 초대 교수로 임명되었다.[1]
3. 수상 경력
김덕수는 7세 때 전국 민속 음악 경연 대회에서 최연소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3][4]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과 문화훈장을 수상했으며,[3] ''조선일보''가 선정한 "광복 50주년 50인의 한국을 빛낸 인물"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INTERVIEW] 'Samulnori' master reflects on 63 years of tradition"
https://www.koreatim[...]
2020-05-21
[2]
웹사이트
Korean 'samulnori' master Kim Duk-soo stars in biographical musical
https://en.yna.co.kr[...]
2020-05-11
[3]
웹사이트
KIM Duk-soo
https://fukuoka-priz[...]
2023-10-20
[4]
웹사이트
Who is Kim Duk-soo?: Biography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Born to do it: Interview with Kim, Duk-soo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Samulnori: Rediscovering the past through Korean percussion - Haneul Ssem
https://haneulssem.c[...]
2022-04-25
[7]
웹사이트
Kim Duk-soo, Samulnori Master of 27 Years
https://web.archive.[...]
[8]
웹인용
네이버 인물 정보 - 김덕수
https://web.archive.[...]
네이버
2014-04-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백영서 연세대 명예교수 ‘후쿠오카아시아문화상 학술연구상’ 수상
[속보] 한덕수 "이기기 위해서라면 김덕수·홍덕수 어떤 덕수라도 되겠다"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