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인훈은 1936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나 2018년 대장암으로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6·25 전쟁 중 월남하여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중퇴하고, 1959년 《자유문학》에 작품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1960년 발표한 소설 《광장》으로 현실, 세계 관계, 존재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며 주목받았으며, 이후 《회색인》, 《구운몽》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1977년부터 서울예술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동인문학상, 박경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사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경리문학상 수상자 - 아모스 오즈
이스라엘 소설가이자 평화 운동가인 아모스 오즈는 키부츠에서 성장하여 이스라엘 사회의 갈등과 개인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작품을 썼으며, 두 국가 해결 방안을 지지하는 평화 운동을 펼쳤으나, 사후 가정 학대 주장이 제기되어 논란이 되었다. - 박경리문학상 수상자 - 베른하르트 슐링크
베른하르트 슐링크는 독일의 소설가이자 법학자이며, 추리 소설로 시작하여 소설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다양한 작품 활동과 문학상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회령시 출신 - 지성호
지성호는 1982년생으로 1996년 기차 사고로 왼손과 다리를 잃고 2006년 탈북하여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했다. - 회령시 출신 - 김영춘 (군인)
김영춘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으로, 만경대혁명학원과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인민무력부장 등을 역임하며 북한 군부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이창동
소설가로 데뷔하여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며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거장이 된 이창동은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버닝》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이종호 (건축가)
이종호는 장소의 역사성과 사회성을 중시하는 건축 철학을 구현한 대한민국의 건축가이자 교육자로, 박수근미술관과 노근리 역사 평화박물관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김수근의 제자였다.
최인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이름 | 최인훈 |
한자 이름 | 崔仁勳 |
로마자 표기 | Choe Inhun |
출생일 | 1936년 4월 1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회령군 |
사망일 | 2018년 7월 23일 |
사망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직업 | 소설가 시인 극작가 문학 평론가 |
국적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학력 | 서울대학교 법학과 (중퇴) |
활동 기간 | 1959년 - 2018년 |
데뷔 작품 | (GREY클럽 전말기), (라울전) |
작품 활동 | |
장르 | 소설, 시, 희곡, 평론 |
수상 | |
수상 내역 | 동인문학상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 중앙문화대상 예술부문 장려상 이산문학상 서울극평가그룹상 자랑스러운 서울법대인상 박경리문학상 보관문화훈장 금관문화훈장 |
기타 | |
웹사이트 | 두산백과 최인훈 |
경력 |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좌교수 |
2. 생애
최인훈은 1936년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회령에서 목재상을 하는 집안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가족과 함께 배를 타고 월남했다. 1952년 서울대학교 법대에 입학했으나, 1956년 중퇴하고 육군 장교로 임관하여 1963년 제대할 때까지 7년간 영어 통역 및 병사 정보교육 장교로 복무했다.
1958년 시인으로 먼저 등단하였고,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라울 전〉 등을 발표하며 소설가로 정식 등단했다. 1960년 발표한 장편소설 《광장》은 현실과 세계, 존재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어 문제작으로 평가받았다. 대표작으로는 〈구운몽〉, 《회색인》, 〈크리스마스 캐럴〉, 〈열하일기〉, 〈서유기〉, 〈화두〉 등이 있으며, 단편 〈웃음소리〉로 1966년 제12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1977년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로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을 받았으며, 희곡도 몇 편 썼으나 무대 상연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레제 드라마에 가깝다. 같은 해 서울예술전문대학(지금의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임용되어 2001년 5월 정년 퇴임할 때까지 재직했다. 정년퇴임 후에도 특강을 했으며, 2009년 자신의 희곡을 처음으로 무대에 올렸을 때 "창작하는 사람들에게 은퇴라는 것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극작가로서 1977년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 1978년 중앙문화대상 예술부문 장려상, 1999년 서울극평가그룹상, 2004년 자랑스러운 서울법대인상 등을 수상하였다.
2018년 7월 23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명지병원에서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이문열, 성석제, 김승옥 등의 문인들과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백낙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등이 조문했으며, 사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됐다.
2. 1. 유년 시절과 월남
함경북도 회령에서 목재상인 집안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6·25 전쟁이 터진 1950년 12월 가족과 함께 월남했다.[15] 1952년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으나[3],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대학 최종 학기 수업을 남겨둔 채 군에 입대했다.2. 2. 서울대 법대 중퇴와 군 복무
1952년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으나[3] 1956년 중퇴하고 장교로 임관하여, 1963년 제대할 때까지 7년간 영어 통역 장교 및 병사 정보교육(TI&E) 장교로 복무했다.[3][15]2. 3. 문단 데뷔와 작가 활동
최인훈한국어은 1958년 시인으로 등단한 후, 육군 장교 복무 중이던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라울 전〉 등을 발표하면서 정식으로 등단했다.[15] 1960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광장》은 현실, 세계 관계, 나아가서는 존재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어 문제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5] 그 외 작품으로는 〈구운몽〉, 《회색인》, 〈크리스마스 캐럴〉, 〈열하일기〉, 〈서유기〉, 〈화두〉 등이 있으며, 단편 〈웃음소리〉로 제12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15]『광장』은 1960년 4·19 학생혁명 직후에 출판되었다. 이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실각했고, 최인훈한국어은 이 시기에 작품을 발표한 최초의 소설가 중 한 명이었다. 따라서 『광장』은 한국 현대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6]
『광장』의 후속작인 『회색인』 역시 이승만 대통령의 실각으로 절정에 달한 한국의 정치적 타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
2. 4. 교수 활동과 후학 양성
1977년 서울예술전문대학(지금의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임용되어 2001년 5월에 정년 퇴임할 때까지 재직했다.[3] 정년퇴임 후에도 특강을 했으며, 2009년에 본인의 희곡을 처음으로 무대에 올렸을 때 "창작하는 사람들에게 은퇴라는 것은 없다"고 관객들에게 말하기도 했다.[15]2. 5. 타계와 추모
최인훈은 2018년 7월 23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명지병원에서 대장암으로 타계하였다.[16] 이문열, 성석제, 김승옥 등의 문인들과 이어령 前 문화부 장관, 백낙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등이 조문하였다.[17] 사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됐다.[18]3. 작품 세계
최인훈은 군 복무 중 문단에 데뷔하여 한국 분단과 관련된 이념 갈등으로 고통받는 개인들을 중심으로 작품 활동을 하였다. 그는 다작 작가이자 동시에 논쟁적인 작가로 유명하다.[5] 그의 대표작 광장을 비롯한 여러 작품들은 4·19 학생혁명 이후 한국 사회의 현실과 이승만 대통령 실각으로 절정에 달한 정치적 타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6][7]
3. 1. 소설
최인훈은 군 복무 중 문단에 데뷔했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한국 분단과 관련된 이념 갈등으로 고통받는 개인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그는 다작 작가이자 동시에 논쟁적인 작가로 유명하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1960년에 출판되어 즉각적인 성공을 거둔 『광장』이다.[5]『광장』은 1960년 4월 19일의 4·19 학생혁명 직후에 출판되었다. 이 혁명은 이승만 대통령을 실각시켰고, 최인훈은 그 시대에 작품을 발표한 최초의 소설가 중 한 명이었다. 따라서 『광장』은 한국 현대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6]
『광장』의 후속작인 『회색인』 역시 한국 남부의 정치 현실, 특히 "이승만 대통령의 실각으로 절정에 달한 정치적 타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
연도 | 작품명 | 비고 |
---|---|---|
1959 | 그레이구락부전말기 | [12][13] |
1959 | 라울전 | [12][13] |
1960 | 광장 | |
1960 | 가면고 | |
1962 | 구운몽 | |
1962 | 열하일기 | |
1964 | 회색인 | |
1966 | 서유기 | |
1966 | 크리스마스 캐롤 | |
1969 | 주석의 소리 | |
1972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
1973 | 태풍 | |
1976 | 총독의 소리 | |
1979 | 최인훈 전집 | |
1994 | 화두 |
3. 2. 희곡
최인훈은 여러 희곡 작품을 발표했다. 다음은 최인훈의 희곡 목록이다.[12][13]발표 연도 | 작품 제목 |
---|---|
1959년 | 그레이구락부전말기, 라울전 |
1960년 | 광장, 가면고 |
1962년 | 구운몽, 열하일기 |
1964년 | 회색인 |
1966년 | 서유기, 크리스마스 캐롤 |
1969년 | 주석의 소리 |
1972년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1973년 | 태풍 |
1976년 | 총독의 소리 |
1979년 | 최인훈 전집 |
1994년 | 화두 |
4. 주요 작품 목록
최인훈은 소설, 희곡, 수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 소설 광장, 희곡 ''다시 만날까?'', 수필 ''길 위의 명상'' 등이 있다.[12][13]
4. 1. 소설
제목 | 영어 제목 | 발표 연도 |
---|---|---|
광장 | The Square | 1960년 |
가면고(仮面考) | Reflections on a Mask | 1960년 |
구운몽(九雲夢) | A Dream of Nine Clouds | 1962년 |
회색인(灰色人) | A Grey Man | 1964년 |
서유기(西遊記) | Journey to the West | 1966년 |
크리스마스 캐롤 | A Christmas Carol | 1966년 |
웃음소리 | The Sound of Laughter | 1967년 |
주석의 소리(首席の音) | 1969년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小説家丘甫氏の一日) | One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 1972년 |
태풍(台風) | Typhoon | 1973년 |
총독의 소리(総督の音) | 1976년 | |
화두(話頭) | The Keyword | 1994년 |
4. 2. 희곡
4. 3. 수필
- Meditation on the Road영어 (1989)
5. 수상 및 서훈
연도 | 상 이름 |
---|---|
1966년 | 동인문학상[19] |
1971년 | 동아연극상 |
1977년 |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 |
1977년 |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
1978년 | 중앙일보 문화대상 예술부문 공로상 |
1979년 | 서울연극평론가협회상 |
1994년 | 이산문학상 |
1999년 | 보관문화훈장 |
2004년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명예동문상 |
2011년 | 박경리문학상[8] |
2018년 | 금관문화훈장 |
6. 기타 이력
참조
[1]
뉴스
'광장'의 소설가, 최인훈 별세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18-07-03
[2]
뉴스
Award-winning novelist Choi In-hun of 'The Square' dies of cancer
https://koreatimes.c[...]
The Korea Times
2018-07-23
[3]
웹사이트
Choi In-hoon: "The flame in my mind has never died down for the past 48 years."
http://www.koreafocu[...]
[4]
웹사이트
Novelist Choi In-hun who delves into ideological rift of post-war Koreas dies of cancer
http://english.yonha[...]
2018-07-23
[5]
서적
Minmusa
[6]
웹사이트
Author Choi In-hun dead at 84 : ‘The Square’ is considered a pivotal piece of Korean literature
https://koreajoongan[...]
2018-07-23
[7]
서적
A Grey Man
https://archive.org/[...]
Si-sayong-o-sa
[8]
웹사이트
Park Kyung-ni Prize First Winner
http://www.tojicf.or[...]
2012-09-27
[9]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최진실 남매의 자살 상흔 간직한 정·재계 명문가
http://www1.skyedail[...]
2017-03-27
[10]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11]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www.klti.or.k[...]
[12]
웹사이트
네이버(한국 현대 문학 대사전)
http://terms.naver.c[...]
[13]
웹사이트
네이버(두산백과)
http://terms.naver.c[...]
[14]
뉴스인용
'광장' 최인훈 소설가 대장암으로 타계…'문인장'으로 장례
http://news.kbs.co.k[...]
한국방송공사
2018-07-23
[15]
뉴스
'광장'의 소설가, 최인훈 별세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2018-07-23
[16]
뉴스인용
'광장' 최인훈 작가 별세…향년 84세(2보)
http://www.yonhapnew[...]
2018-07-23
[17]
뉴스인용
이문열 "최인훈, 내게 가장 큰 영향 준 작가"(종합)
http://www.yonhapnew[...]
2018-07-24
[18]
뉴스
'광장' 최인훈 작가 금관문화훈장 추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
뉴스
제7회 동아연극상 수상자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국전쟁 포로 심문, 냉전정치 실험장이었다 [.txt]
[새책]호르몬 체인지 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