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빛내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빛내리는 마이크로RNA 연구를 통해 유전자 조절 기전을 밝힌 대한민국의 생명과학자이다.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으로 선임되었으며, 마이크로RNA 생성을 두 단계로 설명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Drosha, DGCR8 등 관련 인자를 규명했다. 또한, RNA 간섭 기술 발전과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 장인순
장인순은 대한민국의 핵 과학자로서 핵연료 국산화를 주도하고 한국원자력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국책 사업에 참여했으며, 지역 사회 공헌을 위해 활동했다. -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 황우석
황우석은 체세포 복제 기술 연구를 통해 주목받았으나 논문 조작과 윤리적 문제로 비판을 받았으며, 현재는 동물 복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 아산의학상 수상자 - 김은준
김은준은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이자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으로, 뇌과학 분야, 특히 시냅스 기능과 관련된 뇌 질환 연구에 기여하며 ADHD 및 자폐증 관련 연구를 통해 질환 기전 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네이처, 셀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아산상, 포스코 청암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 아산의학상 수상자 - 고규영
고규영은 학력, 주요 경력, 학술 활동, 수상 경력이 현재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김빛내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Vic Narry Kim (Vic은 이름이 아님) |
출생지 | 전라남도 영광군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연안 |
![]() | |
학력 | |
출신 대학 | 서울대학교 |
박사 학위 | 옥스포드 대학교 생화학 박사 |
경력 | |
직업 |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기초과학연구원 단장 |
연구 분야 | |
분야 | 생화학, 분자생물학 |
주요 업적 | 스플라이싱과 RNA 분해의 분자적 연결 고리 규명 microRNA 생성경로에 대한 이론 제시 Drosha, DGCR8 등 microRNA 생성 인자 동정 배아줄기세포에서의 microRNA 조절 규명 |
수상 | |
수상 내역 | 영국 왕립학회 회원 아산의학상 (2019) 올해의 과학자상 (2016)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13) S-Oil Leading Scientist of the Year (2013) Top Scientist and Technologist Award of Korea (2013) Amore Pacific the Grand Prize (2010) 호암상 (2009)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2008) Woman Scientist/Engineer of the Year Award (2007) 톰슨사이언티픽사 논문인용상 (2007) |
2. 학력
-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 졸업
- 1988년 ~ 1992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학사
- 1992년 ~ 1994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석사
- 1994년 ~ 1998년: 옥스퍼드 대학교 생화학 박사[2][24]
3. 경력
연도 | 직책 |
---|---|
1999년~2001년 |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지도교수: 기디온 드레이퍼스) |
2001년~2004년 | 서울대학교 연구 조교수 |
2004년~2008년 | 서울대학교 조교수 |
2006년~2008년 | 대한민국 대통령 자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
2008년~2013년 | 서울대학교 부교수 |
2010년~현재 | Cell 편집위원 |
2010년~현재 | 서울대학교 석좌교수 |
2011년~현재 | The EMBO Journal 편집위원 |
2012년~현재 |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 단장[23] |
2013년~2014년 | 대한민국 대통령 자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
2013년~현재 | 서울대학교 교수 |
2014년~현재 | 미국 국립 과학원(NAS) 회원 |
2014년~현재 | Molecular Cell 편집위원 |
2015년~현재 | Science, Board of Reviewing Editors |
4. 주요 연구 업적
김빛내리는 1998년 옥스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학위과정에서는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치료법을 개발하였다. 이후 미국 펜실바니아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스플라이싱과 RNA 분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인 Y14의 기능을 밝혔다. 2001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한 후 microRNA 연구를 시작으로 RNA를 통한 유전자 조절을 연구하고 있다.[41]
4. 1. 마이크로RNA 생성 기전 규명
김빛내리는 microRNA의 생성 경로를 밝힌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02년에 microRNA의 생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고, 이어 microRNA의 생성 인자인 드로셔(Drosha), DGCR8, RNA 전사효소 II, PACT 등을 동정하였다. 김빛내리의 연구는 microRNA를 통한 유전자 및 세포 조절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고, RNA 간섭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배아줄기세포에서 만들어져 줄기세포 유지를 도와주는 microRNA를 발견하였으며, 줄기세포에서 microRNA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밝힘으로써, 줄기세포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암세포의 성장과 사멸을 조절하는 microRNA를 발견하여 암생물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4. 2. RNA 간섭 기술 발전 기여
김빛내리는 microRNA의 생성 경로를 밝힌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02년에 microRNA의 생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고, 이어 microRNA의 생성 인자인 드로샤(Drosha), DGCR8, RNA 전사효소 II, PACT 등을 동정하였다. 김빛내리의 연구는 microRNA를 통한 유전자 및 세포 조절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고, RNA 간섭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배아줄기세포에서 만들어져 줄기세포 유지를 도와주는 microRNA를 발견하였으며, 줄기세포에서 microRNA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밝힘으로써, 줄기세포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암세포의 성장과 사멸을 조절하는 microRNA를 발견하여 암생물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5. 수상
연도 | 상 이름 | 주최 |
---|---|---|
2024년 | 림성기연구자상 대상 | 림성기재단[25] |
2021년 | 라이나 50+어워즈 대상 생명존중상 | [43] [26] |
2020년 | 대한민국 5대 바이오 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 포항공과대학교 생물학연구정보센터[27][28] |
2019년 | 아산의학상 | [29][30][31] |
2017년 | 첸상(Chen Award) | [24] |
2016년 | 올해의 과학자상 | 한국과학기자협회[32] |
2014년 | 피인용률 높은 연구자 | 분자생물학 및 유전학 분야 |
2013년 | S-OIL 올해의 선도과학자상 |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 |
2013년 |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자상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33][34] |
2013년 | 관악대상 명예부문 | 서울대학교 |
2011년 | 대한민국을 이끄는 100인 | 동아일보[35] |
2010년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교육과학기술부 |
2010년 | 아모레퍼시픽 대상 | 아모레퍼시픽과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2009년 | 호암상 의학상 | 호암재단 |
2008년 | 로레알-유네스코 여성 과학자상 | 로레알과 유네스코[3] |
2007년 | 올해의 여성 과학기술자상 | 과학기술부 |
2007년 | 젊은 과학자상 | 한국과학기술한림원[36] |
2007년 | 톰슨 사이언티픽 인용상 | 톰슨 코퍼레이션 |
2006년 | 연구상 | 서울대학교 |
2004년 | 마크로젠 신진과학자상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2006년 | 여성과학자상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2006년 | 연구상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6. 발표 논문
참조
[1]
웹사이트
Interview
http://www.narrykim.[...]
[2]
간행물
V. Narry Kim: Embracing the Challenge of Science
https://www.thermofi[...]
Thermo Fisher Scientific
2019-01-24
[3]
웹사이트
V Narry Kim - iBiology
https://www.ibiology[...]
2019-01-24
[4]
웹사이트
Center for RNA Research - Life Sciences - Research Centers
https://www.ibs.re.k[...]
2019-01-24
[5]
웹사이트
RNA Biology: Narry Kim Lab
http://www.narrykim.[...]
[6]
웹사이트
Professor V. Narry KIM Develops Selective RNA Elimination - Media Coverage - SNU Media - News & Forum - SNU
http://en.snu.ac.kr/[...]
[7]
논문
TALEN-based knockout library for human microRNAs
https://www.research[...]
2019-01-24
[8]
논문
MicroRNA maturation: stepwise processing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2002-09
[9]
논문
Lin28 mediates the terminal uridylation of let-7 precursor MicroRNA
2008-10
[10]
논문
TUT4 in concert with Lin28 suppresses microRNA biogenesis through pre-microRNA uridylation
2009-08
[11]
논문
Molecular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primary microRNAs by the Drosha-DGCR8 complex
2006-06
[12]
논문
Dicer recognizes the 5' end of RNA for efficient and accurate processing
2011-07
[13]
논문
The Architecture of SARS-CoV-2 Transcriptome
2020-05-14
[14]
웹사이트
New Coronavirus (SARS-CoV-2) Mapped Out: A high resolution gene map reveals many viral RNAs with unknown functions and modifications
https://www.ibs.re.k[...]
2020-06-10
[15]
논문
South Korea's Institute for Basic Science faces review: Decisions about the country's research flagship will signpost national priorities.
https://www.nature.c[...]
2020-06-10
[16]
웹사이트
Tenth anniversary of the L'ORÉAL-UNESCO Awards For Women in Science
http://portal.unesco[...]
UNESCO
2012-01-14
[17]
웹사이트
The Ho-Am Prize Laureates
http://hoamprize.sam[...]
Ho-Am Foundation
2012-01-14
[18]
웹사이트
The Ultimate List Of 15 Asian Scientists To Watch – V Narry Kim
https://www.asiansci[...]
2019-01-24
[19]
논문
Science stars of East Asia: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fectious diseases, top researchers in Hong Kong, Malaysia, Singapore, South Korea and Taiwan are making big impacts on the global stage.
2018-06-27
[20]
웹사이트
IBS Places First Among Korean Institutions by Featuring 9 Scientists in List of Highly Cited Researchers
https://www.ibs.re.k[...]
2019-02-12
[21]
웹사이트
"[김종승 교수] 노벨상 후보 도전할 만한 韓 연구자는 '40여명' - 2018.05.14."
http://chem.korea.ac[...]
Korea University
2019-02-12
[22]
웹사이트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국내 과학자는 누구? 제7회 지식창조대상에서 최장욱 카이스트 교수 등 10명 선정
http://www.zdnet.co.[...]
2019-02-12
[23]
웹사이트
Introduction - About Center
https://rna.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9-01-24
[24]
웹사이트
Conference Speakers - Cell Symposium_ Regulatory RNAs
http://www.cell-symp[...]
2019-01-24
[25]
웹사이트
제3회 임성기연구자상 대상에 서울대 김빛내리 석좌교수
https://www.hanmi.co[...]
2024-03-07
[26]
웹사이트
제4회 라이나50+어워즈, 수상자 6인의 인터뷰 영상 공개!
https://www.junsungk[...]
2024-03-07
[27]
웹사이트
연구자 1325명이 선정한 올해 바이오 성과 TOP5
https://www.hellodd.[...]
2020-12-28
[28]
웹사이트
2020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https://m.ibric.org/[...]
2020-12-28
[29]
웹사이트
역대 수상자
http://aam.amc.seoul[...]
서울아산병원
2019-04-03
[30]
웹사이트
아산의학상 김빛내리 석좌교수, 김종성 교수 수상
http://www.monews.co[...]
2019-04-03
[31]
Youtube
"[제12회 아산의학상 기초의학부문] 마이크로 RNA로 생명현상의 비밀을 찾다_아산사회복지재단"
https://www.youtube.[...]
AsanMedicalCenter
2019-04-03
[32]
웹사이트
과학언론상: 과학자상
https://www.koreasja[...]
2020-03-04
[33]
웹사이트
The 2nd Korea-Canada Bilateral Symposium: CV V. Narry Kim
http://stem.kast.or.[...]
2018-03-27
[34]
웹사이트
2013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2명 선정
https://www.bioin.or[...]
2023-11-16
[35]
뉴스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http://www.donga.com[...]
2020-02-27
[36]
웹사이트
과학계 신인상 받은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20년 만에 주역으로 우뚝
https://kast.tistory[...]
2020-08-21
[37]
웹인용
김빛내리 - 현직교수 - 교수진
https://biosci.snu.a[...]
2022-02-26
[38]
웹인용
Scopus preview - Kim, V. Narry - Author details - Scopus
https://www.scopus.c[...]
2022-02-26
[39]
뉴스
국내 연구진,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지도 공개
https://news.naver.c[...]
동아사이언스
2020-04-09
[40]
뉴스
논문 피인용수 노벨상 수상 수준 도달 한국 과학자 6명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9-21
[41]
웹인용
L’OREAL-UNESCO Awards 2008 40 women scientists from around the world sign the Charter of Commitment “For Women in Science”
http://portal.unesco[...]
2019-03-08
[42]
뉴스
서울대 김빛내리 교수, 한국인 최초 英왕립학회 회원 선정
https://www.yna.co.k[...]
2021-05-07
[43]
웹인용
제4회 라이나50+어워즈, 수상자 6인의 인터뷰 영상 공개!
https://www.junsungk[...]
2024-03-07
[44]
웹인용
제3회 임성기연구자상 대상에 서울대 김빛내리 석좌교수
https://www.hanmi.co[...]
2024-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