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엽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상엽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삼성 라이온즈에서 1993년 탈삼진왕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잦은 부상으로 인해 LG 트윈스로 이적 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영남대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NC 다이노스 투수코치를 거쳐 경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일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역 시절 홀수 해에 좋은 성적을 거두는 특징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O 탈삼진상 수상자 - 최동원
경상남도 남해군 출신 프로 야구 투수 최동원은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4승을 거두며 롯데 자이언츠의 첫 우승을 이끌었고, '무쇠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선동열과 함께 한국 프로 야구 초창기를 대표하는 투수였으나 선수협 파동 이후 은퇴, 지도자 및 해설가로 활동하다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 KBO 탈삼진상 수상자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경복중학교 동문 - 김성민 (1994년)
김성민(1994년)은 고교 시절 주목받는 활약으로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계약했으나 무산된 후 키움 히어로즈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2019년 맹활약과 '김끼우'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다. - 경복중학교 동문 - 김헌곤
김헌곤은 삼성 라이온즈 소속의 프로 야구 외야수로, 영남대학교를 졸업하고 2011년 입단하여 외야 전 포지션을 소화하며 2018년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고 FA 자격을 얻어 팀에 잔류하며 주축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 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 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김윤환 (1932년)
김윤환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장, 정무장관을 역임하며 정권 창출에 기여하여 "킹 메이커"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민주국민당 대표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으며 신장암으로 사망했다.
김상엽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김상엽 |
원어명 | Kim Sang-Yeop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
생년월일 | 1970년 5월 11일 |
신장 | 187 |
체중 | 95 |
수비 위치 | 투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프로 입단 연도 | 1989년 |
드래프트 순위 | 1989년 고졸우선지명(삼성 라이온즈) |
첫 출장 | KBO / 1989년 4월 8일 사직 대 롯데전 선발 |
마지막 경기 | KBO / 2000년 4월 15일 잠실 대 한화전 선발 |
획득 타이틀 | 1993년 KBO 탈삼진왕 |
선수 경력 | |
코치 경력 | |
감독 경력 |
2. 선수 경력
삼성 라이온즈와 LG 트윈스에서 선수 생활을 보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에는 1993년 탈삼진 1위를 기록하고 1995년 17승을 거두는 등 팀의 에이스 투수로 활약하며 전성기를 보냈다.[3] 하지만 잦은 등판으로 인한 어깨 및 허리 부상으로 인해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지 못하고 1998년 이후로는 점차 전력에서 이탈했다. 1999년 12월, FA 보상 선수로 LG 트윈스로 이적했으나 부상이 계속되어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2001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삼성 라이온즈 시절
1993년 시즌에는 170탈삼진으로 탈삼진왕에 올랐다. 이는 김시진 이후 팀에서 두 번째로 기록한 탈삼진 1위였다. 같은 해 4월 10일에 열린 개막전에서는 17-0 완봉승을 거두며 역대 개인 최다 점수 차 완봉승[3] 기록을 세웠다. 1995년에는 17승을 거두며 1990년대 초반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당시 상대적으로 투수진이 약했던 팀 사정상 선발과 마무리를 오가며 무리한 투구를 했고, 이로 인해 어깨 및 허리 부상을 입어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지 못했다. 결국 1998년 이후에는 전력에서 이탈했다.2. 2. LG 트윈스 시절
1999년 12월, 삼성 라이온즈가 김동수를 FA로 영입하면서 보상 선수 자격으로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하지만 부상이 지속되어 별다른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LG 트윈스 소속으로는 2경기에 등판하여 6.2이닝 동안 2패, 평균자책점 10.80을 기록했고, 2001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3. 은퇴 이후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마무리 투수 출신이자 당시 영남대학교 야구부 감독이었던 권영호의 제안으로 영남대학교 투수코치를 맡아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2011년에는 박찬호의 주선으로 일본 프로야구 팀인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다.[4] 연수를 마친 뒤 NC 다이노스의 투수코치로 선임되었다.
2019 시즌 종료 후 NC 다이노스와 재계약하지 않았고, 2020년부터 경주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로 활동했다. 김용국의 뒤를 이어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경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으며, 감독직을 이선희에게 넘겼다. 경주고 감독직을 마친 후 곧바로 경일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5]
4. 특징
현역 시절, 홀수 해에는 성적이 좋고 짝수 해에는 부진한 징크스가 있었다. 이는 '최창양 징크스'라고도 불렸다.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wikitext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비고 |
---|---|---|---|---|---|---|---|---|---|---|---|---|---|---|---|---|---|---|---|---|
1989 | 삼성 | 4.40 | 24 | 0 | 0 | 2 | 5 | 0 | 0 | 0.286 | 280 | 57.1 | 58 | 3 | 57 | 2 | 31 | 37 | 28 | |
1990 | 2.81 | 44 | 2 | 0 | 12 | 6 | 18 | 0 | 0.667 | 661 | 160.1 | 114 | 12 | 79 | 11 | 110 | 60 | 50 | ||
1991 | 4.62 | 36 | 1 | 0 | 6 | 6 | 7 | 0 | 0.500 | 449 | 99.1 | 87 | 10 | 67 | 6 | 62 | 60 | 51 | ||
1992 | 4.19 | 41 | 5 | 1 | 8 | 12 | 15 | 0 | 0.400 | 602 | 144 | 125 | 9 | 71 | 4 | 103 | 71 | 67 | ||
1993 | 2.58 | 36 | 6 | 3 | 13 | 6 | 8 | 0 | 0.684 | 750 | 181.1 | 150 | 8 | 76 | 6 | 170 | 64 | 52 | 탈삼진왕 | |
1994 | 4.74 | 7 | 0 | 0 | 2 | 2 | 0 | 0 | 0.500 | 111 | 24.2 | 23 | 3 | 16 | 1 | 21 | 13 | 13 | ||
1995 | 2.30 | 27 | 9 | 2 | 17 | 7 | 0 | 0 | 0.708 | 772 | 191.2 | 140 | 12 | 63 | 12 | 132 | 53 | 49 | ||
1996 | 3.86 | 8 | 0 | 0 | 3 | 1 | 1 | 0 | 0.750 | 92 | 21 | 11 | 2 | 15 | 3 | 22 | 9 | 9 | ||
1997 | 3.35 | 25 | 0 | 0 | 12 | 6 | 0 | 0 | 0.667 | 621 | 150.2 | 128 | 12 | 62 | 11 | 82 | 59 | 56 | ||
1998 | 5.40 | 8 | 0 | 0 | 3 | 3 | 0 | 0 | 0.500 | 170 | 36.2 | 38 | 5 | 17 | 6 | 17 | 24 | 22 | ||
2000 | LG | 10.80 | 2 | 0 | 0 | 0 | 2 | 0 | 0 | 0.000 | 35 | 6.2 | 12 | 1 | 6 | 0 | 2 | 8 | 8 | |
통산 | 11시즌 | 3.39 | 258 | 23 | 6 | 78 | 56 | 49 | 0 | 0.582 | 4543 | 1073.2 | 886 | 77 | 529 | 62 | 752 | 458 | 405 |
참조
[1]
뉴스
大邱高卒(대구고졸)투수 金(김)상엽 三星(삼성)라이온즈와 계약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4-04-03
[2]
뉴스
"[프로야구] 추억의 그라운드 5. 김시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4-03
[3]
뉴스
-프로야구-<종합> 라이온즈, 최다득점차 완봉승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19-04-22
[4]
칼럼
오릭스 김상엽 코치 “박찬호야말로 진정한 위너다”
https://news.naver.c[...]
이영미
[5]
기사
1990년대 푸른 피의 에이스, 경일대 야구부 지휘봉 잡는다
https://m.sports.nav[...]
OS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