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약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약선은 고려 시대의 인물로, 신라 왕실의 후손이자 최우의 사위이다. 그의 딸은 고려 원종의 비인 정순왕후이며, 고려 충렬왕의 외조부이다. 김약선은 최우의 후계자가 될 뻔했으나, 아내 우봉 최씨의 간통 사실을 알게 된 후 아내의 무고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 사후에는 장익(莊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 경주 김씨 - 김만제
    김만제는 1934년생으로 미주리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이며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 주요 직책을 거쳐 한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관료, 기업인, 정치인으로, 삼성생명과 포항제철 회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며 은탑산업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청조근정훈장 등을 수훈했다.
  • 경주 김씨 - 김석휘
    김석휘는 1935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학교법인 홍익학원 이사로 재직 중이다.
  • 고려의 문신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 고려의 문신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김약선
기본 정보
김약선
김약선
본관안동 김씨 (신 안동)
배위최씨 (경주 최씨)
생몰년미상
관력
주요 관직추밀원사
가계
김척명(金척命)
미상
배우자경주 최씨
자녀5남 2녀
상세 정보
기타 정보김약선은 원종 때의 추밀원사였다.

2. 생애

김약선은 신라 왕실 출신으로, 최씨정권의 지도자 최우(최이)의 사위였다. 1235년 원종이 태자가 되면서 그의 딸이 태자비(순경태후 김씨)로 간택되었고, 충렬왕을 낳았으나 일찍 사망하였다. 김약선은 여러 관직을 거쳐 추밀원부사가 되었다.[7]

고종은 김약선의 처가 관등절에 내전으로 들어갈 때 태자비의 어머니라 하여 특별히 왕비와 같은 대우를 하도록 명하였다. 이에 대해 식자들은 아랫사람이 분수에 넘치는 행동을 하는 것은 윗사람이 열어준 것이라며 비판하였다.[7]

김약선은 최우의 집에 있는 여러 처녀들과 망월루 모란방에서 음란한 짓을 벌였다. 이를 질투한 아내가 최우에게 하소연하자, 최우는 김약선과 관계된 처녀들과 이들을 연결해준 자들을 섬으로 유배 보내고 망월루와 모란방을 허물었다.[7]

2. 1. 가문 배경

김약선(金若先)의 할아버지 김봉모(金鳳毛)는 중서문하평장사태자태부(中書門下平章事太子太傅)를 지냈고, 아버지 김태서(金台瑞)는 고려 고종 때 한림원학사,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했다.[7] 전주 김씨(全州 金氏)인 김약선은 최우의 딸과 혼인했는데, 이는 그가 신라 왕족 출신이었기 때문이다.[1][2]

2. 2. 최우와의 관계

김약선은 최씨정권의 지도자 최우(최이)의 사위였다.[7] 김약선은 신라를 통치했던 경주 김씨 왕족의 후손으로서 명망있는 배경을 가졌기 때문에 최우의 딸과 결혼했다.[2] 1219년, 최충헌이 죽음을 앞두고 최우는 자신의 후계자 자리를 지키기 위해 사위인 김약선에게 자신의 아버지를 보살피도록 맡겼다.[3][4][5]

최우는 아들이 없었기에 김약선은 최우의 후계자이자 고려 무신 정권의 지도자가 될 운명이었다. 그러나 김약선은 부인의 거짓 고발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4] 김약선의 아내 우봉 최씨는 남종과 간통을 하였는데, 김약선이 그 사실을 알게 되자, 다른 사건을 가지고 최우에게 무고를 하여 최우는 김약선을 죽였다.[7]

2. 3. 관직

김약선은 최씨정권의 지도자 최우(최이)의 사위가 되었고, 1235년 원종이 태자가 되면서 그의 딸이 태자비로 간택되었다. 그녀는 훗날 원종의 후비(后妃)가 되는 순경태후 김씨이며, 충렬왕을 낳았다.[7] 여러 관직을 거쳐 추밀원부사가 되었다.[7][6][5]

2. 4. 최후

김약선은 부인인 최씨의 불륜 사실을 알게 되자, 부인은 이를 은폐하기 위해 남편을 무고하였다. 김약선은 부인의 거짓 고발로 인해 장인인 최우에게 죽임을 당했다. 정확한 고발 내용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지만, 최우가 자신의 후계자를 사형에 처할 정도였다면 반역에 해당하는 내용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진실은 나중에 밝혀졌고, 최우는 자신의 딸도 멀리하여 죽을 때까지 보지 않았다. 김약선은 사후 시호로 장익(莊翼)이라는 이름을 받았다.[7][5]

3. 가계

항목내용
친조부정평공(靖平公) 김봉모
아버지문장공(文莊公) 김태서
남동생김기손(金起孫), 김경손(金慶孫, ? ~ 1251년)
처부최우(崔瑀)
부인우봉 최씨
아들김미(金敉) - 최항에 의해 고란도로 유배, 김위항, 김필영
며느리개성 왕씨 - 신종의 차남 양양공 서(襄陽公 恕)의 딸
고려 제24대 왕비 정순왕후(靜順王后)
사위고려 제24대 국왕 원종(元宗)
외손자충렬왕(忠烈王, 재위: 1274년~1298년, 복위: 1299년~1308년)


4. 김약선이 등장한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125)전주 김씨(全州金氏)-57,979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2] 서적 Generals and Scholars: Military rule in medieval Korea Univ. of Hawai'i Press 2000
[3] 서적 Generals and Scholars: Military rule in medieval Korea Univ. of Hawai'i Press 2000
[4] 학술지 Kim Yak-sun and Kim Kyung-son's political labor during Choi's reign 2021-11-30
[5]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24
[6] 웹사이트 https://www.doopedia[...] 2024-03-24
[7] 웹사이트 고려사 권101 열전 권제 14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