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재광은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청주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1956년 서울특별시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6대부터 제14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8선 의원이 되었다. 신민당 원내총무, 국회부의장 등을 지냈으며, 민주당, 신민당, 통일민주당, 민주자유당 등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다. 1993년 사망 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 김씨 (구)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 안동 김씨 (구) - 김재익 (1938년)
김재익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와 미국 대학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한 경제학자이자 관료로, 한국 경제의 시장 중심 개혁에 기여했으나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 - 이학영
이학영은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학생 운동과 시민 사회 활동을 거쳐 남민전 사건으로 투옥되었으나 민주화 운동으로 사면되었으며, 경기 군포시에서 내리 4선 국회의원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이다. - 청주고등학교 동문 - 노영민
노영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 및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연루되었다. - 청주고등학교 동문 - 신장식
신장식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방송인으로, 진보신당과 정의당에서 활동했으며 조국혁신당에 합류하여 제22대 국회의원이 되었고, TBS FM과 MBC 표준FM에서 시사 평론가로도 활동했다.
김재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재광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청주군 오창면 오대리 |
출생일 | 1922년 5월 21일 |
사망일 | 1993년 1월 3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구 안동 |
종교 | 불교 |
배우자 | 오학순 |
자녀 | 슬하 2남 2녀 |
학력 | |
학력 |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경력 | |
주요 경력 | 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13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
의정 활동 | |
의원 선수 | 8 |
의원 대수 | 6·7·8·9·10·12·13·14 |
정당 | 민주자유당 |
지역구 | 서울 서대문구 갑(6·7·8) 서울 서대문구(9·10) 서울 서대문구·은평구(10·12) 서울 은평구 을(13) 서울 은평구 을(14) |
2. 생애
김재광은 1922년 5월 21일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에서 태어나 1993년 1월 3일 세브란스병원에서 71세를 일기로 사망한 정치인으로, 8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초기 생애와 정치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1922년 5월 21일,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청주군 오창면(현 청주시 오창읍)에서 태어났다. 1941년 청주고등보통학교(현 청주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건국대학교 정치대학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2. 2. 정치 활동
1956년에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초대 서울특별시의원으로 당선되었고, 1960년 지방선거에서 재선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정치 활동이 규제되었다.[3]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서울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해 40.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6대 국회의원 임기 중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원직을 사퇴했다. 이후 신민당 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64.62%의 득표율로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8대 국회의원 임기 동안 신민당 원내총무 등을 역임했다.[1]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을 탈당, 무소속으로 서울 서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어 신민당 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제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2·12 군사 반란 이후 신군부에 의해 정치활동 규제를 받았으나,[4] 규제가 해제된 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소속으로 서대문구·은평구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87년 6월, 신한민주당을 탈당하고[5] 통일민주당에 입당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은평구 을 선거구에 출마, 당선되어 7선 의원이 되었다. 제13대 국회에서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3당 합당 이후 민주자유당에 속했으며,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 3번으로 공천받아[6] 당선, 8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1980년 12월 「정치풍토쇄신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으나, 1984년 11월 해금되어 정계에 복귀했다.[3] 국가진단연구소 이사장, 동아정경연구회 회장, 아시아의원연맹 이사, 건국대학교 재단 이사, 서울시의정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3]
2. 3. 사망
1993년 1월 3일, 지병으로 세브란스병원에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사망 이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8]3. 학력
4. 경력
연도 | 직함 |
---|---|
1956년 ~ ? | 서울시의회 의원(초대, 2대) |
1963년 | 제6대 국회의원 (민정당, 서울 서대문구 갑) |
1967년 | 제7대 국회의원 (신민당, 서울 서대문구 갑) |
1971년 | 제8대 국회의원 (신민당, 서울 서대문구 갑) |
1973년 | 제9대 국회의원 (무소속, 서울 서대문구) |
1978년 | 제10대 국회의원 (신민당, 서울 서대문구) |
1985년 | 제12대 국회의원 (신한민주당, 서울 서대문구·은평구) |
1988년 | 제13대 국회의원 (통일민주당, 서울 은평구 을) |
1988년 ~ 1990년 | 제13대 국회 부의장 |
1992년 | 제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전국구) |
? | 민주당 중앙상임위원 |
? | 신민당 중앙상임위원·정책위의장·원내총무·최고위원 |
? | 민정당 중앙상임위원·서울 제9지구 당위원장·서울시지부 부위원장·조직국장·당무위원 |
? | 통일민주당 대통령선거대책본부장 |
? | 민주당 당무위원 |
? | 국가진단연구소 이사장 |
? | 동아정경연구회 회장 |
? | 아시아의원연맹 이사 |
? | 건국대학교 재단 이사 |
? | 서울시의정회 회장 |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1963년 | 총선 | 민정당 | 24,139표 (40.16%) | 1위 | 당선 | 초선 |
1967년 | 총선 | 신민당 | 46,529표 (64.62%) | 1위 | 당선 | 재선 |
1971년 | 총선 | 신민당 | 52,580표 (73.19%) | 1위 | 당선 | 3선 |
1973년 | 총선 | 무소속 | 79,480표 (31.29%) | 1위 | 당선 | 4선 |
1978년 | 총선 | 신민당 | 173,243표 (54.85%) | 1위 | 당선 | 5선 |
1985년 | 총선 | 신한민주당 | 205,370표 (48.51%) | 1위 | 당선 | 6선 |
1988년 | 총선 | 통일민주당 | 27,154표 (26.13%) | 1위 | 당선 | 7선 |
1992년 | 총선 | 민주자유당 | 7,923,718표 (38.5%) | 전국구 3번 | 당선 | 8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5-29
[2]
웹사이트
(18)안동 김씨(安東金氏)(구파)-425,264명
http://www.seoulecon[...]
2014-07-21
[3]
웹사이트
김재광(金在光)
https://encykorea.ak[...]
2023-08-14
[4]
웹사이트
정치활동규제대상자 명단
https://www.mk.co.kr[...]
[5]
웹사이트
김재광 의원 등 신민당 탈당 의사
https://imnews.imbc.[...]
[6]
웹사이트
민자 전국구후보 54명 발표/①김영삼 ②박태준 ③김재광 ④노재봉씨
https://www.seoul.co[...]
[7]
웹사이트
김재광전 국회부의장 별세
https://imnews.imbc.[...]
[8]
웹사이트
고 김재광 전 국회부의장 무궁화장 추사
https://news.kb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