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창순은 1920년 평안북도 의주군 출생으로, 만주와 하얼빈에서 교육을 받고 러시아사를 전공했다. 1948년 북한의 '민주조선' 총무국장을 지내다 투옥 후 6.25 전쟁 중 월남했다. 문교부 반공교육전문위원, 내외문제연구소 이사장,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특별연구원을 거쳐 북한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편찬 상무위원으로 활동했다. 북한학 정립에 기여했으며, 김준엽과 공저한 '한국공산주의운동사'는 주요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 15년사', '북한의 역사' 등이 있으며, 국민훈장 동백장, 5.16민족상, 세종문화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한학자 - 강명도
강명도는 평양 출신으로 북한 요직을 거쳐 1994년 탈북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김일성 외척 출신의 북한 전문가로, 대학교수와 방송 활동, 저술 등을 통해 북한 사회의 실상과 내부 비밀을 알리고 있다. - 북한학자 - 안드레이 란코프
안드레이 란코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유학 후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북한의 정치, 사회, 역사, 특히 권력 구조와 주민 생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NK News, 코리아타임스 등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Korea Risk Group의 이사로 활동하는 등 북한 관련 연구 및 대중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는 북한학 전문가이다. -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자 - 황순원
황순원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시로 등단 후 소설로 전향하여 단편 〈소나기〉, 장편 《카인의 후예》 등을 통해 한국인의 삶과 정신, 전통적 가치를 탐구했으며, 간결하고 시적인 문체, 설화적 분위기, 순수성과 동심을 통한 인간 본성 탐구가 특징이다. -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자 - 서갑호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기업인으로 활동한 서갑호는 일본에서 섬유 산업으로 성공 후 귀국하여 방림방적을 설립, 한국 면방직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 부지를 기증하기도 했으나 부정 축재자로 지목되기도 했다. - 김일성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일성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김창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0년 1월 20일 |
사망 | 2010년 10월 10일 (90세) |
직업 | 군인, 정치인, 저술가 |
경력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 | 육군 준장 |
주요 보직 | 육군본부 정보국장 국방부 장관 특별보좌관 |
참여 정당 | 민주공화당 |
국회의원 | 제8대 국회의원 |
학력 | |
학력 |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대한민국 육군대학교 졸업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김정애 |
자녀 | 4남 3녀 |
수상 | |
훈장 | 보국훈장 |
2. 생애
김창순은 1920년 3월 20일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태어났다. 만주에서 중학교와 하얼빈 학원을 졸업하고 러시아사를 전공했다. 1948년 북한에서 '민주조선' 총무국장으로 일하다 혁명분자로 몰려 투옥되었으나, 6.25 전쟁 중 탈출하여 월남했다.[3][1]
이후 문교부 반공교육전문위원, 초대 내외문제연구소 이사장을 지냈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특별연구원을 거쳐 1977년부터 2007년 타계할 때까지 북한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했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편찬 상무위원을 지냈다. 2000년 경남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3][1]
북한 관련 연구와 저술 활동을 통해 북한학 정립에 크게 기여했으며, 김준엽과 함께 쓴 "한국공산주의운동사"는 기념비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金昌順|김창순중국어은 1920년 3월 20일 평안북도 의주군 위원면 동린동 76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39년 만주 일·만중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 3월 만주 하얼빈 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러시아사를 전공했다. 1948년 북한의 정부기관지 ‘민주조선’의 총무국장을 지내던 중 혁명분자로 투옥되었다가 6.25 전쟁 중 탈출해 월남했다.[3][1]2. 2. 북한에서의 활동과 월남
1948년 북한의 정부기관지 민주조선의 총무국장을 지내던 중 혁명분자로 투옥되었다가 한국 전쟁 중 탈출해 월남했다.[3][1]2. 3. 대한민국에서의 활동
1948년 북한의 정부기관지 '민주조선'의 총무국장을 지내던 중 혁명분자로 투옥되었다가 6.25 전쟁 중 탈출해 월남했다.문교부 반공교육전문위원을 지냈고 초대 내외문제연구소 이사장을 지냈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1962년 11월부터 1977년 1월까지 재직하다 사직하고, 1977년 북한연구소 제3대 이사장으로 취임했으며 2007년 타계할 때까지 연임하였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국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편찬 상무위원을 지냈다.[3][1]
2000년 경남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3][1]
북한 관련 많은 연구논문과 저서, 칼럼을 통해 북한학을 설립하고 정립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전 고려대 총장 김준엽(金俊燁, 1920-2011)과 공저인 "한국공산주의운동사"는 기념비적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2. 4. 학술 활동 및 업적
1939년 만주 일·만중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 3월 만주 하얼빈 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러시아사를 전공했다. 1962년 11월부터 1977년 1월까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재직했다.[3][1]북한 관련 많은 연구논문과 저서, 칼럼을 통해 북한학을 설립하고 정립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전 고려대 총장 김준엽(金俊燁, 1920-2011)과 공저인 "한국공산주의운동사"는 기념비적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3. 주요 연구 및 저술 활동
김창순은 북한 문제와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연구에 평생을 바친 연구자였다. 특히, 북한의 정치 체제와 김일성을 비롯한 주요 인물들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그는 1956년 한국아세아반공연맹에서 『역사의 증인』[1]을 출판했고, 1961년에는 지문각에서 『북한 15년사 : 1945年8月 - 1961年1月』[2]을 출간하여 북한 체제 초기 역사를 분석했다. 1977년에는 북한연구소의 북한학보 제1집에 〈중국공산당의 만주 게릴라 조직과 한인대원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3]
1989년에는 국사편찬위원회의 『한민족독립운동사』 제6권에서 '중국공산당과 좌파 한국독립운동' 부분을 집필했고,[3] 1990년에는 『해방전후사의 쟁점과 평가』에서 '한국독립운동사에 있어서의 김일성'을 다루었다. 같은 해 국사편찬위원회의 국사관논총 제11집에 『만주 항일연군 연구』를 발표했다. 1998년에는 『북한의 역사』, 2006년에는 『김일성 사후 500日ㆍ북한 이데올로기와 대모략』을 북한연구소에서 출간했다.
3. 1. 『한국공산주의운동사』
김준엽과 공저로 『한국공산주의운동사』(전5권)를 청계연구소에서 1986년에 출간하였다.3. 2. 기타 저서 및 논문
- 1956년 한국아세아반공연맹에서 출판한 역사의 증인 [1]
- 1961년 지문각에서 출판한 북한 15년사 : 1945年8月 - 1961年1月 [2]
- 1977년 북한연구소의 북한학보 제1집에 게재한 논문 〈중국공산당의 만주 게릴라 조직과 한인대원에 관한 연구〉 (pp. 51-81)
- 1989년 12월 26일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출판한 한민족독립운동사 제6권 Ⅱ. 중국과 한국독립운동 / 3. 중국공산당과 좌파 한국독립운동 [3]
- 1987년~1988년 김준엽과 공동으로 청계연구소에서 출판한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전5권)
- 1990년 형설출판사에서 출판한 한승조 외 공저, 『해방전후사의 쟁점과 평가 1. 독립 건국운동의 주도세력은 누구인가』 제5장, 〈한국독립운동사에 있어서의 김일성〉 (pp. 152-167)
- 1990년 7월 15일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출판한 국사관논총 제11집 만주 항일연군 연구
- 1998년 북한연구소에서 출판한 북한의 역사
- 2006년 북한연구소에서 출판한 김일성 사후 500日ㆍ북한 이데올로기와 대모략
4. 수상
참조
[1]
뉴스
(부고)‘북한연구 1세대' 김창순(金昌順)씨 별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12-04
[2]
뉴스
김창순(金昌順) 북한연(硏) 이사장 별세
http://www.chosun.co[...]
조선닷컴
2007-12-05
[3]
간행물
'山石 김창순 북한연구소 이사장 별세'
http://scholar.dkyob[...]
북한연구소 편집부
200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